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708B1 -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708B1
KR101809708B1 KR1020170121114A KR20170121114A KR101809708B1 KR 101809708 B1 KR101809708 B1 KR 101809708B1 KR 1020170121114 A KR1020170121114 A KR 1020170121114A KR 20170121114 A KR20170121114 A KR 20170121114A KR 101809708 B1 KR101809708 B1 KR 10180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ter
housing
suppor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여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12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B05B15/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와, 덮개부(12a) 및 축부(12b)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연기배출부(14)와, 연기배출부(14)의 측방에 구비되어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와, 측방으로 개구되게 축부(12b)의 외측에 형성되는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와 연결되는 소방배관(51)을 통해 지지체(11) 내부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50)와;
소방펌프(50)의 소방배관(51)에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부(11b)에 근접한 위치의 소방배관(51) 상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소방수제어밸브(80)와;
하우징(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플랜지(21b)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중앙회전체(20)와;
중앙회전체(20)의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대(91)와, 지지대(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대(92)와, 지지대(91) 또는 회전대(92)에 설치되어 회전대(92)가 수평을 이루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93) 및, 하우징(10)의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에 설치되어, 회전대(92)의 접촉이 해제되면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출력되는 접촉감지센서(94)를 갖춘 누수감지기구(90)와;
중앙회전체(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중앙회전체(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과, 노즐(32)과 연통되는 유입부(33a),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통과부(33b), 통과부(33b)보다 큰 폭을 갖고서 통과부(33b)와 연통되는 정면배출부(33c),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구비하여, 노즐(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구(33)와, 분사구(33)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날개(34)와,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d)와 연통되게 분사구(33)의 측면에 설치되되 노즐날개(34)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노즐(35) 및, 노즐날개(34)에 부딪힌 소방수가 부딪히도록 노즐날개(34)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36)를 갖춘 스프링클러(30)와;
상하로 개구되게 제연회전체축(4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연기이동부(41a)를 구비하여, 상단이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를 관통하여 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연회전체축(41)과, 흡입체(42)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제연회전체축(41)의 연기이동부(41a)와 연통되는 연통부(42a), 흡입체(42)의 외측 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통부(4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부(42b)를 구비하여, 제연회전체축(41)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흡입체(42)와,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에 위치하게 제연회전체축(41)의 상부에 제연회전체축(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날개(43) 및,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연회전체축(41)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확산시키는 다수의 확산날개(44)를 갖춘 제연회전체(40)와;
하우징(10)의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의 측면에 설치되는 자석(101)과, 하우징(10)의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에 수용되게 제연회전체축(41)에 설치되고, 자석(101)을 감지하면, 자석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마그네틱센서(102)를 갖춘 회전감지기구(100)와;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제연펌프(60)와;
제연회전체(40)의 흡입체(42)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일정 방향이 표시되도록 점등되는 안내등(110) 및;
하우징(10)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소방수제어밸브(80)를 개방하면서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하고, 마그네틱센서(102)로부터 자석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안내등(110)을 구동하며,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소방배관(51)에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소방배관(51)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제어유닛(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Equipment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의 소방장치는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지역에서 대피자가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며,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넓힐 수 있고, 화재발생지역의 연기를 제거할 수 있는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도 1과 같이 스프링클러(S)가 설치되고, 스프링클러(S)는 소방배관(P1)을 통해 소방펌프(P)와 연결되어,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소방장치는 소방배관(P1)에 누수가 발생할 시 이를 미리 확인하여 수리할 수 없어, 화재발생 시 소방배관(P1)을 통해 소방수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소방장치의 스프링클러(S)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이상고온(약 70도 경계)을 감지하면, 가용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퓨즈가 끊어지면서, 소방수가 분사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스프링클러(S)는 주변으로 소방수를 흩어 뿌리는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소방수를 통해 불길 잡는 속도 및 범위가 부족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에 의해 주변이 어두워져 대피자가 탈출구를 쉽게 찾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대피자가 많은 연기를 흡입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28236(2012.03.12. 등록) "스프링클러 장치"
본 발명은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지역에서 대피자가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며,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넓힐 수 있고, 화재발생지역의 연기를 제거할 수 있는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와, 덮개부(12a) 및 축부(12b)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연기배출부(14)와, 연기배출부(14)의 측방에 구비되어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와, 측방으로 개구되게 축부(12b)의 외측에 형성되는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와 연결되는 소방배관(51)을 통해 지지체(11) 내부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50)와;
소방펌프(50)의 소방배관(51)에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부(11b)에 근접한 위치의 소방배관(51) 상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소방수제어밸브(80)와;
하우징(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플랜지(21b)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중앙회전체(20)와;
중앙회전체(20)의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대(91)와, 지지대(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대(92)와, 지지대(91) 또는 회전대(92)에 설치되어 회전대(92)가 수평을 이루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93) 및, 하우징(10)의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에 설치되어, 회전대(92)의 접촉이 해제되면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출력되는 접촉감지센서(94)를 갖춘 누수감지기구(90)와;
중앙회전체(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중앙회전체(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과, 노즐(32)과 연통되는 유입부(33a),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통과부(33b), 통과부(33b)보다 큰 폭을 갖고서 통과부(33b)와 연통되는 정면배출부(33c),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구비하여, 노즐(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구(33)와, 분사구(33)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날개(34)와,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d)와 연통되게 분사구(33)의 측면에 설치되되 노즐날개(34)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노즐(35) 및, 노즐날개(34)에 부딪힌 소방수가 부딪히도록 노즐날개(34)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36)를 갖춘 스프링클러(30)와;
상하로 개구되게 제연회전체축(4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연기이동부(41a)를 구비하여, 상단이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를 관통하여 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연회전체축(41)과, 흡입체(42)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제연회전체축(41)의 연기이동부(41a)와 연통되는 연통부(42a), 흡입체(42)의 외측 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통부(4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부(42b)를 구비하여, 제연회전체축(41)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흡입체(42)와,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에 위치하게 제연회전체축(41)의 상부에 제연회전체축(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날개(43) 및,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연회전체축(41)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확산시키는 다수의 확산날개(44)를 갖춘 제연회전체(40)와;
하우징(10)의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의 측면에 설치되는 자석(101)과, 하우징(10)의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에 수용되게 제연회전체축(41)에 설치되고, 자석(101)을 감지하면, 자석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마그네틱센서(102)를 갖춘 회전감지기구(100)와;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제연펌프(60)와;
제연회전체(40)의 흡입체(42)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일정 방향이 표시되도록 점등되는 안내등(110) 및;
하우징(10)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소방수제어밸브(80)를 개방하면서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하고, 마그네틱센서(102)로부터 자석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안내등(110)을 구동하며,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소방배관(51)에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소방배관(51)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제어유닛(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배관(51)에서 누수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어, 소방배관(51)을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위치에서만 일정 방향 표시를 점등하는 안내등(110)을 통해 대피자에게 대피로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32)의 분사부분에 분사구(33)가 구비되어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키고 분사력을 증폭하여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10)의 탄발기구(13)와 회전본체(20)의 스토퍼(24)가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소방수의 공급만으로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켜,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연본체(40)의 확산날개(44))가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의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향해 밀어내, 회전본체(20)가 회전할 시 소방수가 보다 빠르고 멀리 분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수가 날개(22)에 부딪힐 시 회전본체(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날개(22)가 사방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제연본체(40)의 흡입체(42)를 회전시킴으로써, 화재발생시 많은 양의 연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연본체(42)의 흡입체(42)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많은 양의 연기가 더욱 신속하게 제거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W-W'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구성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연회전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연회전체의 흡입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안내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7의 V-V'선 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W-W'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구성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연회전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연회전체의 흡입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안내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7의 V-V'선 단면도로써,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는 하우징(10), 소방펌프(50), 소방수제어밸브(80), 중앙회전체(20), 누수감지기구(90), 스프링클러(30), 제연회전체(40), 회전감지기구(100), 제연펌프(60), 안내등(110) 및 제어유닛(7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지지체(11), 덮개(12), 연기배출부(14),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 및 탄발기구(13)를 갖춘다.
상기 지지체(11)는 지지부(11b) 및 받침부(11a)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11b)는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1b)의 일측에는 소방수가 공급되는 소방배관(51)이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천장홀(1)은 상하로 개구된 천장홀(1a)을 갖추며, 지지부(11b)의 내부는 천장(1)의 천장홀(1a)과 연통된다.
상기 받침부(11a)는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11a)는 중앙회전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중앙회전체(20)를 받친다.
상기 덮개(12)는 덮개부(12a) 및 축부(12b)을 갖춘다.
상기 덮개부(12a)는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12a)는 볼트를 통해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축부(12b)는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12b)는 덮개부(12a)의 중앙에 구비되어, 중앙회전체(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연기배출부(14)는 덮개부(12a) 및 축부(12b)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는 연기배출부(14)의 측방에 구비되어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된다.
상기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는 측방으로 개구되게 축부(12b)의 외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는 축부(12b)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발기구(13)는 스프링(13a) 및 볼(13b)를 구비하여,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13a)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3a)은 축부(12b)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닌다.
상기 볼(13b)은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13b)은 스프링(13a)의 탄성력에 의해 중앙회전체(20)의 스토퍼(24)의 표면과 접촉이 유지된다.
상기 소방펌프(50)는 하우징(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와 연결되는 소방배관(51)을 통해 지지체(11) 내부에 소방수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방펌프(50)는 건물 내의 별도의 장소에 설치된다.
상기 소방수제어밸브(80)는 소방펌프(50)의 소방배관(51)에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근접한 위치의 소방배관(51) 상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흐름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방수제어밸브(80)는,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소방수제어밸브(80)가 개방될 시, 소방수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회전체(20)는 삽입체(21), 다수의 날개(22), 소방수이동기구(23), 및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다.
상기 삽입체(21)는 삽입부(21a) 및 삽입체플랜지(21b)를 갖춘다.
상기 삽입부(21a)는 하우징(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삽입체플랜지(21b)는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체플랜지(21b)는 도넛 형상으로 축부(12b)의 상부 둘레에 구비되어, 소방배관(51)에서 유입되는 소방수가 상부로 퍼지지 않게 한다.
상기 날개(22)는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삽입부(21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체플랜지(21b)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날개(22)는, 소방수가 날개(22)에 부딪힐 시 중앙회전체(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날개(22)의 경사각에 따라 중앙회전체(20)의 회전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날개(22)는 경사 방향을 변경하여 중앙회전체(20)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날개(22)는 회전 시 사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날개(2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소방수이동기구(23)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및 연장부(23b)를 갖춘다.
상기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는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한다.
상기 연장부(23b)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소방수이동공간, a2)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된다.
상기 스토퍼(24)는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10)의 볼(13b)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24)는, 중앙회전체(20)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상(예를 들어렛치 타입의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중앙회전체(20)가 양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상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누수감지기구(90)는 중앙회전체(20)의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대(91)와, 지지대(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대(92)와, 지지대(91) 또는 회전대(92)에 설치되어 회전대(92)가 수평을 이루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93) 및, 하우징(10)의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에 설치되어, 회전대(92)의 접촉이 해제되면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출력되는 접촉감지센서(9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누수감지기구(90)는 중앙회전체(20)의 연장부(23b)의 내부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접촉감지센서(94)는 온오프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회전대(92)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감지센서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30)는 몸체(31), 노즐(32), 분사구(33), 노즐날개(34), 보조노즐(35) 및, 다수의 돌기(36)를 포함한다. 또한, 스프링클러(30)는 중앙회전체(20)와 같이 사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장부(23b)와 연결된다.
상기 몸체(31)는 중앙회전체(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중앙회전체(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즐(32)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노즐(32)은 천장(1)에 가까운 노즐(32)일 수록 길이가 길게 구비된다.
상기 분사구(33)는 유입부(33a), 통과부(33b), 정면배출부(33c) 및,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포함한다. 또한, 분사구(33)는 노즐(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유입부(33a)는 노즐(32)과 연통되어, 노즐(32)에서 배출되는 소방수가 유입된다.
상기 통과부(33b)는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유입부(33a)와 연통된다. 또한, 통과부(33b)는 유입부(33a)에서 배출되는 소방수가 유입된다.
상기 정면배출부(33c)는 통과부(33b)보다 큰 폭을 갖고서 통과부(33b)와 연통된다. 또한, 정면배출부(33c)는 통과부(33b)에서 유입된 소방수를 넓고 많은 양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지점까지 점차적으로 넓어진다.
상기 측면배출부(33d)는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부(33a)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측면배출부(33d)는 측면으로 소방수를 분사한다. 본 발명의 측면배출부(33d)는 사방으로 회전하면서 측면에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분사범위를 측면에도 분사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화재를 제압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노즐날개(34)는 분사구(33)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보조노즐(35)은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c)와 연통되게 분사구(33)의 측면에 설치되되 노즐날개(34)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보조노즐(35)은 소방수를 측면에서 분사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제압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36)는 노즐날개(34)에 부딪힌 소방수가 부딪히도록 노즐날개(34)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돌기(36)는, 노즐날개(34)에서 분사된 소방수가 부딪히면서 사방으로 퍼지도록 하여, 미세한 물 입자가 넓은 화재 지역을 고르게 진압하도록 한다.
상기 제연회전체(40)는 제연회전체축(41)과, 흡입체(42)와, 다수의 회전날개(43) 및, 다수의 확산날개(44)를 갖춘다.
상기 제연회전체축(41)은 상하로 개구되게 제연회전체축(4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연기이동부(41a)를 구비하여, 상단이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를 관통하여 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연회전체축(41)은 상단 단면이 'T'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흡입체(42)는 흡입체(42)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제연회전체축(41)의 연기이동부(41a)와 연통되는 연통부(42a)와, 흡입체(42)의 외측 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통부(4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부(42b)를 구비하여, 제연회전체축(41)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흡입부(42b)는 일측(우측)에만 구비되어 흡입부(42b)로 흡입된 연기가 흡입부(42b)의 좌측 내벽에 부딪히면서 흡입부(43b)를 따라 신속하게 배기된다.
상기 회전날개(43)는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에 위치하게 제연회전체축(41)의 상부에 제연회전체축(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날개(43)는, 소방수가 회전날개(43)에 부딪힐 시 제연회전체축(41)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회전날개(43)의 경사각에 따라 중앙회전체(20)의 회전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날개(43)는 경사 방향을 변경하여 제연회전체축(41)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확산날개(44)는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연회전체축(41)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확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날개(44)는 소방수를 노즐(32)로 확산시켜, 소방수가 정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에서 배출되도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날개(44)는 소방수를 밀어내는 면적이 넓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감지기구(100)는, 하우징(10)의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의 측면에 설치되는 자석(101)과, 하우징(10)의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에 수용되게 제연회전체축(41)에 설치되고 자석(101)을 감지하면 자석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마그네틱센서(102)를 갖춘다.
상기 제연펌프(60)는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되어, 연기를 흡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연펌프(60)는 흡입펌프가 적용되어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고, 별도의 연결라인을 통해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된다.
상기 안내등(110)은 제연회전체(40)의 흡입체(42)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일정 방향이 표시되도록 점등된다.
상기 제어유닛(70)은, 하우징(10)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소방수제어밸브(80)를 개방하면서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하고, 마그네틱센서(102)로부터 자석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안내등(110)을 구동하며,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소방배관(51)에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소방배관(51)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70)은 하우징(10)에 설치되지만, 천장(1) 상부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70)은 소방배관(51)에서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별도의 송신기를 통해 별도의 관리센터에 소방배관 수리 요청 신호를 무선 송출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4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방수제어밸브(80)까지 소방수가 소방배관(51)에 채워진 상태에서, 소방수제어밸브(80)가 손상되거나, 소방수제어밸브(80)가 설치된 소방배관(51)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면, 도 14와 같이 소방배관(51)에 채워진 소방수가 조금씩 새어 하우징(10)의 지지부(11b)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하우징(10)의 지지부(11b) 내부로 유입된 소방수는 도 14와 같이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로 이동하면서 누수감지기구(90)의 회전대(92)를 가압한다. 여기서 하우징(10)의 지지부(11b) 내부로 유입되는 소방수는 소량이기 때문에, 중앙회전체(20)의 소방수이동기구(23)가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누수감지기구(90)의 회전대(92)가 가압되면, 누수감지기구(90)의 회전대(92)는 하방으로 회전하고,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는 회전대(92)의 접촉이 해제됐다는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유닛(70)은,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소방배관(51)에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감지센서(3)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제어유닛(70)에 출력한다.
제어유닛(70)이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70)은 소방수제어밸브(80)를 개방하면서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한다.
여기서, 제어유닛(70)이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하면, 소방펌프(50)로부터의 소방수는 하우징본체(10)의 지지부(11b) 내부로 공급되어 회전본체(20)의 날개(22)와 부딪히면서 낙하하고, 낙하하는 소방수는 제연본체(40)의 회전날개(43)와 부딪혀 도 15와 같이 회전날개(4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누수감지기구(90)의 회전대(92)는 상기 소방수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소방수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제어유닛(70)은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소방배관(51)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회전날개(43)가 회전하면, 제연기구(40)의 흡입체(42)가 도 16과 같이 회전한다. 이때 흡입체(42)의 주변에 연기는 제연펌프(60)의 흡입력에 의해 도 16과 같이 흡입체(42)의 흡입부(42b)로 흡입되어, 도 17과 같이 제연기구축(41)의 연기이동부(41a)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된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펌프(50)에서 소방수가 펌핑되고, 펌핑된 소방 도 18 및 도 19와 같이 소방배관(51)을 통해 하우징본체(10)의 지지부(11b)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하우징본체(10)의 지지부(11b) 내부로 유입된 소방수는 소방수유입공간(a1)을 경유하면서 도 18 및 도 19와 같이 날개(22)와 충돌하고 이에 따라 도 20과 같이 날개(22)가 회전한다.
그리고, 날개(22)와 충돌한 소방수는 도 21과 같이 소방수이동공간(a2)로 이동하면서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로 낙하한 후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하우징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소방수에 의해 날개(22)와 회전본체(20)가 회전할 시, 하우징본체(10)의 볼(13b)은 도 22와 같이 회전본체(20)의 스토퍼(24)에 의해 후퇴하면서 하우징본체(10)의 스프링(13a)이 압축된다. 이때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 및 분사구(33)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는 도 23과 같이 분사된다.
이후, 스프링클러(30)의 스토퍼(24)가 도 24와 같이 볼(13b)을 넘어가면, 스프링(13a)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24)가 강하게 밀리면서 회전본체(20)의 회전속도가 빨라진다.
그러면, 도 25와 같이 소방수가 도 23보다 더 멀리 분사된다.
이때, 회전본체(20)가 계속적으로 회전할 시, 상기와 같이 하우징본체(10)의 볼(13b) 및 회전본체(20)의 스토퍼(24)의 연동에 의해 회전본체(20)의 회전속도가 실시간으로 변동되어 일정한 주기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클러(30)의 분사노즐(32)에 의한 소방수의 분사 범위가 좁아졌다 넓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좁은 범위에서 넓은 범위까지 신속하게 화재진압을 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로 유입된 소방수는 제연본체(40)의 확산날개(44)에 의해 도 26과 같이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이동한다. 따라서 소방수가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정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향해 이동하여, 회전본체(20)가 회전할 시 소방수가 빠르면서도 멀리 분사된다.
또한, 소방수는 스프링클러(30)의 분사구(33)를 통과할 시, 도 27과 같이 폭이 좁은 통과부(33b)에서 폭이 넓은 정면배출부(33c)를 통과하여, 소방수가 더 넓고 강하게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구(33)의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통과하는 소방수는 다수의 보조노즐(35)를 통해 분사되고, 분사된 소방수는 다수의 노즐날개(34)와 충돌하여 분사구(33)가 도 28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d)에서 배출된 소방수는, 돌기(36)와 충돌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확산되고, 특히 분사구(33)의 회전력에 의해 소방수가 보다 넓고 멀리 확산되어, 화재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15와 같이 제연회전체(40)가 회전할 시, 제연회전체(40)를 따라 회전감지기구(100)의 마그네틱센서(102)가 회전하고, 마그네틱센서(102)는 회전감지기구(100)의 자석(101) 전방을 지나갈 시 자석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유닛(70)은 마그네틱센서(102)로부터 자석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도 29와 같이 안내등(110)을 구동한다. 즉 제어유닛(70)은 마그네틱센서(102)가 자석(101)의 전방을 지나지 않을 시에는 도 30과 같이 안내등(110)을 소등하고, 도 29와 같이 마그네틱센서(102)가 자석(101)의 전방을 지나갈 시에는 안내등(110)을 점등하여, 대피자가 안내등(110)의 화살표 방향을 통해 대피로를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소방배관(51)에서 누수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어, 소방배관(51)을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위치에서만 일정 방향 표시를 점등하는 안내등(110)을 통해 대피자에게 대피로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32)의 분사부분에 분사구(33)가 구비되어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키고 분사력을 증폭하여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10)의 탄발기구(13)와 회전본체(20)의 스토퍼(24)가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소방수의 공급만으로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켜,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연본체(40)의 확산날개(44))가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의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향해 밀어내, 회전본체(20)가 회전할 시 소방수가 보다 빠르고 멀리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수가 날개(22)에 부딪힐 시 회전본체(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날개(22)가 사방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제연본체(40)의 흡입체(42)를 회전시킴으로써, 화재발생시 많은 양의 연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연본체(42)의 흡입체(42)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많은 양의 연기가 더욱 신속하게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10), 소방펌프(50), 소방수공급밸브(80), 중앙회전체(20), 스프링클러(30), 제연회전체(40), 회전감지기구(100), 제연펌프(60), 안내등(110), 제어유닛(70)을 갖추고서 소방기능을 하는 소방장치에, 소방배관(51)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감지기구(90)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로 정의한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로 설명했기에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하우징 20: 중앙회전체
30: 스프링클러 40: 제연회전체
50: 소방펌프 60: 제연펌프
70: 제어유닛 80: 소방수제어밸브
90: 누수감지기구 100; 회전감지기구
110; 안내등

Claims (1)

  1.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와, 덮개부(12a) 및 축부(12b)를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연기배출부(14)와, 연기배출부(14)의 측방에 구비되어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와, 측방으로 개구되게 축부(12b)의 외측에 형성되는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지지체(11)의 지지부(11b)와 연결되는 소방배관(51)을 통해 지지체(11) 내부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50)와;
    소방펌프(50)의 소방배관(51)에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부(11b)에 근접한 위치의 소방배관(51) 상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소방수제어밸브(80)와;
    하우징(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플랜지(21b)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중앙회전체(20)와;
    중앙회전체(20)의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대(91)와, 지지대(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대(92)와, 지지대(91) 또는 회전대(92)에 설치되어 회전대(92)가 수평을 이루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93) 및, 하우징(10)의 접촉감지센서설치부(16)에 설치되어, 회전대(92)의 접촉이 해제되면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출력되는 접촉감지센서(94)를 갖춘 누수감지기구(90)와;
    중앙회전체(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중앙회전체(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과, 노즐(32)과 연통되는 유입부(33a),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통과부(33b), 통과부(33b)보다 큰 폭을 갖고서 통과부(33b)와 연통되는 정면배출부(33c), 유입부(33a)보다 작은 폭을 갖고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입부(33a)와 연통되는 다수의 측면배출부(33d)를 구비하여, 노즐(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구(33)와, 분사구(33)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날개(34)와, 분사구(33)의 측면배출부(33d)와 연통되게 분사구(33)의 측면에 설치되되 노즐날개(34)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노즐(35) 및, 노즐날개(34)에 부딪힌 소방수가 부딪히도록 노즐날개(34)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36)를 갖춘 스프링클러(30)와;
    상하로 개구되게 제연회전체축(4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통되는 연기이동부(41a)를 구비하여, 상단이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를 관통하여 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연회전체축(41)과, 흡입체(42)의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제연회전체축(41)의 연기이동부(41a)와 연통되는 연통부(42a), 흡입체(42)의 외측 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통부(42a)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부(42b)를 구비하여, 제연회전체축(41)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흡입체(42)와, 소방수이동기구(23)의 연장부(23b) 내부에 위치하게 제연회전체축(41)의 상부에 제연회전체축(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하우징(10)의 지지체(11) 내부로 공급된 소방수가 부딪힐 시 회전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날개(43) 및,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연회전체축(41)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를 향해 확산시키는 다수의 확산날개(44)를 갖춘 제연회전체(40)와;
    하우징(10)의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의 측면에 설치되는 자석(101)과, 하우징(10)의 회전감지기구설치부(15)에 수용되게 제연회전체축(41)에 설치되고, 자석(101)을 감지하면, 자석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마그네틱센서(102)를 갖춘 회전감지기구(100)와;
    하우징(10)의 연기배출부(14)와 연결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제연펌프(60)와;
    제연회전체(40)의 흡입체(42)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일정 방향이 표시되도록 점등되는 안내등(110) 및;
    하우징(10)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소방수제어밸브(80)를 개방하면서 소방펌프(50) 및 제연펌프(60)를 구동하고, 마그네틱센서(102)로부터 자석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안내등(110)을 구동하며,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소방배관(51)에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화재감지센서(3)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누수감지기구(90)의 접촉감지센서(94)로부터 회전대접촉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소방배관(51)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제어유닛(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0170121114A 2017-09-20 2017-09-20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0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14A KR101809708B1 (ko) 2017-09-20 2017-09-20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14A KR101809708B1 (ko) 2017-09-20 2017-09-20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708B1 true KR101809708B1 (ko) 2017-12-15

Family

ID=6095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114A KR101809708B1 (ko) 2017-09-20 2017-09-20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7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12A (ko) * 2018-12-14 2020-06-24 윤종무 수경 및 토양 재배용 균일 물분사장치
KR102354518B1 (ko) 2021-10-08 2022-01-21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펌프 제어 신호 생성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6294162A (zh) * 2023-03-24 2023-06-23 广东积木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耐火天圆地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853A (ja) 1999-12-14 2001-06-19 Nohmi Bosai Ltd 回転水噴霧ヘッド
KR101662590B1 (ko) 2016-05-16 2016-10-05 (주)건일엠이씨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679713B1 (ko)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700211B1 (ko) 2016-05-16 2017-01-31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853A (ja) 1999-12-14 2001-06-19 Nohmi Bosai Ltd 回転水噴霧ヘッド
KR101662590B1 (ko) 2016-05-16 2016-10-05 (주)건일엠이씨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700211B1 (ko) 2016-05-16 2017-01-31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679713B1 (ko)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12A (ko) * 2018-12-14 2020-06-24 윤종무 수경 및 토양 재배용 균일 물분사장치
KR102247842B1 (ko) * 2018-12-14 2021-05-03 윤종무 수경 및 토양 재배용 균일 물분사장치
KR102354518B1 (ko) 2021-10-08 2022-01-21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펌프 제어 신호 생성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6294162A (zh) * 2023-03-24 2023-06-23 广东积木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耐火天圆地方
CN116294162B (zh) * 2023-03-24 2023-09-08 广东积木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耐火天圆地方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708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07864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1995990B1 (ko)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031857B1 (ko)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KR101804217B1 (ko)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KR101636738B1 (ko) 방화구역용 스프링클러 감시 시스템
KR102031859B1 (ko) 비상대피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US10426983B2 (en) Fire sprinkler system having combined detection and distribution piping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2232707B1 (ko) 복합 소화 시스템
KR101793988B1 (ko) 건물 화재 소방용 노즐 헤드 장치
KR101700142B1 (ko) 건축공간 제연 기능을 갖는 소방방재 장치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1785392B1 (ko) 제연기를 구비한 건물 소방방재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물 소방방재 방법
KR101807863B1 (ko)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TWI488667B (zh) 具有多劑排放能力之雙模用劑排放系統
WO2000012177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 fire fighting foam, nozzle head and an arrangement in a fire extinguishing installation
KR101712866B1 (ko) 건물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용 노즐 헤드 장치
US20090188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smoke and fire detectors
KR102465278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진압 소방구조물
KR20070009514A (ko) 회전식 자동 확산 소화기
KR102374455B1 (ko)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