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024B1 -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 Google Patents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024B1
KR102068024B1 KR1020180112339A KR20180112339A KR102068024B1 KR 102068024 B1 KR102068024 B1 KR 102068024B1 KR 1020180112339 A KR1020180112339 A KR 1020180112339A KR 20180112339 A KR20180112339 A KR 20180112339A KR 102068024 B1 KR102068024 B1 KR 10206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ap
capillary
gas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김미경
김범규
김명수
김인환
임혁순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bstract

가스계 소화 약재를 배출하되, 약재 혼합률의 성능이 향상된 소화 노즐이 개시된다. 노즐 헤드부를 모관부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착시켜,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노즐구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가 SPIRAL 형태의 유동을 생성함으로써 내부 공간에서 신속한 혼합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소화 성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An Extinguishing Nozzle with Improved Initial Agent Mixing Rate}
본 발명은 초기 약재 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구로 배출되는 가스계 소화 약재를 신속하게 혼합하여 소화 성능을 향상시킨 초기 약재 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에 관한 것이다.
국내 소방법에 의하면 제3조 정의에 소화장치의 종류 중 하나로서 [“가스자동소화장치”란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여 가스계 소화약재를 방사하여 소화하는 소화장치를 말한다.]가 명시되어 있으며, 수계 소화설비를 적용하기 어려운 곳에 가스계 소화설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수계소화설비에는 스프링클러, 물분무, 미분무 시스템이 있는데, 스프링클러가 A급과 B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으며, 물분무는 A/B/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으나 전기 및 계측설비에 적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원자력 발전에 관련하여서는 사고시 방출되는 독성물질, 방사성물질, 화재시 열과 연기로부터 발전소 운전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 거주성 입증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고 주제어실 및 특정노형의 2중바닥에 대한 화재 조기감지, 가스계(할론계, 청정약재 등) 소화약재에 의한 화재지압 기술 등이 적용되어 있다.
일반 산업계 및 원자력계에서 현재 사용되어지는 노즐은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노즐구를 가스계 소화약재를 방출하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계 소화약재가 충분한 소화작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산소 농도가 1분내에 36.7% 이하에 도달하고, 11분간 32.9%이하를 유지할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소화 노즐은 소화약재가 방사형으로 일정한 분출각도를 갖도록 배출구가 고정된 형태로서 신속한 초기농도 상승을 담보하기 어려웠다.
이로 인하여 소화 노즐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약재혼합 및 소화성능이 현저하게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고, 전술한 소화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공간상의 제약이 존재하였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2422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화약재의 분출이 SPIRAL 형태의 유동을 생성함으로써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소화 약재가 혼합된 기체를 안내하는 모관부; 상기 모관부의 일단에서 회동가능하게 결착되어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헤드부는 캡과 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부가 폐쇄된 테이퍼 형상의 원통형 구조로서 상부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며,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노즐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캡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관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화 약재가 혼합된 기체를 안내하는 모관부; 상기 모관부의 일단에서 회동가능하게 결착되어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헤드부는 캡과 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부가 폐쇄된 테이퍼 형상의 원통형 구조로서 상부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삼각뿔 형상으로, 일면에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제2노즐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캡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관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노즐구는, 상기 캡의 내부와 연통되는 일정한 깊이의 통로로서,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노즐구는, 상기 캡의 내부와 연통되는 일정한 깊이의 통로로서,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착부는,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3노즐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착부는, 상기 모관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모관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관부는, 상기 결착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사익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결착부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노즐구가 형성되고, 모관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노즐헤드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스계 소화약재가 SPIRAL 형태의 유동을 생성하여 초기 약재혼합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 헤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10)은, 모관부(100), 노즐 헤드부(200)를 포함하고, 노즐 헤드부(200)는 캡(210)과 결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관부(100)는, 소화 약재가 혼합된 기체가 노즐 헤드부(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일정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일정한 직경을 갖는 관형일 수 있다. 모관부 일단(110)은 노즐 헤드부(200)와 결착가능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노즐 헤드부(200)는, 모관부 일단(110)에 회동가능하게 결착되어 소화 약재가 혼합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모관부 일단(110)과 체결되는 방식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모관부(10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결착될 것이 요구된다.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만으로 노즐 헤드부(200)를 적절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본원발명의 기술적 특징임을 고려할 때, 모관부(100)와 노즐 헤드부(200)의 연결부위는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위의 내주면 혹은 외주면에 복수개의 볼베어링(300)을 구비하는 방법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통상의 기술자가 노즐 헤드부(2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채용할 수 있는 특히 적합한 구조가 있다면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받지 않고 변경적용 가능하다.
소재는 화재현장에서 이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내화성이 강한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며, 적은 힘으로도 원활한 회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가벼운 소재가 더욱 적합할 것이다.
노즐 헤드부(200)는 모관부(100)로부터 탈착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되는 기체의 방사각도, 배출속도 및 노즐헤드의 회전속도 등은 기체의 압력 뿐 아니라, 노즐 헤드부(200)에 형성된 노즐구의 형태, 개수, 간격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으므로, 소화 노즐(10)이 설치되는 공간의 특성 및 필요를 적절히 파악하여 가장 적합한 구성을 갖는 노즐 헤드부(200)를 선택하여 결착할 수 있다.
캡(210)은 노즐 헤드부(200)를 구성하는 일 요소이며, 상부가 폐쇄된 테이퍼 형상의 원통형 구조로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한다. 캡(210)의 하부는 모관부(100)로부터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형 구조로 인해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이 테이퍼 면에 수직한 방향의 분력을 제공함으로써, 캡(210)에 형성되는 노즐구의 위치, 형태, 깊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기체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캡(21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노즐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제1노즐구(211h)라 지칭한다.
제1노즐구(211h)는 복수개가 테이퍼 면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노즐구(211h)의 개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후술하는 원주방향의 분력을 각각의 노즐구마다 동일하게 유지하여 노즐 헤드부(200)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제1노즐구(211h)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착부(230)는 노즐 헤드부(200)를 구성하는 일 요소이며, 캡(210)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연장된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구조로서, 모관부 일단(110)과 연결된다.
노즐 헤드부(2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결착부(230)에는 회전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착부(230)와 모관부(100)의 연결부위를 통해 기체의 유실이 생기는 경우, 노즐 헤드부(200)를 회전시키는 기체의 압력이 감소되는 점을 고려하여, 이 연결부위는 기밀성 있는 소재로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착부(230)에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노즐 헤드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기체의 유실을 방지하는 밀폐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내화성이 강한 소재로 구성함이 보다 적절할 것이다.
결착부(230)는 반드시 원통형일 필요는 없고,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수단, 밀폐수단 등의 보다 효율적인 배치를 위해서라면 그 형태는 제한없이 변경될 수 있다.
캡(210)과 결착부(230)는 한 몸체를 이루는 것이 노즐 헤드부(200)의 원활한 회동 및 기밀성을 고려할 때, 보다 바람직하나, 이 같은 기재가 캡(210)의 탈착식 구조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1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소화 노즐(10)은, 모관부(100), 노즐 헤드부(200)를 포함하며, 노즐 헤드부(200)는 캡(210)과 결착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캡(210)은 복수개의 돌기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215)는 캡(210)의 태이퍼 면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된다.
돌기부(215)는 경사진 면으로 구성된 각뿔 또는 다면체 형태일 수 있다. 삼각뿔 형상이 보다 적절할 것이다.
다만, 각뿔 또는 다면체 형상에 한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이 노즐 헤드부(200)를 회전시키도록 이용하게 하는 구조라면 무엇이든지 변경적용 가능하다.
삼각뿔 형상일 경우, 일면은 테이퍼 면에 접하여 캡(210)과 결착되고, 타면에는 노즐구가 형성된다. 이를 제2노즐구(213h)라 지칭한다.
제2노즐구(213h)는 상기 타면의 일측에 부분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면 전체가 개방되어 하나의 제2노즐구(213h)를 형성할 수 있다.
삼각뿔의 한 타면에 형성된 제2노즐구(213h)는 캡(210)의 내부와 연통되어, 캡(210) 내부의 기체가 제2노즐구(213h)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즉, 삼각뿔 형상의 돌기부(215)는, 한 면이 개방되어 외부와 통하고 다른 한면은 캡(210)의 내부와 통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닫혀 있는 나머지 두 개의 면은 캡(210)의 테이퍼 면상에서 일정한 경사를 이루는 외벽이 된다. 따라서 캡(210) 내부의 기체가 돌기부(2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돌기부(215)의 외벽에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은, 외벽이 형성하는 경사로 인해 원주방향으로 분력을 제공한다.
이 분력은 캡(210)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회전하는 노즐 헤드부(200)는 배출되는 기체가 SPIRAL 유동을 생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유동은 가스류 소화 약재의 확산 및 혼합을 도와 신속한 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실험에 의할 때, 이러한 돌기부(215)가 존재하지 않는 종래의 소화 노즐 헤드를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약 10% 이상의 향상된 소화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돌기부(215)의 외벽에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이 캡(210)의 특정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효율적으로 기여하도록, 복수개의 돌기부(215)에 형성된 각각의 제2노즐구(213h)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돌기부(215)의 개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원주방향의 분력을 각각의 노즐구마다 동일하게 유지하여 노즐 헤드부(200)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돌기부(215)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가의 노즐구로 기체가 배출될 때, 캡(210)의 테이퍼 형상으로 인해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하여 캡(210)의 회전운동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헤드부(20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할 때, 돌기부(215)가 존재하지 않는 노즐 헤드부(2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캡(210)이 최소한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노즐구(211h)는 캡(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일정한 깊이의 통로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 통로를 축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두고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돌기부(215)의 외벽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캡(210) 내부의 기체가 경사지게 형성된 제1노즐구(211h)의 통로를 지나며, 그 압력을 통로벽에 전달하게 되고, 이는 원주방향의 분력을 제공한다.
통로의 개수, 길이, 경사의 정도에 따라 기체의 상이한 SPIRAL 유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소화 노즐(10)이 설치되는 공간의 특이성을 파악하여 그에 가장 적합한 구성으로 설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 헤드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소화 노즐(10)은 결착부(23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제3노즐구(230h)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노즐구(230h)는 전술한 제1노즐구(211h) 및 제2노즐구(213h)와 같이 일정한 경사를 두고 형성된 통로형으로서 노즐 헤드부(200)의 회전운동에 기여하는 원주방향 분력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혹은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로서의 역할만 수행하도록 회전축에 대해 방사형 통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제3노즐구(230h)의 개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원주방향의 분력을 각각의 노즐구마다 동일하게 유지하여 노즐 헤드부(200)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제3노즐구(230h)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10)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10)은, 노즐 헤드부(200)의 회전용이성을 위해 연결부위에 볼베어링(300)이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노즐 헤드부(200)는, 결착부(230)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결착부 가이드레일(235)이 형성되고, 결착부 가이드레일(235)에 안착되어 모관부 일단(110)의 외주면과 접촉,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300)을 포함한다.
노즐 헤드부(200)와 결착되는 모관부 일단(110)은, 결착부(2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관형으로서, 볼베어링(300)이 안착된 결착부(230)의 크기에 대응된다.
결착부(230)에 형성된 결착부 가이드레일(235)은, 탄성력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모관부 일단(110)과 결착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모관부(100)의 외주면을 가압지지하고, 충분히 기밀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내부의 기체들이 연결부위를 통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난 모관부(100)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모관부 가이드레일(115)이 형성되고, 모관부 가이드레일(115)에 안착되어 결착부(230)의 외주면과 접촉,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300)을 포함한다.
모관부(100)와 결착되는 결착부(230)는, 모관부(1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관형으로서, 볼베어링(300)이 안착된 모관부(100)의 크기에 대응된다.
모관부(100)에 형성된 모관부 가이드레일(115)은, 탄성력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결착부(230)와 결착 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착부(230)의 외주면을 가압지지하고, 충분히 기밀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내부의 기체들이 연결부위를 통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노즐(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부가 폐쇄된 테이퍼 형상의 캡(210)으로 유입된 기체가,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된 돌기부(215)에 형성된 제2노즐구(213h)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돌기부(215)의 외벽을 가압한다.
외벽에 경사진 방향으로 가해진 기체의 압력이 원주방향의 분력을 제공하고, 이는 노즐 헤드부(200)의 회전운동에 기여한다.
노즐 헤드부(200)의 회전 및 캡(210)의 테이퍼 형상으로 인해 캡(210)의 내부에서는 기체의 와류가 형성된다.
또한, 기체의 고압이 모관부(100)를 통해 노즐구로 배출될 시, 분출각도와 회전가능한 노즐 헤드부(200)에 의해 스파이럴 유동을 자체적으로 형성한다. 이로 인해 초기 가스약재의 신속혼합 및 소화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구성들을 개시한 것이다.
소화 약재가 혼합된 기체를 안내하는 모관부; 상기 모관부 일단에서 회동가능하게 결착되어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헤드부는 캡과 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부가 폐쇄된 테이퍼 형상의 원통형 구조로서 상부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며,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노즐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캡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관부 일단과 연결되는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화 약재가 혼합된 기체를 안내하는 모관부; 상기 모관부 일단에서 회동가능하게 결착되어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헤드부는 캡과 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부가 폐쇄된 테이퍼 형상의 원통형 구조로서 상부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삼각뿔 형상으로, 일면에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제2노즐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캡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관부 일단과 연결되는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노즐구는, 상기 캡의 내부와 연통되는 일정한 깊이의 통로로서,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노즐구는, 상기 캡의 내부와 연통되는 일정한 깊이의 통로로서,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착부는,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3노즐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착부는, 상기 모관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모관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관부는, 상기 결착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결착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소화 노즐
100 모관부
110 모관부 일단
200 노즐 헤드부
210 캡
215 돌기부
230 결착부
211h 제1노즐구
213h 제2노즐구
230h 제3노즐구
115 모관부 가이드레일
235 결착부 가이드레일
300 볼베어링

Claims (7)

  1. 삭제
  2. 소화 약재가 혼합된 기체를 안내하는 모관부;
    상기 모관부의 일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착되어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헤드부는 캡과 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부가 폐쇄된 테이퍼 형상의 원통형 구조로서 상부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삼각뿔 형상으로, 일면에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제2노즐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노즐구는,
    상기 캡의 내부와 연통되는 일정한 깊이의 통로로서,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캡의 회전에 기여하도록 방향이 정렬되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캡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관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구조이며,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3노즐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3노즐구는,
    상기 노즐 헤드부의 회전에 기여하도록 일정한 경사를 가진 통로를 포함하며, 분사 방향이 정렬되고,
    상기 결착부가 상기 모관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모관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을 포함하거나,
    상기 모관부가 상기 결착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결착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복수개의 볼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12339A 2018-09-19 2018-09-19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KR10206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339A KR102068024B1 (ko) 2018-09-19 2018-09-19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339A KR102068024B1 (ko) 2018-09-19 2018-09-19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024B1 true KR102068024B1 (ko) 2020-01-20

Family

ID=6936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339A KR102068024B1 (ko) 2018-09-19 2018-09-19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0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74B1 (ko) * 2021-06-02 2022-04-19 황영희 약제 노즐 분무기
CN117732622A (zh) * 2024-02-20 2024-03-22 潍坊百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碳化硅喷嘴
CN117732622B (zh) * 2024-02-20 2024-05-14 潍坊百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碳化硅喷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439A (ja) * 1996-04-16 1997-10-28 Hochiki Corp ラージドロップ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1161853A (ja) * 1999-12-14 2001-06-19 Nohmi Bosai Ltd 回転水噴霧ヘッド
KR200357404Y1 (ko) * 2004-03-18 2004-07-23 이영우 소화액의 토출력으로 회전되는 회전구를 갖는 화재경보음발생용 스프링클러헤드
KR100824221B1 (ko) 2007-03-22 2008-04-24 주식회사 윈 자동식 소화노즐
KR101804217B1 (ko) * 2017-09-13 2017-12-06 이수기술단(주)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439A (ja) * 1996-04-16 1997-10-28 Hochiki Corp ラージドロップ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1161853A (ja) * 1999-12-14 2001-06-19 Nohmi Bosai Ltd 回転水噴霧ヘッド
KR200357404Y1 (ko) * 2004-03-18 2004-07-23 이영우 소화액의 토출력으로 회전되는 회전구를 갖는 화재경보음발생용 스프링클러헤드
KR100824221B1 (ko) 2007-03-22 2008-04-24 주식회사 윈 자동식 소화노즐
KR101804217B1 (ko) * 2017-09-13 2017-12-06 이수기술단(주)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74B1 (ko) * 2021-06-02 2022-04-19 황영희 약제 노즐 분무기
CN117732622A (zh) * 2024-02-20 2024-03-22 潍坊百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碳化硅喷嘴
CN117732622B (zh) * 2024-02-20 2024-05-14 潍坊百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碳化硅喷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082B2 (en) Fire fighting nozzle for projecting fog cloud
BRPI0719101A2 (pt) Sprinkler oculto
US20100032501A1 (en) Water mist generating head
EP3037176B1 (en) Nozzle device
GB2209966A (en) Fluid discharge nozzle
KR102068024B1 (ko) 초기 약재혼합률이 향상된 소화 노즐
PT689857E (pt) Dispositivo para a extincao de incendios por impulso
US10933265B2 (en) Ambient mist sprinkler head
WO2001051131A1 (en) Fluid nozzle spray and fire extinguisher
AU712225B2 (en) Explosion suppressant dispersion nozzle
AU2010330955B2 (en) Fire extinguishing assembly for transforming a liquid to a liquid mist
RU152578U1 (ru) Дренч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KR101890878B1 (ko) 가스분사노즐
KR102532855B1 (ko) 와류발생 구조체가 구비된 소방용 관창
CN210205680U (zh) 一种灭火水球
CN218607787U (zh) 消防用水幕发生装置
CA2131109C (en) Foam nozzle
SU1688898A1 (ru) Ручной пожарный ствол
KR102618471B1 (ko) 대심도지하차도 고압미분무노즐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소화설비
KR102538477B1 (ko) 소방용 관창
RU2718784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на резервуарах с легковоспламеняющимися и горючими жидкостя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WO2003035182A1 (en) Nozzle
EP2671616A1 (en) Adjustable nozzle
RU2577220C2 (ru) Дренч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дренче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20170333740A1 (en) Fire Extinguishing Chimney Bomb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