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217B1 -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4217B1 KR101804217B1 KR1020170117446A KR20170117446A KR101804217B1 KR 101804217 B1 KR101804217 B1 KR 101804217B1 KR 1020170117446 A KR1020170117446 A KR 1020170117446A KR 20170117446 A KR20170117446 A KR 20170117446A KR 101804217 B1 KR101804217 B1 KR 1018042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main body
- support
- pump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 B05B15/0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G01F15/105—Preventing damage by hydraulic sh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와, 덮개부(12a) 및 축부(12b)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연기배출부(14)와, 양측이 개구되고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에 형성되는 난방라인(15)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플랜지(21b)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설치되되,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본체(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회전본체(20)와;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과, 노즐(32)과 연통되는 유입부(33a),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통과부(33b), 통과부(33b)보다 큰 폭을 갖고서 통과부(33b)와 연통되는 정면배출부(33c),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구비하여, 노즐(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구(33)와, 분사구(33)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날개(34)와,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d)와 연통되게 분사구(33)의 측면에 설치되되 노즐날개(34)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노즐(35) 및, 노즐날개(34)에 부딪힌 소방수가 부딪히도록 노즐날개(34)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36)를 갖춘 스프링클러(30)와;
상하로 개구되게 제연본체축(4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연기이동부(41a)를 구비하여, 상단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를 관통하여 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연본체축(41)과, 흡입체(42)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제연본체축(41)의 연기이동부(41a)와 연통되는 연통부(42a), 흡입체(42)의 외측 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통부(4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부(42b)를 구비하여, 제연본체축(41)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흡입체(42)와,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에 위치하게 제연본체축(41)의 상부에 제연본체축(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날개(43) 및,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연본체축(41)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확산시키는 다수의 확산날개(44)를 갖춘 제연본체(40)와;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제연펌프(60)와;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일측에 온기를 공급하고,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난방펌프(90)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연결되는 소방배관(51)을 구비하여, 소방배관(51)을 통해 지지체(11)의 지지부(11b) 내부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50)와;
하우징본체(10)의 지지부(11b) 근처의 소방배관(51)상에서 분기되어 소방펌프(50)로 인입되는 소방수순환라인(81)과, 소방배관(51)과 소방수순환라인(81)의 분기부분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로부터의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내부 또는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밸브(82)와, 소방펌프(50)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에서 소방배관(51)으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유량계(83) 및, 소방수순환라인(81)에 설치되어 밸브(82)에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유량계(84)을 갖춘 동파감지기구(80)와;
소방배관(51)에 설치되되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한 소방배관(51)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온도가 기준 값 이하일 경우 제어유닛(70)에 동파검사신호를 출력하는 동파감지온도센서(110)와;
천장(1)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120)와;
천장(1)에 설치되는 송신기(100) 및;
하우징본체(10)에 설치되어, 동파감지온도센서(110)로부터 동파검사신호를 수신하면 난방펌프(90)를 구동함과 함께, 소방수가 동파감지기구(80)의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흐르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에서 일정시간 동안 소방수가 출력되도록 소방펌프(50)를 구동하며, 제1유량계(83) 및 제2유량계(84)를 작동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의 제1유량계(83)의 측정 유량과 제2유량계(84)의 측정 유량이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있을 경우 송신기(100)를 통해 동파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화재감지센서(12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되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유닛(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와, 덮개부(12a) 및 축부(12b)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연기배출부(14)와, 양측이 개구되고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에 형성되는 난방라인(15)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플랜지(21b)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설치되되,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본체(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회전본체(20)와;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과, 노즐(32)과 연통되는 유입부(33a),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통과부(33b), 통과부(33b)보다 큰 폭을 갖고서 통과부(33b)와 연통되는 정면배출부(33c),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구비하여, 노즐(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구(33)와, 분사구(33)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날개(34)와,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d)와 연통되게 분사구(33)의 측면에 설치되되 노즐날개(34)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노즐(35) 및, 노즐날개(34)에 부딪힌 소방수가 부딪히도록 노즐날개(34)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36)를 갖춘 스프링클러(30)와;
상하로 개구되게 제연본체축(4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연기이동부(41a)를 구비하여, 상단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를 관통하여 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연본체축(41)과, 흡입체(42)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제연본체축(41)의 연기이동부(41a)와 연통되는 연통부(42a), 흡입체(42)의 외측 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통부(4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부(42b)를 구비하여, 제연본체축(41)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흡입체(42)와,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에 위치하게 제연본체축(41)의 상부에 제연본체축(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날개(43) 및,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연본체축(41)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확산시키는 다수의 확산날개(44)를 갖춘 제연본체(40)와;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제연펌프(60)와;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일측에 온기를 공급하고,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난방펌프(90)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연결되는 소방배관(51)을 구비하여, 소방배관(51)을 통해 지지체(11)의 지지부(11b) 내부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50)와;
하우징본체(10)의 지지부(11b) 근처의 소방배관(51)상에서 분기되어 소방펌프(50)로 인입되는 소방수순환라인(81)과, 소방배관(51)과 소방수순환라인(81)의 분기부분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로부터의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내부 또는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밸브(82)와, 소방펌프(50)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에서 소방배관(51)으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유량계(83) 및, 소방수순환라인(81)에 설치되어 밸브(82)에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유량계(84)을 갖춘 동파감지기구(80)와;
소방배관(51)에 설치되되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한 소방배관(51)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온도가 기준 값 이하일 경우 제어유닛(70)에 동파검사신호를 출력하는 동파감지온도센서(110)와;
천장(1)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120)와;
천장(1)에 설치되는 송신기(100) 및;
하우징본체(10)에 설치되어, 동파감지온도센서(110)로부터 동파검사신호를 수신하면 난방펌프(90)를 구동함과 함께, 소방수가 동파감지기구(80)의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흐르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에서 일정시간 동안 소방수가 출력되도록 소방펌프(50)를 구동하며, 제1유량계(83) 및 제2유량계(84)를 작동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의 제1유량계(83)의 측정 유량과 제2유량계(84)의 측정 유량이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있을 경우 송신기(100)를 통해 동파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화재감지센서(12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되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유닛(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진압을 위해 건물 내부에는 도 1과 같은 스프링클러(SK)가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스프링클러(SK)는 소방배관(P)을 통해 소방수를 공급받는데, 소방배관(P)은 동절기에 동파될 가능성이 있어, 동파 여부를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 스프링클러(SK)는 주변으로 소방수를 흩어 뿌리는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소방수를 통해 불길 잡는 속도 및 범위가 부족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스프링클러(SK)는 소방수를 통해 불길만 진압할 뿐, 화재발생지역의 연기를 제거할 수 없어, 화재발생지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방배관의 동파를 감지하여 소방배관의 동파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동절기에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며, 소방수 분사범위 및 분사 효과를 향상시키고, 제연 기능을 갖는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와, 덮개부(12a) 및 축부(12b)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연기배출부(14)와, 양측이 개구되고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에 형성되는 난방라인(15)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플랜지(21b)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설치되되,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본체(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회전본체(20)와;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과, 노즐(32)과 연통되는 유입부(33a),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통과부(33b), 통과부(33b)보다 큰 폭을 갖고서 통과부(33b)와 연통되는 정면배출부(33c),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구비하여, 노즐(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구(33)와, 분사구(33)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날개(34)와,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d)와 연통되게 분사구(33)의 측면에 설치되되 노즐날개(34)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노즐(35) 및, 노즐날개(34)에 부딪힌 소방수가 부딪히도록 노즐날개(34)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36)를 갖춘 스프링클러(30)와;
상하로 개구되게 제연본체축(4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연기이동부(41a)를 구비하여, 상단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를 관통하여 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연본체축(41)과, 흡입체(42)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제연본체축(41)의 연기이동부(41a)와 연통되는 연통부(42a), 흡입체(42)의 외측 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통부(4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부(42b)를 구비하여, 제연본체축(41)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흡입체(42)와,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에 위치하게 제연본체축(41)의 상부에 제연본체축(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날개(43) 및,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연본체축(41)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확산시키는 다수의 확산날개(44)를 갖춘 제연본체(40)와;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제연펌프(60)와;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일측에 온기를 공급하고,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난방펌프(90)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연결되는 소방배관(51)을 구비하여, 소방배관(51)을 통해 지지체(11)의 지지부(11b) 내부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50)와;
하우징본체(10)의 지지부(11b) 근처의 소방배관(51)상에서 분기되어 소방펌프(50)로 인입되는 소방수순환라인(81)과, 소방배관(51)과 소방수순환라인(81)의 분기부분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로부터의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내부 또는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밸브(82)와, 소방펌프(50)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에서 소방배관(51)으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유량계(83) 및, 소방수순환라인(81)에 설치되어 밸브(82)에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유량계(84)을 갖춘 동파감지기구(80)와;
소방배관(51)에 설치되되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한 소방배관(51)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온도가 기준 값 이하일 경우 제어유닛(70)에 동파검사신호를 출력하는 동파감지온도센서(110)와;
천장(1)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120)와;
천장(1)에 설치되는 송신기(100) 및;
하우징본체(10)에 설치되어, 동파감지온도센서(110)로부터 동파검사신호를 수신하면 난방펌프(90)를 구동함과 함께, 소방수가 동파감지기구(80)의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흐르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에서 일정시간 동안 소방수가 출력되도록 소방펌프(50)를 구동하며, 제1유량계(83) 및 제2유량계(84)를 작동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의 제1유량계(83)의 측정 유량과 제2유량계(84)의 측정 유량이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있을 경우 송신기(100)를 통해 동파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화재감지센서(12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되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유닛(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배관(51)의 온도가 기준 값 이하로 내려가면, 소방펌프(50)의 소방배관(51)의 동파를 검사하여, 소방배관(51)에 동파가 감지될 시, 관리센터에 알림으로써, 소방배관(51)의 동파 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 온도가 기준 값 이하로 내려가면, 하우징본체(10)의 덮개(12)를 가온하여, 회전본체(20)의 회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동절기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30)의 비정상 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32)의 분사부분에 분사구(33)가 구비되어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키고 분사력을 증폭하여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10)의 탄발기구(13)와 회전본체(20)의 스토퍼(24)가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소방수의 공급만으로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켜,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연본체(40)의 확산날개(44))가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의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향해 밀어내, 회전본체(20)가 회전할 시 소방수가 보다 빠르고 멀리 분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제연본체(40)의 흡입체(42)를 회전시킴으로써, 화재발생시 많은 양의 연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연본체(42)의 흡입체(42)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많은 양의 연기가 더욱 신속하게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 구성을 나타낸 전기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W-W'선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연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연본체의 흡입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 구성을 나타낸 전기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W-W'선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연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연본체의 흡입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 구성을 나타낸 전기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W-W'선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연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연본체의 흡입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로써,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는 하우징본체(10)와, 회전본체(20)와, 스프링클러(30), 제연본체(40)와, 제연펌프(60)와, 난방펌프(90)와,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기구(80)와, 동파감지온도센서(110)와, 화재감지센서(120)와, 송신기(100) 및, 제어유닛(70)을 갖춘다.
상기 하우징본체(10)는 지지체(11)와, 덮개(12)와, 연기배출부(14)와, 난방라인(15) 및, 탄발기구(13)를 갖춘다.
상기 지지체(11)는 지지부(11b) 및 받침부(11a)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11b)는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1b)의 일측에는 소방펌프(50)의 소방배관(51)이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천장(1)은 상하로 개구된 천장홀(1a)을 갖추며, 지지부(11b)의 내부는 천장(1)의 천장홀(1a)과 연통된다.
상기 받침부(11a)는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11a)는 회전본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본체(20)를 받친다.
상기 덮개(12)는 덮개부(12a) 및 축부(12b)을 갖춘다.
상기 덮개부(12a)는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12a)는 볼트를 통해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축부(12b)는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12b)는 덮개부(12a)의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본체(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연기배출부(14)는 덮개부(12a) 및 축부(12b)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난방라인(15)은 양측이 개구되고,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탄발기구(13)는 스프링(13a) 및 볼(13b)를 구비하여,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13a)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3a)은 축부(12b)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닌다.
상기 볼(13b)은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13b)은 스프링(13a)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본체(20)의 스토퍼(24)의 표면과 접촉이 유지된다.
상기 회전본체(20)는 삽입체(21), 다수의 날개(22), 소방수이동기구(23) 및 다수의 스토퍼(24)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체(21)는 삽입부(21a) 및 삽입체플랜지(21b)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21a)는 하우징본체(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삽입체플랜지(21b)는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체플랜지(21b)는 도넛 형상으로 축부(12b)의 상부 둘레에 구비되어, 소방배관(51)에서 유입되는 소방수가 상부로 퍼지지 않게 한다.
상기 날개(22)는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삽입부(21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체플랜지(21b)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날개(22)는, 소방수가 날개(22)에 부딪힐 시 회전본체(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날개(22)의 경사각에 따라 회전본체(20)의 회전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날개(22)는 경사 방향을 변경하여 회전본체(20)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날개(22)는 회전 시 사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날개(2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소방수이동기구(23)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및 연장부(23b)를 갖춘다.
상기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는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본체(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한다.
상기 연장부(23b)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소방수이동공간, a2)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된다.
상기 스토퍼(24)는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24)는, 회전본체(20)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상(예를 들어렛치 타입의 형상)을 이룰 수 있고, 회전본체(20)가 양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상을 이루어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30)는 몸체(31), 노즐(32), 분사구(33), 노즐날개(34), 보조노즐(35) 및, 다수의 돌기(36)를 포함한다. 또한, 스프링클러(30)는 회전본체(20)와 같이 사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장부(23b)와 연결된다.
상기 몸체(31)는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즐(32)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노즐(32)은 천장(1)에 가까운 노즐(32)일 수록 길이가 길게 구비된다.
상기 분사구(33)는 유입부(33a), 통과부(33b), 정면배출부(33c) 및,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포함한다. 또한, 분사구(33)는 노즐(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유입부(33a)는 노즐(32)과 연통되어, 노즐(32)에서 배출되는 소방수가 유입된다.
상기 통과부(33b)는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유입부(33a)와 연통된다. 또한, 통과부(33b)는 유입부(33a)에서 배출되는 소방수가 유입된다.
상기 정면배출부(33c)는 통과부(33b)보다 큰 폭을 갖고서 통과부(33b)와 연통된다. 또한, 정면배출부(33c)는 통과부(33b)에서 유입된 소방수를 넓고 많은 양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지점까지 점차적으로 넓어진다.
상기 측면배출부(33d)는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부(33a)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측면배출부(33d)는 측면으로 소방수를 분사한다. 본 발명의 측면배출부(33d)는 사방으로 회전하면서 측면에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분사범위를 측면에도 분사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화재를 제압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노즐날개(34)는 분사구(33)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노즐날개(34)는 측면배출부(33d)에서 분사된 소방수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노즐날개(34)는 측면에 구비된 측면배출부(33d)에서 소방수가 분사되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보조노즐(35)은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c)와 연통되게 분사구(33)의 측면에 설치되되 노즐날개(34)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보조노즐(35)은 소방수를 측면에서 분사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제압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36)는 노즐날개(34)에 부딪힌 소방수가 부딪히도록 노즐날개(34)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돌기(36)는, 노즐날개(34)에서 분사된 소방수가 부딪히면서 사방으로 퍼지도록 하여, 미세한 물 입자가 넓은 화재 지역을 고르게 진압하도록 한다.
상기 제연본체(40)는 제연본체축(41)과, 흡입체(42)와, 다수의 회전날개(43) 및, 다수의 확산날개(44)를 갖춘다.
상기 제연본체축(41)은 상하로 개구되게 제연본체축(4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연기이동부(41a)를 구비하여, 상단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를 관통하여 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연본체축(41)은 상단 단면이 'T'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흡입체(42)는 흡입체(42)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제연본체축(41)의 연기이동부(41a)와 연통되는 연통부(42a)와, 흡입체(42)의 외측 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통부(4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부(42b)를 구비하여, 제연본체축(41)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흡입부(42b)는 일측(우측)에만 구비되어 흡입부(42b)로 흡입된 연기가 흡입부(42b)의 좌측 내벽에 부딪히면서 흡입부(43b)를 따라 신속하게 배기된다.
상기 회전날개(43)는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에 위치하게 제연본체축(41)의 상부에 제연본체축(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날개(43)는, 소방수가 회전날개(43)에 부딪힐 시 제연본체축(41)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회전날개(43)의 경사각에 따라 회전본체(20)의 회전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날개(43)는 경사 방향을 변경하여 제연본체축(41)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확산날개(44)는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연본체축(41)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확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날개(44)는 소방수를 노즐(32)로 확산시켜, 소방수가 정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에서 배출되도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날개(44)는 소방수를 밀어내는 면적이 넓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연펌프(60)는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되어, 연기를 흡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연펌프(60)는 흡입펌프가 적용되어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고, 별도의 연결라인을 통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된다.
상기 난방펌프(90)는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일측에 온기를 공급하고,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난방펌프(90)는 고온의 가스를 발생시켜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을 경유시킨다.
상기 소방펌프(50)는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연결되는 소방배관(51)을 구비하여, 소방배관(51)을 통해 지지체(11)의 지지부(11b) 내부에 소방수를 공급한다.
상기 동파감지기구(80)는 하우징본체(10)의 지지부(11b) 근처의 소방배관(51)상에서 분기되어 소방펌프(50)로 인입되는 소방수순환라인(81)과, 소방배관(51)과 소방수순환라인(81)의 분기부분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로부터의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내부 또는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밸브(82)와, 소방펌프(50)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에서 소방배관(51)으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유량계(83) 및, 소방수순환라인(81)에 설치되어 밸브(82)에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유량계(8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82)는 제어유닛(7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전자식 밸브가 적용된다.
상기 동파감지온도센서(110)는 소방배관(51)에 설치되되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한 소방배관(51)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온도가 기준 값 이하일 경우 제어유닛(70)에 동파검사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파감지온도센서(110)는 소방배관(51)의 주위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20)는 천장(1)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송신기(100)는 천장(1)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유닛(70)은, 하우징본체(10)에 설치되어, 동파감지온도센서(110)로부터 동파검사신호를 수신하면 난방펌프(90)를 구동함과 함께, 소방수가 동파감지기구(80)의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흐르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에서 일정시간 동안 소방수가 출력되도록 소방펌프(50)를 구동하며, 제1유량계(83) 및 제2유량계(84)를 작동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의 제1유량계(83)의 측정 유량과 제2유량계(84)의 측정 유량이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있을 경우 송신기(100)를 통해 동파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화재감지센서(12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되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70)은 하우징본체(10) 또는 천장(1) 상부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70)은 동파감지온도센서(110)로부터 동파검사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를 우선하여, 소방배관(51)로부터의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되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제어한다.
도 12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2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파감지온도센서(110)는 소방펌프(50)의 소방배관(51)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온도가 기준값(예를 들어 영하 5℃) 이하일 시, 제어유닛(70)에 동파검사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유닛(70)은 난방펌프(90)를 구동하고, 난방펌프(90)에서 출력된 고온의 가스가 도 12와 같이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을 경유하여, 난방펌프(90)로 돌아온다. 이때 하우징본체(10)의 덮개(12)가 가열되면서, 덮개(12)의 축부(12b)에 끼워진 회전본체(20)의 삽입체(21)가 가열된다. 따라서 덮개(12)의 축부(12b)와 회전본체(20)의 삽입체(21) 사이에 응결된 수분이 녹아, 동절기에 화재가 발생할 시 회전본체(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동파검사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70)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하고, 소방펌프(50)에서 일정시간동안 소방수가 출력되도록 하여, 도 13과 같이 소방수가 동파감지기구(80)의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때, 동파감지기구(80)의 제1유량계(83)는 일정시간 동안 소방펌프(50)에서 소방배관(51)으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고, 동파감지기구(80)의 제2유량계(84)는 일정시간 동안 밸브(82)에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제어유닛(70)은 일정시간 동안의 제1유량계(83)의 측정 유량과 제2유량계(84)의 측정 유량이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있을 경우, 소방배관(51)이 동파된 것으로 판단하여, 송신기(100)를 통해 별도의 관리센터에 동파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그러면, 관리센터의 관리자가 소방배관(51)의 동파 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유닛(70)은, 소방배관(51)의 동파 검사시, 제1유량계(83)의 측정 유량과 제2유량계(84)의 측정 유량이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있을 경우 소방펌프(50)의 구동을 멈추고, 제1유량계(83)의 측정 유량과 제2유량계(84)의 측정 유량이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없을 경우 소방수가 동파감지기구(80)의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소량 흐르게 하여, 소방배관(51)이 동파되는 것을 예방한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펌프(50)에서 소방수가 펌핑되고, 펌핑된 소방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소방배관(51)을 통해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유입된 소방수는 소방수유입공간(a1)을 경유하면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날개(22)와 충돌하고 이에 따라 도 16과 같이 날개(22)가 회전한다.
그리고, 날개(22)와 충돌한 소방수는 도 17과 같이 소방수이동공간(a2)로 이동하면서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로 낙하한 후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하우징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소방수에 의해 날개(22)와 회전본체(20)가 회전할 시,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은 도 18과 같이 회전본체(20)의 스토퍼(24)에 의해 후퇴하면서 하우징본체(10)의 스프링(13a)이 압축된다. 이때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 및 분사구(33)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는 도 19와 같이 분사된다.
이후, 스프링클러(30)의 스토퍼(24)가 도 20과 같이 볼(13b)을 넘어가면, 스프링(13a)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24)가 강하게 밀리면서 회전본체(20)의 회전속도가 빨라진다.
그러면, 도 21과 같이 소방수가 도 19보다 더 멀리 분사된다.
이때, 회전본체(20)가 계속적으로 회전할 시, 상기와 같이 하우징본체(10)의 볼(13b) 및 회전본체(20)의 스토퍼(24)의 연동에 의해 회전본체(20)의 회전속도가 실시간으로 변동되어 일정한 주기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클러(30)의 분사노즐(32)에 의한 소방수의 분사 범위가 좁아졌다 넓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좁은 범위에서 넓은 범위까지 신속하게 화재진압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로 유입된 소방수는 제연본체(40)의 확산날개(44)에 의해 도 22와 같이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이동한다. 따라서 소방수가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정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향해 이동하여, 회전본체(20)가 회전할 시 소방수가 빠르면서도 멀리 분사된다.
한편, 소방수는 스프링클러(30)의 분사구(33)를 통과할 시, 도 23과 같이 폭이 좁은 통과부(33b)에서 폭이 넓은 정면배출부(33c)를 통과하여, 소방수가 더 넓고 강하게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구(33)의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통과하는 소방수는 다수의 보조노즐(35)를 통해 분사되고, 분사된 소방수는 다수의 노즐날개(34)와 충돌하여 분사구(33)가 도 24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d)에서 배출된 소방수는, 돌기(36)와 충돌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확산되고, 특히 분사구(33)의 회전력에 의해 소방수가 보다 넓고 멀리 확산되어, 화재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유닛(70)이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70)은 제연펌프(60)를 구동한다.
이때, 제어유닛(70)이 제연펌프(60)를 구동할 시, 소방펌프(50)로부터의 소방수는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되어 회전본체(20)의 날개(22)와 부딪히면서 낙하하고, 낙하하는 소방수는 제연본체(40)의 회전날개(43)와 부딪혀 도 25와 같이 회전날개(43)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날개(43)가 회전하면, 제연기구(40)의 흡입체(42)가 도 25와 같이 회전한다. 이때 흡입체(42)의 주변에 연기는 제연펌프(60)의 흡입력에 의해 도 26와 같이 흡입체(42)의 흡입부(42b)로 흡입되어, 도 27과 같이 제연기구축(41)의 연기이동부(41a)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소방배관(51)의 온도가 기준 값 이하로 내려가면, 소방펌프(50)의 소방배관(51)의 동파를 검사하여, 소방배관(51)에 동파가 감지될 시, 관리센터에 알림으로써, 소방배관(51)의 동파 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 온도가 기준 값 이하로 내려가면, 하우징본체(10)의 덮개(12)를 가온하여, 회전본체(20)의 회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동절기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30)의 비정상 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32)의 분사부분에 분사구(33)가 구비되어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키고 분사력을 증폭하여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10)의 탄발기구(13)와 회전본체(20)의 스토퍼(24)가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소방수의 공급만으로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켜,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연본체(40)의 확산날개(44))가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의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향해 밀어내, 회전본체(20)가 회전할 시 소방수가 보다 빠르고 멀리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제연본체(40)의 흡입체(42)를 회전시킴으로써, 화재발생시 많은 양의 연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연본체(42)의 흡입체(42)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많은 양의 연기가 더욱 신속하게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배관(51)의 동파를 감지하는 구성(동파감지기구, 유량계, 동파감지온도센서 등)을 갖춘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에, 신속한 화재 진압을 이루기 위한 구성(하우징본체, 회전본체, 스프링클러, 소방펌프 등)과, 제연 기능을 이루기 위한 구성(제연본체, 제연펌프 등)과, 동절기 스프링클러(3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구성(난방펌프 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로 정의한다.
10; 하우징본체 20; 회전본체
30; 스프링클러 40; 제연본체
50; 소방펌프 60; 제연펌프
70; 제어유닛 80; 동파감지기구
90; 난방펌프 100; 송신기
110; 동파감지온도센서 120; 화재감지센서
30; 스프링클러 40; 제연본체
50; 소방펌프 60; 제연펌프
70; 제어유닛 80; 동파감지기구
90; 난방펌프 100; 송신기
110; 동파감지온도센서 120; 화재감지센서
Claims (1)
-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와, 덮개부(12a) 및 축부(12b)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연기배출부(14)와, 양측이 개구되고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덮개부(12a) 및 축부(12b)의 내부에 형성되는 난방라인(15)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본체(10)와;
하우징본체(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플랜지(21b)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설치되되,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본체(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회전본체(20)와;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회전본체(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과, 노즐(32)과 연통되는 유입부(33a),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통과부(33b), 통과부(33b)보다 큰 폭을 갖고서 통과부(33b)와 연통되는 정면배출부(33c),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구비하여, 노즐(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구(33)와, 분사구(33)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날개(34)와,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d)와 연통되게 분사구(33)의 측면에 설치되되 노즐날개(34)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노즐(35) 및, 노즐날개(34)에 부딪힌 소방수가 부딪히도록 노즐날개(34)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36)를 갖춘 스프링클러(30)와;
상하로 개구되게 제연본체축(4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연기이동부(41a)를 구비하여, 상단이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를 관통하여 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연본체축(41)과, 흡입체(42)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제연본체축(41)의 연기이동부(41a)와 연통되는 연통부(42a), 흡입체(42)의 외측 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통부(4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부(42b)를 구비하여, 제연본체축(41)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흡입체(42)와,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에 위치하게 제연본체축(41)의 상부에 제연본체축(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날개(43) 및,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연본체축(41)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확산시키는 다수의 확산날개(44)를 갖춘 제연본체(40)와;
하우징본체(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제연펌프(60)와;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일측에 온기를 공급하고, 하우징본체(10)의 난방라인(15)의 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난방펌프(90)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연결되는 소방배관(51)을 구비하여, 소방배관(51)을 통해 지지체(11)의 지지부(11b) 내부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50)와;
하우징본체(10)의 지지부(11b) 근처의 소방배관(51)상에서 분기되어 소방펌프(50)로 인입되는 소방수순환라인(81)과, 소방배관(51)과 소방수순환라인(81)의 분기부분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로부터의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의 내부 또는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밸브(82)와, 소방펌프(50)에 설치되어 소방펌프(50)에서 소방배관(51)으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유량계(83) 및, 소방수순환라인(81)에 설치되어 밸브(82)에서 출력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유량계(84)을 갖춘 동파감지기구(80)와;
소방배관(51)에 설치되되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소방펌프(50)와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 사이에 위치한 소방배관(51)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온도가 기준 값 이하일 경우 제어유닛(70)에 동파검사신호를 출력하는 동파감지온도센서(110)와;
천장(1)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120)와;
천장(1)에 설치되는 송신기(100) 및;
하우징본체(10)에 설치되어, 동파감지온도센서(110)로부터 동파검사신호를 수신하면 난방펌프(90)를 구동함과 함께, 소방수가 동파감지기구(80)의 소방수순환라인(81)으로 흐르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에서 일정시간 동안 소방수가 출력되도록 소방펌프(50)를 구동하며, 제1유량계(83) 및 제2유량계(84)를 작동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의 제1유량계(83)의 측정 유량과 제2유량계(84)의 측정 유량이 기준값 이상의 차이가 있을 경우 송신기(100)를 통해 동파신호를 무선 송출하고, 화재감지센서(12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소방수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되도록 동파감지기구(80)의 밸브(82)를 작동한 후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유닛(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7446A KR101804217B1 (ko) | 2017-09-13 | 2017-09-13 |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7446A KR101804217B1 (ko) | 2017-09-13 | 2017-09-13 |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4217B1 true KR101804217B1 (ko) | 2017-12-06 |
Family
ID=6092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7446A KR101804217B1 (ko) | 2017-09-13 | 2017-09-13 |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421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7230B1 (ko) * | 2017-12-01 | 2018-05-11 | (주)케이아이기술단 |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KR101859665B1 (ko) * | 2017-11-30 | 2018-05-18 |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
KR102068024B1 (ko) * | 2018-09-19 | 2020-01-20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
KR20200072868A (ko) | 2018-12-13 | 2020-06-23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프링클러용 배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1853A (ja) | 1999-12-14 | 2001-06-19 | Nohmi Bosai Ltd | 回転水噴霧ヘッド |
KR101662590B1 (ko) | 2016-05-16 | 2016-10-05 | (주)건일엠이씨 |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
KR101679713B1 (ko) | 2016-06-14 | 2016-11-25 |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KR101700211B1 (ko) | 2016-05-16 | 2017-01-31 |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
-
2017
- 2017-09-13 KR KR1020170117446A patent/KR1018042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1853A (ja) | 1999-12-14 | 2001-06-19 | Nohmi Bosai Ltd | 回転水噴霧ヘッド |
KR101662590B1 (ko) | 2016-05-16 | 2016-10-05 | (주)건일엠이씨 |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
KR101700211B1 (ko) | 2016-05-16 | 2017-01-31 |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
KR101679713B1 (ko) | 2016-06-14 | 2016-11-25 |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9665B1 (ko) * | 2017-11-30 | 2018-05-18 |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
KR101857230B1 (ko) * | 2017-12-01 | 2018-05-11 | (주)케이아이기술단 |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KR102068024B1 (ko) * | 2018-09-19 | 2020-01-20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
KR20200072868A (ko) | 2018-12-13 | 2020-06-23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프링클러용 배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4217B1 (ko) |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 |
ES2326656T3 (es) | Boquilla y metodo para el lavado de compresores de turbina de gas. | |
KR101807864B1 (ko) |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 |
KR101995990B1 (ko) |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
KR101809708B1 (ko) |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
US10426983B2 (en) | Fire sprinkler system having combined detection and distribution piping | |
KR101552324B1 (ko) | 건물 화재 진압용 복합 스프링클러 시스템 | |
KR101953115B1 (ko) |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 |
KR101636738B1 (ko) | 방화구역용 스프링클러 감시 시스템 | |
KR101187672B1 (ko) |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 |
KR101662590B1 (ko) |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 |
CN101066494B (zh) | 可探测报警、自动启闭的速喷式灭火装置 | |
KR101771981B1 (ko) |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 |
KR102234900B1 (ko) |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 |
RU2501587C1 (ru) | Спринклер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 |
CN112274831A (zh) | 防火自动喷淋喷头 | |
KR101700142B1 (ko) | 건축공간 제연 기능을 갖는 소방방재 장치 | |
KR101807863B1 (ko) |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 |
TWI488667B (zh) | 具有多劑排放能力之雙模用劑排放系統 | |
WO2000012177A1 (en) | Method for production of a fire fighting foam, nozzle head and an arrangement in a fire extinguishing installation | |
BR202014017981U2 (pt) | cabeça de pulverizador para a distribuição uniforme de fluidos | |
KR102077296B1 (ko) |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 |
KR100932322B1 (ko) |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 |
CN207734507U (zh) | 灭火装置 | |
KR101712866B1 (ko) | 건물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용 노즐 헤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