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977B1 - 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977B1
KR101990977B1 KR1020180119866A KR20180119866A KR101990977B1 KR 101990977 B1 KR101990977 B1 KR 101990977B1 KR 1020180119866 A KR1020180119866 A KR 1020180119866A KR 20180119866 A KR20180119866 A KR 20180119866A KR 101990977 B1 KR101990977 B1 KR 10199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rea
temperature
thermal imaging
imag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고섭
황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119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의 화재 여부를 열화상 카메라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알림과 화재 진화를 동시에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열화상 카메라와 상관없이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진화를 진행할 수 있는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서 화재를 감시하는 화재 감시장치와, 화재 감시장치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제1소화장치와, 화재의 열에 의해 개방되어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제2소화장치를 포함하며, 화재 감시장치는 건축물에 다수로 설치되어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하고, 열화상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표시해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와 허브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열화상 카메라에 화재 온도를 설정하고,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전송받는 메인 PC와,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 및 LED를 통해 출력하는 화재 경보 제어기와,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재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제1소화장치를 제어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 진화 제어기를 포함하고, 건축물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1소화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된 제1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어 화재 진화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제1소화액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제1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는 제1소화액 분사구를 포함하며, 제1소화액 분사구는 제1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액이 이동하는 제1이동통로가 형성된 제1장착부와, 제1장착부의 한쪽에 형성되며 제1이동통로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분사구멍이 형성된 제1분사부와, 제1분사구멍의 주변으로 제1분사부에 형성되어 제1분사구멍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을 확산시켜주는 제1확산부를 포함하고, 제1소화장치의 주변으로 건축물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2소화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된 제2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는 제2소화액 분사구를 포함하며, 제2소화액 분사구는 제2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액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가 형성된 제2장착부와, 제2장착부의 한쪽에 형성되며 제2이동통로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사구멍이 형성된 제2분사부와, 제2분사구멍의 주변으로 제2분사부에 형성되어 제2분사구멍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을 확산시켜주는 제2확산부와, 제2이동통로에 끼워지는 막음구와, 제2분사부의 내면과 막음구에 지지되고 화재의 열에 의해 파열되는 파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 시스템{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건축물에서의 화재 여부를 열화상 카메라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알림과 화재 진화를 동시에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열화상 카메라와 상관없이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진화를 진행할 수 있는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주택, 아파트, 공항, 정유공장, 공공시설 등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해, CCTV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시하면서 초동 진화를 수행하고 있다.
즉, 화재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의 CCTV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발화지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화재 경보 발생으로 화재에 대한 초기 대응을 수행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설치 현장의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고해상도 카메라,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소화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열화상 카메라와 고해상도 카메라에서 각각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수신하고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를 제어하며 저장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 열화상 융합 카메라으로부터 과열 또는 화재 발생 경보를 수신하고, 처리 장치로부터 현장 영상을 수신하며, 소화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과열 또는 화재 진압을 하는 소화 장치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는, 열화상 카메라로부터의 열화상에서 과열 또는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과열 또는 화재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에 과열 또는 화재 경보를 송신하고, 열화상 카메라로부터의 열화상과 고해상도 카메라로부터의 고해상도 영상의 좌표를 매핑하여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중첩시켜서 중첩된 현장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으로부터의 소화 장치 제어 신호를 소화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 화재 경보 신호 수신과 소화 장치 제어 신호 송신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루어졌었다.
즉, 사용자 단말기와 열화상 융합 카메라와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화재 발생 알림과 화재 진화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010387호(2016. 1. 27. 공개)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의 화재 여부를 열화상 카메라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알림과 화재 진화를 동시에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열화상 카메라와 상관없이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진화를 진행할 수 있는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화재를 감시하는 화재 감시장치와, 화재 감시장치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제1소화장치와, 화재의 열에 의해 개방되어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제2소화장치를 포함하며, 화재 감시장치는 건축물에 다수로 설치되어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하고, 열화상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표시해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와 허브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열화상 카메라에 화재 온도를 설정하고,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전송받는 메인 PC와,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 및 LED를 통해 출력하는 화재 경보 제어기와,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재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제1소화장치를 제어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 진화 제어기를 포함하고, 건축물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1소화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된 제1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어 화재 진화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제1소화액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제1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는 제1소화액 분사구를 포함하며, 제1소화액 분사구는 제1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액이 이동하는 제1이동통로가 형성된 제1장착부와, 제1장착부의 한쪽에 형성되며 제1이동통로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분사구멍이 형성된 제1분사부와, 제1분사구멍의 주변으로 제1분사부에 형성되어 제1분사구멍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을 확산시켜주는 제1확산부를 포함하고, 제1소화장치의 주변으로 건축물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2소화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된 제2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는 제2소화액 분사구를 포함하며, 제2소화액 분사구는 제2소화액 공급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액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가 형성된 제2장착부와, 제2장착부의 한쪽에 형성되며 제2이동통로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사구멍이 형성된 제2분사부와, 제2분사구멍의 주변으로 제2분사부에 형성되어 제2분사구멍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을 확산시켜주는 제2확산부와, 제2이동통로에 끼워지는 막음구와, 제2분사부의 내면과 막음구에 지지되고 화재의 열에 의해 파열되는 파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화상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이 화재 온도 이상이면, 열화상 카메라에서 화재 발생 신호 및 화재 위치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효과가 있다.
즉, 화재 경보 제어기에서는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 및 LED를 통해 화재 발생을 알려주고, 화재 진화 제어기에서는 화재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제1소화장치를 통해 화재 진화를 동시에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감시장치의 열화상 카메라와 상관없이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의 열에 의해 개방되는 제2소화장치를 통해 화재 진화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화재 발생 신호 및 화재 위치 신호의 수신과 상관없이 화재 진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재 감시장치에 제어되어 개방되는 제1소화장치와, 화재의 열에 의해서 개방되는 제2소화장치에서 소화액이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같이 분사되기 때문에, 화재 진화를 좀 더 신속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재 감시장치 및 제1소화장치가 제대로 작동이 안될 때 제2소화장치가 화재의 열에 의해서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제2소화장치가 제대로 작동이 안될 때 제1소화장치가 화재 감시장치에 제어되어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즉, 오작동에 의한 화재 진화 실패 확률을 줄여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열화상이 허브를 통해 메인 PC에 전송되기 때문에, 화재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가 아닌 메인 PC에서 화재 발생 알람음이 발생되고, 화재 발생 알림 팝업창이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즉, 메인 PC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와 달리 휴대가 간편하지 않으면서 분실이 어렵기 때문에, 화재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별히 화재를 감시하고자 하는 다수의 전기 및 기계설비가 채워진 공간을, 제1화재 감시 영역을 통해 따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별히 화재를 감시하고자 하는 전기 및 기계설비의 일부분을, 제1화재 감시 영역보다 면적이 적은 제2화재 감시 영역을 통해 따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별히 화재를 감시하고자 하는 다수의 전기 및 기계설비가 채워진 공간 및, 전기 및 기계설비의 일부분을, 제1,2화재 감시 영역을 통해 동시에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재 경보 제어기의 화재 경고 신호 수신 시, 알람부 및 LED로 화재 경고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인 PC의 화재 경고 신호 수신 시, 화재 경고 알람음 및 화재 경고 알림 팝업창으로 화재 경고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소화 시스템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소화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소화 시스템의 제1,2소화장치 상세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소화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소화시스템(1000)은 건축물(1)에서 화재를 감시하는 화재 감시장치(100)와,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건축물(1)에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제1소화장치(200)와, 상기 화재의 열에 의해 개방되어 건축물(1)에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제2소화장치(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1)은 일반주택, 아파트, 공항, 정유공장, 공공시설 등을 말하며, 높은 온도가 발생하면서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전기 및 기계설비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 및 제1,2소화장치(200)(300)는 주로 건축물(1)의 천장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는 건축물(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설치되어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하고, 상기 열화상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 High Heat Area)을 표시해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상 카메라(1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적외선 분해능이 80×60픽셀 즉, 4800픽셀을 가지는 온도센서로 설치 현장의 사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해 온도값을 이미지화하여 열화상으로 만들어준다.
즉,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픽셀값으로 밝게 보이게 하면서 온도가 낮을수록 낮은 픽셀값으로 어둡게 보이게 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온도센서의 4800픽셀에 할당된 고유주소를 좌표로 활용해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의 위치를 알 수 있으며, 48°×37°의 시야각으로 설치 현장의 온도를 감시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열화상에 표시된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온도 이상이면, 화재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재 위치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열화상에 표시된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온도에 근접하면, 화재 발생 직전으로 판단하여 화재 경고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각도가 조절되는 설치부재를 통해 건축물(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는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110)와 허브(121)를 통해 양방향 통신 즉 이더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에 화재 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로부터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전송받는 메인 PC(1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PC(120)는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화재 발생 알람음을 발생시키고, 화재 발생 알림 팝업창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PC(120)는 화재 경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화재 경고 알람음을 발생시키고 화재 경고 알림 팝업창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PC(120)는 열화상 카메라(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화재 감시 영역(WA1, Watch Area1)을 설정하여, 열화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WA1)을 표시되게 해준다.
또한, 상기 메인 PC(120)는 열화상 카메라(110)를 설정하여, 열화상에 제1화재 감시 영역(WA1) 및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WA1) 밖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표시되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열화상에서 제1화재 감시 영역(WA1) 및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WA1) 밖에 위치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PC(120)는 열화상 카메라(110)에 제1화재 감시 영역(WA1)보다 면적이 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화재 감시 영역(WA2, Watch Area2)을 설정하여, 열화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화재 감시 영역(WA2)을 표시되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 제2화재 감시 영역(WA2)은 제1화재 감시 영역(WA1)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화상에 표시되거나,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WA1)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WA1) 및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WA1) 밖에 위치되어 열화상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메인 PC(120)는 열화상 카메라(110)를 설정하여, 열화상에 제2화재 감시 영역(WA2) 및 상기 제2화재 감시 영역(WA2) 밖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AA)을 표시되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제1화재 감시 영역(WA1)이 표시되지 않은 열화상에서 제2화재 감시 영역(WA2) 및 상기 제2화재 감시 영역(WA2) 밖에 위치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제1화재 감시 영역(WA1)이 표시된 열화상에서 제1,2화재 감시 영역(WA1)(WA2) 및 상기 제1,2화재 감시 영역(WA1)(WA2) 밖에 위치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온도센서의 4800픽셀에 할당된 고유주소를 좌표로 활용해 제1,2화재 감시 영역(WA1,WA2)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PC(120)는 제1,2화재 감시 영역(WA1)(WA2) 및 상기 제1,2화재 감시 영역(WA1)(WA2) 밖에 위치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의 온도를 나타내는 표시창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메인 PC(120)는 열화상 카메라(110)에 화재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121)는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보낼 수 있는 POE 기능을 가지며, 상기 POE 기능을 가진 공유기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는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110)와 양방향 통신 즉 RS 485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131) 및 LED(132)를 통해 출력하는 화재 경보 제어기(1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화재 경보 제어기(130)는 PLC 등으로 이루어지며, 열화상 카메라(110)로부터 화재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알람부(131) 및 LED(13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알람부(131)는 화재 발생 신호 또는 화재 경고 신호에 따라 다른 알람음을 출력하게 되며, LED(132)는 상기 화재 발생 신호 또는 화재 경고 신호에 따라 다른 색깔을 표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는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110)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재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제1소화장치(200)를 제어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 진화 제어기(14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의 열화상 카메라(110) 및 메인 PC(120)는 열화상을 영상으로 저장하거나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설치되는 제1소화장치(200)는 상기 건축물(1)에 설치된 제1소화액 공급관(1a)에 설치되어 화재 진화 제어기(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소화액 공급관(1a)을 개폐하는 밸브(210)와, 상기 제1소화액 공급관(1a)에 설치되는 제1소화액 분사구(2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소화액 분사구(220)는 제1소화액 공급관(1a)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액이 이동하는 제1이동통로(221a)가 형성된 제1장착부(221)와, 상기 제1장착부(221)의 한쪽에 형성되며 제1이동통로(221a)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분사구멍(222a)이 형성된 제1분사부(222)와, 상기 제1분사구멍(222a)의 주변으로 제1분사부(222)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분사구멍(222a)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을 확산시켜주는 제1확산부(22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장착부(221)는 제1소화액 공급관(1a)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소화장치(200)의 주변으로 건축물(1)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2소화장치(300)는 상기 건축물(1)에 설치된 제2소화액 공급관(1b)에 설치되는 제2소화액 분사구(3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소화액 분사구(310)는 제2소화액 공급관(1b)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액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311a)가 형성된 제2장착부(311)와, 상기 제2장착부(311)의 한쪽에 형성되며 제2이동통로(311a)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사구멍(312a)이 형성된 제2분사부(312)와, 상기 제2분사구멍(312a)의 주변으로 제2분사부(312)에 형성되어 상기 제2분사구멍(312a)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을 확산시켜주는 제2확산부(313)와, 상기 제2이동통로(311a)에 끼워지는 막음구(314)와, 상기 제2분사부(312)의 내면과 막음구(314)에 지지되고 화재의 열에 의해 파열되는 파열관(315)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장착부(311)는 제2소화액 공급관(1b)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고, 파열관(315)은 글라스 벌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소화 시스템(1000)의 화재 감시장치(100)는 메인 PC(120)로 제1,2화재 감시 영역(WA1,WA2)을 설정하지 않은 열화상 카메라(110)로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을 하면서, 상기 열화상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PC(120)는 허브(121)를 통해 열화상 카메라(110)가 다수로 설치된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PC(120)로 제1화재 감시 영역(WA1)을 설정한 열화상 카메라(110)로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을 하면서, 상기 열화상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제1화재 감시 영역(WA1) 및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WA1) 밖에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한다.
또한, 상기 PC(120)로 제1화재 감시 영역(WA1)을 설정하지 않고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WA1)보다 면적이 작은 제2화재 감시 영역(WA2)을 설정한 열화상 카메라(110)로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을 하면서, 상기 열화상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제2화재 감시 영역(WA2) 및 상기 제2화재 감시 영역(WA2) 밖에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한다.
또한, 상기 PC(120)로 제1,2화재 감시 영역(WA1)(WA2)을 설정한 열화상 카메라(110)로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을 하면서, 상기 열화상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제1,2화재 감시 영역(WA1)(WA2) 및 상기 제1,2화재 감시 영역(WA1)(WA2) 밖에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한다.
그래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온도 이상이면, 화재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해당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HA)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재 위치 신호도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화재 경보 제어기(130)는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131) 및 LED(132)를 통해 소리 및 색깔로 화재 발생을 알리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PC(120)도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한 후 화재 발생 알람을 발생시키면서 화재 발생 알림 팝업창을 표시하여, 화재 발생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 진화 제어기(140)는 화재 위치 신호를 수신한 후 제1소화장치(200)를 제어하여 개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화재 진화 제어기(140)는 화재 위치 신호를 토대로, 다수의 제1소화장치(200) 중에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소화장치(200)를 개방시키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화재 진화 제어기(140)는 밸브(210)를 제어하여 제1소화액 공급관(1a)을 개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소화액 공급관(1a)에서 제1소화액 분사구(220)의 제1이동통로(221a)를 따라 소화액이 이동하면서 제1분사구멍(222a)에서 분사되고, 분사된 상기 소화액은 제1확산부(223)에 충돌되면서 확산된다.
즉, 상기 제1소화액 분사구(220)에서 소화액이 화재가 발생한 영역으로 분사된다.
또한, 상기 제1소화장치(200)의 주변에 설치된 제2소화장치(300)도 화재가 발생한 영역의 화재의 열에 의해서 개방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분사부(312)의 내면과 막음구(314)에 지지되어 있던 파열관(315)이, 화재의 열에 의해서 파열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통로(311a)에 끼워져 있던 막음구(314)는 제2소화액 공급관(1b)에 충전되어있던 소화액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이동통로(311a)에서 빠져나와 파열된 파열관(315)과 함께 제2분사구멍(312a)을 통해서 방출된다.
그러면, 상기 제2소화액 공급관(1b)에서 제2소화액 분사구(310)의 제2이동통로(311a)를 따라 소화액이 이동하면서 제2분사구멍(312a)에서 분사되고, 분사된 상기 소화액은 제2확산부(313)에 충돌되면서 확산된다.
즉, 상기 제2소화액 분사구(310)에서 소화액이 화재가 발생한 영역으로 분사된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소화장치(200)(300)가 같이 소화액을 화재가 발생한 영역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의 작동 불능 및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의 제1소화장치(200)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제1소화장치(200)의 주변에 설치된 제2소화장치(300)가 화재의 열에 의해서 개방되어 소화액을 화재가 발생한 영역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의 열에 의해서 제2소화장치(300)가 개방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2소화장치(300)의 주변에 설치된 제1소화장치(200)가 화재 감시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소화액을 화재가 발생한 영역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열화상에 표시된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HAA)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온도에 근접하면, 화재 발생 직전으로 판단하여 화재 경고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화재 경보 제어기(130)는 화재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131) 및 LED(132)를 통해, 화재 발생 신호 때와 다른 소리 및 다른 색깔로 화재 경고를 알리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PC(120)도 화재 경고 신호를 수신한 후, 화재 발생 신호 때와 다른 화재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면서 화재 경고 알림 팝업창을 표시하여, 화재 경고를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화재 감시장치 110 : 열화상 카메라
120 : 메인 PC 121 : 허브
130 : 화재 경보 제어기 131 : 알람부
132 : LED 140 : 화재 진화 제어기
200 : 제1소화장치 210 : 밸브
220 : 제1소화액 분사구 221 : 제1장착부
221a : 제1이동통로 222 : 제1분사부
222a : 제1분사구멍 223 : 제1확산부
300 : 제2소화장치 310 : 제2소화액 분사구
311 : 제2장착부 311a : 제2이동통로
312 : 제2분사부 312a : 제2분사구멍
313 : 제2확산부 314 : 막음구
315 : 파열관 1000 : 소화 시스템

Claims (6)

  1. 건축물(1)에서 화재를 감시하는 화재 감시장치(100)와,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건축물(1)에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제1소화장치(200)와, 상기 화재의 열에 의해 개방되어 건축물(1)에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제2소화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감시장치(100)는 건축물(1)에 다수로 설치되어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하고, 상기 열화상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표시해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상 카메라(110)와,
    다수의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와 허브(121)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에 화재 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로부터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전송받는 메인 PC(120)와,
    다수의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131) 및 LED(132)를 통해 출력하는 화재 경보 제어기(130)와,
    다수의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재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제1소화장치(200)를 제어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 진화 제어기(140)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1)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1소화장치(200)는 상기 건축물(1)에 설치된 제1소화액 공급관(1a)에 설치되어 화재 진화 제어기(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소화액 공급관(1a)을 개폐하는 밸브(210)와, 상기 제1소화액 공급관(1a)에 설치되는 제1소화액 분사구(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소화액 분사구(220)는 제1소화액 공급관(1a)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액이 이동하는 제1이동통로(221a)가 형성된 제1장착부(221)와, 상기 제1장착부(221)의 한쪽에 형성되며 제1이동통로(221a)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분사구멍(222a)이 형성된 제1분사부(222)와, 상기 제1분사구멍(222a)의 주변으로 제1분사부(222)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분사구멍(222a)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을 확산시켜주는 제1확산부(2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화장치(200)의 주변으로 건축물(1)에 다수로 설치되는 제2소화장치(300)는 상기 건축물(1)에 설치된 제2소화액 공급관(1b)에 설치되는 제2소화액 분사구(3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소화액 분사구(310)는 제2소화액 공급관(1b)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액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311a)가 형성된 제2장착부(311)와, 상기 제2장착부(311)의 한쪽에 형성되며 제2이동통로(311a)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사구멍(312a)이 형성된 제2분사부(312)와, 상기 제2분사구멍(312a)의 주변으로 제2분사부(312)에 형성되어 상기 제2분사구멍(312a)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을 확산시켜주는 제2확산부(313)와, 상기 제2이동통로(311a)에 끼워지는 막음구(314)와, 상기 제2분사부(312)의 내면과 막음구(314)에 지지되고 화재의 열에 의해 파열되는 파열관(315)을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열화상에 표시된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온도 이상이면, 화재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메인 PC(120)는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 알람음을 발생시키고, 화재 발생 알림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열화상에 표시된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화재 온도에 근접하면, 화재 발생 직전으로 판단하여 화재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메인 PC(120)는 화재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경고 알람음을 발생시키고, 화재 경고 알림 팝업창을 표시하며,
    상기 화재 경보 제어기(130)는 열화상 카메라(110)로부터 화재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131) 및 LED(132)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PC(120)는 열화상 카메라(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화재 감시 영역을 설정하여 열화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PC(120)는 열화상에 제1화재 감시 영역 및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 밖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이 표시되도록 열화상 카메라(110)를 설정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열화상에서 제1화재 감시 영역 및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 밖에 위치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PC(120)는 열화상 카메라(110)에 제1화재 감시 영역보다 면적이 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화재 감시 영역을 설정하여 열화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화재 감시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화재 감시 영역은 제1화재 감시 영역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화상에 표시되거나,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 및 상기 제1화재 감시 영역 밖에 위치되어 열화상에 표시되며,
    상기 메인 PC(120)는 열화상에 제2화재 감시 영역 및 상기 제2화재 감시 영역 밖에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이 표시되도록 열화상 카메라(110)를 설정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110)는 제1화재 감시 영역이 표시되지 않은 열화상에서 제2화재 감시 영역 및 상기 제2화재 감시 영역 밖에 위치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제1,2화재 감시 영역이 표시된 열화상에서 제1,2화재 감시 영역 및 상기 제1,2화재 감시 영역 밖에 위치되는 온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미리 설정된 화재 온도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시스템.
KR1020180119866A 2018-10-08 2018-10-08 소화 시스템 KR10199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66A KR101990977B1 (ko) 2018-10-08 2018-10-08 소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66A KR101990977B1 (ko) 2018-10-08 2018-10-08 소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977B1 true KR101990977B1 (ko) 2019-06-20

Family

ID=6710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866A KR101990977B1 (ko) 2018-10-08 2018-10-08 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9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5938A (zh) * 2019-06-26 2019-10-22 安徽迅科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仓库消防监控系统
CN110404224A (zh) * 2019-07-30 2019-11-05 江西清华实业有限公司 报警气体灭火设备联动一体化控制系统和方法
KR102063186B1 (ko) * 2019-06-25 2020-01-07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공간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CN111228680A (zh) * 2019-12-18 2020-06-05 天津齐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密集存储场所的消防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652140A (zh) * 2020-11-24 2021-04-13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中卫供电公司 一种变电站安防系统
KR102466536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KR102466535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보조 소화수단이 구비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895Y1 (ko) * 2005-08-09 2005-1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복수의 분사헤드를 갖는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KR20160010387A (ko) 2015-12-30 2016-01-27 주식회사 유아세이프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KR20170047979A (ko) * 2015-10-26 2017-05-08 (주) 라인파워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895Y1 (ko) * 2005-08-09 2005-1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복수의 분사헤드를 갖는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KR20170047979A (ko) * 2015-10-26 2017-05-08 (주) 라인파워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 시스템
KR20160010387A (ko) 2015-12-30 2016-01-27 주식회사 유아세이프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186B1 (ko) * 2019-06-25 2020-01-07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공간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CN110365938A (zh) * 2019-06-26 2019-10-22 安徽迅科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仓库消防监控系统
CN110365938B (zh) * 2019-06-26 2021-03-19 安徽迅科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仓库消防监控系统
CN110404224A (zh) * 2019-07-30 2019-11-05 江西清华实业有限公司 报警气体灭火设备联动一体化控制系统和方法
CN111228680A (zh) * 2019-12-18 2020-06-05 天津齐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密集存储场所的消防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652140A (zh) * 2020-11-24 2021-04-13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中卫供电公司 一种变电站安防系统
KR102466536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KR102466535B1 (ko) * 2021-10-29 2022-11-14 주식회사 파라텍 보조 소화수단이 구비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977B1 (ko) 소화 시스템
KR101339405B1 (ko)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KR102235308B1 (ko)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8927B1 (ko)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KR101838193B1 (ko) 특수환경 에서의 지능형 발화위치 추적 화재진압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5416B1 (ko)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KR20160010387A (ko)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KR101951740B1 (ko) 소화 시스템
KR10129640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448036A (zh) 一种楼宇智能安防监控系统
CN103593936A (zh) 消防报警远程监控方法和嵌入式主板
KR101943334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1760101B1 (ko) 지능형 소방 시스템
KR101113418B1 (ko) 화재 감시기능을 갖는 건물용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JP5757808B2 (ja) 浮屋根タンク用消火設備
WO2019013079A1 (ja) 消火設備
KR101447689B1 (ko) 화재수신반 원격감시 시스템
KR101529909B1 (ko) 지능형 cctv 및 제어기술을 이용한 불법 무단 침입자 물리적 방지 방법
JP3238879B2 (ja) 火災検出消火システム
KR20170093597A (ko) 소방용 cctv 시스템
RU2745641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системой коррекции струи
KR101681734B1 (ko) 스모크ㆍ물분사를 통한 일체형 보안ㆍ화재진압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60653A (ko) 화재진압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KR101681737B1 (ko)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20037866A (ko) 화재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