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487B1 -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487B1
KR101999487B1 KR1020180117433A KR20180117433A KR101999487B1 KR 101999487 B1 KR101999487 B1 KR 101999487B1 KR 1020180117433 A KR1020180117433 A KR 1020180117433A KR 20180117433 A KR20180117433 A KR 20180117433A KR 101999487 B1 KR101999487 B1 KR 10199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fir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원
배진욱
월 고
조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텍
Priority to KR102018011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소화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체; 감지체가 화재를 감지하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작동유체실; 소화약재가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 소화약재가 외부로 방출되는 제1방출유로; 작동유체실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2방출유로가 차단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작동유체실 내부의 작동유체가 유출되어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1방출유로를 연통시켜 소화약재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연통 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체; 및 상기 작동유체실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화약재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유체실의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동밸브를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EXTINGUISHING DEVICE INTERLOCKING SYSTEM}
본 발명은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소화를 수행하는 소화장치 및 복수 개의 소화장치가 연동하여 소화를 수행하는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초기 진화를 위한 수단으로 건물 내 또는 산업현장에 방제구역을 설정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소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장치는 건물 옥상의 물탱크와 연결되어 천장에 소화배관이 설치되고 화재 발생시 감지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로 보내면, 중앙처리장치에서는 물탱크와 연결된 배관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천장의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어 화재를 진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발생된 화재에 의해 스프링클러의 휴즈가 단락되면, 건물의 소화 배관에 충만된 소화가스 또는 소화수가 자동으로 분사되면서 발생된 화재가초기에 진화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소화장치는 화재를 진화하기 위해 물이나 소화액이 분사되면서 각종 전자기기가 물에 젖어 버리게 되는 결과를 유발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보다 물에 의한 2차 피해 발생으로 인한 고가의 전자제품 및 전자기기의 훼손 등 경제적인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물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계 소화 약제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의 소화대상물은 단순한 건물 혹은 그 내부의 장치 및 기록물 등에 국한되지 않고 점점 다양화되는 추세이며 이는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른 부속설비 등의 다양화와 집적화 및 고가화에 따른 것으로, 데이터저장장치, 전기패널, 통신패널 등은 예전에 비해 집적도가 높고 기능이 복잡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소화장치가 개발되어 방호구역 전체뿐만 아니라 개별 설비에도 적용 가능한 제품들이 공급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기존소화설비의 응용수준에 그쳐 성능과 가격 및 설치의 용이성에서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으며,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소화장치가 설계에 반영되지 않았던 EPS(Electrical Piping Shaft) 또는 TPS(Telecom PipingShaft) 등의 개별 설비용 공간의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화재에 대비하기 위한 소화장치가 미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EPS 또는 TPS에서 발생된 화재에 의해 건물이 전소될 수 있는 위험성이 유발되었다.
일례로, 개별 설비에 적용되는 자동식 소화장치는 방출노즐로 기존 스프링클러 노즐을 적용하거나, 이와 유사한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물을 이용하는 스프링클러 노즐을 가스 소화 약제에 적용하는 것 자체가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15mm에 이르는 노즐은 3Kg이하의 소량의 약제를 저장하는 설비에 방출시간을 과도하게 단축하여 소화성능을 떨어트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방사특성 및 방사각도가 가스소화약제에 적절치 않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다른 일례로, 방호구역 전체를 단독으로 방호하면서 복수의 용기를 설치하는 경우, 종래의 용기밸브는 개별 작동하여 화재를 진화하지 못하므로 복수의 용기를 동시에 작동시킬 기동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113301호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소방 설비의 기동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동 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한 기동용기를 사용하였으나, 상기한 기동장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고, 상기 감지센서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어기를 별도로 구비해야만 하였다.
특히 소규모 영역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방호용으로 전술한 소화장치를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서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소화장치가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연동되어 소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소화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체; 감지체가 화재를 감지하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작동유체실; 소화약재가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 소화약재가 외부로 방출되는 제1방출유로; 작동유체실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2방출유로가 차단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작동유체실 내부의 작동유체가 유출되어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1방출유로를 연통시켜 소화약재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연통 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체; 및 상기 작동유체실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화약재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유체실의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동밸브를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동밸브는, 상기 작동유체실과 연통되는 연결로; 소화약재가 유입되는 제2유입유로; 작동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제2방출유로; 및 제2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상기 연결로와 상기 제2방출유로가 차단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제2유입유로로 유입되는 소화약재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연결로와 상기 제2방출유로를 연통시켜 작동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연통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는, 상기 제1방출유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방출유로로 방출되는 소화약재 중에 일부가 유입되는 분기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소화장치;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소화장치의 분기노즐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소화장치의 기동밸브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분기노즐로 소화약재가 유입되어 발생하는 압력을 상기 기동밸브에 전달하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의 감지체가 화재를 감지하지 않아도, 상기 어느 하나의 소화장치의 분기노즐로 소화약재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의 제1방출유로에서 소화약재가 방출되는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체는 온도가 높아지면 파손되는 파손형 감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의 파손형 감지체가 파손되지 않아도, 상기 제1방출유로에서 소화약재가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은 복수 개의 소화장치가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연동되어 소화를 수행하되,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부품을 최소화하여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의 작동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동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A'부분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의 작동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의 작동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는 감지체(106), 작동유체실(104), 제1유입유로(101), 제1방출유로(102), 제1수용부(103), 제1이동체(1031), 제1탄성체(1032), 기동밸브(11)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체(106)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감지체(106)는 화재를 감지하면 변형될 수 있다. 감지체(106)는 온도가 높아지면 파손되는 파손형 감지체(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파손형 감지체(106)는 유리 벌브일 수 있다. 유리 벌브는 온도가 높아지면 녹거나 깨져서 파손될 수 있다.
작동유체실(104)은 작동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작동유체는 작동유체실(104) 내부에서 포화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작동유체실(104)의 일측에는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며, 작동유체의 압력을 지지플러그(1051)에 전달하는 제1전달체(1041)가 배치될 수 있고, 타측에는 제1이동체(1031)가 수용된 제1수용부(103)가 배치될 수 있다. 감지체(106)는 화재를 감지하면 변형될 수 있다. 감지체(106)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고 제1전달체(1041)에 의해 타측이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어 있던 지지플러그(1051)가 제1전달체(1041)에 의해 밀리면서 막고 있던 유출공(105)에서 이탈될 수 있다. 제1전달체(1041)도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일측으로 밀리면서 작동유체실(104)이 개방되고 작동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실(104) 내부의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지지되던 제1이동체(1031)가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유입유로(101)는 소화약재가 유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유입유로(101)의 일단부는 소화약재가 저장된 저장용기(14)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방출유로(1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방출유로(102)는 소화약재가 외부로 방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방출유로(102)의 일단부는 제1유입유로(10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이동체(1031)는 이동되면서 제1유입유로(101)와 제1방출유로(102)의 연결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부재일 수 있다. 제1이동체(1031)는 작동유체실(104) 및 제1수용부(103)의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의 압력과 제1탄성체(1032)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뤄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제1이동체(1031)는 제1유입유로(101)와 제2방출유로(112)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를 차단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제1이동체(1031)가 차단 위치에 배치되면 제1유입유로(101)와 제1방출유로(102)가 서로 차단되어 제1유입유로(101)로부터 제1방출유로(102)로 소화약재가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이동체(1031)는 작동유체실(104) 내부의 작동유체가 유출되어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제1탄성체(1032)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면서 제1유입유로(101)와 제1방출유로(102)를 연통시켜 소화약재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를 연통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제1이동체(1031)가 연통 위치에 배치되면 제1유입유로(101)와 제1방출유로(102)가 서로 연통되어 제1유입유로(101)로부터 제1방출유로(102)로 소화약재가 유출될 수 있다.
기동밸브(11)는 작동유체실(104)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화약재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작동유체실(104)의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동밸브(11)는 연결로(111), 제2유입유로(114), 제2방출유로(112), 제2수용부(113), 제2이동체(1131), 제2탄성체(1132), 제2전달체(114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로(111)는 하우징(110) 내에 구비된 제2수용부(113)와 작동유체실(104)을 연통해주는 부분일 수 있다. 작동유체실(104)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로(111)는 기둥면의 일부분에 개구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로(111)는 작동유체실(104)의 상부에 개구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입유로(114)는 기동밸브(11)로 소화약재가 유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유입유로(114)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되, 후술할 튜브(13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입유로(114)의 타단부는 제2이동체(1131) 또는 제2전달체(1141)에 의해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제2방출유로(112)는 기동밸브(11)로부터 작동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방출유로(112)는 기동밸브(11)의 측부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체(1131)는 제2탄성체(1132)의 탄성력에 의해 제2수용부(113)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단턱(113a)에 상기 제2이동체(11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1131a)가 가압 접촉되는 방식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도 3의 (a) 참조). 제2탄성체(1132)는 연결로(1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이동체(1131)는 연결로(111)와 제2방출유로(112)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연결로(111)와 제2방출유로(112)를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를 차단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제2이동체(1131)는 제2유입유로(114)로 유입되는 소화약재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플랜지부(1131a)가 단턱(113a)과 이격되면서 작동유체실(104) 측으로 이동되어 연결로(111)와 제2방출유로(112)를 연통시키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를 연통 위치라고 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2유입유로(114)로 유입되는 소화약재의 압력에 의해 제2전달체(1141)가 밀리면서 제2이동체(1131)를 작동유체실(104) 측으로 밀어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단 위치에 배치되어 있던 제2이동체(1131)가 연통 위치로 이동되면서 작동유체실(104) 및 연결로(111)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제2방출유로(112)를 따라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도 3의 (b) 참조).
제2전달체(1141)는 제2유입유로(114)로 유입되는 소화약재의 압력을 제2이동체(1131)로 전달하는 부재일 수 있다. 제2전달체(1141)는 제2이동체(1131)보다 직경이 넓게 형성될 수 있어서, 소화약재로부터 받는 압력을 넓은 면적에 분배하면서 완충하여 제2이동체(1131)에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는 분기노즐(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노즐(12)은 제1방출유로(10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방출유로(102)로 방출되는 소화약재 중에 일부가 유입되는 노즐일 수 있다. 일례로, 분기노즐(12)은 제1방출유로(102)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소화장치(1)의 기동밸브(11)와 그의 상부측에서 연결이 수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소화장치(1)를 복수 개 포함하고, 소화장치(1)가 서로 연동되는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미도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의 작동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은 복수 개의 소화장치(1,1', 1'') 및 튜브(13a, 13b, 13c)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13a)의 일단부에는 어느 하나의 소화장치(1)의 분기노즐(12)이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의 기동밸브(11)가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소화장치(1)의 분기노즐(12)로 소화약재가 유입되어 발생하는 압력을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의 기동밸브(1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의 감지체(106)가 화재를 감지하지 않아도, 어느 하나의 소화장치(1)의 분기노즐(12)로 소화약재가 유입됨에 따라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의 제1방출유로(102)에서 소화약재가 방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소화장치(1)의 감지체(106)가 화재를 감지하여 제1방출유로(102)를 통해 소화약재를 방출하면, 소화약재의 일부가 분기노즐(12)로 유입될 수 있다. 소화약재는 튜브(13a) 내에 유동되어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의 기동밸브(11)의 제2유입유로(114)로 공급될 수 있다. 소화약재의 압력으로 인하여 연결로(111)와 제2방출유로(112)를 차단하고 있던 제2이동체(1131) 및 제2전달체(1141)가 이동되면서, 제2이동체(1131)가 막고 있던 연결로(111)와 제2방출유로(112)가 연통되면서,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의 작동유체실(104) 및 연결로(111)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제2방출유로(112)로 방출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의 작동유체실(104)의 작동유체가 유출됨에 따라서, 제1이동체(1031)가 이동되면서 제1방출유로(102)로 소화약재가 방출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의 파손형 감지체(106)가 파손되지 않아도, 그의 제1방출유로(102)에서 소화약재가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또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가 상술한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에 연결되면, 어느 하나의 소화장치(1)의 감지체(106)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 및 또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1'')에서 모두 소화약재가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는 기동밸브(11)와 분기노즐(12)을 포함하므로, 다른 소화장치(1')와 연동되어 소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장치(1, 1') 각각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넓은 공간에서 연동 소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서로 분리된 공간에서도 천장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연동 소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은 기동밸브(11)와 분기노즐(12)을 통해 연동 소화를 수행함으로써, 화재를 직접 감지한 소화장치(1) 외의 다른 소화장치(1')의 감지체(106)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아도 소화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은 복수 개의 소화장치(1, 1', 1'')가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연동되어 소화를 수행하되,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부품인 감지체(106)을 소모하지 않으므로 소화장치(1', 1'')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경제성이 우수한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소화장치 101: 제1유입유로
102: 제1방출유로 103: 제1수용부
1031: 제1이동체 1032: 제1탄성체
104: 작동유체실 1041: 제1전달체
1051: 수직 이송 모듈 106: 감지체
11: 기동밸브 111: 연결로
112: 제2방출유로 113: 제2수용부
1131: 제2이동체 1132: 제2탄성체
114: 제2유입유로 1141: 제2전달체
12: 분기노즐 13a, 13b: 튜브
14: 저장용기

Claims (5)

  1.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체;
    상기 감지체가 화재를 감지하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유출되는 작동유체실;
    소화약재가 유입되는 제1유입유로;
    소화약재가 외부로 방출되는 제1방출유로;
    상기 작동유체실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1방출유로가 차단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작동유체실 내부의 작동유체가 유출되어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제1방출유로를 연통시켜 소화약재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연통 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체; 및
    상기 작동유체실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화약재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유체실의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동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기동밸브는,
    상기 작동유체실과 연결로를 매개로 연통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되고, 소화약재가 유입되는 제2유입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작동유체실의 작동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제2방출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수용부의 내주면에 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제2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상기 단턱에 가압 접촉되는 방식으로 위치 고정되어 상기 연결로와 상기 제2방출유로가 차단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제2유입유로로 유입되는 소화약재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단턱과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로와 상기 제2방출유로를 연통시켜 작동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연통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체;를 포함하는 소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출유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방출유로로 방출되는 소화약재 중에 일부가 유입되는 분기노즐을 포함하는 소화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적어도 2개 이상의 소화장치;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소화장치의 분기노즐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소화장치의 기동밸브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분기노즐로 소화약재가 유입되어 발생하는 압력을 상기 기동밸브에 전달하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의 감지체가 화재를 감지하지 않아도, 상기 어느 하나의 소화장치의 분기노즐로 소화약재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의 제1방출유로에서 소화약재가 방출되는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체는 온도가 높아지면 파손되는 파손형 감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소화장치의 파손형 감지체가 파손되지 않아도, 상기 제1방출유로에서 소화약재가 방출되는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KR1020180117433A 2018-10-02 2018-10-02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KR10199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33A KR101999487B1 (ko) 2018-10-02 2018-10-02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33A KR101999487B1 (ko) 2018-10-02 2018-10-02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487B1 true KR101999487B1 (ko) 2019-07-11

Family

ID=6725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433A KR101999487B1 (ko) 2018-10-02 2018-10-02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4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37Y1 (ko) * 2002-06-10 2002-10-28 영도산업 주식회사 소화장치용 밸브
KR101707638B1 (ko) * 2016-04-04 2017-02-20 (주)포트텍 소화기용 밸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37Y1 (ko) * 2002-06-10 2002-10-28 영도산업 주식회사 소화장치용 밸브
KR101707638B1 (ko) * 2016-04-04 2017-02-20 (주)포트텍 소화기용 밸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04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KR10139792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KR101355831B1 (ko) 소방용 소화장치
CN102824713A (zh) 一种探火管式自动干粉灭火系统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US201603392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707638B1 (ko) 소화기용 밸브 장치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1373131B1 (ko)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KR20210123751A (ko) 위험물 보관장치
KR20020075858A (ko)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장치
KR101999487B1 (ko)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KR101793988B1 (ko) 건물 화재 소방용 노즐 헤드 장치
CN202859971U (zh) 一种探火管式自动干粉灭火系统
CN213912059U (zh) 一种多次灭火系统
WO2012008708A1 (ko) 밸브조절식 소화기
KR200447333Y1 (ko) 소화설비용 소화약제 누기 체크장치
KR101577789B1 (ko) 소화시스템
KR102211827B1 (ko) 가스계 자동 소화장치용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시스템
KR20180102393A (ko) 소화장치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장치
WO2011139025A2 (ko) 자동개폐 분무장치
KR101505897B1 (ko) 과유량 자동차단장치를 이용한 복합 소화시스템
KR20170009206A (ko)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KR101347500B1 (ko) 불활성가스계 소화 설비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KR101710948B1 (ko) 건물 내부 특정 공간의 화재 진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