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887B1 -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887B1
KR102022887B1 KR1020180040819A KR20180040819A KR102022887B1 KR 102022887 B1 KR102022887 B1 KR 102022887B1 KR 1020180040819 A KR1020180040819 A KR 1020180040819A KR 20180040819 A KR20180040819 A KR 20180040819A KR 102022887 B1 KR102022887 B1 KR 102022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mmunication
wireless
repeater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김서현
김홍삼
Original Assignee
김용규
김서현
김홍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규, 김서현, 김홍삼 filed Critical 김용규
Priority to KR102018004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은, 화재수신기, 화재중계반, 화재중계기 및 화재감지기를 포함하고, 그물망 통신을 통해 복수의 통신 경로를 갖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으로서, 화재수신기 간에, 화재중계반 간에, 화재중계기 간에, 그리고 화재감지기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화재수신기와 화재중계반 간에, 화재중계반과 화재중계기 간에, 그리고 화재중계기와 화재감지기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평상 시에 기설정된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 장애가 있을 시에는 별도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우회통신을 수행하고, 화재감지기는 화재중계기로부터 폴링 요구 신호를 수신할 경우, 해당 통신 경로 상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가 자신의 상태신호를 바로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에 송신하고, 이후 바로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기지는 그 다음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에 최하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의 상태신호와 자신의 상태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폴링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을 한다.

Description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WIRELESS FIR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물망 통신(mesh communication)을 통해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방청은 2017.12.06일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중계기 등 네 가지 소방용품에 대한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개정안을 행정예고 하였다. 여기서, 종래에는 유선방식만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었으나 최근 무선기술의 발달과 확산으로 무선방식으도 화재감지기 및 중계기를 형식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은 유선 방식을 사용하거나(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3752호 참조), 무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중계기 1개에 다수의 무선화재감지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수신기와 중계기 간은 네트워크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통신선로 고장이나 소실시 우회경로로 통신이 이루어 지는 반면에, 중계기와 무선화재감지기와는 1:N통신을 하기 때문에 중계기가 고장이 날 경우에는 하위에 있는 N개의 무선화재감지기는 통신불능 상태가 된다.
또한, 무선화재감지기를 구성하는 무선모듈의 특성상 무선통신 유효반경이 50m정도 까지는 통신이 가능하나 그 이상은 무선화재감지기의 배터리수명 등의 이유로 통신반경을 일정거리 이하로 제한할 수 밖에 없어진다.
또한, 무선통신의 특성상 물, 금속, 콘크리트, 회반죽 등을 통과할 경우 손실이 커 무선유효반경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 때문에 소규모의 벽체나 칸막이가 많은 근린시설 또는 다중이용시설에서는 무선방식이 불리하며, 중계기기의 설치 갯수가 늘어날 수 밖에 없어, 시설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비 간에 다중 네크워크의 구성이 가능하고, 장비에 적용되는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중계장비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비 간에 그물망 통신을 통해 우회경로를 포함한 복수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장비에 적용되는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중계장비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은, 화재수신기, 화재중계반, 화재중계기 및 화재감지기를 포함하고, 그물망 통신을 통해 복수의 통신 경로를 갖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으로서, 화재수신기 간에, 화재중계반 간에, 화재중계기 간에, 그리고 화재감지기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화재수신기와 화재중계반 간에, 화재중계반과 화재중계기 간에, 그리고 화재중계기와 화재감지기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평상 시에 기설정된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 장애가 있을 시에는 별도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우회통신을 수행하고, 화재감지기는 화재중계기로부터 폴링 요구 신호를 수신할 경우, 해당 통신 경로 상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가 자신의 상태신호를 바로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에 송신하고, 이후 바로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기지는 그 다음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에 최하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의 상태신호와 자신의 상태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폴링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비 간에 다중 네크워크의 구성이 가능하고, 장비에 적용되는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장비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재수신기, 화재중계기 및 화재감지기 간의 그물망 통신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47MHz 방식의 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방식의 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중계기와 화재감지기 간의 폴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 간의 보안통신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의 상태감시 및 화재경보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감시장치가 통신장애를 감지하기 위한 통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이 통신장애를 감지하고 이를 해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화재중계기와 화재감지기가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의 무선제연댐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재수신기, 화재중계기 및 화재감지기 간의 그물망 통신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47MHz 방식의 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방식의 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중계기와 화재감지기 간의 폴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 간의 보안통신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의 상태감시 및 화재경보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감시장치가 통신장애를 감지하기 위한 통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이 통신장애를 감지하고 이를 해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화재중계기와 화재감지기가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의 무선제연댐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은, 화재수신기(10), 화재중계반(20), 화재중계기(30, 35, 40),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무선감시장치(130), 무선제연댐퍼 및 비상벨 시스템을 포함한다.
우선, 도 1 및 2 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내의 장비는, 그물망 통신(mesh communication)을 통해 복수의 통신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즉, 화재수신기(10) 간에, 화재중계반(20) 간에, 화재중계기(30, 35, 40) 간에, 그리고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화재수신기(10)와 화재중계반(20) 간에, 화재중계반(20)과 화재중계기(30, 35, 40) 간에, 그리고 화재중계기(30, 35, 40)와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평상 시에 각 장비는 기설정된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 장애가 있을 시에는 별도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우회통신을 수행하여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화재경보의 신뢰성을 부여하여 화재시에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화재중계기의 고장으로 인하여 소정의 화재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는 단일 루트의 시스템 또는, 직렬구조의 데이지체인(Daisy chain) 형태의 무선통신방식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화재중계기(30, 35, 40)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와 그물망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바, 평소의 정보전달루트가 장비고장 또는 장애로 인하여 화재신호를 전달하지 못할 경우, 자동으로 우회경로로 연결되어 정상적인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와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간 통신연결이 가능하여, 비교적 먼곳에 위치한 화재중계기(30, 35, 40)보다 근거리에 위치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간에 통신을 함으로써,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를 저출력으로 설계가 가능하며, 무선연동 영역 확대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내의 장비는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지웨이브, 와이파이, 기타 양방향 통신모듈 등 그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이하,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내의 장비에 대해서 살펴본다.
화재수신기(10)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서 감지한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한 후 화재 발생을 알리는 역할을 하는 기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의 각 구성의 작동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수신기(10)는 화재중계기(30, 35, 40)에게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와 폴링(polling)을 수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 대한 통신 점검을 수행함으로써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의 통신 장애 여부 및 작동 이상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로부터 화재경보를 수신한 화재수신기(10)는 다른 통신 경로(즉, 우회 경로)를 통해 한번 더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 화재 감지 여부를 질의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화재수신기(10)는 하위 장비인 화재중계반(20), 화재중계기(30, 35, 40) 및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게 보안코드를 주기적으로 원격 할당할 수 있으며, 화재수신기(10), 화재중계반(20), 화재중계기(30, 35, 40) 및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간의 통신은 할당된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통신보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을 참고하여, 보안코드를 이용한 통신보안 방식을 보면, 도면 상의 A 부분은 정보를 송신하는 측이고, B 부분은 A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측일 수 있다. A 부분은 화재수신기(10), 화재중계반(20), 화재중계기(30, 35, 40) 및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중 어느 하나의 장비일 수 있으며, B 부분도 역시 화재수신기(10), 화재중계반(20), 화재중계기(30, 35, 40) 및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중 어느 하나의 장비일 수 있다.
A 부분의 장비는 화재수신기(10)에서 제공한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송신할 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B 부분의 장비에게 전송할 수 있고, B 부분의 장비는 제공받은 보안코드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한 후 A 부분의 장비가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B 부분 장비가 인가된 장비가 아니여서 보안코드를 할당받지 못하거나, 화재수신기(10)에서 제공하는 보안코드가 아닌 다른 보안코드를 가지고 있다면, B 부분 장비는 A 부분의 장비가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파악할 수 없다. 이렇게 함으로서 정보 보안을 이룰 수 있고, 인가되지 않은 장비의 방해나 간섭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재수신기(10)는 법정주파수(보안/안전 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듀얼주파수 밴드를 가지고, 통신 시에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다가 작동 환경이 변할 경우(예를 들어, 대규모 현장에 적용될 경우)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 장애 시에는 두 주파수 밴드 대역을 모두 사용하는 이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재수신기(10)는 통신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법정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마다 2개의 주파수 채널이 할당되고, 무선장애로 인해 통신두절이 될 경우 유선(TCP/IP) 백업 회선을 가질 수 있다. 한편, 2개의 주파수 채널을 할당할 때 통신을 담당하는 회로를 하드웨어적으로 이중화하는 방식과, 서로 다른 화재중계기(30, 35, 40)를 싱크로하여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재수신기(10)는 타 제조사의 유선화재감지 시스템(유선화재수신기, 유선화재중계반, 유선화재중계기, 유선화재감지기)과의 통신을 위해 소방용 자동화재탐지설비 전용의 표준 프로토콜을 갖는 게이트웨이(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다른 종류의 유선화재수신기와의 연동을 위해 각 사의 별도의 기술적 보안 사항인 통신프로토콜을 개방할 필요없이 간단히 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웨이(6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하드웨어적인 형태와, 통신드라이브 또는 펌웨어를 통한 소프트웨어적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중계반(20)은 하나 이상의 화재중계기(30, 35, 40)와 연결되어 이들을 관리하며, 관리하는 기기의 화재, 감시 및 고장 등의 정보를 화재수신기(10)에 전송하고, 화재수신기(1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화재중계기(30, 35, 40)로 전달처리하는 장비이다.
또한, 화재중계반(20)은 법정주파수(보안/안전 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듀얼주파수 밴드를 가지고, 통신 시에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다가 작동 환경이 변할 경우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 장애 시에는 두 주파수 밴드 대역을 모두 사용하는 이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재중계반(20)은 통신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법정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마다 2개의 주파수 채널이 할당되고, 무선장애로 인해 통신두절이 될 경우 유선(TCP/IP) 백업 회선을 가질 수 있으며, 2개의 주파수 채널을 할당할 때 통신을 담당하는 회로를 하드웨어적으로 이중화하는 방식과, 서로 다른 화재중계기(30, 35, 40)를 싱크로하여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재중계기(30, 35, 40)는 소방시설 및 방재시스템 기기(화재감지기, 발신기, Alarm Valve, 방화샷다, 제연댐퍼, Temper 스위치 등)의 감시/제어를 목적으로 현장에 설치하는 소형의 신호 중계장치이다.
화재중계기(30, 35, 40)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와 통신 시에 시스템 내의 전체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중에서 미리 연동이 성립되어 정보를 가지고 있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와만 폴링(polling)을 포함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재중계기(30, 35, 40)가 유지 보수가 어려운 장소나 배터리(100) 교환이 용이하지 못한 장소에 설치될 경우, 화재중계기(30, 35, 40)는 인접한 조명기구(80) 또는 비상유도등(70)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 장소 내의 조명기구(80) 또는 비상유도등(70)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는 조명기구(80) 또는 비상유도등(70)의 전원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내부의 충전회로를 통해 슈퍼캡(super capacitor)(90)에 충전을 하고, 소등 이후에 상기 슈퍼캡(90)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슈퍼캡(90)에 충전된 전원을 모두 이용하면 내장된 배터리(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배터리(100)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충전방식이 아닌 1회용 수은전지 또는 리듐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화재중계기(30, 35, 40)가 비상유도등(70)과 연결될 경우에는 비상유도등(70)은 소등이 되지 않을 수 있는바, 화재중계기(30, 35, 40)는 소등을 대비하는 슈퍼캡(90)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화재중계기(30, 35, 40)는 비상유도등(70)과 분리되어 설치되는 별치형과 비상유도등(70)에 내장된 내장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화재중계기(30, 35, 40)는 법정주파수(보안/안전 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듀얼주파수 밴드를 가지고, 통신 시에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다가 작동 환경이 변할 경우(예를 들어, 대규모 현장에 적용될 경우)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 장애 시에는 두 주파수 밴드 대역을 모두 사용하는 이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재중계기(30, 35, 40)는 타 유선화재감지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해 소방용 자동화재탐지설비 전용의 표준 프로토콜을 갖는 게이트웨이(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웨이(6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하드웨어적인 형태와, 통신드라이브 또는 펌웨어를 통한 소프트웨어적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중계기는 화재중계기 상호 간에 통신이 가능하므로, 특정 화재중계기로 인입되는 1차 신호선 및 무선신호가 차단될 경우에도 다른 화재중계기를 거쳐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화재중계기(30, 35, 40)는 화재수신기(1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유선화재감지기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유선 입력/출력 기능(TCP/IP)이 있고, 화재수신기(10)와의 1차측 통신은 무선으로 하고, 유선화재감지기와의 2차측 통신은 유선으로 수행이 가능한 무선/유선 복합형 중계반일 수 있다. 아울러, 1차측 통신을 2채널로 설정하여 이중화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형 중계기로 인해서, 기존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와 연동을 용이하게 하여, 지하주차장 등 아날로그감지기가 필요없는 공간에 설치되는 감지기나, 불꽃감지기, 공기흡입형감지기, 감지선형감지기 등 특수 목적에 사용되는 감지기와 별도의 프로토콜 개방 및 펌웨어 개발이 필요없이 최하위단의 기기들과 간단하게 접점으로 연동이 가능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는 화재시 발생되는 열이나 연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는 장치로서,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경보를 알리도록 해주며, 종류로는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복합형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는 무선 화재감지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100) 소모가 큰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다음과 같은 특징을 통해 배터리(100)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우선, 도 1 의 S 부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특정 화재중계기(40)는 시스템 내의 모든 화재감지기 중에서 미리 연동(S 부분 참조)이 성립되어 정보를 가지고 있는 화재감지기와만 폴링을 포함하는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연동이 성립되지 않은 화재감지기는 배터리(100) 소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재중계기(30, 35, 40)는 제 1 출력으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반면에,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는 제 1 출력보다 낮은 제 2 출력으로 기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인접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는 화재중계기(30)를 기준으로 화재중계기(30)에게 직접 폴링 응답을 수행하는 1단의 화재감지기(50), 1단의 화재감지기(50)에게 폴링 응답을 전달는 2단의 화재감지기(51), 그리고 순차적으로 3단, 4단 및 5단(최하단)의 화재감지기(53, 55, 57)로 설정되거나, 통신 전달 순서 순으로 1단에, 2단에, 3단에, 4단에 그리고 5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 하에서, 화재중계기(30)로부터 폴링 요구 신호를 수신할 경우, 해당 통신 경로 상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57)가 자신의 상태신호(a)를 바로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55)에 송신하고, 이후 바로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기지(55)는 그 다음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53)에 최하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57)의 상태신호(a)와 자신의 상태신호(b)를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폴링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다.
즉, 화재감지기는 이전 단의 화재감지기가 전송하는 상태신호와 자신의 상태신호를 함께 이후 단의 화재감지기에 전송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재중계기(30)로부터 수신된 폴링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을 각자 1회만 할 수 있도록 하여 송신 횟수를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배터리(100)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는 화재중계기(30, 35, 40)와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한 저전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비인가된 장비가 지속적으로 접속 요청을 하고 이에 대해 응답을 할 경우 통신 트래픽이 발생하고 베터링 소모량이 많아지므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는 승인된 전용의 장비 또는 휴대폰(또는 휴대폰 앱)에 대해서만 통신을 수행하고 응답을 하는 접속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가 화재를 감지하면 경보신호가 화재수신기(10)로 전달되고, 경보신호를 수신한 화재수신기(10)는 다른 통신 경로(즉, 우회 경로)를 통해 한번 더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 화재 감지 여부를 질의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이때, 다른 통신 경로는 물리적으로 다른 통신 경로 이거나,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통해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질의 통신은 보안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소방법 상 10초 이내에 완료되어야 하며, 실제로는 수초 이내에 이루어져야 된다.
한편,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는 저전력 모드에서는 저속통신을 수행하고, 고전력 모드 또는 비상(화재) 모드에서는 고속 통신을 하는 이중 속도를 갖을 수 있다.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는 RFID 태그(tag)가 내장될 수 있으며, RFID 리더기가 RFID 태그와 태깅(tagging)을 할 경우, RFID 리더기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 대한 작동 테스트 요청 또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또는 화재중계기(30, 35, 40))의 정보 제공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화재수신기(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화재수신기(10)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와 RFID 리더기 간의 통신이 성립하도록 하여 작동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의 정보가 RFID 리더기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과정은 보안 코드를 이용한 통신보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화재감지기의 작동 테스트를 위해 화재감지기에 직접 열원이나 연기를 제공하는 등 작동 테스테에 어려움이 많았고 열과 연기로 인해 공해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RFID 장비를 이용하여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 대한 작동 테스트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서 화재수신기(10)로 전송되는 정보 중에서 일부 정보는 건물통합관리 SI 또는 공조관리서버로 정보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는 법정주파수(보안/안전 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듀얼주파수 밴드를 가지고, 통신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법정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마다 2개의 주파수 채널이 할당되고, 2개의 주파수 채널을 할당할 때 통신을 담당하는 회로를 하드웨어적으로 이중화하는 방식과, 별개의 화재중계기(30, 35, 40)를 싱크로하여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화재중계기(30, 35, 40)와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의 통신 방식을 다경로로 하거나, 화재중계기 1 개와 화재감지기 N개로 통신하는 1:N 방식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무선감시장치(130)는 화재중계기(35)와의 통신을 통해 또는 화재중계기(30, 35, 40)와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간의 통신을 감시하여 통신 장애가 감지될 경우 해당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화재수신기(10) 및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장치이다.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정해진 정상 패턴의 통신외 불명의 통신이 주파수 간섭에 의한 통신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장애를 해소하기 위해 일정구역마다 무선감시장치(130)를 설치하여 화재중계기(30, 35, 40)와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사이의 통신을 감시하고, 이상 감지시 해당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화재수신기(10) 및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을 참조하면, 화재수신기(10)의 지시에 의해 화재중계기 중에서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화재중계기(35)는, 무선감시장치(130)와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보다 좀 더 잦은 폴링을 수행하면서 통신 에러 발생 여부 및 통신 에러율을 체크하고, 체크 결과 통신 에러율이 기준치를 넘으면 무선감시장치(130)는 화재수신기(10)에 주파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화재수신기(10)의 지시에 의해 화재중계기(30, 35, 40)는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와 폴링을 수행하며, 이때 화재수신기(10)는 무선감시장치(130)에 폴링 시작 및 종료를 통지하고, 폴링이 종료되었음에도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가 통신을 계속 수행하고 있으면, 무선감시장치(130)는 통신장애로 판단하여 화재수신기(10)에게 주파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주파수 변경의 경우, 화재수신기(10) 또는 화재중계기(30, 35, 40)가 관리자에게 통보하고 관리자가 주파수 변경을 하거나, 아니면 설정을 통해 자동으로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무선감시장치(130)의 요청에 의해 통신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는바, 화재중계기(30, 35, 40)와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간의 통신 주파수는 구역에 따라 다르게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주파수 변경은 지정한 통신밴드 내의 주파수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감시장치(130)의 기능은 화재중계기(30, 35, 40) 및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에도 설정을 통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감시장치(130) 및 무선감시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하는 화재중계기(30, 35, 40)는 지속적으로 작동을 해야 하는바 상용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무선제연댐퍼는 대규모의 현장에 설치되는 제연설비를 무선으로 조작 및 감시 가능한 무선거실 제연댐퍼(110) 및 무선전실 제연댐퍼(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제연댐퍼는 제연댐퍼에 전원만 인가되면 무선제연댐퍼에 대한 조작 및 상태 감시는 무선으로 가능할 수 있으며, 화재중계기(30, 35, 40)와 연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 에서 알 수 있듯이, 이중에서 무선거실 제연댐퍼(110)는 천정에 매립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주변 검색을 통해 소정 범위(예를 들어, 25m 반경) 내에 있는 무선거실 제연댐퍼(110)는 위치가 검색되고 동작 상황이 모니터링 및 제어될 수 있다.
무선화재발신기는 소화전에 인입되는 비상전원을 상용전원으로 사용하고, 주변의 화재감지기(50, 51, 53, 55, 57), 화재중계기(30, 35, 40), 무선제연댐퍼 간의 통신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비상벨 시스템은 화재수신기(10) 및 화재중계기(30, 35, 4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지하주차장, 화장실, 엘리베이터 및 장애자용 화장실을 포함하는 취약지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화재수신기 20: 화재중계반
30, 35, 40: 화재중계기
50, 51, 53, 55, 57: 화재감지기
60: 게이트웨이 70: 비상유도등
80: 조명기구 90: 슈퍼캡
100: 배터리 110: 무선거실 제연댐퍼
120: 무선전실 제연댐퍼 130: 무선감시장치

Claims (20)

  1. 화재수신기, 화재중계반, 화재중계기 및 화재감지기를 포함하고, 그물망 통신을 통해 복수의 통신 경로를 갖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재수신기 간에, 상기 화재중계반 간에, 상기 화재중계기 간에,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기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화재수신기와 상기 화재중계반 간에, 상기 화재중계반과 상기 화재중계기 간에, 그리고 상기 화재중계기와 상기 화재감지기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평상 시에 기설정된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 장애가 있을 시에는 별도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우회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화재중계기로부터 폴링 요구 신호를 수신할 경우, 해당 통신 경로 상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가 자신의 상태신호를 바로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에 송신하고, 이후 바로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기지는 그 다음 윗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에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화재감지기의 상태신호와 자신의 상태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폴링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중계기는 상기 화재감지기 중에서 미리 연동이 성립되어 정보를 가지고 있는 화재감지기와만 폴링(polling)을 포함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중계기는 제 1 출력으로 상기 화재감지기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제 1 출력보다 낮은 제 2 출력으로 기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인접한 화재감지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경보신호가 상기 화재수신기로 전달되고, 상기 경보신호를 수신한 상기 화재수신기는 다른 통신 경로를 통해 한번 더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기에 화재 감지 여부를 질의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통신 경로는 물리적으로 다른 통신 경로 이거나, 주파수 호핑을 통해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하는 것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중계기 및 화재감지기는 인접한 조명기구 또는 비상유도등의 전원을 이용하고,
    상기 조명기구 또는 비상유도등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는 상기 조명기구 또는 비상유도등의 전원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내부의 충전회로를 통해 슈퍼캡(super capacitor)에 충전을 하고, 소등 이후에 상기 슈퍼캡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고,
    상기 슈퍼캡에 충전된 전원을 모두 이용하면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중계기는 상기 비상유도등에 내장된 내장형인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는 화재중계반, 화재중계기 및 화재감지기에 보안코드를 주기적으로 원격 할당하고,
    상기 화재수신기, 화재중계반, 화재중계기 및 화재감지기 간의 통신은 상기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통신보안이 이루어지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에는 RFID 태그(tag)가 내장되어 있고, RFID 리더기가 상기 RFID 태그와 태깅(tagging)을 할 경우, 상기 RFID 리더기는 화재감지기 작동 테스트 요청 또는 화재감지기의 정보 제공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화재수신기에 전달하고,
    상기 화재수신기는 상기 화재감지기와 상기 RFID 리더기 간의 통신이 성립하도록 하여 작동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화재감지기의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 화재중계반 및 화재중계기는 법정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듀얼주파수 밴드를 가지고,
    통신 시에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다가 작동 환경이 변할 경우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고,
    통신 장애 시에는 두 주파수 밴드 대역을 모두 사용하는 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 및 화재중계기는, 타 유선화재감지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해 소방용 자동화재탐지설비 전용의 표준 프로토콜을 갖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하드웨어적인 형태와, 통신드라이브 또는 펌웨어를 통한 소프트웨어적인 형태를 포함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상기 화재수신기로 전송되는 정보 중에서 일부 정보는 건물통합관리 SI 또는 공조관리서버로 정보 공유가 가능한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연설비를 무선으로 조작 및 감시 가능한 무선거실 제연댐퍼 및 무선전실 제연댐퍼를 포함하는 무선제연댐퍼를 더 포함하고,
    소정 범위 내에 있는 상기 무선거실 제연댐퍼는 위치가 검색되고 동작 상황이 모니터링 될 수 있고,
    상기 무선거실 제연댐퍼는 상기 화재중계기와 연동 가능한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의 지시에 의해 상기 화재중계기 중에서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화재중계기와 폴링을 수행하면서 통신 에러 발생 여부 및 통신 에러율을 체크하고, 체크 결과 상기 통신 에러율이 기준치를 넘으면 상기 화재수신기에 주파수 변경을 요청하고,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무선감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의 지시에 의해 상기 화재중계기는 상기 화재감지기와 폴링을 수행하며, 이때 상기 화재수신기는 상기 무선감시장치에 폴링 시작 및 종료를 통지하고, 폴링이 종료되었음에도 상기 화재감지기가 통신을 계속 수행하고 있으면, 상기 무선감시장치는 통신 장애로 판단하여 상기 화재수신기에게 주파수 변경을 요청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소화전에 인입되는 비상전원을 상용전원으로 사용하고,
    주변의 화재감지기, 화재중계기, 무선제연댐퍼간의 통신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화재발신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중계기는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유선화재감지기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유선 입력/출력 기능이 있고,
    상기 화재중계기는 상기 화재수신기와의 1차측 통신은 무선으로 하고, 상기 유선화재감지기와의 2차측 통신은 유선으로 수행이 가능한 무선/유선 복합형 중계기이고,
    상기 1차측 통신을 2채널로 설정하여 이중화를 구성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 화재중계반 및 화재감지기는 법정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듀얼주파수 밴드를 가지고,
    통신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법정주파수인 447MHz와 IoT 주파수 대역마다 2개의 주파수 채널이 할당되고,
    상기 화재수신기 및 화재중계반은 무선장애로 인해 통신두절이 될 경우 유선(TCP/IP) 백업 회선을 가지고,
    2개의 주파수 채널을 할당할 때 통신을 담당하는 회로를 하드웨어적으로 이중화하는 방식과, 별개의 화재중계기를 싱크로하여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 및 화재중계기와 연동되며, 지하주차장, 화장실, 엘리베이터 및 장애자용 화장실을 포함하는 취약지구에 설치되는 비상벨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기 화재중계기와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한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KR1020180040819A 2018-04-09 2018-04-09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KR102022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19A KR102022887B1 (ko) 2018-04-09 2018-04-09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19A KR102022887B1 (ko) 2018-04-09 2018-04-09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887B1 true KR102022887B1 (ko) 2019-09-19

Family

ID=6806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819A KR102022887B1 (ko) 2018-04-09 2018-04-09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88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9338A (zh) * 2019-12-25 2020-04-24 湛江米克化能有限公司 一种码头消防炮阀门控制线路故障与处理方法
CN111292441A (zh) * 2020-01-24 2020-06-16 西南石油大学 消防设施维护巡检方法
KR102160560B1 (ko) * 2019-12-27 2020-09-28 (주)유인프라웨이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KR102204896B1 (ko) 2020-06-22 2021-01-19 주식회사 지닉스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KR102220232B1 (ko) * 2020-06-04 2021-02-26 주식회사 에너템 첨단 무선 가스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38090A (ko) 2019-09-30 2021-04-07 (주) 성부 화재 진압 운송수단을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KR20210038763A (ko) 2019-09-30 2021-04-08 (주) 성부 드론을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
KR20210051417A (ko) * 2019-10-30 2021-05-10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진압 장치
KR20210051400A (ko) * 2019-10-30 2021-05-10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
KR102259889B1 (ko) * 2021-01-05 2021-06-02 (주)이레씨즈 무선 비상벨의 실시간 동작 및 고장상태 점검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68720A (ko) * 2019-12-02 2021-06-10 (주)에이엘씨 이중화된 무선망을 이용한 sos비상벨 운용시스템
KR20210091425A (ko) * 2020-01-14 2021-07-22 맹연재 건물 무선 제연 시스템
CN116617614A (zh) * 2023-07-25 2023-08-22 广东广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消防实验深度学习的消防设备布控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018B1 (ko) * 2006-06-20 2007-04-04 (주)위니텍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
JP2009288847A (ja) * 2008-05-27 2009-12-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誘導灯
JP2015001914A (ja) * 2013-06-18 2015-01-05 ホーチキ株式会社 無線防災システム
JP2017188018A (ja) * 2016-04-08 2017-10-12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報知システム
JP2018036741A (ja) * 2016-08-30 2018-03-08 ニッタン株式会社 感知器試験器および感知器試験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018B1 (ko) * 2006-06-20 2007-04-04 (주)위니텍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
JP2009288847A (ja) * 2008-05-27 2009-12-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誘導灯
JP2015001914A (ja) * 2013-06-18 2015-01-05 ホーチキ株式会社 無線防災システム
JP2017188018A (ja) * 2016-04-08 2017-10-12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報知システム
JP2018036741A (ja) * 2016-08-30 2018-03-08 ニッタン株式会社 感知器試験器および感知器試験システム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763A (ko) 2019-09-30 2021-04-08 (주) 성부 드론을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
KR20210038090A (ko) 2019-09-30 2021-04-07 (주) 성부 화재 진압 운송수단을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310083B1 (ko) * 2019-10-30 2021-10-08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진압 장치
KR102310052B1 (ko) * 2019-10-30 2021-10-07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
KR20210051400A (ko) * 2019-10-30 2021-05-10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
KR20210051417A (ko) * 2019-10-30 2021-05-10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진압 장치
KR102283440B1 (ko) 2019-12-02 2021-07-29 (주)에이엘씨 이중화된 무선망을 이용한 sos비상벨 운용시스템
KR20210068720A (ko) * 2019-12-02 2021-06-10 (주)에이엘씨 이중화된 무선망을 이용한 sos비상벨 운용시스템
CN111059338A (zh) * 2019-12-25 2020-04-24 湛江米克化能有限公司 一种码头消防炮阀门控制线路故障与处理方法
KR102160560B1 (ko) * 2019-12-27 2020-09-28 (주)유인프라웨이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KR20210091425A (ko) * 2020-01-14 2021-07-22 맹연재 건물 무선 제연 시스템
KR102439393B1 (ko) 2020-01-14 2022-09-02 맹주호 건물 무선 제연 시스템
CN111292441A (zh) * 2020-01-24 2020-06-16 西南石油大学 消防设施维护巡检方法
KR102220232B1 (ko) * 2020-06-04 2021-02-26 주식회사 에너템 첨단 무선 가스모니터링 시스템
KR102204896B1 (ko) 2020-06-22 2021-01-19 주식회사 지닉스 복합 감지기를 이용한 소비자 방재 시스템
KR102259889B1 (ko) * 2021-01-05 2021-06-02 (주)이레씨즈 무선 비상벨의 실시간 동작 및 고장상태 점검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6617614A (zh) * 2023-07-25 2023-08-22 广东广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消防实验深度学习的消防设备布控系统
CN116617614B (zh) * 2023-07-25 2023-10-31 广东广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消防实验深度学习的消防设备布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887B1 (ko)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US7504937B2 (en) Self-configuring emergency event alarm network
KR20010000272A (ko) 건물 자동화 관리 시스템
JP2016502308A (ja) 装置制御ノード、インターフェースノードおよびハイブリッド制御ノード
JP7010613B2 (ja) 警報システム
JP2011053751A (ja) 中継器
JP6820172B2 (ja) 警報システム
KR20100123351A (ko) 실시간 화재감지용 수신기,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감지방법
JP6836862B2 (ja) 警報システム
US86593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buffered wireless device enrollment in a security system
US8693641B2 (en) Fire alarm with integrated firefighter communications system
US11373491B2 (en) Emergency communicating flashing light security system
JP6890494B2 (ja) 警報システム
JP7340635B2 (ja) 警報システム
JPH0993356A (ja) 設備情報端末システム
JP7075522B2 (ja) 警報システム
JP2014064215A (ja) 状態監視システム
KR20200136628A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JP6995663B2 (ja) 警報システム
JP7299963B2 (ja) 警報システム
JP7044490B2 (ja) 警報システム
JP7277638B2 (ja) 警報システム
JP7303344B2 (ja) 警報システム
JP7382356B2 (ja) 警報システム
JP6942019B2 (ja) 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