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49Y1 -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 Google Patents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49Y1
KR200459249Y1 KR2020110006865U KR20110006865U KR200459249Y1 KR 200459249 Y1 KR200459249 Y1 KR 200459249Y1 KR 2020110006865 U KR2020110006865 U KR 2020110006865U KR 20110006865 U KR20110006865 U KR 20110006865U KR 200459249 Y1 KR200459249 Y1 KR 200459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perating
fire extinguisher
rod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섭
Original Assignee
(주)동신소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6258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5924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신소방 filed Critical (주)동신소방
Priority to KR2020110006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2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e.g. rods, le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동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소화약제 탱크에 설치된 노즐헤드에 소화약제 분사 시 분사압력의 일부를 공급받아 이용하기 위한 작동압력 분기수단을 둠과 동시에 노즐헤드에 결합 설치된 분사 작동구에는 분기된 작동압력을 공급받아 노즐헤드의 개방 작동을 수행하는 타격봉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압력 유입수단을 구비시키되 각각의 작동압력 분기수단과 작동압력 유입수단은 인접 설치된 타 소화기의 작동압력 유입수단과 작동압력 분기수단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소화기를 설치하더라도 어느 하나의 소화기가 화재열을 감지하여 작동되면 이와 연결된 타 소화기가 연쇄 작동되면서 소화액을 분사시켜줄 있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임의 화재방지 영역의 소화에 적합한 소화약제량을 소용량 소화기의 복수 설치를 통해 정확하게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화재방지 영역에 적합한 만큼의 소화약제량을 소비할 수 있어 필요이상의 과다한 소화약제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소화기 용량의 소형화와 설치장소의 증가를 통해 소화기의 설치장소의 선정이 용이하게 되며, 소화기의 용량규격을 다양화시킬 필요성이 배제되어 소화기 제조라인의 공정 절감을 통한 작업성의 개선과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THE CHAIN ACTION OPERATION STRUCTURE OF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동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소화약제 탱크에 설치된 노즐헤드에 소화약제 분사 시 분사압력의 일부를 공급받아 이용하기 위한 작동압력 분기수단을 둠과 동시에 노즐헤드에 결합 설치된 분사 작동구에는 분기된 작동압력을 공급받아 노즐헤드의 개방 작동을 수행하는 타격봉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압력 유입수단을 구비시키되 각각의 작동압력 분기수단과 작동압력 유입수단은 인접 설치된 타 소화기의 작동압력 유입수단과 작동압력 분기수단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소화기를 설치하더라도 어느 하나의 소화기가 화재열을 감지하여 작동되면 이와 연결된 타 소화기가 연쇄 작동되면서 소화액을 분사시켜줄 있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화재 방지영역의 확장은 물론 신속 정확한 화재감지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또한 임의 화재방지 영역의 소화에 적합한 소화약제량을 소용량 소화기의 복수 설치를 통해 정확하게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화재방지 영역에 적합한 만큼의 소화약제량을 소비할 수 있어 필요이상의 과다한 소화약제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소화기 용량의 소형화와 설치장소의 증가를 통해 소화기 설치장소의 선정이 용이하게 되며, 소화기의 용량규격을 다양화시킬 필요성이 배제되어 소화기 제조라인의 공정 절감을 통한 작업성의 개선과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소화기란 건물 내부나 차량 내의 적당한 곳에 미리 비치하여 놓고 화재가 발생한 즉시 그 불을 끄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금속으로 만든 원통으로 압착공기를 이용하는 분수소화기, 화학적으로 발생시킨 탄산가스를 분출시키는 탄산가스소화기, 중탄산소다(重炭酸soda)가루를 분출시키는 분말소화기, 탄산가스의 기포를 분출하는 포말 소화기 등이 있으며, 이들 소화기는 통로의 적당 장소나 입구에 미리 설치하고, 많은 사람이 그 설치장소를 알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생이라고 하는 긴급 상황 하에서 신속하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작동방식은 수동과 자동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수동식 소화기는,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소화기의 일 부품인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잡아당김으로써 내부의 뇌관장치가 파열되어 충전된 소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자동식 소화기의 경우에는 소화약제 탱크에 결합 구성되는 노즐헤드에 분사 작동구를 결합시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분사 작동구의 열감지 유리관이 화재 열을 감지하여 파손되면서 로킹 되어있던 타격봉의 구속을 해제하면서 타격봉이 격발 전진되도록 하여 노즐헤드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구조가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변전소 및 공장이나 건물 등에 있어서의 전기실에 설치된 배전반이나 각종 장비의 전기용 패널 등에는 소화 장치가 직접 장착 설치되지 못하였고, 대신 하론 CO2소화용기를 별도 구비하여 놓거나 건물자체의 천장 부에 화재 발생 시 작동되는 하론 소화설비, CO2소화설비 또는 청정 소화설비를 설치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했던 기존의 소화기들은 연쇄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가 전무했던 관계로, 일정한 화재 방지영역 내에서 화재발생빈도가 가장 심한 위치 한 곳 또는 몇 군데의 화재발생위험 포인트를 설정한 뒤 이에 대용량의 소화기를 단독 또는 복수 개를 설치하는 방식이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열감지식 소화기의 경우, 단독 설치의 경우에는 화재감지 포인트가 한 곳으로 국한되어 화재 방지영역이 제한되고 또한 화재 감지의 확률이 저조하여 정확한 화재감지효과를 거두기 어려웠으며,
또한 소화기의 용량 규격이 다양하지 못해 규격간의 용량차이 커지고 이로 인해 정확히 해당 화재방지 영역의 소화에 적합한 만큼의 소화약제량이 수용된 소화기를 적용하는 것이 어려워 대부분 상대적으로 큰 용량 규격의 소화기를 적용하게 됨으로써 화재 시 필요이상의 소화약제가 소비되어 비경제적인 문제가 초래되며,
소화기가 대용량인 관계로 크기와 중량이 비대하여 설치장소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소화기 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소화기 적용 영역에 부응하기 위하여 소화기의 용량규격을 다양화시킬 필요성으로 인해 소화기 제조라인의 공정이 증가, 복잡해짐으로써 작업성과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그리고 후자와 같이 복수개의 화재발생위험 포인트를 지정한 뒤 각 포인트 마다 대용량의 소화기를 설치하는 방식의 경우, 화재감지 포인트가 여러 곳으로 확장되어 화재 감지의 확률이 증가되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화재감지효과를 거두는 것은 가능하나 연쇄작동 구조가 없어 각 소화기 마다 개별 독립적으로 작용되는 것이므로, 모든 소화기가 설치된 곳에서 동시 다발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한 화재 감지와 소화 작동이 하나의 소화기에서만 이루어지게 되어 이 또한 화재 방지영역이 제한되고, 나머지 화재 발생지점 이외의 소화기들은 화재가 진행되고 화재 열로 인해 온도가 크게 높아진 후에야 감지되고 작동되는 것이어서 적정한 소화 타이밍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초래되어 실용성이 매우 미미한 것이어서 화재 감지의 확률성 증가라는 효과를 제외하면 실제적으로는 소화기의 단독 설치와 큰 차이가 없어 자원의 낭비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의 소화기를 설치하더라도 어느 하나의 소화기가 화재열을 감지하여 작동되면 이와 연결된 타 소화기가 연쇄 작동되면서 소화액을 분사시켜줄 있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화재 방지영역의 확장은 물론 신속 정확한 화재감지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또한 임의 화재방지 영역의 소화에 적합한 소화약제량을 소용량 소화기의 복수 설치를 통해 정확하게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화재방지 영역에 적합한 만큼의 소화약제량을 소비할 수 있어 필요이상의 과다한 소화약제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용량의 소형화와 설치장소의 다변화를 통해 소화기의 설치장소의 선정이 용이하게 되며, 소화기의 용량규격을 다양화시킬 필요성이 배제되어 소화기 제조라인의 공정 절감을 통한 작업성의 개선과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화약제 탱크에 설치된 노즐헤드에 소화약제 분사 시 분사압력의 일부를 공급받아 이용하기 위한 작동압력 분기수단을 둠과 동시에 노즐헤드에 결합 설치된 분사 작동구에는 분기된 작동압력을 공급받아 노즐헤드의 개방 작동을 수행하는 타격봉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압력 유입수단을 구비시키되 각각의 작동압력 분기수단과 작동압력 유입수단은 인접 설치된 타 소화기의 작동압력 유입수단과 작동압력 분기수단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복수개의 소화기를 설치하더라도 어느 하나의 소화기가 화재열을 감지하여 작동되면 이와 연결된 타 소화기가 연쇄 작동되면서 소화액을 분사시키게 됨으로써 화재 방지영역의 확장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또한 임의 화재방지 영역의 소화에 적합한 소화약제량을 소용량 소화기의 복수 설치를 통해 정확하게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화재방지 영역에 적합한 만큼의 소화약제량을 소비할 수 있어 필요이상의 과다한 소화약제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소화기의 용량 소형화와 설치장소의 증가를 통해 소화기의 설치장소의 선정이 용이하게 되며,
소화기의 용량규격을 다양화시킬 필요성이 배제되어 소화기 제조라인의 공정 절감을 통한 작업성의 개선과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소화기의 일 설치 예를 보이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소화기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3은 소화기 작동 전의 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 예시도.
도 4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분기된 작동압력을 통해 소화기를 분사 작동 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 예시도.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소화약제탱크(T)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내부에 관로(12)와 연결되는 가스 수용실(13)과 분사구(14)를 구비하는 헤드몸체(11)와, 상기 가스 수용실(13)의 내부에 스프링(15)을 통해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16)와, 상기 가스 수용실(13)의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헤드 캡(17)내에 결합 고정되는 실링동판(18)을 포함하는 공지의 노즐헤드(10)와,
상기 헤드 캡(17)에 나사 결합되며 내부에 작동실(22)을 구비하는 작동몸체(21)와, 상기 작동실(22)의 내부에 스프링(24)을 통해 일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측단에 피스톤(23')이 결합되는 타격봉(23)과, 상기 작동실(22)의 내부에서 피스톤(23')의 후방에서 상기 타격봉(23)에 전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스프링(25')을 통해 일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작동로드(25)와, 상기 작동몸체(21)에 작동로드(25)와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결합 구성되는 프레임(26) 및 상기 작동로드(25)에 요입 구성되는 로킹 홈(27A)과, 이 로킹 홈(27A)에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볼(27B), 상기 로킹 홈(27A)에서 로킹 볼(27B)을 삽탈시키도록 스프링(27D)을 통해 일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프레임(26)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 제어봉(27C)과, 상기 로드 제어봉(27C)과 프레임(26)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열감지 유리관(28)을 각각 포함하는 공지의 분사 작동구(20)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10)의 분사구(14)와 연결되도록 헤드몸체(11)에 체결 고정되며 타 소화약제탱크(T)의 작동몸체(21)에 결합되는 후술하는 작동압력 유입수단(40)과 연결되는 작동압력 분기수단(30)과,
상기 로드 제어봉(27C)이 위치되는 작동실(22)내부와 연결되도록 작동몸체(21)에 체결 고정되며 타 소화약제탱크(T)의 노즐헤드(10)에 결합되는 상기한 작동압력 분기수단(30)과 연결되는 작동압력 유입수단(4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 도면 중 미설명 부호 L은 연결 관체를 보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임의의 화재예방 영역에 화재 발생우려가 높은 곳을 선정하여 적용 설치한 상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각각의 소화약제탱크(T)에 설치된 작동압력 분기수단(30)과 작동압력 유입수단(40)을 별도의 연결관체(L)를 이용하여 인접 설치된 타 소화약제탱크(T)의 작동압력 유입수단(40)및 작동압력 분기수단(30)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노즐헤드(10)의 밸브체(16)는 가스 수용실(13)내에 충진된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밀려나 관로(12)와 분사구(14)의 통로를 상호 단절시켜 소화약제탱크(T)내의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며,
로드 제어봉(27C)과 프레임(26)의 사이에는 열감지 유리관(28)이 위치되어 로드 제어봉(27C)이 최대한 밀려 올라간 상태가 되며 로드 제어봉(27C)의 상단은 로킹 볼(27B)을 밀어 작동로드(25)의 로킹 홈(27A)내에 끼워지도록 하여 작동로드(25)가 무단으로 전진되지 못하도록 로킹하고 있으며,
상기 타격봉(23)은 스프링(24)의 탄발력에 의해 뒤로 후퇴되려는 힘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피스톤(23')이 작동로드(25)의 선단에 닿아 정지되고 있는 상태로서 타격봉(23)의 선단은 가스 수용실(13)을 밀폐시키고 있는 헤드 캡(17)의 실링동판(18)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어 임의 위치에 설치된 분사 작동구(20)의 열감지 유리관(28)이 화재 열에 의해 변형 파손되게 되면 받침대 역할을 하던 열감지 유리관(28)이 제거되면서 로드 제어봉(27C)은 스프링(27D)의 탄발력으로 하향 이동되며 이로 인해 로킹 볼(27B)을 밀어 지지하고 있던 로드 제어봉(27C)의 외력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어 로킹 볼(27B)은 작동로드(25)의 로킹 홈(27A)에서 빠지면서 더 이상 작동로드(25)를 구속하지 않게 됨으로써 작동로드(25)는 스프링(25')의 탄발력으로 인해 전진되면서 피스톤(23')을 밀어주고 타격봉(23)은 돌출 전진되면서 헤드 캡(17)의 실링동판(18)을 찢어 개봉시킴으로써 가스 수용실(13)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밸브체(16)를 밀고 있던 압력이 제거되고 이로 인해 밸브체(16)는 스프링(15)의 당김력으로 인해 이동되면서 관로(12)와 분사구(14)를 개통시켜줌으로써 소화약제탱크(T)내의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화약제 분사과정은 이미 공지구조에서 익히 알려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일차적으로 화재를 감지한 임의의 분사 작동구(20)가 작동되어 분사구(14)가 개방되는 경우 본 고안의 작동압력 분기수단(30)도 함께 개방되며 이로 인해 소화약제탱크(T)내의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경우 대부분 분사구(14)를 통해 분사되어 소화 작업에 이용되지만 일부의 분사압력은 작동압력 분기수단(30)으로 유입되어 도 4에서와 같이 이에 연결된 타 소화약제탱크(T)의 작동압력 유입수단(40)으로 공급되며 공급된 분사압력은 피스톤(23')의 후방의 작동실(22)로 유입되어 피스톤(23')을 밀어주게 됨으로써 타격봉(23)이 전진 돌출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실링동판(18)을 찢어 개봉시키고 밸브체(16)를 이동시켜 분사구(14)를 개통시켜줌으로써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며 분사압력 중 일부는 다시 연결된 타 소화약제탱크(T)의 작동압력 유입수단(40)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과정이 반복되면서 연결 설치된 모든 소화기에서 연쇄적으로 분사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노즐헤드 11:헤드 몸체
12:관로 13:가스 수용실
14:분사구 15:스프링
16:밸브체 17:헤드 캡
18:실링동판 20:분사 작동구
21:작동몸체 22:작동실
23:타격봉 23':피스톤
25:작동로드 25':스프링
26:프레임 27A:로킹 홈
27B:로킹 볼 27C:로드 제어봉
28:열감지 유리관 30:작동압력 분기수단
40:작동압력 유입수단

Claims (1)

  1. 소화약제탱크(T)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내부에 관로(12)와 연결되는 가스 수용실(13)과 분사구(14)를 구비하는 헤드몸체(11)와, 상기 가스 수용실(13)의 내부에 스프링(15)을 통해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16)와, 상기 가스 수용실(13)의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헤드 캡(17)내에 결합 고정되는 실링동판(18)을 포함하는 공지의 노즐헤드(10)와,
    상기 헤드 캡(17)에 나사 결합되며 내부에 작동실(22)을 구비하는 작동몸체(21)와, 상기 작동실(22)의 내부에 스프링(24)을 통해 일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측단에 피스톤(23')이 결합되는 타격봉(23)과, 상기 작동실(22)의 내부에서 피스톤(23')의 후방에서 상기 타격봉(23)에 전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스프링(25')을 통해 일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작동로드(25)와, 상기 작동몸체(21)에 작동로드(25)와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결합 구성되는 프레임(26) 및 상기 작동로드(25)에 요입 구성되는 로킹 홈(27A)과, 이 로킹 홈(27A)에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볼(27B), 상기 로킹 홈(27A)에서 로킹 볼(27B)을 삽탈시키도록 스프링(27D)을 통해 일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프레임(26)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 제어봉(27C)과, 상기 로드 제어봉(27C)과 프레임(26)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열감지 유리관(28)을 각각 포함하는 공지의 분사 작동구(20)에 있어서,
    상기 로드 제어봉(27C)이 위치되는 작동실(22) 내부와 연결되도록 작동 몸체(21)에 연결되어 열감지유리관(28) 작동시 피스톤(23')과 타격봉(23)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압력을 유입시키는 작동압력 유입수단(40); 및
    상기 노즐헤드(10)의 분사구(14)와 연결되도록 헤드몸체(11)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작동압력 유입수단(40)으로부터 작동압력 유입시 밸브(16)의 작동으로 소화약제탱크(T)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일부가 분기 배출되는 작동압력 분기수단(30)
    을 더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KR2020110006865U 2011-07-28 2011-07-28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KR200459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65U KR200459249Y1 (ko) 2011-07-28 2011-07-28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65U KR200459249Y1 (ko) 2011-07-28 2011-07-28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249Y1 true KR200459249Y1 (ko) 2012-03-23

Family

ID=4762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865U KR200459249Y1 (ko) 2011-07-28 2011-07-28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4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638B1 (ko) * 2016-04-04 2017-02-20 (주)포트텍 소화기용 밸브 장치
KR101987083B1 (ko) 2018-03-30 2019-06-10 임원국 소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쇄 작동식 소화설비
KR20190117259A (ko) 2018-04-06 2019-10-16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20210041385A (ko) 2019-10-07 2021-04-15 안상수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KR20220114280A (ko) 2021-02-08 2022-08-17 창신기술 주식회사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KR20220118651A (ko) 2021-02-19 2022-08-26 (주)페스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8Y1 (ko) * 2005-08-04 2005-11-04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2894Y1 (ko) * 2005-08-09 2005-1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KR20080001531U (ko) * 2006-11-29 2008-06-03 이원일 2유체 소화 분무장치의 가스용기 개폐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8Y1 (ko) * 2005-08-04 2005-11-04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2894Y1 (ko) * 2005-08-09 2005-1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KR20080001531U (ko) * 2006-11-29 2008-06-03 이원일 2유체 소화 분무장치의 가스용기 개폐밸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638B1 (ko) * 2016-04-04 2017-02-20 (주)포트텍 소화기용 밸브 장치
KR101987083B1 (ko) 2018-03-30 2019-06-10 임원국 소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쇄 작동식 소화설비
KR20190117259A (ko) 2018-04-06 2019-10-16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2056472B1 (ko) * 2018-04-06 2019-12-16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20210041385A (ko) 2019-10-07 2021-04-15 안상수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KR20220114280A (ko) 2021-02-08 2022-08-17 창신기술 주식회사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KR20220118651A (ko) 2021-02-19 2022-08-26 (주)페스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601Y1 (ko)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KR200459249Y1 (ko)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CN201469941U (zh) 风力发电机组灭火装置
CN104906722A (zh) 双驱混合细水雾灭火系统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CN102688570A (zh) 一种隧道消防安全保障系统及其灭火方法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1034175B1 (ko) 고압가스를 이용한 소화전
KR200447990Y1 (ko) 자동확산 소화기
CN203549081U (zh) 抑爆器用快开阀
KR20090083266A (ko) 소방용 분무 관창
CN210131281U (zh) 应用于城市地下综合管廊的高压细水雾灭火系统
CN105107121A (zh) 一种全方位的灭火装置
JP3241259U (ja) 多段エネルギー貯蔵消防システム
CN103061809A (zh) 一种矿坑道火灾隔断装置
CN105107119A (zh) 一种全方位的消防灭火设备
KR100976172B1 (ko) 질소가스 커튼을 형성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987083B1 (ko) 소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쇄 작동식 소화설비
CN203935542U (zh) 一种gps智能气体自动预警灭火消防系统
CN104540554A (zh) 预作用喷淋系统操作增压器
CN204619224U (zh) 公共汽车用灭火系统
CN201802413U (zh) 无外接气源矿井巷道快速封堵装置
JP2016106731A (ja) 消火設備及び火災時警告表示方法
KR940002943Y1 (ko) 소화용 가스 개방을 위한 수자동 천공장치
CN205612907U (zh) 一种电启动式粉末灭火剂喷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0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0144;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80115

Effective date: 2018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