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990B1 -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Google Patents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990B1
KR101995990B1 KR1020190063589A KR20190063589A KR101995990B1 KR 101995990 B1 KR101995990 B1 KR 101995990B1 KR 1020190063589 A KR1020190063589 A KR 1020190063589A KR 20190063589 A KR20190063589 A KR 20190063589A KR 101995990 B1 KR101995990 B1 KR 10199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agent
nozzle
ammonia ga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기술단
Priority to KR102019006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덕트(100)와; 덕트(100)에 설치되어 덕트(100)의 내부로 연기가 유입될 수 있게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200)과; 소화제가 충진된 내압용기(300)와; 내압용기(300)에 설치되는 편향체(400)와; 내압용기(300)와 편향체(400) 사이에 설치되는 암모니아가스를 갖춘 유리밸브(500)와; 편향체(400)에 설치되어 열기를 모으고 소화제가 주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분출관(600)과; 분출관(600)을 개폐하는 개폐기(700)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800)와; 암모니아가스를 검출하는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와; 온도감지센서(800) 또는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개폐기(7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1000)와; 분출관(600)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면서 유리밸브(500)를 부수는 스토퍼(1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시 발생한 연기를 강제로 흡입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반응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지역까지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어 화재진압에 유리하며, 화재든 화재가 아니든 어떠한 상황에서도 원활한 작동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Smoke prevention wall equipment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 주방 등에 소방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소방장치는 설정온도로 가열되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내압용기에 저장된 소화제를 분사하게 된다.
종래의 소방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1178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화재발생시 집열판을 통해 열기를 모아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열기를 모을 수 있다는 이점은 있지만, 소화제 분사시 집열판의 설정각도로 인해 국소범위에 소화제가 집중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주변화재는 진압이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화재시 발생된 연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기가 쉽지 않았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1178호(2011.10.10)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0581호(2014.04.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시 발생한 연기를 강제로 흡입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반응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고, 광범위한 지역까지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어 화재진압에 유리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원활한 작동 구현이 가능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과 마감재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의 화재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통로를 제공하는 덕트;
덕트에 설치되어 화재연기가 덕트로 흡입될 수 있게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
마감재에 설치고정되며, 내부에 충진된 소화제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노즐이 마련된 내압용기;
내압용기에 프레임을 매개로 고정되는 편향체;
노즐의 구멍을 막도록 노즐과 편향체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암모니아가스가 충진된 유리밸브;
내부와 연통되는 제1결합공을 갖추고서 노즐의 둘레부를 덮도록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부, 제1링부와 일체를 이루며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의 제1콘부로 구성되되, 제1콘부의 외주면에는 노즐을 통해 분사된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소화제배기부가 형성되고, 제1링부와 제1소화제배기부 사이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배출되는 제1열배출부가 형성된 내체와,
제1링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되, 일측 외주면에는 회전에 의해 제1결합공과 상호 연통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톱니가 마련된 제2링부, 제2링부와 일체를 이루며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의 제2콘부로 구성되되, 제2콘부의 외주면에는 회전에 의해 제1소화제배기부와 상호 연통되어 제1소화제배기부를 통과한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소화제배기부가 형성되고, 제2링부와 제2소화제배기부 사이의 외주면에는 제1열배출부와 상호 연통되어 제1열배출부를 통과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제2열배출부가 형성된 외체로 구성된 분출관;
제2링부의 톱니와 맞물리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체를 회전시키는 기어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개폐기;
내압용기에 설치되어 제1·2열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열기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해 출력하는 온도감지센서;
유리밸브에 인접되게 노즐에 설치되어 암모니아가스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또는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 및 흡기팬을 동작시키는 제어부;
제2링부에 인접되게 내압용기에 설치되는 바디부와, 바디부에 인입출가능하게 내설되고, 상호 연통된 제1·2결합공에 관통되게 끼워져 외체의 회전을 제한하며, 유리밸브를 파손시켜 노즐을 통해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타격핀과, 바디부에 내설되어 타격핀의 선단이 제2링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일 방향으로 미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시 발생한 연기를 강제로 흡입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반응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지역까지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어 화재진압에 유리하며, 화재든 화재가 아니든 어떠한 상황에서도 원활한 작동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에서 분출관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의 요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에서 분출관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는, 덕트(100)와 흡기팬(200), 내압용기(300), 편향체(400), 유리밸브(500), 분출관(600), 개폐기(700), 온도감지센서(800),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 제어부(1000) 및 스토퍼(110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화재시 발생한 연기를 강제로 흡입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반응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지역까지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어 화재진압에 유리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원활한 작동 구현이 가능해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100)는 내부가 관통된 관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실내의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마감재(F)를 관통해 실내와 연통되어 화재시 발생한 연기가 외부로 이동될 수 있게 통로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흡기팬(200)은 덕트(100)에 설치되며, 제어부(10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연기가 강제로 덕트(100)로 유입될 수 있게 흡입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압용기(300)는 내부에 소화제와 고압의 가스가 저장된 통으로서, 하면에는 내부의 소화제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노즐(310)이 마련되고, 상면에는 마감재(F)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할 수 있게 고정구(320)가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편향체(400)는 프레임(410)을 매개로 내압용기(300)에 설치되어 노즐(310)을 통해 배출된 소화제가 사방으로 확산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내압용기(300)와 편향체(40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1178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0581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리밸브(500)는 내부에 암모니아가스가 충진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노즐(310)과 편향체(400) 사이에 배치되어 노즐(310)의 구멍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유리밸브(500)가 노즐(310)의 구멍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는 노즐(310)을 통해 소화제가 배출되지 않지만, 유리밸브(500)가 충격(타격)에 의해 파손(부서지게)되면 노즐(310)의 구멍이 개방되면서 소화제가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출관(600)은 내체(610)와 외체(620)로 구성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편향체(400)의 프레임(4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열을 모아 온도감지센서(800)가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소화제의 분사시 광범위한 지역까지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분출관(600)은 내체(610)의 외주면으로 외체(620)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제1·2소화제배기부(612a,622a)가 상호 연통되도록 개방하거나 서로 연통되지 않게 폐쇄한다.
상기와 같은 분출관(600)의 개폐기능에 의해 화재발생시 열을 모아 온도감지센서(800)가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소화제의 분사시 광범위한 지역까지 확산되도록 할 수 있어 화재진압이 보다 유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내체(610)와 외체(62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대되는 상협하광형태를 갖는 깔때기형상의 부재로서, 열에 강한 재질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체(610)는 제1링부(611)와 제1콘부(612)로 구성되며, 일체를 이룬다.
상기 제1링부(611)는 노즐(310)의 둘레부를 덮도록 통상의 고정방식에 의해 프레임(4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제1결합공(6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링부(611)의 외주면은 이후에 설명되는 제2링부(621)가 끼워져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매끈하게 가공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콘부(612)는 제1링부(6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콘부(612)의 외주면에는 내부와 연통되어 노즐(310)을 통해 분사된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소화제배기부(61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콘부(612)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링부(611)와 제1소화제배기부(612a)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배출되는 제1열배출부(612b)가 형성된다.
상기 제1소화제배기부(612a)와 제1열배출부(612b)는 제1링부(611)를 중심으로 제1콘부(61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체(620)는 제2링부(621)와 제2콘부(622)로 구성되고, 서로 일체를 이루며, 내체(6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링부(621)는 제1링부(61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제2링부(621)의 외주면 일부는 매끈하게 가공되어 있으면서 내부와 연통되는 제2결합공(621a)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톱니(621b) 모양으로 가공이 되어 있다.
상기 톱니(621b)는 이후에 설명될 개폐기(700)의 기어부(710)와 서로 맞물리며, 기어부(710)의 회전에 의해 톱니(621b)가 맞물려 회전하게 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외체(62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콘부(622)는 제2링부(62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콘부(622)의 외주면에는 회전에 의해 제1소화제배기부(612a)와 상호 연통되어 제1소화제배기부(612a)를 통과한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소화제배기부(62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콘부(622)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2링부(621)와 제2소화제배기부(622a) 사이에 배치되며, 제1열배출부(612b)와 상호 연통되어 제1열배출부(612b)를 통과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제2열배출부(622b)가 형성된다.
상기 제2소화제배기부(622a)와 제2열배출부(622b)는 제2링부(621)를 중심으로 제2콘부(62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서, 상기 내체(610)의 제1소화제배기부(612a)는 외체(620)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내부로 유입된 열기는 상부로 모여 제1·2열배출부(612b,622b)를 통해 배출되므로 온도감지센서(800)가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재발생시 외체(620)가 개폐기(70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막혀 있던 내체(610)의 제1소화제배기부(612a)는 외체(620)의 제2소화제배기부(622a)와 자연스럽게 상호 연통되면서 개방되므로 노즐(310)을 통해 분사된 소화제는 제1·2소화제배기부(612a,622a)를 통해 국소범위는 물론 광범위한 지역까지 분사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진압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한편, 상기 제1·2소화제배기부(612a,622a)가 완전하게 상호 연통될 때 제1·2결합공(611a,621a) 역시 상호 연통되며, 제1·2결합공(611a,621a)이 상호 연통되면 이후에 설명되는 스토퍼(1100)의 타격핀(1120)이 관통되게 끼워지면서 유리밸브(500)를 타격해 부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출관(600)의 폐쇄 때에는 화재발생시 열을 모아 온도감지센서(800)가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개방시에는 소화제의 분사시 광범위한 지역까지 확산되도록 할 수 있어 화재진압이 보다 유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기(700)는 기어부(710)와 모터(720)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어부(1000)에 의해 동작되어 외체(620)에 막혀 있던 내체(610)의 제1소화제배기부(612a)가 외체(620)의 제2소화제배기부(622a)와 연통되면서 개방될 수 있게 외체(620)를 회전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기어부(710)는 분출관(600)의 톱니(621b)와 상호 맞물리며, 모터(720)에 의해 톱니(621b)와 맞물려 회전하며, 이에 따라 외체(620)는 내체(610)의 제1링부(61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720)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서보모터로서, 내압용기(300)에 설치되며, 제어부(1000)에 의해 동작되어 축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기어부(7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온도감지센서(800)와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 및 제어부(10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800)는 외체(620)의 바깥쪽으로 배치되면서 제1·2열배기부(612b,622b)의 상부에 배치되게 노즐(310)에 설치되어 제1·2열배기부(612b,622b)를 통해 배기되는 열기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이를 제어부(10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는 내체(610)의 안쪽으로 배치되게 노즐(310)에 설치되어 유리밸브(500)의 내부에 충진된 암모니아가스의 검출시 이를 제어부(10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1000)는 온도감지센서(800) 또는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72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000)는 온도감지센서(800)로부터 지속적으로 측정된 온도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설정된 온도 값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즉시 모터(720)와 흡기팬(200)을 동작시키게 되고, 모터(720)의 회전으로 인해 기어부(710)가 회전하게 되면서 기어부(710)와 톱니(621b)를 매개로 맞물려 있는 외체(620)가 회전하게 되며, 흡기팬(200)의 동작으로 인해 화재시 발생된 연기는 흡기팬(200)의 흡입력에 의해 덕트(100)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외체(620)의 회전으로 인해 외체(620)에 막혀 있던 내체(610)의 제1소화제배기부(612a)는 외체(620)의 제2소화제배기부(622a)와 자연스럽게 상호 연통되면서 개방되고, 노즐(310)을 통해 분사된 소화제는 제1·2소화제배기부(612a,622a)를 통해 주변으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시 연기를 강제로 흡입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신속한 제연이 가능하고, 소화제의 분사시 국소범위는 물론 제1·2소화제배기부(612a,622a)를 통해 광범위한 지역까지 분사되도록 할 수 있어 화재진압에 있어 매우 유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온도감지센서(800)가 정상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유리밸브(500)가 부서지면서 노즐(310)을 통해 소화제가 분출되거나 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외력에 의해 유리밸브(500)가 부서지면서 노즐(310)을 통해 소화제가 분출되는 경우, 유리밸브(500)로부터 유출된 암모니아가스를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가 감지하여 제어부(10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000)는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720)와 흡기팬(200)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720)의 회전으로 인해 기어부(710)가 회전하게 되면서 기어부(710)와 톱니(621b)를 매개로 맞물려 있는 외체(620)가 회전하게 되고, 흡기팬(200)의 동작으로 인해 화재시 발생된 연기는 흡기팬(200)의 흡입력에 의해 덕트(100)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외체(620)의 회전으로 인해 외체(620)에 막혀 있던 내체(610)의 제1소화제배기부(612a)는 외체(620)의 제2소화제배기부(622a)와 자연스럽게 상호 연통되면서 개방되고, 노즐(310)을 통해 분사된 소화제는 제1·2소화제배기부(612a,622a)를 통해 주변으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든 화재가 아니든 어떠한 상황에서도 원활한 작동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1100)는 바디부(1110)와 타격핀(1120) 및 스프링(11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결합공(621a)이 형성된 제2링부(621)의 외주면에 인접되게 내압용기(300)에 설치되어 외체(620)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함과 동시에 내압용기(300)에 충진된 소화제가 노즐(31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유리밸브(500)를 파손(부수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바디부(1110)는 내부가 제2링부(621)의 외주면을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부재로, 내압용기(300)에 설치되며, 제2링부(621)의 외주면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상기 타격핀(1120)은 선단부가 원추형태로 테이퍼진 금속재질의 부재로, 바디부(1110)에 인입출가능하게 내설되고, 상호 연통된 제1·2결합공(611a,621a)에 관통되게 끼워져 외체(620)의 회전을 제한하며, 유리밸브(500)를 파손시켜 노즐(310)을 통해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타격핀(1120)은 스프링(1130)에 의해 탄발되어 선단부가 제2링부(621)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상기 스프링(1130)은 코일스프링으로, 바디부(1110)에 내설되어 타격핀(1120)을 제2링부(621)의 외주면을 향해 밀어주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 상기 타격핀(1120)이 스프링(1130)에 의해 탄발되어 타격핀(1120)의 선단부가 제2링부(621)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분출관(600)의 외체(620)가 개폐기(70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외체(620)가 회전하는 과정에 제2결합공(621a)과 제1결합공(611a)이 어느 순간 상호 연통되고, 이와 같이 제1·2결합공(611a,621a)이 상호 연통될 때 타격핀(1120)은 스프링(1130)의 탄발에 의해 제1·2결합공(611a,621a)에 관통되게 끼워져 외체(62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타격핀(1120)은 노즐(310)의 구멍을 막고 있는 유리밸브(500)를 강하게 타격하여 유리밸브(500)를 부숨에 따라 내압용기(300)에 충진된 소화제는 노즐(310)을 통해 분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토퍼(1100)는 분출관(50)의 회전을 제한함과 동시에 유리밸브(500)를 파손(부수는)시켜 소화제가 노즐(31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에 의한 열기가 분출관(600)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열기는 상부로 모여 제1·2열배기부(612b,622b)를 통해 배기된다.
또한, 배기되는 열기는 온도감지센서(800)가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0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000)는 온도감지센서(800)로부터 지속적으로 측정된 온도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기설정된 온도 값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즉시 모터(720)와 흡기팬(200)이 동작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된다.
상기 모터(720)의 회전으로 인해 기어부(710)가 회전하게 되면서 기어부(710)와 톱니(621b)를 매개로 맞물려 있는 외체(620)가 회전하게 되고, 외체(620)의 회전으로 인해 외체(620)에 막혀 있던 내체(610)의 제1소화제배기부(612a)는 외체(620)의 제2소화제배기부(622a)와 자연스럽게 상호 연통되면서 개방된다.
또한, 화재로 인한 연기는 흡기팬(200)의 흡입력에 의해 덕트(100)로 유입되고, 유입된 연기는 덕트(100)의 말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분출관(600)의 외체(620)가 개폐기(700)에 의해 회전하는 과정에 제2결합공(621a)과 제1결합공(611a)이 어느 순간 상호 연통되고, 이와 같이 제1·2결합공(611a,621a)이 상호 연통될 때 타격핀(1120)은 스프링(1130)의 탄발에 의해 제1·2결합공(611a,621a)에 관통되게 끼워져 외체(62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타격핀(1120)은 노즐(310)의 구멍을 막고 있는 유리밸브(500)를 강하게 타격하여 유리밸브(500)를 단숨에 부숨에 따라 내압용기(300)에 충진된 소화제는 노즐(310)을 통해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310)을 통해 분출된 소화제는 분출관(600)의 하방으로 배출되는데, 하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 제1·2소화제배기부(612a,622a)를 통해 주변으로도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화제의 분사시 국소범위는 물론 제1·2소화제배기부(612a,622a)를 통해 광범위한 지역까지 분사되도록 할 수 있어 화재진압에 있어 매우 유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온도감지센서(800)가 정상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화재로 인해 유리밸브(500)가 부서지면서 노즐(310)을 통해 소화제가 분출되거나 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외력에 의해 유리밸브(500)가 부서지면서 노즐(310)을 통해 소화제가 분출되는 경우, 유리밸브(500)로부터 유출된 암모니아가스를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가 감지하여 제어부(10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000)는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720)와 흡입팬(200)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720)의 회전으로 인해 기어부(710)가 회전하게 되면서 기어부(710)와 톱니(621b)를 매개로 맞물려 있는 외체(620)가 회전하게 되고, 외체(620)의 회전으로 인해 외체(620)에 막혀 있던 내체(610)의 제1소화제배기부(612a)는 외체(620)의 제2소화제배기부(622a)와 자연스럽게 상호 연통되면서 개방된다.
또한, 화재로 인한 연기는 흡기팬(200)의 흡입력에 의해 덕트(100)로 유입되고, 유입된 연기는 덕트(100)의 말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분출관(600)의 외체(620)가 개폐기(700)에 의해 회전하는 과정에 제2결합공(621a)과 제1결합공(611a)이 어느 순간 상호 연통되고, 이와 같이 제1·2결합공(611a,621a)이 상호 연통될 때 타격핀(1120)은 스프링(1130)의 탄발에 의해 제1·2결합공(611a,621a)에 관통되게 끼워져 외체(62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타격핀(1120)은 노즐(310)의 구멍을 막고 있는 유리밸브(500)를 강하게 타격하여 유리밸브(500)를 단숨에 부숨에 따라 내압용기(300)에 충진된 소화제는 노즐(310)을 통해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310)을 통해 분출된 소화제는 분출관(600)의 하방으로 배출되는데, 하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 제1·2소화제배기부(612a,622a)를 통해 주변으로도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든 화재가 아니든 어떠한 상황에서도 원활한 작동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덕트 200: 흡기팬 300: 내압용기
310: 노즐 320: 고정구 400: 편향체
410: 프레임 500: 유리밸브 600: 분출관
610: 내체 611: 제1링부 612: 제1콘부
620: 외체 621: 제2링부 622: 제2콘부
700: 개폐기 710: 기어부 720: 모터
800: 온도감지센서 900: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
1000: 제어부 1100: 스토퍼 1110: 바디부
1120: 타격핀 1130: 스프링

Claims (1)

  1.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의 화재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통로를 제공하는 덕트(100);
    덕트(100)에 설치되어 화재연기가 덕트(100)로 흡입될 수 있게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200);
    마감재(F)에 설치고정되며, 내부에 충진된 소화제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노즐(310)이 마련된 내압용기(300);
    내압용기(300)에 프레임(410)을 매개로 고정되는 편향체(400);
    노즐(310)의 구멍을 막도록 노즐(310)과 편향체(400)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암모니아가스가 충진된 유리밸브(500);
    내부와 연통되는 제1결합공(611a)을 갖추고서 노즐(310)의 둘레부를 덮도록 프레임(4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부(611), 제1링부(611)와 일체를 이루며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의 제1콘부(612)로 구성되되, 제1콘부(612)의 외주면에는 노즐(310)을 통해 분사된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소화제배기부(612a)가 형성되고, 제1링부(611)와 제1소화제배기부(612a) 사이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배출되는 제1열배출부(612b)가 형성된 내체(610)와,
    제1링부(61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되, 일측 외주면에는 회전에 의해 제1결합공(611a)과 상호 연통되는 제2결합공(621a)이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톱니(621b)가 마련된 제2링부(621), 제2링부(621)와 일체를 이루며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의 제2콘부(622)로 구성되되, 제2콘부(622)의 외주면에는 회전에 의해 제1소화제배기부(612a)와 상호 연통되어 제1소화제배기부(612a)를 통과한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소화제배기부(622a)가 형성되고, 제2링부(621)와 제2소화제배기부(622a) 사이의 외주면에는 제1열배출부(612b)와 상호 연통되어 제1열배출부(612b)를 통과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제2열배출부(622b)가 형성된 외체(620)로 구성된 분출관(600);
    제2링부(621)의 톱니(621b)와 맞물리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체(620)를 회전시키는 기어부(710)와,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기어부(710)를 회전시키는 모터(720)로 구성된 개폐기(700);
    내압용기(300)에 설치되어 제1·2열배출부(612b,622b)를 통해 배출되는 열기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해 출력하는 온도감지센서(800);
    유리밸브(500)에 인접되게 노즐(310)에 설치되어 암모니아가스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
    온도감지센서(800) 또는 암모니아가스 감지센서(9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720) 및 흡기팬(200)을 동작시키는 제어부(1000);
    제2링부(621)에 인접되게 내압용기(300)에 설치되는 바디부(1110)와, 바디부(1110)에 인입출가능하게 내설되고, 상호 연통된 제1·2결합공(611a,621a)에 관통되게 끼워져 외체(620)의 회전을 제한하며, 유리밸브(500)를 파손시켜 노즐(310)을 통해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타격핀(1120)과, 바디부(1110)에 내설되어 타격핀(1120)의 선단이 제2링부(621)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일 방향으로 미는 스프링(1130)으로 구성된 스토퍼(1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0190063589A 2019-05-30 2019-05-30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99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89A KR101995990B1 (ko) 2019-05-30 2019-05-30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89A KR101995990B1 (ko) 2019-05-30 2019-05-30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990B1 true KR101995990B1 (ko) 2019-07-03

Family

ID=6725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589A KR101995990B1 (ko) 2019-05-30 2019-05-30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99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6904A (zh) * 2019-11-04 2020-02-07 苏州力佳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烟雾传感器与喷头的监控装置
CN111503338A (zh) * 2020-04-16 2020-08-07 广东万业电力消防工程有限公司 一种消防工程用灭火系统及其施工方法
CN112274831A (zh) * 2020-10-31 2021-01-29 温州康竞鞋业有限公司 防火自动喷淋喷头
CN112474216A (zh) * 2020-12-10 2021-03-12 于海庆 一种电子产品生产用方便运输的封装机构及其使用方法
CN113920676A (zh) * 2021-10-09 2022-01-11 上海鑫承义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家用火灾自动报警装置
CN113952668A (zh) * 2021-11-01 2022-01-21 广东住总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感知建筑消防系统
EP3906976A3 (en) * 2019-12-31 2022-02-16 ECOSOURCEn Fire protection device
CN114387752A (zh) * 2021-11-24 2022-04-22 姜宇 一种消防防火用安全监测装置
CN114754449A (zh) * 2022-05-19 2022-07-15 武汉尚燃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安全预警装置
BE1029049B1 (nl) * 2021-01-22 2022-08-23 Ecosourcen Nv Brandbeveiligingsinrichting
BE1029048B1 (nl) * 2021-01-22 2022-08-23 Ecosourcen Nv Brandbeveiligingsinrichting
CN115887971A (zh) * 2022-11-04 2023-04-04 浙江中辰城市应急服务管理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全自动灭火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78B1 (ko) 2011-06-21 2011-10-10 (주)도명디앤이 자동확산 소화기
KR101390581B1 (ko) 2013-12-24 2014-04-30 이원재 자동 확산소화기의 약제 분출장치
KR101553775B1 (ko)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KR20160000059U (ko) * 2014-06-27 2016-01-06 강승완 천장 설치형 소화기
KR101863516B1 (ko) * 2017-12-04 2018-06-29 (주) 미래이앤지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936056B1 (ko) * 2018-05-31 2019-01-08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소방용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78B1 (ko) 2011-06-21 2011-10-10 (주)도명디앤이 자동확산 소화기
KR101390581B1 (ko) 2013-12-24 2014-04-30 이원재 자동 확산소화기의 약제 분출장치
KR101553775B1 (ko)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KR20160000059U (ko) * 2014-06-27 2016-01-06 강승완 천장 설치형 소화기
KR101863516B1 (ko) * 2017-12-04 2018-06-29 (주) 미래이앤지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936056B1 (ko) * 2018-05-31 2019-01-08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소방용 스프링클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6904A (zh) * 2019-11-04 2020-02-07 苏州力佳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烟雾传感器与喷头的监控装置
EP3906976A3 (en) * 2019-12-31 2022-02-16 ECOSOURCEn Fire protection device
CN111503338A (zh) * 2020-04-16 2020-08-07 广东万业电力消防工程有限公司 一种消防工程用灭火系统及其施工方法
CN111503338B (zh) * 2020-04-16 2021-12-31 广东万业电力消防工程有限公司 一种消防工程用灭火系统及其施工方法
CN112274831A (zh) * 2020-10-31 2021-01-29 温州康竞鞋业有限公司 防火自动喷淋喷头
CN112274831B (zh) * 2020-10-31 2021-12-10 浦江县知石工贸有限公司 防火自动喷淋喷头
CN112474216A (zh) * 2020-12-10 2021-03-12 于海庆 一种电子产品生产用方便运输的封装机构及其使用方法
BE1029049B1 (nl) * 2021-01-22 2022-08-23 Ecosourcen Nv Brandbeveiligingsinrichting
BE1029048B1 (nl) * 2021-01-22 2022-08-23 Ecosourcen Nv Brandbeveiligingsinrichting
CN113920676A (zh) * 2021-10-09 2022-01-11 上海鑫承义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家用火灾自动报警装置
CN113952668A (zh) * 2021-11-01 2022-01-21 广东住总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感知建筑消防系统
CN114387752A (zh) * 2021-11-24 2022-04-22 姜宇 一种消防防火用安全监测装置
CN114754449A (zh) * 2022-05-19 2022-07-15 武汉尚燃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安全预警装置
CN114754449B (zh) * 2022-05-19 2024-04-02 武汉尚燃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安全预警装置
CN115887971A (zh) * 2022-11-04 2023-04-04 浙江中辰城市应急服务管理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全自动灭火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990B1 (ko)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031857B1 (ko)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KR101953115B1 (ko)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1636738B1 (ko) 방화구역용 스프링클러 감시 시스템
KR102031859B1 (ko) 비상대피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KR20100051732A (ko)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US20160101306A1 (en) Fire sprinkler system having combined detection and distribution piping
KR101995986B1 (ko) 신속한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KR10168552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20160069657A (ko) 자동소화챔버후드
KR101807864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CN109758705A (zh) 极早期自动灭火装置和极早期自动灭火一体机
KR1021760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2141942B1 (ko)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JP2019013617A (ja) 消火設備
JP4585874B2 (ja) ガス機器及びその消火システム
JPH11276610A (ja) 消火警報装置
KR101050483B1 (ko)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KR20220159883A (ko)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3592A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JPH11221297A (ja) こんろ火災消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