KR101289763B1 -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763B1
KR101289763B1 KR1020110110532A KR20110110532A KR101289763B1 KR 101289763 B1 KR101289763 B1 KR 101289763B1 KR 1020110110532 A KR1020110110532 A KR 1020110110532A KR 20110110532 A KR20110110532 A KR 20110110532A KR 101289763 B1 KR101289763 B1 KR 101289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cylinder
odorant
fire extinguishing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146A (ko
Inventor
박지웅
정창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엔피
Priority to KR102011011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7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저장/분사 및 자동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형(flexible)가능한 부취제 저장부재를 사용하여 부취제를 소화약제와 함께 안전하게 저장 및 자동 분사하며, 그 작동여부를 표시하고 재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분사장치에 있어서, 형상변형 가능한 몸체의 내부에 부취제를 저장하고 일측에 유출구를 부취제 저장부재, 부취제 저장부재의 수납 및 압축을 위한 내부 관로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 상에 결합되는 보호 실린더, 부취제 저장부재의 유출구가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 쪽을 향하도록 고정하며 부취제 저장부재의 몸체를 압축하는 팩 고정용 승강부재, 및 부취제 방출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재를 구비하여 팩 고정용 승강부재와 함께 안내되어 표시부재를 보호 실린더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시기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부취제 저장/분사 및 자동 표시장치를 제공하여, 부취제의 안정적인 운반과 저장, 파열에 의한 파편에 의한 부작용 발생 우려 제거, 화재 진압 후 부취제의 소진 여부 표시 및 반복 사용 가능하게 하여 설비 복구시 소요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하고 신뢰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exhausting and indicating odorant and extinguishing agents 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본 발명은 기체 상태의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자동 소화설비에서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약제 분사 여부를 후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방호 구역 내부로 분사되는 부취제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화재시에는 배관을 통해 방출되는 소화약제의 방출 압력에 의해 소화약제와 함께 자동으로 안전하게 방호 구역 내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작동상태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부취제의 소진 여부 또는 소화약제의 배관 내 통과 여부 점검을 밸브 또는 실린더를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 복구시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최소화하고 신뢰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화재가 진압된 후에는 원상태로 복구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 및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변전소 및 공장이나 건물 등에 있어서의 전기실에 설치된 배전반이나 각종 장비의 전기용 패널 등에는 소화장치가 직접 장착 설치되지 못하였고, 하론 CO2 소화용기를 별도 구비하여 놓거나 건물 자체의 천장부에 화재 발생시 작동되는 하론 소화설비, CO2 소화설비 또는 청정 소화설비를 설치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건물 자체의 천장에 설치된 하론 소화설비, CO2 소화설비 또는 청정 소화설비 등은 건물 내부로 불이 번져 타고 있는 시점에서야 작동이 개시되도록 구성되므로 진화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고가의 배전반에 대한 피해는 여전히 존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25877호에서는 통상의 배전반 및 패널의 내부에 열 및 연기 감응장치를 설치하여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 박스에서 전기적으로 전환하여 하론 분사헤드에 설치된 히터를 가열함으로서 하론 분사헤드에 설치된 에탄올이 내장된 유리관을 열팽창에 의하여 파열시켜 소화기를 개방 분사시킴으로서 초기 진화가 가능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화재 감지 후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히터를 가열하여 에탄올이 내장된 유리관을 열팽창으로 파열시켜 분사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히터를 가열하는 시간차로 인하여 신속하게 유리관이 파열되지 못하고 시간이 지체될 뿐만 아니라 파열 또한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9611호(명칭: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의 분사헤드")에는 부취제가 저장된 유리관을 소화약제 분사용 배관의 관로 상에 설치하고 화재 감지시 타격봉을 이용하여 유리관을 신속하게 파열시킴으로써 화재시 유리관 파열과 함께 유리관에 저장된 부취제가 가스 상태의 소화약제와 함께 방호 구역으로 신속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서와 같이 타격봉으로 유리관을 파열시켜 부취제를 소화약제와 함께 분사하는 경우 파열된 유리관의 미세 조각이 소화약제와 함께 방호구역 내부로 방출되어 소화약제 방출 노즐을 폐쇄시키거나 방출 장애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고가의 유리병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파열된 유리관을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리관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화재 진압 후 부취제의 소진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밸브 또는 실린더를 직접 개방하여 그 소진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자동 소화설비 복구시 인력 및 시간 낭비가 많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시 기체 상태의 소화약제를 방호구역 내부로 분사하는 소화약제 자동 분사장치에 있어서 형상의 자유로운 변형(flexible) 및 그 형상 변형에 의한 내부 압력의 변화로 자동 분사가 가능한 부취제 저장부재를 사용하여 부취제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화재시에는 배관을 통해 방출되는 소화약제의 방출압력에 의한 형상 변형만으로 방호구역 내부로 소화약제와 함께 안전하게 자동 분사할 수 있으며 그 동작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재 진압 후에는 부취제 저장부재를 원상태로 복구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취제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안전하게 분사 및 표시하며 경제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도록 한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각 방호 구역의 내부로 연결되는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을 통해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분사장치에 있어서, 외부 압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 가능한 몸체의 내부에 부취제를 저장하여 보호 실린더에 수납되며 형상 변형에 의한 설정 레벨 이상의 내부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유출구를 몸체의 일측에 형성한 부취제 저장부재, 부취제 저장부재의 수납 및 압축을 위한 내부 관로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의 관로와 수직으로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실린더, 부취제 저장부재의 유출구가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 쪽을 향하도록 고정하며 보호 실린더의 하부에 압입 설치되되 소화약제의 방출 압력에 의해 보호 실린더의 내부 관로를 따라 안내되어 부취제 저장부재의 몸체를 압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팩 고정용 승강부재, 및 부취제 방출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재를 일체로 구비하여 보호 실린더의 상부에 압입 설치되되 팩 고정용 승강부재에 의해 보호 실린더의 내부 관로를 따라 안내되어 표시부재를 보호 실린더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시기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보호 실린더의 다른측 단부에 표시부재의 외부 노출이 가능한 실린더 캡이 조립되거나 분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표시부재의 확인을 통해 보호 실린더의 내부를 필요에 따라 개방하고 소진된 부취제의 충전을 위해 부취제 저장부재를 보호 실린더로부터 분리시켜 부취제를 재충전 가능하게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에 의하면, 플렉서블한 몸체의 부취제 저장부재를 사용하여 부취제를 안정적으로 운반 및 저장할 수 있고, 화재시에는 배관을 통해 방출되는 소화약제의 방출 압력에 의해 부취제 저장부재의 유출구가 자동 개방되어 부취제가 기체 상태의 소화약제와 함께 안전하게 방호 구역 내부로 방출되면서 그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되므로 파열에 의한 파편의 발생 및 이로 인한 부작용 발생 우려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부취제의 소진 여부 또는 소화약제의 배관 내 통과 여부 점검을 밸브 또는 실린더를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설비 복구시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최소화하고 신뢰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진압된 후에는 보호 실린더의 캡을 개방하여 부취제 저장부재를 원상태로 복구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부취제를 안전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자동 분사 및 재사용 가능하게 되어 제작 비용 및 재설치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소화설비의 일부 개략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를 예시한 조립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팩 고정용 승강부재와 부취제 저장부재의 조립체를 발췌하여 그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참고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3의 부취제 저장부재의 유출구에 보호캡이 제거된 상태와 조립된 상태를 각각 예시한 참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보호 실린더가 실린더 결합부재에 의해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에 조립된 상태의 주요부를 발췌하여 예시한 참고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를 자동 소화설비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자동 소화설비의 일부 개략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부취제 저장/분사 및 표시장치(100)는 소화약제 저장용 실린더(1)에 저장된 기체 상태의 소화약제를 각 선택 밸브(2)를 통해 각 방호 구역의 내부로 방출하도록 연결되는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취제 및 소화약제의 자동 분사 표시장치를 상세하게 예시한 조립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팩 고정용 승강부재와 부취제 저장부재의 조립체를 발췌하여 그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참고 사시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도 3의 부취제 저장부재의 유출구에 보호캡이 제거된 상태와 조립된 상태를 각각 예시한 참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보호 실린더가 실린더 결합부재에 의해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에 조립된 상태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참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부취제 저장/분사 및 표시장치(100)는, 부취제 저장부재(110), 보호 실린더(120),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 및 표시부재(151)를 일체로 형성한 표시기 승강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취제 저장부재(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압력에 의해 몸체의 부피가 축소 또는 확장되면서 외형의 변형이 이루어지고 그 외형 변형에 의해 내부 압력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 몸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렉서블 몸체의 내부에는 소화가스와 함께 공기 중에 확산되어 색깔을 나타내거나 냄새를 풍길 수 있는 부취제(101)가 저장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플렉서블 몸체의 부피가 변화될 수 있도록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렉서블 재질의 몸체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내화학성 소재로서 비닐팩 등이 바람직하며, 비닐팩으로 구성되는 경우 플렉서블 몸체의 부피 변화에 따른 몸체 내부의 부취제 압력의 변화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이 부취제 저장부재(11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일측에 부취제의 충전 또는 방전을 위한 유출구(111)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이 유출구(111)에는 설정 레벨 이상의 내부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파열될 수 있는 필름부재(112)가 그 개방 단부에 부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이 필름부재(112)는 플렉서블 몸체의 형상 변형에 의해 그 몸체 내부에 설정 레벨(예를 들면 기체 상태의 소화약제 분출압력 인 110~120kg/cm2 보다 낮은 레벨의 기준압력으로서 100kg/cm2) 이상의 내부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그 내부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파열 또는 분리되어 유출구(111)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유출구(111)의 개방 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부(114)를 더 연설하여 운반시 이중 밀폐를 위한 보호 캡(113)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보호 캡(113)은 자동 소화설비에 부착시 미리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보호 실린더(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취제 저장부재(110)를 충분히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를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밀어넣어 그 부피를 압축할 수 있도록 내경이 균일한 내부 관로가 형성되고,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 상에 그 하단부가 연결되어 배관의 내부 관로와 연통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되, 실린더 결합부재(140) 및 밀폐를 위한 패킹부재(142)에 의해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및 밀폐된다. 이를 위해 보호 실린더(120)의 몸체 하단부에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돌출턱(121b)이 형성되고, 실린더 결합부재(140)의 몸체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141)이 형성되며, 이로써 보호 실린더(120)는 그 돌출턱(121b)에 실린더 결합부재(140)의 걸림턱(141)이 걸리는 상태로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 상에 수직으로 조립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보호 실린더(120)는 그 내부 관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하여 이미 사용된 부취제 저장부재(110)를 보호 실린더(120)로부터 분리시켜 부취제(101)를 재충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호 실린더(120)는 실린더 몸체(121)와 실린더 캡(122)으로 각각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 몸체(121)는 상, 하부가 모두 개방되는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걸림턱(121b)이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단부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부(121a)가 형성되어 실린더 캡(122)이 나사결합으로 조립 또는 분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실린더 캡(122)의 스커트부 내주면에도 나사 결합부(122a)를 형성하여 실린더 캡(122)이 외부에서 별도로 조립 또는 분해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실린더 캡(122)은 그 중앙부에 표시부재(15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표시부재 노출공(122b)이 형성된다. 이 표시부재 노출공(122b)은 그 직경이 표시부재(15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가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 쪽을 향하도록 고정하며, 보호 실린더(120)의 하부에 그 관로 내벽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압입 설치되되,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에서 방출되는 소화약제의 방출 압력에 의해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를 따라 안내되어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몸체를 압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는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에 끼워져 압입될 수 있도록 보호 실린더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판으로 형성되며, 이 원형판의 중앙부에는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를 삽입 및 지지할 수 있는 유출구 지지공(133)이 형성되어 이 유출구 지지공(133)에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가 삽입되어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 쪽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의 몸체를 이루는 원형판의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제1 링삽입홈(131)이 형성되고, 제1 링삽입홈(131)에는 관로 내벽과의 기밀 및 안내를 위한 제1 오링부재(132)가 끼워져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에 조립된다.
또한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의 몸체를 이루는 원형판에는 유출구 지지공(133) 주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조 유출공(133a)을 더 형성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주변 환경에 의해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가 개방되지 못하였을 경우 부취제의 보조 유출구로 사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표시기 승강부재(150)는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에 끼워져 압입될 수 있도록 보호 실린더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판으로 이루어지며, 몸체를 이루는 원형판의 둘레를 따라 제2 링삽입홈(153)이 형성되고, 제2 링삽입홈(153)에 밀폐를 위한 제2 오링부재(154)가 끼워져 조립되며, 그 원형판의 상면에는 보호 실린더 내부의 기계적인 작동에 의한 부취제 방출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재(151)가 수직으로 세워져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기 승강부재(150)는 표시부재(151)가 보호 실린더(120)의 실린더 캡(122) 쪽을 향하도록 하여 보호 실린더(120)의 상부에 압입 설치된다. 특히 표시부재(151)는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가 소화약제 방출 압력에 의해 보호 실린더(120) 안쪽으로 밀리는 경우 그와 함께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를 따라 그 단부까지 안내되어 결국 실린더 캡(122) 중앙부의 표시부재 노출공(122b)을 통해 외부로까지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 실린더 내부(120)의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실린더 캡(122)의 외부로 돌출된 표시부재(151)는 보호 실린더(120)를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간단하게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표시부재(151)는 실린더 캡(122)의 표시부재 노출공(122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에서 그 밀폐를 위한 밀폐부재(152)가 몸통 중간부위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 단면도들로서, 도 7a는 보호 실린더(120)에 수납된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내부에 부취제(101)가 정상적으로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화재시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으로 흐르는 소화약제의 방출 압력에 의해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가 보호 실린더(120)의 상부로 밀려 들어가 부취제 저장부재(110)를 압축시킨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내화학성 소재로서 비닐팩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를 통해 그 내부에 부취제(101)를 충전하고 그 유출구(111)의 개방 단부에 필름 부재(112)를 부착하여 1차 밀봉하고 다시 나사 결합부(114)의 나사 산을 이용하여 보호 캡(113)을 조립함으로써 유출구(111)를 2차적으로 밀봉하여 안정적으로 운반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보호 캡(113)은 운반시에만 사용되고 자동 소화설비에 부착시 미리 수동으로 제거된다.
다음으로 원형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링삽입홈(131)에 기밀용 제1 오링부재(132)가 끼워져 조립된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를 준비하고, 그 유출구 지지공(133)에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를 끼워 고정하여 부취제 저장부재(110)와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의 조립체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부취제 저장부재(110)가 고정된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는 보호 실린더(120)의 하단부 내부에 압입시켜 조립한다. 이때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는 유출구 지지공(133)에 끼워진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몸체가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공간으로 수납되도록 조립함으로써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가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 쪽을 향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가 내부에 조립되어 부취제 저장부재(110)가 내부에 수납되어 있게 된 보호 실린더(120) 조립체는 그 하단의 개방 단부를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 상에 위치시키고, 통상적인 패킹부재(142)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실린더 결합부재(140)를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에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함으로써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의 내부 관로와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가 실질적으로 연통되게 하여 보호 실린더(120)를 설치한다.
이어서 표시기 승강부재(150)를 보호 실린더(120)의 상부 쪽에서 그 내부 관로를 따라 하부 쪽으로 밀어넣어 표시기 승강부재(150)의 저면이 부취제 저장부재(110)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보호 실린더(120)의 상단부에는 실린더 캡(122)의 중앙부에 형성된 표시부재 노출공(122b)에 표시부재(151)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대응시킨 상태에서 실린더 캡(122)을 나사 결합부(121a)를 통해 조립함으로써,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와 표시기 승강부재(150)가 순차적으로 내부 조립되고 부취제 저장부재(110)가 내부에 수납된 보호 실린더(120)의 설치를 도 7a와 같은 상태로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통상의 화재 감지신호에 의해 선택 밸브(2)가 개방될 것이며, 따라서 소화약제 저장용 실린더(1)에 저장된 소화약제는 선택 밸브(2)를 거쳐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의 관로를 따라 방호구역 내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에는 통상의 소화약제 방출압력(대략 110~120kg/cm2 )이 인가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소화약제의 방출 압력에 의해 본 발명의 부취제 저장 및 자동분사장치(100)의 보호 실린더(120) 내부에도 동일한 압력(대략 110~120kg/cm2 )이 동시에 인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화약제 방출압력은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와 부취제 저장부재(110) 및 표시기 승강부재(150)에 차례로 인가되면서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와 부취제 저장부재(110) 및 표시기 승강부재(150)를 보호 실린더(120)의 상부로 연달아 밀어올릴 수 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표시부재(151)는 실린더 캡(122)의 표시부재 노출공(122b)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렇게 노출된 표시부재(151)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밀리는 과정에서 표시기 승강부재(150)가 보호 실린더(120)의 상부에서 더 이상 밀리지 못하게 되면 이러한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의 밀림 동작에 의해 부취제 저장부재(110)는 그 부피가 축소되면서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실린더(120)의 상부쪽으로 완전히 밀려 들어가게 되고, 따라서 부취제 저장부재(110)가 압축되면서 그 내부의 부피가 축소된다. 이때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내부 압력은 부피의 축소에 반비례하여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에 부착된 필름부재(112)는 그 내부 압력이 설정 레벨(소화약제 분출압력인 110~120kg/cm2 보다 낮은 레벨의 기준압력으로서 예를 들면 100kg/cm2)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그 내부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파열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형상 변형에 의한 내부 압력의 변화로 인해기준 설정압력보다 내부 압력이 커지는 시점에서 자동으로 파열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부취제 저장부재(110)에 저장되어 있던 부취제가 유출구(111)를 통해 유출되어 자동으로 소화약제와 함께 방호 구역 내부로 분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방호 구역 내부에서는 부취제의 냄새로 가스 소화약제의 방출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될 것이므로, 거주 인원을 대피시키거나 방호구역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주변 환경에 의해 필름부재(112)가 정상적으로 파열 또는 개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보호 실린더의 상단부까지 밀려 들어가게 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계속적인 내부 압력의 증가로 인해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몸체가 자체적으로 파열되면서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의 유출구 지지공(133) 주변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조 유출공(133a)을 통해 유출될 수 있게 된다.
화재가 진화되고 난 이후에는 실린더 캡(122)의 표시부재 노출공(122b)의 외부로 돌출된 표시부재(151)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보호 실린더(120) 내부의 부취제 소진 여부는 확인될 수 있으며, 실린더 결합부재(140)를 조립시와 반대방향으로 풀어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으로부터 보호 실린더(120) 조립체를 분리시키고, 보호 실린더(120)의 상단부에 조립된 실린더 캡(122)을 개방하여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에서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를 분해시키면 이미 부취제가 소진된 후의 부취제 저장부재(110)를 원상태로 복구시켜 그 내부에 다시 부취제를 주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소화약제 저장용 실린더 2 : 선택밸브
10 :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 100 : 부취제 저장/분사 및 표시장치
101 : 부취제 110 : 부취제 저장부재
111 : 유출구 112 : 필름부재
113 : 보호캡 114,121a,122a : 나사 결합부
120 : 보호 실린더 121 :실린더 몸체
121b : 돌출턱 122 : 실린더 캡
122b : 표시부재 노출공 130 : 팩 고정용 승강부재
131 : 제1 링삽입홈 132 : 제1 오링부재
133 : 유출구 지지공 133a : 보조 유출공
140 : 실린더 결합부재 141 : 걸림턱
142 : 패킹부재 150 : 표시기 승강부재
151 : 표시부재 152 : 밀폐부재
153 : 제2 링삽입홈 154 : 제2 오링부재

Claims (13)

  1. 각 방호 구역의 내부로 연결되는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을 통해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자동 분사장치에 있어서,
    외부 압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 가능한 몸체의 내부에 부취제(101)를 저장하며, 상기 형상 변형에 의한 설정 레벨 이상의 내부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유출구(111)를 몸체의 일측에 형성한 부취제 저장부재(110);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수납 및 압축을 위한 내부 관로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의 관로와 수직하게 연통 가능하도록 실린더 결합부재(140)에 의해 상기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실린더(120);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가 상기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 쪽을 향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하부에 압입 설치되되, 상기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에서 방출되는 소화약제의 방출 압력에 의해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몸체를 압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 및
    부취제 방출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재(151)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상부에 압입 설치되되, 상기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에 의해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표시부재(151)를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시기 승강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실린더(120)는,
    조립 또는 분해 가능한 실린더 캡(122)에 의해 그 내부 관로를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실린더(120)는,
    상, 하부가 모두 개방되며, 하단부가 상기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실린더 몸체(121);
    캡의 중앙부에 상기 표시부재(15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표시부재 노출공(122b)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몸체(121)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 또는 분해되는 실린더 캡(1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는,
    외부 압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플렉서블 재질로 몸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는,
    설정 압력 이상의 내부 압력에 의해 파열되는 필름부재(112)가 상기 유출구(111)의 개방 단부에 부착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는,
    운반시 이중 밀폐를 위한 보호 캡(113)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111)의 개방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부(114)를 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는,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에 끼워져 압입될 수 있도록 보호 실린더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하부에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관로 내벽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압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는,
    몸체를 이루는 상기 원형판의 둘레를 따라 제1 링삽입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링삽입홈(131)에 밀폐를 위한 제1 오링부재(132)가 끼워져 보호 실린더(120)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는,
    상기 원형판의 중앙부에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를 삽입 및 지지할 수 있는 유출구 지지공(133)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 지지공(133)에 의해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의 유출구(111)가 상기 소화약제 방출용 배관(10) 쪽을 향하도록 삽입 및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팩 고정용 승강부재(130)는,
    상기 원형판의 유출구 지지공(133) 주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조 유출공(133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 승강부재(150)는,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내부 관로에 끼워져 압입될 수 있도록 보호 실린더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취제 저장부재(110) 상방측의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상부에 상기 보호 실린더(120)의 관로 내벽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압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 승강부재(150)는,
    몸체를 이루는 원형판의 둘레를 따라 제2 링삽입홈(15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삽입홈(153)에 밀폐를 위한 제2 오링부재(154)가 끼워져 보호 실린더(120)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151)는,
    실린더 캡(122)의 표시부재 노출공(122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에서 그 밀폐를 위한 밀폐부재(152)가 몸통 중간부위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KR1020110110532A 2011-10-27 2011-10-27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KR101289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32A KR101289763B1 (ko) 2011-10-27 2011-10-27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32A KR101289763B1 (ko) 2011-10-27 2011-10-27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146A KR20130046146A (ko) 2013-05-07
KR101289763B1 true KR101289763B1 (ko) 2013-07-26

Family

ID=4865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532A KR101289763B1 (ko) 2011-10-27 2011-10-27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671A (ko) * 2020-05-06 2021-11-16 바다기술 주식회사 화재감지 및 소방기능을 가지는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929B1 (ko) * 2013-04-11 2014-08-29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58A (ja) * 1994-07-11 1996-01-30 Koatsu:Kk ガス系の消火設備における付臭装置
JP2584401B2 (ja) * 1992-12-24 1997-02-26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ガス系消火装置のガス付臭装置
JP3378878B2 (ja) * 1995-10-16 2003-02-17 株式会社初田製作所 ガス系消火装置
JP2010174915A (ja) * 2009-01-27 2010-08-12 Toyota Motor Corp 高圧ガスタン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4401B2 (ja) * 1992-12-24 1997-02-26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ガス系消火装置のガス付臭装置
JPH0824358A (ja) * 1994-07-11 1996-01-30 Koatsu:Kk ガス系の消火設備における付臭装置
JP3378878B2 (ja) * 1995-10-16 2003-02-17 株式会社初田製作所 ガス系消火装置
JP2010174915A (ja) * 2009-01-27 2010-08-12 Toyota Motor Corp 高圧ガスタン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671A (ko) * 2020-05-06 2021-11-16 바다기술 주식회사 화재감지 및 소방기능을 가지는 배전반
KR102519876B1 (ko) * 2020-05-06 2023-04-11 바다기술 주식회사 화재감지 및 소방기능을 가지는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146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KR101170083B1 (ko)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1289763B1 (ko) 자동 소화설비의 부취제 및 소화약제 자동 분사 표시장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20120065594A (ko)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KR101289761B1 (ko) 자동 소화설비의 재충전 가능한 부취제 자동 분사장치
KR20130035788A (ko) 전기 공급 패널용 소화장치
KR102059856B1 (ko) 주방용 소화기
KR101778238B1 (ko) 자립형 소화장치
KR101433929B1 (ko)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JP2000140142A (ja) 浮屋根タンク用消火装置
KR102348761B1 (ko) 유체 누출 대응 훈련용 유체 방출 장치
KR20170138828A (ko) 배전함용 co2 카트리지 자동 소화기
JP6682578B2 (ja) 固体エアロゾル消火装置を備えたモールド変圧器
KR101226447B1 (ko) 안전캡이 부착된 소화기
CN217187547U (zh) 一种样报存放用自动灭火装置
KR102612493B1 (ko) 소공간 소화기
CN211611397U (zh) 一种快速灭火的灭火器
JP7158031B2 (ja) 消火装置
KR102212763B1 (ko) 화재 소화장치
CN212416765U (zh) 一种管道灭火装置
KR102189221B1 (ko)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제조방법 및 튜브 소화기
CN220341714U (zh) 一种高压配电箱、电池模组以及用电设备
CN112354116B (zh) 抗震柔性喷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