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077A -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 Google Patents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077A
KR20200091077A KR1020190007844A KR20190007844A KR20200091077A KR 20200091077 A KR20200091077 A KR 20200091077A KR 1020190007844 A KR1020190007844 A KR 1020190007844A KR 20190007844 A KR20190007844 A KR 20190007844A KR 20200091077 A KR20200091077 A KR 2020009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ant
fire extinguisher
extinguishing agent
fire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927B1 (ko
Inventor
공하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9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규모의 화재진압에 사용되는 휴대용 소화기에 부취부재를 부착하여 화재진압에 사용되는 소화제인 이산화탄소의 잔존 여부를 부취제에 의해 확인하여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시에 소화(消火)를 목적으로 압축된 이산화탄소(CO2)인 소화제(消火劑)를 소정압력으로 배출하는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는 상기 소화제와 함께 배출되는 부취제가 수용된 부취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취부재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상기 부취제가 수용되며 일측은 상기 소화기 외면과 나사 결합하고 타측은 호스와 관 연결되는 부취관, 상기 부취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부취관에 수용된 부취제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막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이탈방지막은 상기 소화제의 배출압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파손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상기 소화제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Fire extinguisher with an odorizer}
본 발명은 소규모의 화재진압에 사용되는 휴대용 소화기에 부취부재를 부착하여 화재진압에 사용되는 소화제인 이산화탄소의 잔존 여부를 부취제에 의해 확인하여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은 소화기는 가정이나 식당 등과 같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실내는 물론, 소/대규모의 건물 내부에 다수 구비되어 화재가 발생시에 초기 화재를 그 주변인들이 쉽게 진압할 수 있게 분말이나 이산화탄소 등을 압축한 소화액이 수용된 소화장비를 의미하며, 이러한 소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핀의 분리 이후에, 손잡이를 파지하여 밸브를 개방시키고 용기 내부에 압축된 소화액이 소정의 배출압력에 의해 호스 방향에 따라 배출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소화기의 경우, 화재를 진압한 이후에 해당 화재를 진압한 실내의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잔존된 이산화탄소를 일반인들이 호흡에 의해 흡입할 수 있어 2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근래에는 소화액과 함께, 부취제를 비산시켜 해당 이산화탄소의 잔존 여부를 상기 부취제의 냄새를 통해 확인하여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국내등록특허 제10-1433929호(공고일:2014.08.29.)가 종래기술로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을 요약하면, 자동소화장치의 소화용기에 부취제를 혼합하지 않고 대신에 가스 유동관 도중에 간단한 구조의 부취제 방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소화용기에서 이산화탄소가 자동으로 방출될 경우 그 방출 압력에 의해 상기 부취제 방출장치로부터 앰플이 파열되면서 상기 이산화탄소에 부취제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대규모의 건물에 설치되는 소방시설의 일환으로 사용되고 있어, 소규모의 건물이나 해당 소화시설의 설치가 불가능한 장소에서는 사용자체가 불가하여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대규모에 적합한 소방시설이 설치되지 못하고 소화기만으로 화재를 진압하여야 하는 소규모의 시설에 구비되는 소화기에 부취제에 의한 이산화탄소 잔존 여부를 사용자가 후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는 화재가 발생시에 소화(消火)를 목적으로 압축된 이산화탄소(CO2)인 소화제(消火劑)를 소정압력으로 배출하는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는 상기 소화제와 함께 배출되는 부취제가 수용된 부취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취부재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상기 부취제가 수용되며 일측은 상기 소화기 외면과 나사 결합하고 타측은 호스와 관 연결되는 부취관, 상기 부취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부취관에 수용된 부취제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막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이탈방지막은 상기 소화제의 배출압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파손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상기 소화제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취관 일측은 다른 상기 부취관 타측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결합부가 더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부취관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막은 상기 소화제의 배출압력이 2.5~3.3kg 인 경우에 파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소규모 실내의 화재진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소화기에 소화제의 배출압력에 의해 한 쌍의 이탈방지막을 파손시켜 부취관 내부에 수용된 부취제와 함께 해당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화재진압 이후의 실내에 남아있는 이산화탄소의 잔존 여부를 해당 부취제의 후각으로 감지하여 이산화탄소에 의한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산화탄소 소화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소화기의 작용관계.
도 3은 종래의 부취제를 이용한 대규모 시설에 설치되는 소화시설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의 부취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부취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의 작용관계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소화기(100)는 통상적인 액화상태의 이산화탄소(CO2)로 이루어진 소화제(消火劑)가 수용되며, 상부에 잠금핀(150)의 해제의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를 이루어 그 회전에 의해 밸브(120)의 개방을 실시하는 손잡이(140)가 구비된 용기(110), 상기 용기(1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그 상부에 구비되어 밸브(120)의 개방에 의해 소화제(10)가 소정의 배출압력으로 호스(160)의 제어방향에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이폰관(130)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먼저, 본 발명에 따는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160)와 용기(110) 사이에 관 연결되는 부취부재(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취부재(200)를 통해 소정의 배출압력으로 소화제(10)가 배출시, 그 내부에 수용된 부취제(20)가 함께 배출되어 실내에 해당하는 화재현장 주변에 배출된 상기 소화제(10)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잔존 여부를 후각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하여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취부재(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부취제(20)가 수용되는 부취관(210) 및 한 쌍의 이탈방지막(220)을 포함한다.
예컨대 부취관(210)은 양측이 개방되되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일정량의 부취제(20)가 액체나 기체 상태로 수용되며, 개방된 양측은 이탈방지막(22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부취제(20)가 상기 부취관(210) 외부로 새어나가는 이탈현상을 방지한다.
부취관(210)은 용기(110)와 호스(160) 사이에 관 연결되되 이를 위해 일측은 상기 용기(110) 외면과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호스(160)와 관 연결되어 소화제(10)가 배출시에 해당 소화제(10)가 상기 부취관(210) 내부에 수용된 부취제(20)와 혼합되어 상기 호스(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호스(160)와 용기(110)에 관 연결되는 부취관(210)의 양측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부(211)가 더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부취관(210)이 서로 관 연결되어 하나의 용기(11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의 면적이나 소화제(10)의 압축용량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취부재(200)를 연결하여 그 내부에 각각 수용된 부취제(20)의 용량을 제어하여 부취제(20)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잔존 여부를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부취관(210)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의 우려가 적은 금속재질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부식 등에 용이하게 대처 가능하도록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부취관(210) 외면에는 그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투시창(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부취제(20)가 액상으로 수용되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탈방지막(220)은 평상시(소화기를 미 사용시)에 부취관(210) 내부에 수용된 부취제(20)가 상기 부취관(210)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되 사용시(소화기를 사용시)에는 소화제(10)의 배출압력에 의해 파손되어 상기 소화제(10)와 함께 부취제(2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탈방지막(220)은 양측이 개방된 부취관(210)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두께 0.01~0.03mm 이내의 알루미늄 재질로 막(幕)을 형성한다(도 6 참조).
여기서 이탈방지막(220)의 두께를 0.01~0.03mm 이내로 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휴대용 소화기에서 배출되는 소화제(10)의 토출압력이 2.5~3.3kg(배출거리가 2~3미터)인 경우에 해당 토출압력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막(220)이 용이하게 파손되어 상기 소화제(10)와 함께 부취제(20)가 혼합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1)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시에 사용자는 잠금핀(150)을 손잡이(140)에서 해제하고, 해당 손잡이(140)의 레버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파지하여 밸브(120)를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다음, 밸브(120)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용기(110) 내부에 압축상태로 수용된 소화제(10)가 사이폰관(130)을 따라 부취부재(200)를 관통하여 호스(160)까지 안내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소화제(10)는 그 배출압력에 의해 부취관(210) 타측에 구비된 한 쌍의 이탈방지막(220) 중 하나를 파손시켜 상기 부취관(210) 내부에 수용된 부취제(20)와 혼합되게 된다(도 6 참조).
계속하여, 부취관(210) 내에서 부취제(20)와 혼합된 소화제(10)는 그 배출압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부취관(210) 일측까지 진행하게 되어 해당 일측에 구비된 또 하나의 이탈방지막(220)을 파손시켜 호스(160) 내부까지 안내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호스(160)를 특히, 발화점에 향하도록 그 방향을 제어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재진압은 물론, 화재가 진압된 내부에 부취제(20)의 향이 비산되어 이산화탄소의 잔존 여부를 후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소규모 실내의 화재진압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소화기에 소화제(10)의 배출압력에 의해 한 쌍의 이탈방지막(220)을 파손시켜 부취관(210) 내부에 수용된 부취제(20)와 함께 해당 소화제(1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화재진압 이후의 실내에 남아있는 이산화탄소의 잔존 여부를 해당 부취제(20)의 후각으로 감지하여 이산화탄소에 의한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100: 소화기 110: 용기
120: 밸브 130: 사이폰관
140: 손잡이 150: 잠금핀
160: 호스 200: 부취부재
210: 부취관 211: 나사결합부
220: 이탈방지막 10: 소화제(消火劑)
20: 부취제

Claims (3)

  1. 화재가 발생시에 소화(消火)를 목적으로 압축된 이산화탄소(CO2)인 소화제(消火劑)를 소정압력으로 배출하는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100)는 상기 소화제(10)와 함께 배출되는 부취제(20)가 수용된 부취부재(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취부재(200)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상기 부취제(20)가 수용되며 일측은 상기 소화기(100) 외면과 나사 결합하고 타측은 호스(160)와 관 연결되는 부취관(210), 상기 부취관(210)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부취관(210)에 수용된 부취제(20)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막(220)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이탈방지막(220)은 상기 소화제(10)의 배출압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파손되어 상기 호스(160)를 통해 상기 소화제(10)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취관(210) 일측은 다른 상기 부취관(210) 타측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결합부(211)가 더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부취관(2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막(220)은 상기 소화제(10)의 배출압력이 2.5~3.3kg 인 경우에 파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KR1020190007844A 2019-01-22 2019-01-22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KR102171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844A KR102171927B1 (ko) 2019-01-22 2019-01-22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844A KR102171927B1 (ko) 2019-01-22 2019-01-22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077A true KR20200091077A (ko) 2020-07-30
KR102171927B1 KR102171927B1 (ko) 2020-10-30

Family

ID=7183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844A KR102171927B1 (ko) 2019-01-22 2019-01-22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9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8878B2 (ja) * 1995-10-16 2003-02-17 株式会社初田製作所 ガス系消火装置
KR20130046144A (ko) * 2011-10-27 2013-05-07 주식회사 엘엔피 자동 소화설비의 재충전 가능한 부취제 자동 분사장치
KR101433929B1 (ko) * 2013-04-11 2014-08-29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8878B2 (ja) * 1995-10-16 2003-02-17 株式会社初田製作所 ガス系消火装置
KR20130046144A (ko) * 2011-10-27 2013-05-07 주식회사 엘엔피 자동 소화설비의 재충전 가능한 부취제 자동 분사장치
KR101433929B1 (ko) * 2013-04-11 2014-08-29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927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9698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stage fire suppression
KR101853631B1 (ko)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CN106267659B (zh) 一种备压式七氟丙烷灭火系统
KR10227340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CN103656922A (zh) 一种二氧化碳自动灭火系统
JP3842594B2 (ja) 消火栓装置
JP2013192583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200091077A (ko) 부취제가 구비된 휴대용 소화기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CN211158333U (zh) 一种固定式全氟己酮灭火设备
JP6140261B2 (ja) 泡消火設備
JP6580463B2 (ja) 泡消火設備
JP2005334528A (ja) 消火栓装置
JP3397382B2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CN110354434A (zh) 一种易燃易爆工房用新型快速灭火装置
KR10228586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스프링클러 고장 감지 시스템
KR10226132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2626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무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JP2008253299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CN211561664U (zh) 一种七氟丙烷灭火系统的容器阀防泄漏开关装置
CN211188875U (zh) 一种探火管式灭火装置
KR960003340Y1 (ko) 소화용 분말탱크의 방출장치
JP2016083191A (ja) 補助消火機能を付加した市民消火栓
JP500462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273400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