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387A -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387A
KR20160010387A KR1020150189448A KR20150189448A KR20160010387A KR 20160010387 A KR20160010387 A KR 20160010387A KR 1020150189448 A KR1020150189448 A KR 1020150189448A KR 20150189448 A KR20150189448 A KR 20150189448A KR 20160010387 A KR20160010387 A KR 20160010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amera
fire extinguishing
thermal image
fir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아세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아세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아세이프
Priority to KR102015018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387A/ko
Publication of KR2016001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감시 대상의 과열 단계부터 감지가 수행되어 필요한 조치가 수행될 수 있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51), 설치 현장의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고해상도 카메라(52), 사용자 단말기(60)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54), 소화 장치(7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55),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56), 열화상 카메라(51)와 고해상도 카메라(52)에서 각각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수신하고 제1 통신부(54)와 제2 통신부(55)를 제어하며 저장장치(56)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장치(53)를 포함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50);
열화상 융합 카메라(50)로부터 과열 또는 화재 발생 경보를 수신하고, 처리 장치(55)로부터 현장 영상을 수신하며, 소화 장치(70)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60);
사용자 단말기(60)의 제어에 따라 과열 또는 화재 진압을 하는 소화 장치(70)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53)는, 열화상 카메라(51)로부터의 열화상에서 과열 또는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과열 또는 화재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60)에 과열 또는 화재 경보를 송신하고, 열화상 카메라(51)로부터의 열화상과 고해상도 카메라(52)로부터의 고해상도 영상의 좌표를 매핑하여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중첩시켜서 중첩된 현장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60)에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60)로부터의 소화 장치 제어 신호를 소화 장치(7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Fire Alarm and Extinguishing System using Thermal Image Fusion Camera}
본 발명은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감시 대상의 과열 단계부터 감지가 수행되어 필요한 조치가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가 필요없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빌딩, 아파트 등)이나 발전소(화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등), 공장(화학공장, 정유공장, 철강 공장 등), 각종 국가기간 시설물(통신망, 전력시설 등)에서의 화재는 소유 개인이나 회사, 공기업, 국가에 치명적인 손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다양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을 이러한 시설물에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서는 화재 감지 센서의 오동작 등의 문제가 있어서 열화상 기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종래기술인 한국 등록 특허공보(특허등록번호10-1462247호, 2014.11.10일 등록)에서는 도1과 같은 열화상 기반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래서, 이러한 열화상 기반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는 도1과 같이, 설치 장소에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1)와 함께 고해상도 카메라(12)을 설치하여, 외부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20)의 영상 모니터링 모듈(21)이 카메라 제어 및 네트워크 통신 수단(21c)의 구동을 제어하여 고해상도 카메라 영상 감지 수단(21b)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카메라(12)에서 감시 구역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연기나 불꽃을 통해 화재 위치를 포착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 제어 및 네트워크 통신 수단(21c)의 제어에 의해 열영상 감지 수단(21a)이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11)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 지점을 온도에 따라 표시해 주어서 어느 곳이 온도가 가장 높은지를 알수 있게 한다.
그래서, 영상 모니터링 모듈(21)은, 고해상도 카메라(12)로부터 획득한 화재 발생 장소에 대한 정보와,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11)로부터의 화재 발생 지점의 온도 높낮이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30)로 전송하여, 자동 소화 장치(40)을 이용하여 화재 진압을 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화재 발생 위치의 연기나 불꽃을 고해상도 카메라(12)를 통해 포착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화재 진압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열영상 카메라(11)를 통해 파악하게 된다.
그런데, 가정의 전선이나 전기장판 등의 온열기구, 공장이나 발전소 등의 배관의 화재는 전선 또는 배관 등의 온도가 상당히 상승하는 과열 단계 후에, 불꽃이나 연기가 발생하는 고온 단계(화재 단계)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종래기술을 이용하면 고해상도 카메라(12)에 의해 연기와 불꽃이 감지되는 화재 발생 단계가 되어서야 화재 진압을 수행하게 되어, 이미 전선이나 배관 등이 화재시의 고온에 의해 상당히 손상된 상태에서 진압(소화)가 이루어져서, 진압 후에 전선이나 온열기구나 배관을 완전히 교체해야 한다.
또한, 온열기구나 배관의 과열 단계는 1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과열 단계의 초기에, 관련 부서(모니터링실 등) 등에 과열 상태가 신속히 전달되어, 화재 단계로 진입하기 전에 필요한 조치(예: 원격 제어에 의한 온열기구 오프 또는 관련 시설 가동 중단)를 하게 한다면, 화재로 인한 막대한 인명 및 시설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지만, 종래기술을 이용하면 이미 화재 단계에 진입해야 감지되기 때문에 화재의 사전 예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물론 합선에 의한 화재의 경우와 같이 합선에 의한 불꽃이 발생하여 바로 화재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11)와 고해상도 카메라(12)가 설치되는 설치장소(현장)에서 원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별도의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20)(서비스 서버)을 설치하기 때문에, 별도의 서비스 서버에 의한 비용 상승이 발생하고 별도의 서비스 서버를 위한 공간도 확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중래기술에서는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20)(서비스 서버) 1대가 원격으로 다수의 감시 카메라 장치(적외선 열영상 카메라, 고해상도 카메라)와 소화 장치와 경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를 하기 때문에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20)의 해킹, 파손 등의 상황이 생기면, 전체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게 되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 특허공보(특허등록번호10-1462247호, 2014.11.10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감시 대상의 과열 단계부터 감지가 수행되어 필요한 조치가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가 필요가 없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51), 설치 현장의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고해상도 카메라(52), 사용자 단말기(60)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54), 소화 장치(7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55),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56), 열화상 카메라(51)와 고해상도 카메라(52)에서 각각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수신하고 제1 통신부(54)와 제2 통신부(55)를 제어하며 저장장치(56)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장치(53)를 포함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50);
열화상 융합 카메라(50)으로부터 과열 또는 화재 발생 경보를 수신하고, 처리 장치(55)로부터 현장 영상을 수신하며, 소화 장치(70)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60);
사용자 단말기(60)의 제어에 따라 과열 또는 화재 진압을 하는 소화 장치(70)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53)는, 열화상 카메라(51)로부터의 열화상에서 과열 또는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과열 또는 화재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60)에 과열 또는 화재 경보를 송신하고, 열화상 카메라(51)로부터의 열화상과 고해상도 카메라(52)로부터의 고해상도 영상의 좌표를 매핑하여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중첩시켜서 중첩된 현장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60)에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60)으로부터의 소화 장치 제어 신호를 소화 장치(7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감시 대상의 과열 단계부터 감지가 수행되어 필요한 조치가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가 필요가 없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화상 기반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을 도시함.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함.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서 열화상 융합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함.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서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의 매핑과 중첩을 도시함.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서 과열/화재 감지부터 진압을 하는 순서도를 도시함.
먼저, 도2, 3,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은 크게 열화상 융합 카메라(50)와 스마트폰(60)과 소화 장치(70)로 구성된다.
열화상 융합 카메라(50)는 도3과 같이,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51), 설치 현장의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고해상도 카메라(52), 스마트폰(2)과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부(54), 소화 장치(70)의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71)와 통신을 수행하는 비콘 통신부(55),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56)(예: 플래시 메모리), 열화상 카메라(51)와 고해상도 카메라(52)에서 각각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수신하고 인터넷 통신부(54)와 비콘 통신부(55)를 제어하며 저장장치(56)에/으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저장/추출하는 처리장치(53)를 포함한다.
그래서, 처리장치(53)은 열화상 카메라(51)를 통해 영화상 영상을 수신하여, 미리 설정하여 저장장치(56)에 저장된 과열 온도 및 화재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과열 영역과 화재 영역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열화상 카메라(51)은 해상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열화상 카메라(51)로 촬영된 영상에서는, 예를 들면 도4와 같이 8X5=40개의 상당히 작은 개수의 영역(A1...A40)만이 나타나고, 영역(A17)에서 화재 온도 범위 내라면 영역(A17)은 화재 영역이 된다. 물론 도4와 같이 온열기구나 전기장판에서 과열이 되어 열화상 영상에서 특정 영역(A6이라 칭함)에서 과열 온도 범위 내라면 영역(A6)는 과열 영역이 된다.
즉, 도2, 4에서와 같이 처리 장치(53)는 열화상 카메라(51)를 통해 수신되는 열화상에서 과열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과열 영역(A6)에 대한 감지 및 과열 위치 파악(S1)과 함께, 화재 온도 범위 내에 있는 화재 영역(A17)에 대한 감지 및 화재 위치 파악(S2)을 하게 된다.
한편, 도4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51)의 열화상의 좌표는 고해상도 카메라(52)의 고해상도 영상의 좌표와 맵핑이 되게 하여, 열화상에서의 과열 영역(A6)와 화재 영역(A17)이 고해상도 카메라(52)의 고해상도 영상에서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 알수 있게 하여, 도4와 같이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의 중첩(아래에서 설명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처리장치(53)는 이렇게 과열 영역(A6)와 화재 영역(A17)이 파악되면 무선 인터넷 통신을 하여 미리 지정된 스마트폰(60)에 과열/화재 발생 경보를 문자 메시지 등의 방법으로 전달하고(S3), 사용자가 전용 스마트폰 앱을 실행하여 관련 영상을 요청하면 처리장치(53)는 인터넷 통신부(54)를 통해 고해상도 카메라(52)로 촬영된 고해상도 영상에, 열화상 카메라(51)에서 촬영된 열화상을 중첩시켜서(랜더링) 도4와 같은 중첩된 영상을 스마트폰(60)으로 실시간적으로 전송한다(S4).
이제, 사용자가 과열/화재 발생 경보를 인지하고 나서, 사용자는 스마트폰(60)의 화면을 통해 관련 중첩된 영상을 실시간적으로 보면서 전용 스마트폰 앱에서 스프링 쿨러의 분사 위치를 수동으로 제어하고(S5), 이 제어 신호가 열화상 융합 카메라(50)의 처리장치(53)에 전달되면 처리장치(53)은 비콘 통신부(55)를 통해 소화 장치(70)의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71)를 통해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따른 스프링 쿨러 분사 위치 제어를 수행하고(S6), 물 분사 위치를 조절하여(S7) 과열/화재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물을 분사하여 과열/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물론, 열화상의 각 영역(A1 ....A40)에 대한 스프링 쿨러의 분사 각도 데이터를 저장장치(56)에 저장시켜 놓고, 사용자가 전용 스마트폰 앱에서 자동 과열/화재 진압을 선택하면, 처리장치(53)가 과열 영역(A6)과 화재 영역(A17)에 대한 스프링 쿨러의 분사 각도를 저장장치(56)에서 읽어서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71)에 전달하여 자동적으로 과열/화재 진화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과열/화재 감지는 열화상 카메라(51)의 열화상을 통해 수행되고, 고해상도 카메라(52)의 고해상도 영상과 열화상 카메라(51)의 열화상을 중첩한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과열/화재 현장 상황을 인지하고 스프링 쿨러의 물 분사 위치를 제어하여 과열/화재가 진압하게 되며,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이러한 중첩 영상을 보면서 과열/화재가 진압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열화상 융합 카메라(50)는 처리장치(53)를 내장하고 있어서 처리 장치(53)에서, 필요한 처리(각종 통신 기능, 각종 제어기능,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의 중첩 기능)를 모두 수행하게 되므로, 설치하고자 하는 다양한 장소에 열화상 융합 카메라(50)만을 설치하면 되고, 종래기술처럼 각종 처리를 통합 처리하는 별도의 서버를 둘 필요가 없게 되어, 종래기술에 비해 설치 비용 및 설치 공간 면에서 상당히 유리할 뿐만 아니라, 서버 역할이 각각의 열화상 융합 카메라(50)에 분산되어 있어서 특정 열화상 융합 카메라(50)가 해킹이나 파손된다고 해도 나머지 열화상 융합 카메라(50)는 전혀 문제가 없기 때문에 피해가 최소화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과열/화재를 감지하여 진압하는 순서를 도2,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열화상 융합 카메라(50)의 처리장치(53)은, 저장장치(56)에 저장된 과열 및 화재로 판단하는 온도 범위를 감안하여, 열화상 카메라(51)을 통해 수신되는 열화상에서 과열 온도 범위 내의 과열 영역을 도출하고(S1), 화재 온도 범위 내의 화재 영역을 도출한다(S2).
이제, 과열 영역 또는 화재 영역이 도출되면, 처리장치(53)는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60)에 과열/화재 발생 메시지를 전송한다(S3).
이 과열/화재 발생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전용 스마트폰 앱을 실행하여 관련 영상을 요청하면, 처리장치(53)는 고해상도 카메라(52)로 촬영된 관련 고해상도 영상에, 열화상 카메라(51)에서 촬영된 열화상을 중첩시켜서 얻은 중첩된 영상을 인터넷 통신부(54)를 통해 스마트폰(60)으로 실시간적으로 전송한다(S4).
이제, 사용자는 실시간적으로 전송되는 중첩된 영상을 보면서 현장 상황을 파악하여 전용 스마트폰 앱에서 스프링 쿨러의 분사 위치를 수동으로 제어하고(S5), 이 제어 신호가 열화상 융합 카메라(50)의 처리장치(53)에 전달되면 처리장치(53)은 비콘 통신부(55)를 통해 소화 장치(70)의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71)를 통해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따른 스프링 쿨러 분사 위치 제어를 수행하여(S6), 물 분사 위치를 조절하여(S7) 과열/화재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물을 분사하여 과열/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한편, 설치 장소가 넓어서(예: 강당) 하나의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71)로 물 분사 위치를 조절하여 넓은 설치 장소를 커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설치 공간에 다수의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하나의 열화상 융합 카메라(50)에 의해 다수의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 공간이 매우 넓은 경우(예: 빌딩 내부 전체)에는 다수의 열화상 융합 카메라(50) 각각에 다수의 스프링 쿨러 콘트롤러가 결합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들에는 각각의 열화상 융합 카메라(50)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를 구별하기 위하여, 각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에 아이디(Device ID)를 부여하여, 각각의 열화상 융합 카메라(50)가 각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와 통신시에, 아이디(Device ID)와, 보안을 위한 키(Key)와, 제어값을 나타내는 메시지(Message)로 구성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게 한다.
그러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다수의 스프링 쿨러 콘트롤러는, 전송된 보안키(Key)를 이용하여, 아이디(Device ID)와 메시지(Message) 내용을 해독하여, 어느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에 전송되는 데이터인지를 아이디(Device ID)를 통해 알게 되고, 제어값이 무엇인지를 메시지(Message)를 통해 알게 된다.
결국, 이러한 방식의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면, 다수의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더라도 제어를 원하는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만이 제어되게 되어, 제어되어서는 안되는 스프링 쿨러 컨트롤라가 제어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 형태가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를 제어하여 과열/화재를 진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화재시에는 스프링 쿨러 보다 더 효과가 좋은 분무식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분무식 소화기용 컨트롤러를 제어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과열/화재 발생 경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달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공장과 같은 대규모 시설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고 감시실에 상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대용량 처리에 적합하게 스마트폰 대신에 P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과열/화재를 감지한 후에 열화상 융합 카메라(50)가 스마트폰(60)에 문자 메시지로 과열/화재 발생 경보를 알리고 사용자가 전용 스마트폰 앱을 구동하여 중첩된 영상을 보면서 스프링 쿨러를 제어하여 소화를 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렇게 하면 문자메시지를 보고 전용 스마트폰을 구동하여 중첩된 영상을 보기까지 10초 이상 시간이 걸려서 이 시간 동안 과열/화재가 지속되어 신속한 소화가 지연되게 되므로, 열화상 융합 카메라(50)가 사용자 스마트폰(60)에 전화를 걸어서 사용자가 전화를 받으면 과열/화재 사실을 알려 주고 바로 전용 스마트폰 앱이 자동적으로 구동되어 중첩된 영상을 스마트폰(60)의 화면에 보여 주어서 사용자가 바로 소화 단계로 진입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스렌지나 전기렌지 등을 사용하는 조리 영역(도4의 A17 영역)에서는 조리 동안에 고열이 발생하여 상기의 본 발명을 이용하면 조리시에 과열 또는 화재로 판단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과열이나 화재로 판단해서는 안되는 마스킹 영역(예: 도4의 A17의 조리 영역)을 설정하여 저장장치(56)에 저장해 놓으면 처리장치(53)가 과열이나 화재를 판단시에 마스킹 영역을 제외하고 과열이나 화재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 쿨러의 분사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단일의 노즐을 가진 스프링 쿨러를 사용하여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가 단일 노즐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도 가능하지만, 이렇게 단일 노즐의 분사 각도 조절 방식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노즐의 회전 부분이 마모가 되어 정확한 분사 각도 조절이 어려워지고 마모에 의한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다양한 분사 각도를 가진 다수의 노즐을 벌집 모양으로 배치한 노즐 집합체를 사용하여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가 노즐 집합체에서 원하는 각도에 해당하는 노즐만을 개방시켜서 물을 분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처리장치(53)이 스마트폰(60)으로 중첩된 영상을 보낼 때에 인터넷 회선의 고장 등으로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차량 블랙 박스 방식으로 저장장치(56)에 전송 불가시의 중첩된 영상을 저장하여 추후 과열/화재 원인 판단시의 참고 자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1)

  1.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현장의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51), 설치 현장의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고해상도 카메라(52), 사용자 단말기(60)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54), 소화 장치(7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55),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56), 열화상 카메라(51)와 고해상도 카메라(52)에서 각각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수신하고 제1 통신부(54)와 제2 통신부(55)를 제어하며 저장장치(56)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장치(53)를 포함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50);
    열화상 융합 카메라(50)으로부터 과열 또는 화재 발생 경보를 수신하고, 처리 장치(55)로부터 현장 영상을 수신하며, 소화 장치(70)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60);
    사용자 단말기(60)의 제어에 따라 과열 또는 화재 진압을 하는 소화 장치(70)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53)는, 열화상 카메라(51)로부터의 열화상에서 과열 또는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과열 또는 화재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60)에 과열 또는 화재 경보를 송신하고, 열화상 카메라(51)로부터의 열화상과 고해상도 카메라(52)로부터의 고해상도 영상의 좌표를 매핑하여 열화상과 고해상도 영상을 중첩시켜서 중첩된 현장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60)에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60)으로부터의 소화 장치 제어 신호를 소화 장치(7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60)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70)는 스프링 쿨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70)는 분무식 소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60)에 의한 제어는, 사용자가 상기 중첩된 영상을 보면서 수동으로 소화 장치(70)를 제어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또는 화재 발생 경보는 문자 메시지에 의해 수행되고, 이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에 의해 관련 스마트폰 앱이 구동되어 상기 중첩된 현장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60)의 화면에 실시간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또는 화재 발생 경보는 전화 통화에 의해 수행되고, 이 경보 후에 관련 스마트폰 앱이 자동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중첩된 현장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60)의 화면에 실시간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또는 화재 여부의 판단은, 과열 또는 화재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마스킹 영역을 제외하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쿨러는, 다양한 분사 각도를 가진 다수의 노즐을 벌집 모양으로 배치한 노즐 집합체를 사용하여, 스프링 쿨러 컨트롤러가 노즐 집합체에서 원하는 각도에 해당하는 노즐만을 개방시켜서 물을 분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53)는 스마트폰(60)으로의 상기 중첩된 영상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차량 블랙 박스 방식으로 중첩된 영상을 저장장치(56)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55)의 통신은,
    소화 장치(70)를 구별하는 아이디((Device ID)와,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메시지(Message)와, 상기 아이디(Device ID)와 메시지(Message) 내용을 해독하기 위한 보안키(Key)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KR1020150189448A 2015-12-30 2015-12-30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KR20160010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448A KR20160010387A (ko) 2015-12-30 2015-12-30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448A KR20160010387A (ko) 2015-12-30 2015-12-30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387A true KR20160010387A (ko) 2016-01-27

Family

ID=5530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448A KR20160010387A (ko) 2015-12-30 2015-12-30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38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2438A (zh) * 2017-04-19 2017-07-14 天津安平易视智能影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图像的火灾预警方法
CN106964096A (zh) * 2017-04-17 2017-07-21 陕西安益机电有限公司 一种建筑预制式智能消防系统以及灭火方法
KR101951740B1 (ko) 2018-09-17 2019-02-2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 시스템
KR20190063670A (ko) * 2017-11-30 2019-06-10 (주)코어센스 열화상 카메라와 색상 카메라의 복합 영상을 이용한 지능형 발화지점 감시 시스템
KR101990977B1 (ko) 2018-10-08 2019-06-20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 시스템
KR20190080382A (ko) * 2017-12-28 2019-07-08 (주)아이아이에스티 소화 시스템,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20200128802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포스코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방법
KR20210132380A (ko)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비젼인 열영상 및 실영상 기반의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8672A (ko) * 2020-08-07 2022-02-15 김상철 선박용 화재예방장치
CN115605928A (zh) * 2020-05-28 2023-01-13 韦恩加油系统有限公司(Us) 确保加油前场的安全性
CN115869571A (zh) * 2022-09-09 2023-03-31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用于制剂车间的消防智能预警系统和方法
KR102672705B1 (ko) * 2023-03-23 2024-06-07 (주)금오시큐리티 화재 발생 전 단계 발화원 온도 변화 감지용 융합 cctv 화재예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247B1 (ko) 2014-03-10 2014-11-21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적외선 열영상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 및 자동소화장치 인터페이스 플랫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247B1 (ko) 2014-03-10 2014-11-21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적외선 열영상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 및 자동소화장치 인터페이스 플랫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4096A (zh) * 2017-04-17 2017-07-21 陕西安益机电有限公司 一种建筑预制式智能消防系统以及灭火方法
CN106952438A (zh) * 2017-04-19 2017-07-14 天津安平易视智能影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图像的火灾预警方法
KR20190063670A (ko) * 2017-11-30 2019-06-10 (주)코어센스 열화상 카메라와 색상 카메라의 복합 영상을 이용한 지능형 발화지점 감시 시스템
KR20190080382A (ko) * 2017-12-28 2019-07-08 (주)아이아이에스티 소화 시스템, 이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101951740B1 (ko) 2018-09-17 2019-02-2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 시스템
KR101990977B1 (ko) 2018-10-08 2019-06-20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 시스템
KR20200128802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포스코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방법
KR20210132380A (ko)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비젼인 열영상 및 실영상 기반의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5605928A (zh) * 2020-05-28 2023-01-13 韦恩加油系统有限公司(Us) 确保加油前场的安全性
KR20220018672A (ko) * 2020-08-07 2022-02-15 김상철 선박용 화재예방장치
CN115869571A (zh) * 2022-09-09 2023-03-31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用于制剂车间的消防智能预警系统和方法
KR102672705B1 (ko) * 2023-03-23 2024-06-07 (주)금오시큐리티 화재 발생 전 단계 발화원 온도 변화 감지용 융합 cctv 화재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0387A (ko)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시스템
KR101339405B1 (ko)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CN106157520B (zh) 主动防护系统
EP1791302A2 (e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990977B1 (ko) 소화 시스템
JP2012178134A (ja) セキュリティ監視及び火災早期警戒の一体化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KR20140077817A (ko)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0716423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304022A (ja) 監視装置
KR101951740B1 (ko) 소화 시스템
KR20000036427A (ko) 인터넷을 활용한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CN108234937B (zh) 影像监视系统以及监视影像显示方法
KR20160051416A (ko) 스마트 가스 누출 감지기
US20190080576A1 (en) Security marking system
KR101594053B1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KR101529909B1 (ko) 지능형 cctv 및 제어기술을 이용한 불법 무단 침입자 물리적 방지 방법
KR101616973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건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JP2016112036A (ja) 消火システム
KR20160010633A (ko) 열화상 융합 카메라를 이용한 침입자 감시 및 경보 시스템
KR102462358B1 (ko) 화재감시시스템
KR101122097B1 (ko) 가스 누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1737B1 (ko)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54251A (ko) 스마트 화재 감지기
JP5270287B2 (ja) 監視装置、火災通報システム、および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