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590B1 -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590B1
KR101662590B1 KR1020160059530A KR20160059530A KR101662590B1 KR 101662590 B1 KR101662590 B1 KR 101662590B1 KR 1020160059530 A KR1020160059530 A KR 1020160059530A KR 20160059530 A KR20160059530 A KR 20160059530A KR 101662590 B1 KR101662590 B1 KR 10166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jection
port
jetting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윤
Original Assignee
(주)건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엠이씨 filed Critical (주)건일엠이씨
Priority to KR102016005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71Fo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소화액의 유입 압력차를 이용하여 왕복으로 정역회전하여 소화액을 분사하면서, 천장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실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동시에 초기 진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전기배선 등의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상방으로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고, 실내에서 발생하는 화재 또한 하방으로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Fire fighting device for building of sprinkler type}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소화액의 유입 압력차를 이용하여 왕복으로 정역회전하여 소화액을 분사하면서, 천장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실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동시에 초기 진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사용되는 화재 진압용 소방장치, 예를 들어 소방기구로서 소화전, 소화기 및 스프링클러 등이 있다.
특히 소화전이나 소화기와는 달리,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시 급수라인에서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주변으로 물을 흩어 뿌리는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스프링클러는 입자가 큰 상태의 물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함에 따라 유류 등과 같은 B급 화재시 유류와 물이 분리되는 현상으로 인해 연소 되고 있는 유류가 소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는 통상적으로 건물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 작동하는데,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하향식, 즉 소화액의 분사방향이 바닥면으로 향하고 있어 누전 등에 의한 전기적 원인으로 천장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급수라인을 통해 물이 일정한 압력에 의해 스프링클러로 공급되지 못할 경우, 초기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실제로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지점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데, 현재의 스프링클러는 그 기능에 한계를 드러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종합해볼 때, 소화전, 소화기 및 스프링클러 등이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 화재 발생 시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자동으로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기능을 추가하여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591호(2005년 03월 11일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4951호(2013년 02월 12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122호(2014년 05월 19일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천장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실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액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회전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내부로 공급되는 소화액의 유입 압력차를 이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왕복으로 정역회전하면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액의 분사거리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말용액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이 이송되며, 상기 물의 흐름을 차단 또는 해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각각 구비한 제1 및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과 제2 이송라인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포말용액이 이송되며, 상기 포말용액의 흐름을 차단 또는 해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각각 구비한 제3 및 제4 이송라인,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라인의 끝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내부 수용공간으로 소화액이 공급되는 제1 공급구와, 상기 제2 이송라인의 끝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내부 수용공간으로 소화액이 공급되는 제2 공급구와, 상기 제1 공급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급구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액의 압력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완 또는 수축되며, 타단에는 하방을 향해 휘어진 엘보관을 구비한 가변관과, 중앙부위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봉과, 외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분사구와, 상기 제1 분사구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결합 되는 제1 분사노즐과,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수축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봉이 슬라이딩 삽입되며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엘보관에 관통되어 하기 하부 하우징 내부로 소화액을 유출하는 유출공과, 상기 누름판을 가압하는 가압봉을 구비하는 정역회전부 및 상기 정역회전부의 하부에 결합 되며, 외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분사구와, 상기 제2 분사구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결합 되는 제2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분사노즐과 제2 분사노즐은 내경의 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는 벤츄리관(Venturi tube)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분사구와 제2 분사구는 상부 분사구와 하부 분사구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상부 분사구에 결합 된 분사노즐의 길이가 상기 하부 분사구에 결합 된 분사노즐 보다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분사구에 결합 된 분사노즐은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LED광원, 온도 감지센서 및 연기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전기배선 등의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상방으로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고, 실내에서 발생하는 화재 또한 하방으로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회전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내부로 공급되는 소화액의 유입 압력차를 이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왕복으로 정역회전하면서 소화액을 분사함으로써, 적은 양의 소화액만으로도 분사 폭이 증가 되어 스프링클러의 설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소화액의 분사거리를 다양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각지역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말용액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는 제1 이송라인(100), 제2 이송라인(200), 제3 이송라인(300), 제4 이송라인(400), 상부 하우징(500), 정역회전부(600) 및 하부 하우징(7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이송라인(100)은 물이 이송되는데,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11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이송라인(200)은 상기 제1 이송라인(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이송라인(100)과 마찬가지로 물이 이송되며,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21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이송라인(300)은 상기 제1 이송라인(100)의 일측에 연결되며, 포말용액을 이송한다. 그리고, 포말용액의 흐름을 차단 또는 해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 이송라인(400)은 상기 제2 이송라인(200)의 일측에 연결되며, 포말용액을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이송라인(300)과 마찬가지로 포말용액의 흐름을 차단 또는 해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4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및 제4 이송라인(300, 400)을 통해 이송되는 포말용액이 상기 제1 및 제 2 이송라인(100, 200)을 통해 이송되는 물과 혼합되며, 혼합된 소화액을 통해 전기로 인한 화재 및 유류에 인한 화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0)에 의해 물 또는 포말용액의 흐름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차단 또는 해제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상부 하우징(500) 내부로 공급되는 소화액의 유입 압력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500)은 제1 공급구(510), 제2 공급구(520), 가변관(530), 수직봉(540), 제1 분사구(550), 제1 분사노즐(560), 스프링(570) 및 누름판(580)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500)은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공급구(510)는 상기 상부 하우징(5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송라인(100)에 연결되어 제1 이송라인(100)을 통해 이송되는 소화액이 상부 하우징(50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공급구(520)는 상기 상부 하우징(5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라인(200)에 연결되어 제2 이송라인(200)을 통해 이송되는 소화액이 상부 하우징(50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변관(530)은 상기 제1 공급구(510)에 연결되어 소화액을 이송하는데, 솔레노이드 밸브(110)에 의해 상기 제1 공급구(510)로 공급되는 소화액의 유입 압력에 따라 길이가 가변 된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110)에 의해 소화액의 흐름이 한번 차단 및 해제되면, 고압, 고속의 소화액이 제1 공급구(510)를 통해 공급되어 가변관(530)을 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변관(530)의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어 가변관(530)이 이완되면서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상기 제1 분사구(550)는 상기 제2 이송라인(20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50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소화액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500)의 외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분사구(550)에는 제1 분사노즐(560)이 착탈 가능하게 볼트결합 되며, 제1 분사노즐(560)을 통해 소화액이 분사된다.
이때, 상기 제1 분사구(550)는 소화액이 장거리 및 단거리로 분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복수단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분사구(550)가 수직 방향으로 복수단을 형성하여 제1 분사노즐(560)을 통해 장거리 분사 및 단거리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분사구(550)는 상부 분사구(551)와 하부 분사구(55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분사구(551)에 결합 된 분사노즐(560)의 길이가 상기 하부 분사구(552)에 결합 된 분사노즐(560) 보다 길이가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분사노즐(560)은 내경의 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는 벤츄리관(Venturi tube)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1 분사노즐(560)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분사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분사구(550)에 제1 분사노즐(560)이 볼트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분사노즐(56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제1 분사노즐(56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분사노즐(560)은 소화액의 원거리 분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1 분사구(55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변관(530)의 끝단에는 하방을 향해 휘어진 엘보관(531)이 구비된다.
상기 엘보관(561)은 후술하는 유출공(620)에 연결되어 상기 유출공(620)을 통해 소화액을 후술하는 하부 하우징(700)의 내부 공간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엘보관(531)과 상기 유출공(620)은 서로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관(530)이 고압으로 흐르는 소화액으로 인해 이완되어 길이가 늘어나면, 동시에 엘보관(531)의 위치가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엘보관(531)에 결합 된 유출공(620)의 위치가 이동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정역회전부(600)가 약 5도 정도의 각도로 정회전하게 된다.
상기 누름판(580)은 상기 엘보관(531)에 의해 정역회전부(600)가 소정 각도로 정회전하면, 정역회전부에 구비된 가압봉(630)에 의해 가압 되어 스프링(570)의 길이가 수축된다.
즉, 정역회전부(60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길게 돌출된 가압봉(6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정역회전부(600)가 소정 각도로 정회전하면, 상기 가압봉(630)이 상기 누름판(580)을 가압하여 스프링(570)의 길이가 수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70)은 후술하는 하부 하우징(700)에 형성된 제2 분사구(710)를 통해 소화액이 분사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급구(510)로 유입되는 소화액의 유입 압력이 낮아져 정역회전부(6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길이가 이완되어 누름판(580)이 가압봉(630)을 역으로 가압하여 정역회전부(600)를 원래의 위치로 역회전시킨다.
즉, 하부 하우징(700)에 제2 분사구(710)를 통해 소화액이 분사되면 내부 압력이 낮아지고, 동시에 물의 흐름을 차단 및 해제할 때까지 제1 공급구(510)로 공급되는 소화액의 유입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수축된 스프링(570)이 이완되면서 가압봉(630)를 가압하여 정역회전부(600)가 소정 각도로 역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가변관(530) 또한 수축하여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상기 수직봉(540)은 상기 상부 하우징(500)의 중앙부위에 돌출된 봉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정역회전부(6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610)의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하며 정역회전부(6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정역회전부(600)가 소정 각도로 정역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중심축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정역회전부(600)는 관통홀(610), 유출공(620) 및 가압봉(630)을 구비한다.
상기 정역회전부(600)는 상기 상부 하우징(500)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중앙부위에 상기 수직봉(540)이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관통홀(610)을 구비한다.
상기 유출공(620)은 상기 엘보관(531)이 관통되어 소화액이 유출된다. 즉, 상기 유출공(620)을 통해 소화액이 하부 하우징(7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가압봉(630)은 상기 정역회전부(6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길게 돌출된 형태로 위치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700)은 제2 분사구(710) 및 제2 분사노즐(7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700)은 LED광원(730), 온도 감지센서(740) 및 연기 감지센서(7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700)은 상기 정역회전부(6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분사구(7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분사구(710)에는 제2 분사노즐(720)이 착탈 가능하게 볼트결합 되며, 제2 분사노즐(720)을 통해 소화액이 분사된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700)은 소화액이 장거리 및 단거리로 분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분사구(710)가 복수단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분사구(710)가 상기 하부 하우징(700)의 외경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 하우징(700)의 수직 방향으로 복수단을 형성하여 장거리 분사 및 단거리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분사구(710)는 상부 분사구(711)와 하부 분사구(71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분사구(711)에 결합 된 분사노즐(720)의 길이가 상기 하부 분사구(712)에 결합 된 분사노즐(720) 보다 길이가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분사구(710)에 제2 분사노즐(720)이 볼트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노즐(72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분사노즐(72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분사노즐(720)은 내경의 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는 벤츄리관(Venturi tube)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2 분사노즐(720)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분사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 이송라인
110, 210, 310, 410: 솔레노이드 밸브
200: 제2 이송라인
300: 제3 이송라인
400: 제4 이송라인
500: 상부 하우징
510: 제1 공급구
520: 제2 공급구
530: 가변관
531: 엘보관
540: 수직봉
550: 제1 분사구
560: 제1 분사노즐
570: 스프링
580: 누름판
600: 정역회전부
610: 관통홀
620: 유출공
630: 가압봉
700: 하부 하우징
710: 제2 분사구
720: 제2 분사노즐
730: LED광원
740: 온도 감지센서
750: 연기 감지센서

Claims (5)

  1. 물이 이송되며, 상기 물의 흐름을 차단 또는 해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110, 210)를 각각 구비한 제1 및 제2 이송라인(100, 200);
    상기 제1 이송라인(100)과 제2 이송라인(20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포말용액이 이송되며, 상기 포말용액의 흐름을 차단 또는 해제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10, 410)를 각각 구비한 제3 및 제4 이송라인(300, 400);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라인(100)의 끝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내부 수용공간으로 소화액이 공급되는 제1 공급구(510)와, 상기 제2 이송라인(200)의 끝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내부 수용공간으로 소화액이 공급되는 제2 공급구(520)와, 상기 제1 공급구(51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급구(510)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액의 압력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완 또는 수축되며, 타단에는 하방을 향해 휘어진 엘보관(531)을 구비한 가변관(530)과, 중앙부위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봉(540)과, 외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분사구(550)와, 상기 제1 분사구(550)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결합 되는 제1 분사노즐(560)과, 스프링(570)과, 상기 스프링(570)을 수축하는 누름판(580)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500);
    상기 상부 하우징(5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봉(540)이 슬라이딩 삽입되며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610)과, 상기 엘보관(531)에 관통되어 하기 하부 하우징(700) 내부로 소화액을 유출하는 유출공(620)과, 상기 누름판(580)을 가압하는 가압봉(630)을 구비하는 정역회전부(600); 및
    상기 정역회전부(600)의 하부에 결합 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분사구(710)와, 상기 제2 분사구(710)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결합 되는 제2 분사노즐(720)을 구비하는 하부 하우징(700);
    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노즐(560)과 제2 분사노즐(720)은,
    내경의 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는 벤츄리관(Venturi tube)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구(550)와 제2 분사구(710)는 상부 분사구(551, 711)와 하부 분사구(552, 712)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상부 분사구(551, 711)에 결합 된 분사노즐의 길이가 상기 하부 분사구(552, 712)에 결합 된 분사노즐 보다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구(550)에 결합 된 분사노즐은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700)은 LED광원(730), 온도 감지센서(740) 및 연기 감지센서(7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20160059530A 2016-05-16 2016-05-16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66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30A KR101662590B1 (ko) 2016-05-16 2016-05-16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30A KR101662590B1 (ko) 2016-05-16 2016-05-16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590B1 true KR101662590B1 (ko) 2016-10-05

Family

ID=5715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530A KR101662590B1 (ko) 2016-05-16 2016-05-16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5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110B1 (ko) * 2017-05-16 2017-07-26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동파 방지 기능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804217B1 (ko) 2017-09-13 2017-12-06 이수기술단(주)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KR101809708B1 (ko) 2017-09-20 2017-12-15 (주) 여명기술단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09706B1 (ko) 2017-08-21 2018-01-18 (주) 여명기술단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807864B1 (ko) 2017-09-05 2018-01-19 (주)대림엠이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1807863B1 (ko) 2017-08-29 2018-01-19 (주)대림엠이씨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335A (ja) * 1995-02-17 1996-08-27 Mitsubishi Heavy Ind Ltd 泡消火液自動注入装置
KR200258499Y1 (ko) * 2001-09-07 2001-12-28 (자)현대산업공사 소방용 유체 분무 노즐
KR200375591Y1 (ko) 2004-11-13 2005-03-11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0980361B1 (ko) * 2010-02-26 2010-09-06 주식회사 리트코 미세 각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융설액 분사장치
KR101053637B1 (ko) * 2010-08-17 2011-08-02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KR20130014951A (ko) 2011-08-01 2013-02-12 (주)파라다이스산업 유체 분사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396122B1 (ko) 2013-11-01 2014-05-19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미분무노즐을 갖는 소화설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335A (ja) * 1995-02-17 1996-08-27 Mitsubishi Heavy Ind Ltd 泡消火液自動注入装置
KR200258499Y1 (ko) * 2001-09-07 2001-12-28 (자)현대산업공사 소방용 유체 분무 노즐
KR200375591Y1 (ko) 2004-11-13 2005-03-11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0980361B1 (ko) * 2010-02-26 2010-09-06 주식회사 리트코 미세 각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융설액 분사장치
KR101053637B1 (ko) * 2010-08-17 2011-08-02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KR20130014951A (ko) 2011-08-01 2013-02-12 (주)파라다이스산업 유체 분사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396122B1 (ko) 2013-11-01 2014-05-19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미분무노즐을 갖는 소화설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110B1 (ko) * 2017-05-16 2017-07-26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동파 방지 기능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809706B1 (ko) 2017-08-21 2018-01-18 (주) 여명기술단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807863B1 (ko) 2017-08-29 2018-01-19 (주)대림엠이씨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1807864B1 (ko) 2017-09-05 2018-01-19 (주)대림엠이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1804217B1 (ko) 2017-09-13 2017-12-06 이수기술단(주)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KR101809708B1 (ko) 2017-09-20 2017-12-15 (주) 여명기술단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700211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737005B1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CN102256667B (zh) 喷头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US10933265B2 (en) Ambient mist sprinkler head
KR10139792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RU2501587C1 (ru) Спринклер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EP3209391B1 (en) Fire suppression system
RU2471525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523333C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BR202014017981U2 (pt) cabeça de pulverizador para a distribuição uniforme de fluidos
RU2432210C1 (ru) Дренчерная головка
KR101700733B1 (ko) 상하분사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RU2286189C2 (ru) Ороситель безынерционный
RU2576226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576228C1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вихревым аппаратом формирования газожидкостной смеси
KR102630703B1 (ko) 수벽 노즐장치
KR102588211B1 (ko)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RU245083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дачи пены в зону огня
RU2509586C1 (ru) Модуль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дренчерными головками
KR102175908B1 (ko) 소화방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22751B1 (ko) 살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JP7162851B2 (ja) 消火設備および可燃物消火用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