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560B1 -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560B1
KR102160560B1 KR1020190176165A KR20190176165A KR102160560B1 KR 102160560 B1 KR102160560 B1 KR 102160560B1 KR 1020190176165 A KR1020190176165 A KR 1020190176165A KR 20190176165 A KR20190176165 A KR 20190176165A KR 102160560 B1 KR102160560 B1 KR 10216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terminal
repeater
receiver
communication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화
Original Assignee
(주)유인프라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인프라웨이 filed Critical (주)유인프라웨이
Priority to KR102019017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4Alarm propagated along alternative communication path or using alternative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ways to communicate, e.g. if Wi-Fi not available use G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20Calibration, including self-calib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화재감지기와 상호호환성을 제공하면서 유선을 포함하여 무선에서의 이중화 안전구조를 제공하는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영역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와, 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를 송출하는 제1발신기를 포함하는 제1그룹단말; 제2영역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기와, 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를 송출하는 제2발신기를 포함하는 제2그룹단말; 상기 제1그룹단말의 일 종단에서 통신연결을 지원하는 제1중계기; 상기 제2그룹단말의 일 종단에서 상기 제1중계기와 통신연결을 지원하는 제2중계기; 상기 제1그룹단말의 타 종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2그룹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수신기;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2그룹단말로부터 신호 수신 가능하도록 상기 제2그룹단말의 타 종단에 연결되는 예비수신기; 상기 메인수신기와 상기 예비수신기에 범용직렬버스(USB)로 연결되는 화재 수신반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system for fire receiver based on IoT}
본 발명은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화재감지기와 상호호환성을 제공하면서 유선을 포함하여 무선에서의 이중화 안전구조를 제공하는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 경보 설비가 설치된다.
화재 경보 설비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나 연기 등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경보하는 설비이다.
화재 경보 설비에서 더 발전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 또는 화재 발생 여부가 감지되면 관리자나 주변 소방관청 등의 관제센터에 자동으로 화재 감지 정보를 통보하는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화재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의 조기 진화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또한 화재 발생 여부를 즉시 관제센터에 통보해 주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화재 발생 가능성이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는 열이나 연기 등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해당 감지정보를 수신기에 전달하며, 수신기는 관제센터에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 발신기는 화재 등의 긴급상황 시에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수신기에 신호를 보내는 기기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수신기는 감지기와 발신기를 유선 케이블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에 따라 유선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모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그에 따라, 유선과 무선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하여 화재감지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자동화재감지시스템이 소개된 바 있다[한국 등록특허공보 10-1665407].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화재감지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에서의 통신 장애에 따른 보안사항이 여전히 존재하며, 기존 유선설비와의 통신 호환성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감지기, 발신기 및 중계기의 자체 고장 또는 배터리 이상 또는 통신 연결의 단절에 따른 실시간 파악이 쉽지 않고, 통신 장애에 따른 대응도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화재감지기와 상호호환성을 제공하면서 또한 유선을 포함하여 무선에서의 통신 장애와 감지기 고장이나 배터리 이상에 대비하여 이중화 안전구조를 가지는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의 특징은, 제1영역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와, 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를 송출하는 제1발신기를 포함하는 제1그룹단말; 제2영역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기와, 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를 송출하는 제2발신기를 포함하는 제2그룹단말; 상기 제1그룹단말의 일 종단에서 통신연결을 지원하는 제1중계기; 상기 제2그룹단말의 일 종단에서 상기 제1중계기와 통신연결을 지원하는 제2중계기; 상기 제1그룹단말의 타 종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2그룹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수신기;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2그룹단말로부터 신호 수신 가능하도록 상기 제2그룹단말의 타 종단에 연결되는 예비수신기; 상기 메인수신기와 상기 예비수신기에 범용직렬버스(USB)로 연결되는 화재 수신반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수신기와 상기 예비수신기는, 동일한 통신채널을 사용하도록 채널식별자(Channel Identifier)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수신기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상기 제1그룹단말에서 상기 제2그룹단말까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에, 상기 예비수신기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수신기 또는 상기 예비수신기는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에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로 통신연결되는 통신모뎀과, 상기 통신모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부와, 상기 통신모뎀에 상기 통신채널을 할당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 수신반은 상기 메인수신기에서 상기 예비수신기까지 유선으로 통신연결된 경우에, 상기 메인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로 순차적으로 상태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예비수신기로 상기 상태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제1그룹단말에서 상기 제2그룹단말까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 수신반은 상기 예비수신기로 상기 상태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그룹단말에서 상기 제2그룹단말까지의 통신 연결이 특정 위치에서 단절된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예비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2그룹단말과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1그룹단말 중에서 상기 상태요청신호에 대해 응답하지 않은 제(N+1)기기로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비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상기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그룹단말과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1그룹단말 중에서 상기 상태요청신호에 대해 응답한 제N기기와 상기 제(N+1)기기 사이에서 통신 연결이 단절된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예비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상기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메인수신기와 상기 예비수신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제(N+1)기기에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으로 상기 제(N+1)기기에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상기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N+1)기기의 전단과 후단에서 통신 연결이 단절된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무선으로 상기 제(N+1)기기에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상기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N+1)기기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첫째, Fail-safe 구조의 유무선 통신 다중화로 통신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둘째, 감지기, 발신기 및 중계기에 대한 상태 체크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이미 구축된 기존 화재장비(감지기, 발신기 등)에 대해서도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감지기, 발신기 및 중계기의 자체 고장 또는 배터리 이상 또는 통신 연결의 단절에 따른 실시간 파악이 정확하고 용이하며, 통신 장애에 따른 대응도 실시간으로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서 수신기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상세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서 통신 장애 또는 기기 에러에 대한 상태 파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서 통신 장애 또는 기기 에러에 대한 상태 파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서 수신기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상세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시스템은 수신기와 그룹단말이 유선(RS-485) 연결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은 감지기, 발신기, 중계기, 수신기 및 화재 수신반으로 구성된다.
감지기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연기나 열 등을 감지한다.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등이 감지기에 해당된다.
발신기는 화재 등의 긴급상황 시에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수신기에 신호를 보내는 기기이다.
건물이나 특정 영역 내에서는 복수 개의 기기들(감지기나 발신기)이 설치되어 하나의 그룹단말을 이루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영역에서 복수 개의 감지기와 발신기를 포함하는 제1그룹단말(200)과 제2영역에서 복수 개의 감지기와 발신기를 포함하는 제2그룹단말(300)을 정의하고 설명한다.
제1그룹단말(200)은 제1영역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210)와, 화재 등의 긴급상황 시에 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를 송출하는 제1발신기(220)를 포함한다. 제1그룹단말(200)을 구성하는 기기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제1그룹단말(200)은 제1감지기(210)나 제1발신기(220) 이외에 더 많은 감지기와 발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그룹단말(300)은 제2영역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기(310)와, 화재 등의 긴급상황 시에 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를 송출하는 제2발신기(320)를 포함한다. 제2그룹단말(300)을 구성하는 기기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제2그룹단말(300)도 제2감지기(310)나 제2발신기(320) 이외에 더 많은 감지기와 발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그룹단말(200)은 건물의 하나의 층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그룹단말(300)은 같은 건물에서 다른 층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건물 내에서는 화재 수신반이 전체 층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되는 그룹단말 간에 통신 연결을 지원해야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은 그룹단말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중계기를 포함한다.
제1중계기(400)는 제1그룹단말(200)의 일 종단에서 통신연결을 지원하며, 제2중계기(500)는 제2그룹단말(300)의 일 종단에서 제1중계기(400)와 통신연결을 지원한다.
제1중계기(400) 또는 제2중계기(500)는 그룹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수신기(600,700)는 제1그룹단말(200)이나 제2그룹단말(300)의 타 종단에 연결되어 제1그룹단말(200)과 제2그룹단말(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600,700)는 제1그룹단말(200)과 제2그룹단말(300)이 중계기(400.500)를 통해 통신 연결된 상태이므로, 제1그룹단말(200)과 제2그룹단말(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은 Fail-safe 구조로 통신 신뢰성을 제공하고자 수신기를 이중화로 구성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신 연결이 정상적이거나 그룹단말을 구성하는 기기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시에 제1그룹단말(200)과 제2그룹단말(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수신기(600)를 구비하며,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이거나 그룹단말을 구성하는 기기들에 에러가 발생할 시에 상태 체크를 위해 동작하거나 그룹단말을 구성하는 기기들 중 일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예비수신기(700)를 구비한다. 여기서, 메인수신기(600)는 제1그룹단말(200)과 제2그룹단말(300)로부터 신호 수신 가능하도록 제1그룹단말(200)의 타 종단에 연결되며, 예비수신기(700)는 제1그룹단말(200)과 제2그룹단말(300)로부터 신호 수신 가능하도록 제2그룹단말(300)의 타 종단에 연결된다.
메인수신기(600)와 예비수신기(700)는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통신채널을 사용하도록 채널식별자(Channel Identifier)를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수신기(600)가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제1그룹단말(200)과 제1중계기(400)와 제2중계기(500)와 제2그룹단말(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 제1그룹단말(200)과 제1중계기(400)와 제2중계기(500)와 제2그룹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제1그룹단말(200)에서 제2그룹단말(300)까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에, 예비수신기(700)가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제1그룹단말(200)과 제1중계기(400)와 제2중계기(500)와 제2그룹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채널의 할당과 사용은 수신기(600,700)와 그룹단말 및 중계기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비수신기(700)의 구성이 메인수신기(60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메인수신기(60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메인수신기(600)는 그룹단말(200,300)과 제1중계기(400)와 제2중계기(500)에 통신연결되는 통신모뎀(610), 그 통신모뎀(6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620)와, 통신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모뎀(610)은 그룹단말(200,300)과 제1중계기(400)와 제2중계기(500)에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된다. 여기서, 그룹단말(200,300)을 구성하는 기기들 간에는 직렬 또는 병렬로 유선 연결될 수 있으며[기존 설비], 또한 그 기기들 간에는 IoT에 기반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룹단말(200,300)을 구성하는 기기와 중계기(400,500) 간에는 직렬 또는 병렬로 유선 연결될 수 있으며[기존 설비], 또한 그 기기와 중계기(400,500) 간에는 IoT에 기반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모뎀(610)과 그룹단말(200,300)과 제1중계기(400)와 제2중계기(500)와의 통신 시에는 기기당 독립된 채널이 할당된다. 기기당 채널 할당은 제어부(300)가 수행한다.
본 발명의 메인수신기(600)는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이 결합되어 병렬구조로 신호를 수신하며, 그 신호를 메인수신기(600)에 직렬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모뎀(610)은 수신된 멀티채널데이터(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수신기(600)는 그룹단말(200,300)과 중계기(400,5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화재 수신반(100)에 전송하기 위한 범용직렬버스(USB)(640)를 구비한다. 메인수신기(600)가 화재 수신반(100)과 범용직렬버스(USB)(640)로 연결됨에 따라, 메인수신기(600)는 통신모뎀(610)의 출력을 USB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부(USB to serial converter)(620)를 구비한다.
통신모뎀(610)과 변환부(620) 간에는 UART와 같이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 규약에 따라 연결된다.
제어부(630)는 채널 할당에 관여할 수 있다. 즉, 제어부(630)는 그룹단말(200,300)과 중계기(400,500)가 통신모뎀(610)에 통신연결됨에 따라 독립적인 통신채널을 각각 할당한다. 상기한 채널 할당은 무선통신에 대해서만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모뎀(610)은 제1그룹단말(200)에 속하는 제1감지기(21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제1감지기(2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1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제2그룹단말(300)에 속하는 제2감지기(31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제2감지기(3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2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비수신기(700)에 구비되는 통신모뎀(미도시)도 제1감지기(2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1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제2감지기(3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2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추가 예로, 본 발명의 메인수신기(600)는 하나의 무선채널에 대한 통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채널당 하나의 무선통신모듈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적인 통신모듈을 더 구비하여 통신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통신모뎀(610)은 무선통신을 위해 할당된 제1채널을 통해 기본적으로 통신연결되는 제1무선통신모듈(611)과, 제1무선통신모듈(611)을 보조하여 장애나 고장 등으로 인한 제1무선통신모듈(611)의 오프 시에 제1채널을 통해 통신연결되는 제2무선통신모듈(61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무선통신모듈(611)과 제2무선통신모듈(612)은 통신의 신뢰성을 더 보장해 주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규약에 따르는 통신방식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써, 제1무선통신모듈(611)은 447㎒ 통신모듈이고, 제2무선통신모듈(612)은 LoRa 통신모듈과 블루투스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통신모뎀(610)은 무선통신의 장애에 대해 더 보완적인 구조로 채널당 무선통신을 보조하는 유선통신모듈(6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 유선통신모듈(613)은 제1무선통신모듈(611)과 제2무선통신모듈(612)을 보조하여 제1무선통신모듈과 제2무선통신모듈의 오프 시에 통신연결되는 수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신기는 무선통신에서 이중화를 가지며, 그룹단말을 구성하는 각 기기들이나 중계기에 대해 무선통신에 유선통신을 더하여 3중화 구조를 지원한다. 일예로, 유선통신모듈(613)은 RS-485 직렬인터페이스 모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메인수신기(600)나 예비수신기(700)는 기존의 화재 수신반에 Dongle 구조로 부착되어 그룹단말을 구성하는 기기와의 통신 호환성도 보장할 수 있다.
화재 수신반(100)은 메인수신기(600)와 예비수신기(700)에 범용직렬버스(USB)로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의 시스템은 메인수신기(600)로부터 예비수신기(700)까지 하나의 통신 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서 통신 장애 또는 기기 에러에 대한 상태 파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서 통신 장애 또는 기기 에러에 대한 상태 파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으로, 메인수신기(600)에서 예비수신기(700)까지의 통신 루프가 유선으로 통신연결된 경우에 화재 수신반(100)이 각 기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화재 수신반(100)은 메인수신기(600)를 통해 각 기기들에 순차적으로 상태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즉, 화재 수신반(100)은 메인수신기(600)를 통해 제1그룹단말(200)과 제1중계기(400)와 제2중계기(500)와 제2그룹단말(300)로 순차적으로 상태요청신호를 한다.
화재 수신반(100)은 통신 루프로 송신한 상태요청신호가 예비수신기(700)로 수신되는지를 체크한다. 화재 수신반(100)은 상태요청신호가 예비수신기(700)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통신 루프 상에서 즉, 제1그룹단말(200)에서 제2그룹단말(300)까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화재 수신반(100)은 통신 루프로 송신한 상태요청신호가 예비수신기(700)로 수신되면, 통신 루프의 통신 연결은 물론 통신 루프 상의 기기들을 모두 정상으로 판정한다.
반면에, 상태요청신호가 예비수신기(700)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화재 수신반(100)은 일단 제1그룹단말(200)에서 제2그룹단말(300)까지의 통신 연결이 특정 위치에서 단절된 상태로 판정한다. 그리고, 화재 수신반(100)의 보다 정확한 통신 단절 위치를 파악하거나 특정 기기의 에러 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메인수신기(600)를 통해 상태요청신호를 송신하여 그룹단말과 중계기 중에서 제N기기까지 응답신호가 수신되고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라면, 화재 수신반(100)은 예비수신기(700)를 통해 제2그룹단말(300)과 제2중계기(500)와 제1중계기(400)와 제1그룹단말(200) 중에서 상태요청신호에 대해 응답하지 않은 제(N+1)기기로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한다.
예비수신기(700)를 통해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화재 수신반(100)은 이전에 상태요청신호에 대해 응답한 제N기기와 현재 재전송된 상태요청신호에 대해 응답한 제(N+1)기기 사이에서 통신 연결이 단절된 상태로 판정한다. 그러나, 예비수신기(700)를 통해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화재 수신반(100)은 메인수신기(600)와 예비수신기(7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무선으로 제(N+1)기기에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한다.
무선으로 제(N+1)기기에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그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화재 수신반(100)은 제(N+1)기기의 전단과 후단에서 통신 연결이 단절된 상태로 판정한다. 반면에, 무선으로 제(N+1)기기에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도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화재 수신반(100)은 제(N+1)기기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이중화된 수신기를 통해 제1그룹단말(200)에서 제2그룹단말(300)까지의 통신 연결을 파악할 수도 있고, 제1그룹단말(200)과 제1중계기(400)와 제2중계기(500)와 제2그룹단말(300)의 각 기기에 대한 상태 체크도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화재 수신반
200: 제1그룹단말
300: 제2그룹단말
400: 제1중계기
500: 제2중계기
600: 메인수신기
700: 예비수신기

Claims (8)

  1.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에 있어서,
    제1영역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와, 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를 송출하는 제1발신기를 포함하는 제1그룹단말;
    제2영역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기와, 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를 송출하는 제2발신기를 포함하는 제2그룹단말;
    상기 제1그룹단말의 일 종단에서 통신연결을 지원하는 제1중계기;
    상기 제2그룹단말의 일 종단에서 상기 제1중계기와 통신연결을 지원하는 제2중계기;
    상기 제1그룹단말의 타 종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2그룹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수신기;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2그룹단말로부터 신호 수신 가능하도록 상기 제2그룹단말의 타 종단에 연결되는 예비수신기;
    상기 메인수신기와 상기 예비수신기에 범용직렬버스(USB)로 연결되는 화재 수신반으로 구성되되,
    상기 메인수신기와 상기 예비수신기는 동일한 통신채널을 사용하도록 채널식별자(Channel Identifier)를 설정하고,
    상기 메인수신기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상기 제1그룹단말에서 상기 제2그룹단말까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에, 상기 예비수신기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수신기 또는 상기 예비수신기는,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에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로 통신연결되는 통신모뎀과,
    상기 통신모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부와,
    상기 통신모뎀에 상기 통신채널을 할당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수신반은,
    상기 메인수신기에서 상기 예비수신기까지 유선으로 통신연결된 경우에, 상기 메인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1그룹단말과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2그룹단말로 순차적으로 상태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예비수신기로 상기 상태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제1그룹단말에서 상기 제2그룹단말까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수신반은,
    상기 예비수신기로 상기 상태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그룹단말에서 상기 제2그룹단말까지의 통신 연결이 특정 위치에서 단절된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예비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2그룹단말과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1그룹단말 중에서 상기 상태요청신호에 대해 응답하지 않은 제(N+1)기기로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상기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그룹단말과 상기 제2중계기와 상기 제1중계기와 상기 제1그룹단말 중에서 상기 상태요청신호에 대해 응답한 제N기기와 상기 제(N+1)기기 사이에서 통신 연결이 단절된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예비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상기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메인수신기와 상기 예비수신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제(N+1)기기에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상기 제(N+1)기기에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상기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N+1)기기의 전단과 후단에서 통신 연결이 단절된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무선으로 상기 제(N+1)기기에 상기 상태요청신호를 재송신하여 상기 제(N+1)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N+1)기기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KR1020190176165A 2019-12-27 2019-12-27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KR102160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65A KR102160560B1 (ko) 2019-12-27 2019-12-27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65A KR102160560B1 (ko) 2019-12-27 2019-12-27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560B1 true KR102160560B1 (ko) 2020-09-28

Family

ID=7280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165A KR102160560B1 (ko) 2019-12-27 2019-12-27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5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42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로제타텍 트래픽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재 경보 장치
KR20230055123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경보 장치 점검 방법 및 화재 경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69B1 (ko) * 2016-05-20 2016-12-29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비접촉식 온도센서를 이용한 통합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022887B1 (ko) * 2018-04-09 2019-09-19 김용규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69B1 (ko) * 2016-05-20 2016-12-29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비접촉식 온도센서를 이용한 통합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022887B1 (ko) * 2018-04-09 2019-09-19 김용규 무선화재감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42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로제타텍 트래픽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재 경보 장치
KR102585224B1 (ko) * 2021-02-16 2023-10-06 주식회사 로제타텍 트래픽을 제어 기능을 갖는 화재 경보 장치
KR20230055123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경보 장치 점검 방법 및 화재 경보 장치
WO2023068751A1 (ko) * 2021-10-18 2023-04-27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경보 장치 점검 방법 및 화재 경보 장치
KR102604591B1 (ko) * 2021-10-18 2023-11-22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경보 장치 점검 방법 및 화재 경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560B1 (ko)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 시스템
US9786157B2 (en) Bu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bus system
JP2017112594A5 (ko)
JP5540422B2 (ja) 光中継r型及びgr型受信機システム
KR101935693B1 (ko)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08028791B (zh) 井道通信系统
KR102206898B1 (ko) 화재감지기 및 자가진단이 가능한 중계장치를 구비하는 화재경보 시스템
CN110430109A (zh) 一种基于二总线的消防设备的通讯方法及系统
US7389202B2 (en) Modular system and process for obtaining measured data and for forwarding them in a radio-based manner
CA2602672A1 (en) Method for radio transmission in a radio cell of an alarm system
KR102022992B1 (ko) 중계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지기의 자가진단 방법
JP7010613B2 (ja) 警報システム
JP6196051B2 (ja) 警報システム
CA2818367A1 (en) Input/output unit and control system
KR20210074746A (ko)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수신반의 통신인터페이스 장치
KR101068504B1 (ko)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
JP6944557B2 (ja) 警報システムの警報報知方法
KR101120114B1 (ko) 화재 감지기 무선 연동 시스템
JP3622401B2 (ja) 防災用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短絡検出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防災用監視方法、防災用監視システム
JP2021176108A (ja) 無線式の自動火災報知設備
JP2006099394A (ja) 火災検知システムおよび火災検知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979173B1 (ko) 광중계 알-형 및 지알-형 수신기 시스템
JP7477282B2 (ja) 警報システム
KR101214042B1 (ko) 광통신 화재 감지기 및 화재 경보 수신기 시스템
JP4469191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