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115B1 -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115B1
KR101953115B1 KR1020180074926A KR20180074926A KR101953115B1 KR 101953115 B1 KR101953115 B1 KR 101953115B1 KR 1020180074926 A KR1020180074926 A KR 1020180074926A KR 20180074926 A KR20180074926 A KR 20180074926A KR 101953115 B1 KR101953115 B1 KR 101953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ipe
window
entran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7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buildings or installations in fire sto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화재감지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 및 소화수의 분사가 가능하게 하되, 소화수의 다양한 분사 및 연기의 흡입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속한 화재의 진압과 거주자의 대피로 확보 및 상층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for apartments}
본 발명은 아파트 화재감지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내 화재가 발생시 신속하게 감지 및 거주자의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와, 화염을 소화시킴으로 이웃으로의 확산을 방지 및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아파트 구조를 살펴보면 거실과 베란다가 각각의 독립적인 공간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방중 하나는 발코니가 형성되어 있다.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에서는 베란다와 발코니가 화재 발생시 상층 내부로 화염이 유입 확산되는 것을 지연되도록 함으로서 내부에 있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시간을 확보하거나 주방 등 내부에서 화재발생시 현관으로 탈출하지 못하는 극박한 경우에는 베란다로 대피하여 소방차가 올 때까지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아파트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하기 위해 거실과 발코니를 확장함으로써 베란다와 발코니가 없어져 화재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지연하기 위한 완충 공간이 없어 화재가 급격하게 상층으로 번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통상의 아파트의 경우 화재가 발생시 그 화재를 감지 및 소방시설이 구비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소방 시설은 실내에서는 스프링쿨러가 구비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으 스프링쿨러의 경우 단순히 일정 공간에 물을 분사하게 구성된 것인바, 대부분 화재를 진압하기에는 역부족 이었다.
또한, 아파트의 경우 화재가 발생시 외부의 창문이나 베란다 등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스프링쿨러의 경우 그 창문이나 베란다 를 통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지 못하였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에 소화수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분사노즐을 형성하여 화재가 발생시 건물 외벽에 소화수를 분사 및 상층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으 분사방식은 단순히 물을 하부로 분사하게 구성된 것인바, 빠르게 상부로 확산되는 불길을 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8327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 및 소화수의 분사가 가능하게 하되, 소화수의 다양한 분사 및 연기의 흡입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속한 화재의 진압과 거주자의 대피로 확보 및 상층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소화수 배관과 연결 및 각 세대의 천장에 설치되어 열기가 부여시 개방되어 소화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쿨러;
각 세대의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
각 세대의 출입구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감지센서 감지시 방화문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출입구 소화수단;
각 세대의 출입구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감지센서 감지시 출입구로 유입되는 연기를 흡입 배출하는 연기 배기수단;
각 세대의 외벽에서 창문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염의 상층 확산 방지 및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염을 진압하는 확산 방지수단; 및
화재 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시 출입구 소화수단과, 연기 배기수단과, 확산 방지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는, 아파트의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스프링쿨러의 작옹으로 실내 공간의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출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소화수를 분사하는 출입구 소화수단을 통해 출입구로 소화수를 분사 및 방화문이 가열되는 것이 방지되며, 연기 배기수단을 통해 출입구로 유입되는 연기가 효과적으로 흡입 배출되어 출입구 시야가 확보되게 되는 것인바, 거주자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파트의 외벽에 설치되는 확산 방지수단을 통해 창문이나 베란다를 통해 상층으로 확산되는 화염을 차단 및 화염의 진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화재의 확산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출입구 소화수단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연기 배기수단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확산 방지수단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창문 소화수단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스프링쿨러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출입구 소화수단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연기 배기수단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확산 방지수단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창문 소화수단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전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는, 스프링쿨러(100)와, 화재 감지센서(200)와, 출입구 소화수단(300)과, 연기 배기수단(400)과, 확산 방지수단(500)과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먼저, 스프링쿨러(100)는, 아파트 각 세대의 천장(10)에 설치되어 열기가 부여시 소화수가 분사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스프링쿨러(100)는 각 세대의 천장(10) 상부에 배관되는 소화수 배관(50)과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스프링쿨러(10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열기가 부여시 분사구를 차단하고 있는 납이 녹아 그 분사구를 개방하여 소화수의 분사가 가능한 것이면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스프링쿨러(100)는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개방되어 소화수를 분사 및 실내 화염을 진압하게 구성된다.
상기 화재 감지센서(200)는, 각 세대의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그 화재 상태의 감지 및 후술하는 제어부(600)로 전송하게 구성된다.
이때, 화재 감지센서(20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하게 구성된 것으로, 일예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 또는 화염 즉,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 감지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화재 감지센서(200)는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이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출입구 소화수단(300)은, 도 2를 참조하여 각 세대의 출입구(20) 내측에 형성되어 화재가 발생시 출입구(20)의 방화문(30)을 향하여 소화수를 분사하게 구성된다.
이때, 출입구 소화수단(300)은 먼저, 천장(10)의 내측에서 소화수 배관(50)과 연결되어 그 소화수 배관(50)으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제1 공급관(310)이 구성된 것으로, 제1 공급관(310)은 출입구(20)의 내측 상부 위치에서 천장(10) 내측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출입구 소화수단(300)에는 상기 제1 공급관(310)과 연결되어 그 제1 공급관(310)으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아 분기하는 출입구 분기관(320)이 구성된 것으로, 출입구 분기관(320)은 출입구 상부측에서 천장(10)에 설치되며, 방화문(30)의 폭 방향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출입구 소화수단(300)에는 소화수의 분사가 가능한 다수의 방화문 분사노즐(330)(330')이 구성된 것으로, 방화문 분사노즐(330)(330')은 출입구 분기관(32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방화문(30)을 향하는 분사각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방화문 분사노즐(330)(330')은 상기 화재 감지센서(200)가 감지시 후술하는 제어부(6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개방 가능한 통상의 전자밸브 작동되게 구성된다.
즉, 출입구 소화수단(300)은, 화재가 발생시 화재 감지센서(200)에서 이를 감지 및 방화문 분사노즐(330)(330')을 개방하여 소화수를 방화문(30)으로 분사시켜 그 방화문(30)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거주자가 방화문(30)을 열고 대피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연기 배기수단(400)은, 도 3을 참조하여 각 세대의 출입구(20) 내측에 형성되어 화재가 발생시 출입구(20)로 유입되는 연기를 신속하게 흡입 배출하게 구성된다.
이때, 연기 배기수단(400)은 먼저, 천장(10)의 내측에서 각 세대의 배기덕트(60) 즉, 화장실이나 렌지후드 등의 환기를 위한 덕트와 연결 및 출입구(2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배기관(4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관(410)에는 그 단부에 화재 감지센서(200) 감지시 작동하는 배기팬(411)이 구성된 것으로, 배기팬(411)은 화재 감지센서(200) 감지시 제어부(6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작동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연기 배기수단(400)에는 연결관(420)이 구성된 것으로, 연결관(420)은 그 일단이 상기 배기관(410)의 배기팬(411)과 연결되고 타단이 천장(10)으로부터 방화문(30)의 상부 중앙으로 인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연기 배기수단(400)에는 연기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흡입관(430)이 구성된다.
이때, 흡입관(430)은 방화문틀(31)의 전방으로 중첩되게 구성되며, 그 방화문틀(31)을 따라 하부 개방형 "ㄷ"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상단 중앙이 상기 연결관(420)과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흡입관(430)에는 그 내측에 출입구(20)를 향하는 다수의 흡입공(431)(431')이 구성된다.
즉, 연기 배기수단(400)은, 화재가 발생시 화재 감지센서(200)에서 이를 감지 및 배기팬(411)을 작동시켜 흡입공(431)(431')을 통해 출입구(20)를 향하는 연기를 흡입 및 배기덕트(60)로 배출시켜 출입구의 시야를 확보하게 구성된다.
상기 확산 방지수단(500)은, 도 4를 참조하여 각 세대의 외벽에서 창문(40)의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창문을 통해 외부로 확산되는 화염의 진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확산 방지수단(500)은 먼저, 회전축(510)이 구성된 것으로, 회전축(510)은 창문(40)의 상부 위치에서 외벽 양측에 설치되는 축설부(511)에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양측에는 토션스프링(512)이 구성된다.
그리고, 확산 방지수단(500)에는, 상기 회전축(510)의 회전 작동에 따라 회동 작동하여 화재의 상부 확산을 차단하는 확산 방지판(520)이 구성된 것으로, 확산 방지판(520)은 금속재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일단이 상기 회전축(510)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때, 확산 방지판(520)은 회전축(510)에 형성되는 토션스프링(512)에 탄설되게 구성된 것으로, 평상시 그 토션스프링(512)이 하방 압축된 상태를 이루고, 그 토션스프링(512)의 압축력이 해제시 상부로 회동 개방되게 구성된다.
또한, 회전축(510)에는 확산 방지판(520)과 약 100~130° 경사를 이루는 지지편(513)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지지편(513)은 확산 방지판(520)이 상부로 회동시 외벽에 지지되어 확산 방지판(520)의 하부 각도가 외벽과 90°이하 각도를 이루게 한다.
그리고, 확산 방지수단(500)에는 외벽의 양측에 형성되어 확산 방지판(520)의 하방 압축시 그 확산 방지판(520)을 고정하는 바이메탈(530)이 구성된다.
이때, 바이메탈(530)은 그 단부에 걸이구(531)가 구성되어 확산 방지판(520)의 양단을 걸어 고정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바이메탈(530)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바이메탈과 같이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판이 포개진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시에는 걸이구(531)가 형성되는 금속판이 열팽창계수가 높은 금속판으로 구성하고, 반대측이 열팽창계수가 낮은 금속으로 구성하여, 열이 부여시 열팽창계수가 낮은 금속 측으로 휘어져 걸이구(531)의 걸림력을 해제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확산 방지수단(500)에는 상기 화재 감지센서(200)가 감지시 제어부(6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창문 소화수단(540)이 구성된다.
이때, 창문 소화수단(540)은 도 5를 참조하여 먼저, 천장(10)의 내측에서 소화수 배관(50)과 연결되어 그 소화수 배관(50)으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제2 공급관(541)이 구성된 것으로, 제2 공급관(541)은 천장(10)의 내측에서 외벽측을 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창문 소화수단(540)에는 상기 제2 공급관(541)과 연결되어 외벽 외부로 인출되는 공급호스(542)가 구성된 것으로, 공급호스(542)는 제2 공급관(541)으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게 구성되며, 본 발명에 적용시 금속재 후렉시블관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창문 소화수단(540)에는 상기 확산 방지판(520)의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제2 공급관(541)으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아 분기하는 창문 분기관(543)이 구성된 것으로, 창문 분기관(543)은 확산 방지판(520)의 폭 방향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창문 소화수단(540)에는 소화수의 분사가 가능한 다수의 창문 분사노즐(544)(544')이 구성된 것으로, 창문 분사노즐(544)(544')은 창문 분기관(54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확산 방지판(520)이 상부 개방시 창문(40)을 향하는 분사각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확산 방지수단(500)은, 화재가 발생되어 화염이 창문(40)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 그 화염에 의해 바이메탈(530)이 작동 및 확산 방지판(520)의 고정력을 해제하게 되며, 이에 그 확산 방지판(520)이 토션스프링(512)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회동 개방되어 차단막을 이루어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창문 소화수단(540)은 화재가 발생시 화재 감지센서(200)에서 이를 감지 및 창문 분사노즐(544)(544')을 개방하여 소화수를 창문(40)으로 분사시켜 화염이 창문(40)을 통해 상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각 세대의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 감지센서(200)가 감지시 그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출입구 소화수단(300)의 방화문 분사노즐(330)(330')과, 연기 배기수단(400)의 배기팬(411)과, 창문 소화수단(540)의 창문 분사노즐(544)(544')의 작도을 제어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는 아파트의 어느 한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 및 화재의 진압과, 거주자의 대피와,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스프링쿨러(100)가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화염은 스프링쿨러(100)에 작용하여 그 수압을 차단하고 있는 납을 녹여 스프링쿨러(100)를 개방 및 소화수를 실내로 분사시키게 되는 것으로, 실내의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으로 인해 화재 감지센서(200)가 감지되게 되면 그 화재 감지센서(200)는 출입구 소화수단(300)과, 연기 배기수단(400)과, 창문 소화수단(540)을 작동시켜 거주자의 대피로 확보 및 상층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출입구 소화수단(300)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 감지센서(200)에서 화재를 감지 및 그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제어부(600)에서는 전송받은 신호를 방화문 분사노즐(330)(330')로 전송 및 그 방화문 분사노즐(330)(330')을 개방하여 소화수를 출입구(20)의 방화문(30)을 향해 분사시켜 방화문(30)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거주자는 방화문(30) 손잡이를 안전하게 파지 및 그 방화문(30)을 개방하고 대피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기 배기수단(400)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 감지센서(200)에서 화재를 감지 및 그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제어부(600)에서는 전송받은 신호를 배기팬(411)으로 전송 및 출입구(20)로 유입되는 연기를 흡입 배출하게 된다.
즉, 배기팬(411)이 작동하게 되면, 흡입관(430)의 흡입공(431)(431')에는 흡입력이 부여되게 되는 것인바, 출입구(20)로 유입되는 연기는 그 흡입공(431)(431')을 통해 흡입관(430) 내부로 유입 및 연결관(420)과 배기팬(411)을 통과하여 배기관(410)을 통해 건물의 배기덕트(60)로 배출되게 되며, 이러한 연기의 흡입 배출로 출입구의 시야가 확보되게 된다.
이에, 거주자는 대피로의 확인이 용이하게 되는 것인바, 출입구(20)를 통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확산 방지수단(500)은,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화재의 발생으로 화염이 창문(40)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 그 유출되는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먼저, 도 9의 도시와 같이 화염이 창문(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면 그 화염으로 인해 바이메탈(530)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인바, 이에 그 바이메탈(530)은 양측으로 휘어지는 팽창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확산 방지판(520)의 고정력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확산 방지판(520)은 토션스프링(512)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회동 개방되게 되어 창문 상부에 차단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확산 방지판(520)이 상부 회동시 그 확산 방지판(520)은 지지편(513)에 의해 외벽에 지지되게 되는 것인바, 외벽과의 하부 각도가 90° 이하를 이루어 화염을 화염의 구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확산 방지수단(500)에서는, 창문 소화수단(540)을 통해 창문(40) 외측에 소화수를 분사 및 화염을 진압하게 된다.
즉, 도 10을 참조하여 화재 감지센서(200)에서 화재를 감지 및 그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이에 제어부(600)에서는 전송받은 신호를 창문 분사노즐(544)(544')로 전송 및 그 창문 분사노즐(544)(544')을 개방하여 소화수를 창문(40)을 향해 분사시켜 창문(4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화염을 진압하게 되는 거인바, 화재의 상층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는, 아파트의 어느 새대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스프링쿨러를 통해 실내 화재의 진압과, 출입구 소화수단 및 연기 배기수단을 통해 출입구로의 대피로가 확보되게 하여 거주자의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확산 방지수단(500)을 통해 창문을 통해 화염이 외부로 유출되어 상층으로 확산되어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화재의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10 : 천장 20 : 출입구
30 : 방화문 31 : 방화문틀
40 : 창문 50 : 소화수 배관
60 : 배기덕트
100 : 스프링쿨러 200 : 화재 감지센서
300 : 출입구 소화수단 310 : 제1 공급관
320 : 분기관 330,330' : 방화문 분사노즐
400 : 연기 배기수단 410 : 배기관
411 : 배기팬 420 : 연결관
430 : 흡입관 431,431' : 흡입공
500 : 확산 방지수단 510 : 회전축
511 : 축설부 512 : 토션스프링
513 : 지지편
520 : 확산 방지판 530 : 바이메탈
531 : 걸이구 540 : 창문 소화수단
541 : 제2 공급관 542 : 공급호스
543 : 분기관 544,544' : 창문 분사노즐
600 : 제어부

Claims (5)

  1. 소화수 배관(50)과 연결 및 각 세대의 천장(10)에 설치되어 열기가 부여시 개방되어 소화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쿨러(100);
    각 세대의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200);
    각 세대의 출입구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감지센서(200) 감지시 방화문(30)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출입구 소화수단(300);
    각 세대의 출입구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감지센서(200) 감지시 출입구로 유입되는 연기를 흡입 배출하는 연기 배기수단(400);
    각 세대의 외벽에서 창문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염의 상층 확산 방지 및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염을 진압하는 것으로, 외벽에 설치되는 양측의 축설부(511)에 축설되어 회전 작동하며, 토션스프링(512)을 갖는 회전축(510), 일단이 회전축(510)에 고정 형성되며, 토션스프링(512)에 의해 하방 압축력이 부여되고 토션스프링(512)의 압축력이 해제시 탄성 작동에 의해 상부로 회동 개방되는 확산 방지판(520), 외벽의 양측에 설치되며, 단부에는 확산 방지판(520)의 양단을 각각 걸어 고정하는 걸이구(531)가 형성되어 확산 방지판(520)이 하방 압축시 걸어 고정하며, 열기가 작용시 확산 방지판(520)의 고정력을 해게하는 바이메탈(530) 및 화재 감지센서(200) 감지시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창문 소화수단(54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회전축(510)에는 확산 방지판(520)과 100~130° 각도를 이루는 지지편(513)이 형성되어, 확산 방지판(520)이 상부로 회동시 외벽과 90°이하를 이루게 구성하는 확산 방지수단(500); 및
    화재 감지센서(200)에서 화재가 감지시 출입구 소화수단(300)과, 연기 배기수단(400)과, 확산 방지수단(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출입구 소화수단(300)은,
    천장(10)의 내측에서 소화수 배관(50)과 연결 및 출입구(20)의 상부에서 천장(10) 내측에 위치되는 제1 공급관(310);
    제1 공급관(310)과 연결되며, 천장(10)에서 출입구 상부측에 위치되는 출입구 분기관(320); 및
    출입구 분기관(320)에 다수 형성되며, 방화문(30)을 향하는 분사각을 가지며 화재 감지센서(200) 감지시 전자밸브 개방되어 방화문(30)을 향해 소화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방화문 분사노즐(330)(33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연기 배기수단(400)은,
    천장(10)의 내측에서 각 세대의 배기덕트(60)와 연결 및 출입구(20)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단부에는 화재 감지센서(200) 감지시 작동되는 배기팬(411)이 형성된 배기관(410);
    일단이 배기관(410)의 배기팬(411)과 연결되며, 타단이 천장(10)으로부터 방화문(30)의 상부 중앙으로 인출되는 연결관(420); 및
    연결관(420)과 연결되며, 방화문틀(31)을 따라 형성되며, 내측에는 출입구를 향하는 다수의 흡입공(431)(431')이 형성된 흡입관(43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창문 소화수단(540)은,
    소화수 배관(50)과 연결되는 제2 공급관(541);
    제2 공급관(541)과 연결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공급호스(542);
    확산 방지판(520)에 설치되며, 공급호스(542)와 연결되어 소화수를 공급받는 창문 분기관(543); 및
    창문 분기관(543)에 형성되어 화재 감지센서(200) 감지시 전자밸브 개방되어 창문 측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창문 분사노즐(544)(544')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20180074926A 2018-06-28 2018-06-28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1953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926A KR101953115B1 (ko) 2018-06-28 2018-06-28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926A KR101953115B1 (ko) 2018-06-28 2018-06-28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115B1 true KR101953115B1 (ko) 2019-03-05

Family

ID=6576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926A KR101953115B1 (ko) 2018-06-28 2018-06-28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11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093A (zh) * 2019-04-22 2019-07-16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具有防火功能的窗框及防火方法
KR20200114563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감지형 도어스토퍼
CN113198128A (zh) * 2021-06-15 2021-08-03 钟星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排烟灭火系统
KR102334662B1 (ko) * 2020-12-30 2021-12-06 이광휘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설치 시스템
KR102335443B1 (ko) * 2020-12-30 2021-12-07 (주)부광네트워크 공사감리를 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시스템
KR102335449B1 (ko) * 2020-12-30 2021-12-07 (주)부광네트워크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KR102335283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케이블 보호관 매설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35282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단자함 설치형 정보통신 시스템
KR102335281B1 (ko) * 2020-12-28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방수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41547B1 (ko) * 2020-12-23 2021-12-22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의 첨단 통신 정보 시스템
KR102342390B1 (ko) * 2020-12-29 2021-12-24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23971B1 (ko) * 2021-08-24 2022-07-27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화재시 소방용 제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219A (ja) * 1993-10-22 1995-05-09 Kubota House Corp 建物の軒天部における通気部の防火装置
KR20100070437A (ko) * 2008-12-18 2010-06-28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8957B1 (ko) * 2012-08-28 2013-04-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의 수막 생성장치
KR101700216B1 (ko) * 2016-07-26 2017-01-26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
KR101703291B1 (ko) * 2016-08-05 2017-02-06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화염 감지 및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방화문틀
KR101832712B1 (ko) 2016-02-23 2018-02-27 장현실 건물화재 진압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219A (ja) * 1993-10-22 1995-05-09 Kubota House Corp 建物の軒天部における通気部の防火装置
KR20100070437A (ko) * 2008-12-18 2010-06-28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8957B1 (ko) * 2012-08-28 2013-04-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의 수막 생성장치
KR101832712B1 (ko) 2016-02-23 2018-02-27 장현실 건물화재 진압시스템
KR101700216B1 (ko) * 2016-07-26 2017-01-26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
KR101703291B1 (ko) * 2016-08-05 2017-02-06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화염 감지 및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방화문틀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563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감지형 도어스토퍼
KR102287481B1 (ko) * 2019-03-29 2021-08-0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감지형 도어스토퍼
CN110017093A (zh) * 2019-04-22 2019-07-16 应急管理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具有防火功能的窗框及防火方法
KR102341547B1 (ko) * 2020-12-23 2021-12-22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의 첨단 통신 정보 시스템
KR102335281B1 (ko) * 2020-12-28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방수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35283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케이블 보호관 매설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35282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단자함 설치형 정보통신 시스템
KR102342390B1 (ko) * 2020-12-29 2021-12-24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35443B1 (ko) * 2020-12-30 2021-12-07 (주)부광네트워크 공사감리를 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시스템
KR102335449B1 (ko) * 2020-12-30 2021-12-07 (주)부광네트워크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KR102334662B1 (ko) * 2020-12-30 2021-12-06 이광휘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설치 시스템
CN113198128A (zh) * 2021-06-15 2021-08-03 钟星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排烟灭火系统
CN113198128B (zh) * 2021-06-15 2022-01-25 钟星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排烟灭火系统
KR102423971B1 (ko) * 2021-08-24 2022-07-27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화재시 소방용 제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115B1 (ko)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995990B1 (ko) 소방기능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968080B1 (ko) 화재 대피실
KR101636738B1 (ko) 방화구역용 스프링클러 감시 시스템
KR100884890B1 (ko)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 환기시스템
KR101753116B1 (ko)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KR101893364B1 (ko)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CN108868512A (zh) 一种吸烟喷水防火门
CN210977180U (zh) 一种具有双重防护机构的防火门
KR20100128779A (ko) 방화용 대피실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077296B1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20100133223A (ko) 수막을 이용한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1685524B1 (ko) 건축물의 제연이 가능한 소방방재장치
CN209900480U (zh) 一种适用于地下车库的消防系统
JP2003260148A (ja) 消火設備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20190053592A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1753119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살수장치
KR102334522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