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693B1 -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693B1
KR101935693B1 KR1020170135043A KR20170135043A KR101935693B1 KR 101935693 B1 KR101935693 B1 KR 101935693B1 KR 1020170135043 A KR1020170135043 A KR 1020170135043A KR 20170135043 A KR20170135043 A KR 20170135043A KR 101935693 B1 KR101935693 B1 KR 10193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earthquake
signal
led
earthquake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해일
Original Assignee
강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해일 filed Critical 강해일
Priority to KR102017013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03Seismic data acquisition in general, e.g. survey desig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은 건물의 소정 위치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진 발생 재난 상황을 각각 감지하는 IOT 감지기와 상기 IOT 감지기가 감지한 진동 감지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진동 감지 신호가 소정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이를 지진 감지 신호로 인식하는 IOT 중계기를 포함하는 IOT 모듈, 건물 내 조명을 위해 소정 이격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으며, 지진 재난 상황 발생 및 해제 유무에 따라 상기 IOT 중계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일반 조명 모드와 지진 재난 조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LED 조명 장치, 상기 각 IOT 중계기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건물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각 IOT 중계기로부터 지진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허브, 그리고, 상기 허브와 일반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지진 발생 신호 또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 및 건물 입주자 등 일반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에 지진 발생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EARTHQUAKE DISASTER SYSTEM USING IOT MODULE AND LED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이를 신속히 파악하고 비상 대피가 가능하도록 비상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대피 방향 표시가 가능한 LED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비상 대피가 가능한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에서 화재나 홍수 등 재난 상황에 따라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건물 등에 구비된 재난 안전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히 비상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고 건물 내 입주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적 대피 안내 수단을 이용하여 신속한 대치나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2016년 9월 12일 오후 7시 44분과 8시 32분에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1의 여진과 규모 5.8의 본진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에 안전한 나라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되고 있다. 그런데 고층 건물 건축이 붐을 이루고 있으며 지진에 대한 안전 매뉴얼과 대피 메뉴얼이 제대로 갖추어 지지 않은 상황에서 자칫 강진으로 인해 전력공급에 문제가 생겨 정전이 동반 발생하는 경우 건물 내 입주자는 재난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은 상황에서 어두운 건물 내부에서 건물 외부로 신속한 대피를 하지 못하여 자칫 건물 붕괴나 기타 불안정한 구조물에 의한 사고로 인해 엄청난 인명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후기된 선행기술 문헌 상의 특허문헌들에 기재된 비상상황 경보 기능과 점멸 LED 등기구로 구비된 재난 안전 관리 시스템은 주로 화재 등에 비상 상황을 고려해 만든 재난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써, 지진 발생시 이를 자체 감지하지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설령 기상청 또는 재난 관리 본부 등으로부터의 지진 발생 정보 입수 시 재난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정전 등의 긴급 상황에서 제대로 관리자의 조작 없이도 유기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설령 작동을 한다고 하더라도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건물 내 입주자들의 비상 탈출이 용이하게 하도록 시청각적으로 안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7-0119348 A KR 10-2014-0123812 A KR 10-2014-0100572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에서 자체적으로 지진으로 인한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대피가 필요한 규모의 지진 발생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 정전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탈출로 안내를 위한 LED 조명 장치를 일괄 제어함으로써, 비상 상황과 대피로 안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은 건물의 소정 위치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진 발생 재난 상황을 각각 감지하는 IOT 감지기와 상기 IOT 감지기가 감지한 진동 감지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진동 감지 신호가 소정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이를 지진 감지 신호로 인식하는 IOT 중계기를 포함하는 IOT 모듈, 건물 내 조명을 위해 소정 이격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으며, 지진 재난 상황 발생 및 해제 유무에 따라 상기 IOT 중계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일반 조명 모드와 지진 재난 조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LED 조명 장치, 상기 각 IOT 중계기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건물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각 IOT 중계기로부터 지진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허브, 그리고, 상기 허브와 일반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지진 발생 신호 또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 및 건물 입주자 등 일반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에 지진 발생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IOT 중계기는 그 중 일부가 상기 IOT 감지기와 상기 허브 간 순수 중계 역할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순수 중계 역할 IOT 중계기는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제어 기능을 위한 구성이 배제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은 지진 재난 상황 발생이 종료된 경우 상기 IOT 중계기에 비상 전원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상기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해제하고 상용 전원을 활성화하여 상기 일반 조명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허브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지진 재난 대비 훈련을 위한 지진 발생 신호 또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IOT 중계에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진동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IOT 감지기로부터 인접한 복수개의 IOT 중계기에 소정 기준 값 이상의 진동 감지 신호가 모두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지진 재난 상황 감지 단계, 지진에 의한 진동 감지 신호를 인식한 상기 각 IOT 중계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허브에 지진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지진 감지 신호 전송 단계, 지진 감지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허브는 일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지진 발생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지진 발생 신호 전송 단계, 지진 발생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허브를 통해 상기 각 IOT 중계기에 비상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자 및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에 지진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비상 전원 제어 신호 및 지진 발생 정보 전송 단계, 그리고, 상기 비상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각 IOT 중계기는 상기 IOT 중계기에 연결된 LED 조명 장치의 비상 전원을 활성화하여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동작시키는 비상 전원 활성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상기 비상 전원 활성화 단계 후, 지진 재난 상황 발생이 종료되어 상기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지진 발생 해제 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 전송 여부 확인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지진 발생 해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허브를 경유하여 상기 각 IOT 중계기에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상용 전원 제어 신호 전송 단계, 그리고, 상기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IOT 중계기는 상기 IOT 중계기에 연결된 상기 LED 조명장치의 비상 전원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중지하고 일반 조명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비상 전원 비활성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허브를 통해 블루투스 만으로 특별한 거리 제한 없이 중계기와 스위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IOT 중계기와 가속도 센서가 구비된 IOT 감지기로 구성된 IOT 모듈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여부 및 강도를 자체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진 재난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지진 비상 재난 상황 발생 안내와 더불어 정전 등에 의한 어두운 실내 상황에서 원활한 탈출로 안내를 위한 LED 조명 장치의 비상 기능 제공을 통해 지진 재난 발생시 건물 외부로의 안전한 대피 및 지진 재난 상황에 대한 대처가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이 지진 발생시 비상 전원 활성화에 의해 LED 조명 장치가 대피 신호를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구성 블록도, 상태 블록도 및 순서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이 지진 발생시 비상 전원 활성화에 의해 LED 조명 장치가 대피 신호를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은 IOT 모듈(10), LED 조명 장치(30), 허브(40), 클라우드 서버(50),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60),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65), 상용 전원(71) 및 비상 전원(72)을 포함한다.
IOT 모듈(10)은 지진 재난 발생시 대피가 요구되는 건물의 소정 위치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진 발생 재난 상황을 각각 감지 및 전파하는 IOT 감지기(11,12,13,14)와 IOT 중계기(21,22,23,24)를 포함한다.
IOT 감지기(11,12,13,14)는 건물의 가장자리 외곽부 등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지진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IOT 중계기(21,22,23,24)는 대형 건물 등의 경우 원거리에서도 상기 IOT 감지기(11,12,13,14)의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건물 내 수평 또는 수직 방향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블루투스 통신 가능 거리 내에 있는 상기 복수개의 IOT 감지기(11,12,13,14) 모두로부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진동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지진 감지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단독 체제로 구성된 허브(40)에 전달한다. 또한 IOT 중계기(21,22,23,24)는 클라우드 서버(50)를 통해 허브(40)를 거쳐 피드백 되는 비상 전원 제어 신호 및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각각 기초로 지진 재난 발생 상황과 해제 상황에 맞추어 각각 지진 재난 조명 모드와 일반 조명 모드로 동작하도록 LED 조명 장치(3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건물 내 배치된 IOT 감지기(11,12,13,14), IOT 중계기(21,22,23,24) 및 허브(40) 간 상호 통신은 일반 유무선 통신망의 문제점인 통신 보안에 유리하고 비교적 원거리(500m 이내)에서 상호 통신이 가능한 이점을 살리기 위해 블루투스 통신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IOT 중계기(21,22,23,24)는 그 중 일부가 IOT 감지기(11,12,13,14)와 허브(40)간 순수 중계 역할만 하는 경우에는 해당 IOT 중계기(21,22,23,24)는 LED 조명 장치(30)의 제어 기능을 위한 구성이 배제될 수 있다.
LED 조명 장치(30)는 건물 내 조명을 위해 소정 이격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으며, 지진 재난 상황 발생 및 해제 유무에 따라 IOT 중계기(21,22,23,24)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일반 조명 모드와 지진 재난 조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
이를 위해 LED 조명장치(30)는 일반 조명 모드를 위해 상용 전원(71)에 연결된 일반 조명 LED 어레이(31)와,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위해 비상 전원(72)에 연결된 재난 조명 LED 어레이(32)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 조명 LED 어레이(31)는 통상 조명을 위한 백색 LED일 수 있고, 재난 조명 LED 어레이(32)의 경우 어두운 곳에서 멀리서도 육안 식별이 용이한 적색 LED 일 수 있으며 예건대 화살표 모양 등 대피 방향 지시 형상으로 LED 모듈에 배열된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LED 조명 장치(30)가 건물에 복수개 구비될 것이므로, 지진 재난 상황 시 대피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50)는 상기 허브(40)와 일반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허브(40)에 지진 발생 신호 또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60) 및 건물 입주자 등 일반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65)에 지진 발생 관련 안내 정보를 전송한다.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60)은 지진 재난 상황 발생이 종료된 경우 IOT 중계기(21,22,23,24)에 비상 전원(72)을 비활성화하여 재난 조명 LED 어레이(32)의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해제하고 상용 전원(71)을 활성화하여 일반 조명 LED 어레이(31)의 일반 조명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50) 및 허브(40)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지진 재난 대비 훈련을 위한 지진 발생 신호 또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IOT 중계기(21,22,23,24)에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먼저, 지진 감지 모드가 시작되어 진동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IOT 감지기(11,12,13,14)로부터 인접한 복수개의 IOT 중계기(21,22,23,24)에 소정 기준 값 이상의 진동 감지 신호가 모두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지진 재난 상황 감지 단계(S10)에서 출발한다.
이 때 복수개의 IOT 중계기(21,22,23,24)는 블루투스 통신 가능 IOT 중계기(21,22,23,24) 각각에 모두 미리 설정해둔 기준 값 이상의 진동 감지 신호가 각 IOT 중계기(21,22,23,24)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이는 건물 일부에서 발생한 지진 이외의 다른 진동 요소에 의한 것이거나 오작동이 아닌 지진에 의한 진동 감지 신호로 인식한다.
지진에 의한 진동 감지 신호를 인식한 각 IOT 중계기(21,22,23,24)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허브(40)에 지진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지진 감지 신호 전송 단계(S20)를 수행한다.
이후, 지진 감지 신호를 전송 받은 허브(40)는 일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지진 발생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50)에 전송하는 지진 발생 신호 전송 단계(S30)를 거친다.
지진 발생 신호를 전송 받은 클라우드 서버(50)는 허브(40)를 통해 각 IOT 중계기(21,22,23,24)에 비상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이동 통신 단말(60, 65)에 지진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비상 전원 제어 신호 및 지진 발생 정보 전송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비상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 받은 IOT 중계기(21,22,23,24)는 IOT 중계기(21,22,23,24)에 연결된 LED 조명 장치(30)의 비상 전원을 활성화하여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동작시키는 비상 전원 활성화 단계(S50)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지진 발생 대피로를 화살표 형태로 표시되는 적색 LED가 안내해주는 지진 재난 조명이 실행되게 된다.
이 후 지진 재난 상황 발생이 종료되어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65)로부터 클라우드 서버(50)로 지진 발생 해제 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 전송 여부 확인 단계(S60)를 거친다.
만일 클라우드 서버(50)에 지진 발생 해제 신호가 전송되면 클라우드 서버(50)는 허브(40)를 경유하여 각 IOT 중계기(21,22,23,24)에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상용 전원 제어 신호 전송 단계(S70)를 수행한다.
그러면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 받은 IOT 중계기(21,22,23,24)는 IOT 중계기(21,22,23,24)에 연결된 LED 조명장치(30)의 비상 전원을 비활성화하여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중지하고 LED 조명 장치(30)가 일반 조명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비상 전원 비활성화 단계(S80)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 조명이 복구되게 된다.
10 : IOT 모듈 11,12,13,14 : IOT 감지기
21,21,23,24 : IOT 중계기 30 : LED 조명 장치
31 : 일반 조명 LED 어레이 32 : 재난 조명 LED 어레이
33 : 릴레이 40 : 허브
50 : 클라우드 서버 60 :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
65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 71 : 상용 전원
72 : 비상 전원

Claims (5)

  1. 건물의 소정 위치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진 발생 재난 상황을 각각 감지하는 IOT 감지기와 상기 IOT 감지기가 감지한 진동 감지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진동 감지 신호가 소정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이를 지진 감지 신호로 인식하는 복수개의 IOT 중계기를 포함하는 IOT 모듈,
    건물 내 조명을 위해 소정 이격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으며, 지진 재난 상황 발생 및 해제 유무에 따라 상기 IOT 중계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일반 조명 모드와 지진 재난 조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LED 조명 장치,
    상기 각 IOT 중계기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건물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각 IOT 중계기로부터 지진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허브, 그리고,
    상기 허브와 일반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지진 발생 신호 또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 및 일반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에 지진 발생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은
    지진 재난 상황 발생이 종료된 경우 상기 IOT 중계기에 비상 전원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상기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해제하고 상용 전원을 활성화하여 상기 일반 조명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허브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지진 재난 대비 훈련을 위한 지진 발생 신호 또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IOT 중계기에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IOT 중계기는
    그 중 일부가 상기 IOT 감지기와 상기 허브 간 순수 중계 역할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순수 중계 역할 IOT 중계기는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제어 기능을 위한 구성이 배제되는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3. 삭제
  4. 진동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IOT 감지기로부터 인접한 복수개의 IOT 중계기에 소정 기준 값 이상의 진동 감지 신호가 모두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지진 재난 상황 감지 단계,
    지진에 의한 진동 감지 신호를 인식한 상기 각 IOT 중계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허브에 지진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지진 감지 신호 전송 단계,
    지진 감지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허브는 일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지진 발생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지진 발생 신호 전송 단계,
    지진 발생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허브를 통해 상기 각 IOT 중계기에 비상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자 및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에 지진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비상 전원 제어 신호 및 지진 발생 정보 전송 단계,
    상기 비상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각 IOT 중계기는 상기 IOT 중계기에 연결된 LED 조명 장치의 비상 전원을 활성화하여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동작시키는 비상 전원 활성화 단계,
    지진 재난 상황 발생이 종료되어 상기 관리자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지진 발생 해제 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지진 발생 해제 신호 전송 여부 확인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지진 발생 해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허브를 경유하여 상기 각 IOT 중계기에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상용 전원 제어 신호 전송 단계, 그리고,
    상기 상용 전원 제어 신호를 전송 받은 상기 IOT 중계기는 상기 IOT 중계기에 연결된 상기 LED 조명장치의 비상 전원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지진 재난 조명 모드를 중지하고 일반 조명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비상 전원 비활성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
  5. 삭제
KR1020170135043A 2017-10-18 2017-10-18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93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043A KR101935693B1 (ko) 2017-10-18 2017-10-18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043A KR101935693B1 (ko) 2017-10-18 2017-10-18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693B1 true KR101935693B1 (ko) 2019-01-04

Family

ID=6501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043A KR101935693B1 (ko) 2017-10-18 2017-10-18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6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69B1 (ko) * 2019-05-27 2019-10-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전기 설비 재난 대응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169230B1 (ko) * 2019-04-22 2020-10-23 강해일 비상 전력 및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한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00140559A (ko) 2019-06-07 2020-12-16 강해일 메쉬 블루투스 통신망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재난 알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20058986A (ko) 2020-11-02 2022-05-10 김태동 비대면 서비스 방식의 증강 현실 기반 관광 가이드용 ar 글래스 및 그 운영 방법
KR20220068415A (ko) * 2020-11-19 2022-05-26 강해일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한 긴급 상황 경고 시스템
KR102537590B1 (ko) 2023-02-22 2023-05-30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클라우드 기반 재난 정보 제공 및 전력 소모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ko)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101608971B1 (ko) 2015-04-30 2016-04-20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Led 조명모듈을 이용한 비상감지 및 대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4867B1 (ko) 2015-05-07 2016-05-27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센서 일체형 led 조명등을 이용한 감시 및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9477B1 (ko) * 2017-01-23 2017-09-18 임혜영 지진감지분석·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갖는 스마트 저전력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ko)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101608971B1 (ko) 2015-04-30 2016-04-20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Led 조명모듈을 이용한 비상감지 및 대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4867B1 (ko) 2015-05-07 2016-05-27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센서 일체형 led 조명등을 이용한 감시 및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9477B1 (ko) * 2017-01-23 2017-09-18 임혜영 지진감지분석·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갖는 스마트 저전력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230B1 (ko) * 2019-04-22 2020-10-23 강해일 비상 전력 및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한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30769B1 (ko) * 2019-05-27 2019-10-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전기 설비 재난 대응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00140559A (ko) 2019-06-07 2020-12-16 강해일 메쉬 블루투스 통신망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재난 알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20058986A (ko) 2020-11-02 2022-05-10 김태동 비대면 서비스 방식의 증강 현실 기반 관광 가이드용 ar 글래스 및 그 운영 방법
KR20220068415A (ko) * 2020-11-19 2022-05-26 강해일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한 긴급 상황 경고 시스템
KR102438284B1 (ko) * 2020-11-19 2022-08-30 강해일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한 긴급 상황 경고 시스템
KR102537590B1 (ko) 2023-02-22 2023-05-30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클라우드 기반 재난 정보 제공 및 전력 소모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693B1 (ko)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2023851B1 (ko)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25802B1 (ko)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43111B1 (en) Fire alarm system
JP2014225055A (ja) 警報システム
KR101364813B1 (ko) 스마트형 소방 방재시스템
KR101950793B1 (ko) 소방전용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
EP3101951A1 (en) Bidirectional redundant mesh networks
KR20210020392A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19894B1 (ko) 사용자 이동단말을 이용한 화재 무선 제어 시스템
KR101514897B1 (ko) 전력선 통신 및 보조 통신수단을 수반한 자동 소화 시스템
JP2023100952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269232B1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KR20100012093U (ko) 119 화재 알림 장치
JP7474944B2 (ja) 情報端末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789528B2 (ja) 共同住宅用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KR20200068099A (ko) Iot 중계기 및 led 조명 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재난 안전 대피 및 구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JP4888445B2 (ja) 警報監視システム
KR20110108038A (ko) 현장 설정 관리가 가능한 p형 수신기를 이용한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JP6517035B2 (ja) 警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36628A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