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638B1 - 소화기용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용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638B1
KR101707638B1 KR1020160041211A KR20160041211A KR101707638B1 KR 101707638 B1 KR101707638 B1 KR 101707638B1 KR 1020160041211 A KR1020160041211 A KR 1020160041211A KR 20160041211 A KR20160041211 A KR 20160041211A KR 101707638 B1 KR101707638 B1 KR 10170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ire extinguishing
needle
pressur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수
Original Assignee
(주)포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트텍 filed Critical (주)포트텍
Priority to KR102016004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 A62C13/2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the chemicals in a single case, e.g. in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68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로를 구비한 소화기용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에 의해 파열되는 벌브와 니들에 의하여 파열되는 파열판을 동시에 구비하여 둘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유로가 개방되는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소화 장치의 밸브 개방을 위해 벌브와 파열판을 동시에 적용하여 구성하되, 복수의 소화 장치의 각각에 설치된 벌브 중 먼저 화재를 감지한 벌브가 파열되어 분사되는 소화 가스에 의해 다른 소화 장치의 니들이 작동되어 소화가스가 방출하도록 구성된 소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화기용 밸브 장치{Valve f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로를 구비한 소화기용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에 의해 파열되는 벌브와 니들에 의하여 파열되는 파열판을 동시에 구비하여 둘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유로가 개방되는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초기 진화를 위한 수단으로 건물 내 또는 산업현장에 방제구역을 설정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소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소화대상물은 단순한 건물 혹은 그 내부의 장치 및 기록물 등에 국한되지 않고 점점 다양화되는 추세이며 이는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른 부속설비 등의 다양화와 집적화 및 고가화에 따른 것으로, 데이터저장장치, 전기패널, 통신패널 등은 예전에 비해 집적도가 높고 기능이 복잡하며, 중요한 역활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소화장치가 개발되어 방호구역 전체뿐만 아니라 개별 설비에도 적용 가능한 제품들이 공급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기존소화설비의 응용수준에 그쳐 성능과 가격 및 설치의 용이성에서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으며,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 다른 일례로, 방호구역 전체를 단독으로 방호하면서 복수의 용기를 설치하는 경우, 종래의 용기밸브는 개별작동하여 화재를 진화하지 못하므로 복수의 용기를 동시에 작동시킬 기동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113301호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소방 설비의 기동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동 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한 기동용기를 사용하였으나, 상기한 기동장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고, 상기 감지센서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어기를 별도로 구비해야만 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소화 장치의 밸브 개방을 위해 벌브와 파열판을 동시에 적용하여 구성하되, 복수의 소화 장치의 각각에 설치된 벌브 중 먼저 화재를 감지한 벌브가 파열되어 분사되는 소화 가스에 의해 다른 소화 장치의 니들이 작동되어 소화가스가 방출하도록 구성된 소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소방용 밸브 장치는, 소화약제를 공급받아 토출하기 위한 약제 유로와, 일측은 상기 약제 유로와 연통하고 타측에는 제1 드레인홀과 제2 드레인홀이 형성된 드레인 유로를 가지는 밸브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유로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약제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벌브의 지지를 통하여 상기 제1 드레인홀을 폐쇄하고, 화재시 상기 벌브가 파열되면서 상기 제1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제1 드레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파열판을 통하여 상기 제2 드레인홀을 폐쇄하고, 화재시 상기 파열판이 파열되면서 상기 제2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제2 드레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드레인홀과 상기 제2 드레인홀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드레인부는 벌브바디와, 상기 제1 드레인홀을 폐쇄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벌브는 상기 플러그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벌브바디와 상기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드레인부는 니들바디와, 상기 제2 드레인홀을 폐쇄하는 파열판과, 상기 파열판을 파열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상기 니들바디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니들어셈블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바디는 일측에 상기 니들어셈블리를 밀고 나가도록 압력을 제공받는 압력공급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장치는 복수이되, 상기 복수의 밸브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밸브 장치의 상기 압력공급홀은 상기 압력을 공급받기 위해서 다른 하나의 밸브 장치의 상기 약제 유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바디는 상기 밸브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파열판을 고정하는 니들어댑터와, 상기 니들어댑터에 결합되어 상기 니들어댑터와 함께 상기 니들어셈블리를 가이드하는 니들하우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니들어셈블리를 후퇴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어셈블리는 상기 파열판을 파열하기 위해 제공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과 결합되어 상기 니들을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유로는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 압력이 충진되는 압력 챔버와, 일단이 상기 제1 드레인홀을 형성하는 제1 유로와, 일단이 상기 제2 드레인홀을 형성하는 제2 유로와, 상기 압력 챔버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연결하는 제3 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제3 유로는 알파벳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압력 챔버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된 밸브어댑터와,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제3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어댑터 사이에 결합되는 드레인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밸브 장치가 설치되는 소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소화 장치는, 전술한 밸브 장치가 설치되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는 복수 개이되,
상기 복수 개의 소화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소화 장치에서 상기 벌브가 파열된 경우 다른 소화 장치로 압력을 공급하여 상기 다른 소화 장치의 상기 파열판이 파열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소화 장치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연결라인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소화 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밸브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의 밸브도 개방되는 복수의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는,
소화약제를 수용하는 소화 용기; 상기 소화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 약제를 공급받아 토출하는 약제 유로; 상기 약제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 충진된 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해 제공되고, 제1 드레인홀과 제2 드레인홀을 가지는 드레인 유로;
평상시 상기 제1 드레인홀을 폐쇄하고, 화재시 벌브가 파열되면서 상기 제1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제1 폐쇄부; 및 평상시 상기 제2 드레인홀을 폐쇄하고, 화재시 파열판이 파열되면서 상기 제2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제2 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소화 장치의 상기 벌브가 파열된 경우 다른 하나의 소화 장치로 압력이 제공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소화 장치의 파열판이 파열되도록, 상기 하나의 소화 장치의 상기 약제 유로는 상기 다른 하나의 소화 장치의 제2 폐쇄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소화 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밸브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의 밸브도 연동하여 개방되는 복수의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는,
후방 압력에 의하여 폐쇄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후방 압력의 배출에 의하여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체; 상기 후방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 임계 온도 이상에서 내부의 액체가 팽창하여 파열되는 벌브와, 상기 벌브의 지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플러그를 가지는 제1 폐쇄부
상기 제2 유로를 폐쇄하는 파열판과, 압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파열판을 파열하도록 설치되는 니들을 가지는 제2 폐쇄부;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화 장치의 상기 제1 유로의 개방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력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소화 장치의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 상호 간을 연결하는 압력 이동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소화 장치의 밸브 개방을 위해 벌브와 파열판을 동시에 적용하여 구성하되, 복수의 소화 장치의 각각에 설치된 벌브 중 먼저 화재를 감지한 벌브가 파열되어 분사되는 소화 가스에 의해 다른 소화 장치의 니들이 작동되어 소화가스가 방출하도록 구성된 소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일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밸브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후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제1 드레인부가 제1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제2 드레인부가 제2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소화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소화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가 6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일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밸브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100)는 소화약제를 공급받아 토출하기 위한 약제 유로(L1, L2)와, 일측은 상기 약제 유로(L1, L2)와 연통하고 타측에는 제1 드레인홀(H1)과 제2 드레인홀(H2)이 형성된 드레인 유로(400)를 가지는 밸브바디(300);
상기 드레인 유로(40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약제 유로(L1, L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더(30); 평상시 벌브(150)의 지지를 통하여 상기 제1 드레인홀(H1)을 폐쇄하고, 화재시 상기 벌브(150)가 파열되면서 상기 제1 드레인홀(H1)을 개방하는 제1 드레인부(500); 및
평상시 파열판(610)을 통하여 상기 제2 드레인홀(H2)을 폐쇄하고, 화재시 상기 파열판(610)이 파열되면서 상기 제2 드레인홀(H2)을 개방하는 제2 드레인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약제 유로(L1, L2)는 소화 약제가 밸브로 유입되고, 유입된 소화 약제가 밸브에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약제 유로(L1, L2)는 토출 유로(L1)와 유입 유로(L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유로(L2)는 소화 용기(810)와 연결되어 소화 용기(810)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유입될 수 있다. 토출 유로(L1)는 유입 유로(L2)와 연결되는 구조이며, 유입 유로(L2)를 통하여 밸브 장치(100)로 유입된 소화약제는 토출 유로(L1)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토출 유로(L1)에는 소화약제의 분사를 수행하는 노즐부(710)가 연결될 수 있다(도 6을 참조). 실시예에 따라서 유입 유로(L2)와 토출 유로(L1)는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유로(400)는 상기 슬라이더(30)가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더(30)의 후방에 압력이 충진되는 압력챔버(410)와, 일단이 상기 제1 드레인홀(H1)을 형성하는 제1 유로(420)와, 일단이 상기 제2 드레인홀(H2)을 형성하는 제2 유로(430)와, 상기 압력챔버(410)와 상기 제1 유로(420)와 상기 제2 유로(430)를 연결하는 제3 유로(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유로(420)와 상기 제2 유로(430)와 상기 제3 유로(440)는 알파벳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드레인홀(H1)과 상기 제2 드레인홀(H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밸브바디(300)는 압력챔버(410)가 형성된 메인바디(10)와, 상기 제1 유로(420)와 상기 제2 유로(430)가 형성된 밸브어댑터(160)와, 상기 메인바디(10)와 상기 제3 유로(440)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어댑터(160) 사이에 결합되는 드레인바디(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약제 유로(L1, L2)도 역시 밸브바디(300)의 메인바디(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드레인부(500)는 화재가 나지 않은 평상시는 제1 드레인홀(H1)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제1 드레인홀(H1)을 개방한다.
제1 드레인부(500)는 벌브바디(510)와, 상기 제1 드레인홀(H1)을 폐쇄하는 플러그(60)와, 상기 플러그(60)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벌브바디(510)와 상기 플러그(60) 사이에 개재되는 벌브(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벌브바디(510)는 벌브어댑터(140)와 고정볼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벌브어댑터(140)는 밸브어댑터(16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벌브어댑터(140)의 일측에는 고정볼트(130)가 결합된다. 사용자는 고정볼트(130)를 해제하고 벌브(150)를 교체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 플러그(60)는 제1 드레인홀(H1)에 삽입되어 제1 드레인홀(H1)을 폐쇄한다. 플러그(60)의 둘레에는 오링(2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플러그(60)의 밀폐력을 높인다. 제1 드레인홀(H1)의 내부는 소화 약제가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압력은 고압을 유지한다. 벌브(150)의 내부에는 팽창 액체가 수용된다. 이 팽창 액체는 외부의 온도에 반응하여 팽창하는 성질을 가진다. 화재시 벌브(150)의 외부가 임계점 이상의 고온이 되면 벌부 내부의 팽창 액체는 팽창하며 벌브(150)를 파열하도록 구성된다.
벌브(150)는 벌브바디(51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벌브(150)의 일단은 벌브어댑터(140)에 결합된 고정볼트(130)에 안착되고, 타단은 제1 드레인홀(H1)에 삽입된 플러그(60)의 끝단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플러그(60)를 축방향으로 밀어 제1 드레인홀(H1)을 폐쇄한다. 벌브(150)는 플러그(60)를 축방향으로 미는 힘은 제1 유로(420) 내부의 압력이 플러그(60)를 미는 힘보다 크다. 따라서 제1 드레인홀(H1)은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한편,제2 드레인부(600)는 화재가 나지 않은 평상시는 제2 드레인홀(H2)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제2 드레인홀(H2)을 개방한다.
제2 드레인부(600)는 니들바디(630)와, 상기 제2 드레인홀(H2)을 폐쇄하는 파열판(610)과, 상기 파열판(610)을 파열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상기 니들바디(63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니들어셈블리(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바디(630)는 일측에는 상기 니들어셈블리(620)를 밀고 나가도록 압력을 제공받는 압력공급홀(H3)이 형성된다.
여기서 니들바디(630)는 상기 밸브바디(300)의 밸브어댑터(160)에 결합되어 상기 파열판(610)을 고정하는 니들어댑터(170)와, 상기 니들어댑터(170)에 결합되어 상기 니들어댑터(170)와 함께 상기 니들어셈블리(620)를 가이드하는 니들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어셈블리(620)는 상기 파열판(610)을 파열하기 위해 제공되는 니들(180)과 상기 니들(180)과 결합되어 상기 니들(180)을 이동시키는 피스톤(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200)의 둘레에는 오링(2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피스톤(200)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니들어댑터(170)는 니들(180)을 가이드하고 니들하우징(220)은 피스톤(200)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니들하우징(220)에는 피스톤(200)을 밀도록 압력이 공급되는 압력공급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하우징(220) 내부에는 상기 니들어셈블리(620)를 후퇴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19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리턴 스프링은 압력공급홀(H3)을 통하여 공급된 압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파열판(610)을 파열시킨 니들어셈블리(620)를 다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10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 슬라이더(30)는 압력챔버(410) 내부에서 폐쇄 위치에 위치하며 유입 유로(L2)와 토출 유로(L1) 사이를 폐쇄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슬라이더(30)의 전방에 형성되는 메인바디(10)의 돌출부(11)와 슬라이더(30)의 전면에 형성된 시트패킹(70)이 접촉하여 유입 유로(L2)와 토출 유로(L1) 사이가 폐쇄된다. 슬라이더(30)의 후방에는 소화 용기(810)로부터 슬라이더(30)의 외경과 압력챔버(410)의 내경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소화 약제가 충진되어 후방 압력을 형성한다. 여기서 후방 압력은 슬라이더(30)를 전방으로 밀어 슬라이더(3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더(30)의 둘레에는 백업링(120)이 설치될 수 있고, 압력챔버(410)의 형성에 제공되는 메인바디와 드레인바디 사이에는 패킹디스크(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더(30)의 후방의 압력챔버(410)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슬라이더(30)의 후방에는 슬라이더 스프링(40)이 설치되며, 이 슬라이더 스프링(40)과 슬라이더(30) 후방의 고압은 함께 슬라이더(30)를 전방으로 밀어 폐쇄 상태를 유지시킨다.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바디(10)의 돌출부(11)의 둘레에는 홈부(12)가 형성되며, 이 홈부(12)를 통하여 유입 유로(L2)의 소화 약제의 압력이 슬라이더(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30)의 전면에 전방 압력이 형성된다. 슬라이더(30)의 전면에 형성된 전방 압력과 슬라이더(30)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압력은 압력 균형을 이루며 슬라이더(30)를 폐쇄 위치에서 유지시킨다.
도 3은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후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제1 드레인부가 제1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5는 제2 드레인부가 제2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화재가 발생하면 제1 드레인부(500)가 제1 드레인홀(H1)을 개방하거나 제2 드레인부(600)가 제2 드레인홀(H2)을 개방한다. 제1 드레인부(500)와 제2 드레인부(600)는 동시에 개방할 수도 있다 개방 순서는 임의적이다.
제1 드레인부(500)가 먼저 제1 드레인홀(H1)을 개방하게 되면, 슬라이더(30) 후방에 충진된 고압의 소화 약제(도 4의 F1)는 제3 유로(440) 및 제1 유로(420)를 통하여 제1 드레인홀(H1)로 배출되고,전방 압력과 후방 압력의 불균형에 의하여 슬라이더(30)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소화 약제(F2)가 토출 유로(L1)를 통하여 토출된다. 즉, 홈부(12)에 형성된 전방 압력이 슬라이더(30)의 테이퍼부(31)를 밀어 슬라이더(3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2 드레인부(600)가 먼저 제2 드레인홀(H2)을 개방하게 되면, 슬라이더(30) 후방에 충진된 고압의 소화 약제(도 5의 F1)는 제3 유로(440) 및 제2 유로(430)를 통하여 제2 드레인홀(H2)로 배출되고, 마찬가지로 압력의 불균형에 의하여 슬라이더(30)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소화 약제(F2)가 토출 유로(L1)를 통하여 토출된다.
한편, 화재시 소화 약제가 토출된 뒤에는 소화 약제는 토출 유로(L1) 및 유입 유로(L2)를 차례로 통하여 다시 소화 용기(810)에 충전될 수 있다. 소화 약제가 충진될 때 소화 약제가 토출 유로(L1)를 통과하면서 슬라이더(30)를 개방 위치로 후퇴시키고 그 다음 유입 유로(L2)를 통과하여 소화 용기(810)에 충전되며, 소화 약제의 충진이 완료되면 슬라이더 스프링(40)이 슬라이더(30)를 폐쇄 위치로 밀어 다시 유로를 폐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소화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소화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가 6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 장치(800)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800)는 전술한 밸브가 설치되는 소화 장치(800)에 있어서, 소화 장치(800)는 복수이되,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800) 중 어느 하나(A)의 소화 장치(800)에서 상기 벌브(150)가 파열된 경우 다른 소화 장치(800)로 압력을 공급하여 상기 다른 소화 장치(800)의 상기 파열판(610)이 파열되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800) 각각을 연결하여 상기 압력이 이동하는 연결라인(70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소화 장치(800)는 각각 벌브(150)를 구비하고 있으며, 화재시 각각의 소화 장치(800)가 구비하는 벌브(150)는 임계 온도 이상의 온도에 의하여 내부의 팽창 액체가 팽창하여 파열된다. 복수의 소화 장치(800) 중에서 어느 하나(A)의 소화 장치(800)가 구비한 벌브(150)가 파열되면, 소화 약제가 토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되고, 토출되는 소화 약제의 일부는 연결라인(700)을 타고 이동하여 복수의 소화 장치(800) 중에서 다른 소화 장치(800)로 공급되어 파열판(610)을 파열시켜 소화 약제를 토출시키며, 복수의 소화 장치(800)가 연동하여 소화 약제를 토출시킴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소화 장치(800)는 서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A)의 밸브가 개방되면 나머지의 밸브도 개방되는 복수의 소화 장치(800)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800)는, 소화약제를 수용하는 소화 용기(810); 상기 소화 용기(810)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 약제를 공급받아 토출하는 약제 유로(L1, L2); 상기 약제 유로(L1, L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더(30); 상기 슬라이더(30)의 후방에 충진된 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해 제공되고, 제1 드레인홀(H1)과 제2 드레인홀(H2)을 가지는 드레인 유로(400);
평상시 상기 제1 드레인홀(H1)을 폐쇄하고, 화재시 벌브(150)가 파열되면서 상기 제1 드레인홀(H1)을 개방하는 제1 드레인부(500); 및 평상시 상기 제2 드레인홀(H2)을 폐쇄하고, 화재시 파열판(610)이 파열되면서 상기 제2 드레인홀(H2)을 개방하는 제2 드레인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800) 중 어느 하나(A)의 소화 장치(800)의 상기 벌브(150)가 파열된 경우 다른 하나(B)의 소화 장치(800)로 압력이 제공되어 상기 다른 하나(B)의 소화 장치(800)의 파열판(610)이 파열되도록,
상기 하나의 소화 장치(800)의 상기 약제 유로(L1, L2)의 노즐부(710)는 상기 다른 하나(B)의 소화 장치(800)의 제2 드레인부(6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소화 장치(800)는 서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A)의 밸브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B)의 밸브도 연동하여 개방되는 복수의 소화 장치(800)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800)는,
후방 압력에 의하여 폐쇄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후방 압력의 배출에 의하여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체(30); 상기 후방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1 유로(420)와 제2 유로(430);
임계 온도 이상에서 내부의 액체가 팽창하여 파열되는 벌브(150)와, 상기 벌브(150)의 지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유로(420)를 폐쇄하는 플러그(60)를 가지는 제1 폐쇄부; 상기 제2 유로(430)를 폐쇄하는 파열판(610)과, 압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파열판(610)을 파열하도록 설치되는 니들(180)을 가지는 제2 폐쇄부; 및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800) 중에서 어느 하나(A)의 소화 장치(800)의 상기 제1 유로(420)의 개방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력에 의하여 다른 하나(B)의 소화 장치(800)의 상기 제2 유로(430)가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800) 상호 간을 연결하는 압력 이동 통로(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인바디 11: 돌출부
12: 홈부 20: 드레인바디
30: 슬라이더 31: 테이퍼부
40: 슬라이더 스프링 50: 패킹디스크
60: 플러그 70: 시트패킹
100: 밸브 장치 110: 오링
120: 백업링 130: 고정볼트
140: 벌브어댑터 150: 벌브
160: 밸브어댑터 170: 니들어댑터
180: 니들 190: 리턴스프링
200: 피스톤 210: 오링
220: 니들하우징 300: 밸브바디
400: 드레인 유로 410: 압력챔버
420: 제1 유로 430: 제2 유로
440: 제3 유로 500: 제1 드레인부
510: 벌브바디 600: 제2 드레인부
610: 파열판 620: 니들어셈블리
630: 니들바디 700: 연결라인
710: 노즐부 800: 소화 장치
810: 소화 용기 L1 : 토출유로
L2: 유입유로 H1: 제1 드레인홀
H2: 제2 드레인홀 H3: 압력공급홀

Claims (16)

  1. 소화약제를 공급받아 토출하기 위한 약제 유로와, 일측은 상기 약제 유로와 연통하고 타측에는 제1 드레인홀과 제2 드레인홀이 형성된 드레인 유로를 가지는 밸브바디;
    상기 드레인 유로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약제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더;
    평상시 벌브의 지지를 통하여 상기 제1 드레인홀을 폐쇄하고, 화재시 상기 벌브가 파열되면서 상기 제1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제1 드레인부; 및
    평상시 파열판을 통하여 상기 제2 드레인홀을 폐쇄하고, 화재시 상기 파열판이 파열되면서 상기 제2 드레인홀을 개방하는 제2 드레인부;
    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유로는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 압력이 충진되는 압력 챔버와, 일단이 상기 제1 드레인홀을 형성하는 제1 유로와, 일단이 상기 제2 드레인홀을 형성하는 제2 유로와, 상기 압력 챔버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연결하는 제3 유로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유로에 대해 알파벳 "T"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밸브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레인부는 벌브바디와, 상기 제1 드레인홀을 폐쇄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벌브는 상기 플러그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벌브바디와 상기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밸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레인부는 니들바디와, 상기 제2 드레인홀을 폐쇄하는 파열판과, 상기 파열판을 파열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상기 니들바디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니들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밸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바디는 일측에 상기 니들어셈블리를 밀고 나가도록 압력을 제공받는 압력공급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밸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는 복수이되, 상기 복수의 밸브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밸브 장치의 상기 압력공급홀은 상기 압력을 공급받기 위해서 다른 하나의 밸브 장치의 상기 약제 유로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밸브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바디는 상기 밸브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파열판을 고정하는 니들어댑터와, 상기 니들어댑터에 결합되어 상기 니들어댑터와 함께 상기 니들어셈블리를 가이드하는 니들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밸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니들어셈블리를 후퇴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밸브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어셈블리는 상기 파열판을 파열하기 위해 제공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과 결합되어 상기 니들을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밸브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압력 챔버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된 밸브어댑터와,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제3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어댑터 사이에 결합되는 드레인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밸브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의한 밸브 장치가 설치되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는 복수 개이되,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소화 장치에서 상기 벌브가 파열된 경우 다른 소화 장치로 압력을 공급하여 상기 다른 소화 장치의 상기 파열판이 파열되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연결라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장치.
  15. 삭제
  16. 서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밸브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의 밸브도 연동하여 개방되는 복수의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는,
    후방 압력에 의하여 폐쇄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후방 압력의 배출에 의하여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체;
    상기 후방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별도의 통로로 각각 제공되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
    임계 온도 이상에서 내부의 액체가 팽창하여 파열되는 벌브와, 상기 벌브의 지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플러그를 가지는 제1 드레인부;
    상기 제2 유로를 폐쇄하는 파열판과, 압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파열판을 파열하도록 설치되는 니들을 가지는 제2 드레인부; 및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화 장치의 상기 제1 유로의 개방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력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소화 장치의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 장치 상호 간을 연결하는 압력 이동 통로;
    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KR1020160041211A 2016-04-04 2016-04-04 소화기용 밸브 장치 KR10170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211A KR101707638B1 (ko) 2016-04-04 2016-04-04 소화기용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211A KR101707638B1 (ko) 2016-04-04 2016-04-04 소화기용 밸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38B1 true KR101707638B1 (ko) 2017-02-20

Family

ID=5826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211A KR101707638B1 (ko) 2016-04-04 2016-04-04 소화기용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487B1 (ko) * 2018-10-02 2019-07-11 주식회사 파라텍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KR102009371B1 (ko) 2018-04-06 2019-08-12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20190105444A (ko) * 2018-03-05 2019-09-17 주식회사 엘에스테크놀로지 소화시스템
KR200490401Y1 (ko) * 2019-04-24 2019-11-06 (주)안국이앤씨 사전 시험이 가능한 소화약제 공급용 밸브
KR102382632B1 (ko) * 2021-05-21 2022-04-04 박종빈 연동형 자동소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49Y1 (ko) * 2011-07-28 2012-03-23 (주)동신소방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KR20130045503A (ko) * 2011-10-26 2013-05-06 (주)포트텍 소방용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49Y1 (ko) * 2011-07-28 2012-03-23 (주)동신소방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KR20130045503A (ko) * 2011-10-26 2013-05-06 (주)포트텍 소방용 소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44A (ko) * 2018-03-05 2019-09-17 주식회사 엘에스테크놀로지 소화시스템
KR102023459B1 (ko) * 2018-03-05 2019-09-20 주식회사 엘에스테크놀로지 소화시스템
KR102009371B1 (ko) 2018-04-06 2019-08-12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1999487B1 (ko) * 2018-10-02 2019-07-11 주식회사 파라텍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KR200490401Y1 (ko) * 2019-04-24 2019-11-06 (주)안국이앤씨 사전 시험이 가능한 소화약제 공급용 밸브
KR102382632B1 (ko) * 2021-05-21 2022-04-04 박종빈 연동형 자동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638B1 (ko) 소화기용 밸브 장치
EP3023123B1 (en) Poppet valve with a frangible sealing disc for a pressure vessel
AU201720131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fire suppression system
US20150114493A1 (en) Safety valve to release excess pressure from portable gas container for prevention of explosion
US20130221252A1 (en) Pneumatic gate valve with integrated pressurized gas reservoir
KR101355831B1 (ko) 소방용 소화장치
AU2008361751A1 (en) Dispensing valv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luid under pressure
KR102608228B1 (ko) 전기차 또는 수소차 배터리 소화 장치
JP2012029764A (ja) 放水継手
JP2009085410A (ja) 可溶栓
JP2002181298A (ja) ガスボンベ用バルブ装置
KR200421459Y1 (ko) 자동소화기용 씨오투 실린더밸브
CN218280390U (zh) 阀组及灭火装置
CN115382138B (zh) 阀组及灭火装置
KR20210008761A (ko) 이중 챔버 소화기
CN115539684A (zh) 阀模块、阀组以及灭火装置
KR101999487B1 (ko)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JP6232255B2 (ja) 放水継手
KR200292837Y1 (ko) 소화장치용 밸브
CN111946878B (zh) 分控阀、灭火装置以及消防系统
KR102551905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소화장치
KR102543093B1 (ko) 소화기용 밸브장치
KR101412977B1 (ko) 소화기용 밸브
KR200233081Y1 (ko) 소화약제용기용 개폐밸브
KR102032496B1 (ko) 자립형 화재 진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