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449B1 -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449B1
KR102335449B1 KR1020200187730A KR20200187730A KR102335449B1 KR 102335449 B1 KR102335449 B1 KR 102335449B1 KR 1020200187730 A KR1020200187730 A KR 1020200187730A KR 20200187730 A KR20200187730 A KR 20200187730A KR 102335449 B1 KR102335449 B1 KR 10233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vehicle
server
fire
deliver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진
이원섭
김윤하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부광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광네트워크 filed Critical (주)부광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20018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G06K9/2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G06K2209/01
    • G06K2209/15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출입관리를 편리하게 하여 특히, 외부차량이 출입할 때 사전예약방식을 채택하고,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며, 각 세대로 진입하는 현관출입문인 게이트와 엘리베이터의 동작까지 연계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 및 방문자의 이동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범죄 예방 효율을 높이면서 화재발생시 불길이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막도록 개선된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nitoring system for apartment houses in connec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출입관리를 편리하게 하여 특히, 외부차량이 출입할 때 사전예약방식을 채택하고,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며, 각 세대로 진입하는 현관출입문인 게이트와 엘리베이터의 동작까지 연계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 및 방문자의 이동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범죄 예방 효율을 높이면서 화재발생시 불길이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막도록 개선된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난간과 창문 쪽을 통하여 화재가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고, 창문 쪽을 통하여 옥상까지 번지는 것을 방지하며 가스 검침의 불편함과 범죄에 악용되지 않도록 하는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택배기사의 출입을 원활히 하고 무인택배함 주위를 단열하여 누풍을 차단하며, 지하주차장 입구 지붕을 통하여 유입되는 적외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고, 빛의 난반사를 통하여 하절기에 차열시키며 항온수를 이용하여 차광시키고, 에어커튼과 부동액을 이용하여 혹서기와 혹한기의 주민편의를 높이는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출입자를 관리하고 보안 및 방범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식 및 종류의 통신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CCTV와 차량출입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때, CCTV는 엘리베이터 내부, 공동 현관문, 지하 주차장, 노인정, 산책로, 놀이터 등의 다양한 공간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의 영상을 수집하여 모니터를 통해 표출시킴과 동시에 수집된 영상을 일정기간 동안 저장하여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동주택은 무엇보다 다수의 사람들이 출입하기 때문에 거주자가 손쉽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원치않는 방문자의 출입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방문자 출입, 즉 차량출입시스템의 경우에는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하거나 혹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판독한 후 미리 저장된 등록차량 번호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차량 출입을 통제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출입시스템은 주로 등록된 거주자들의 차량 출입 편의성에 중점을 둔 것으로서 외부차량 출입시에는 이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경비실을 경유한다든지 혹은 방문하고자 하는 동 호수를 입력한 후 해당 세대주의 승인을 받아 출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급한 용무로 경비원이 경비실을 비운 경우나 혹은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원이 없거나 있더라도 승인을 해주지 않을 경우 외부차량이 출입하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등록주민이 외부차량 때문에 출입하지 못하고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공동주택의 승강기는 특별한 제한이 없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층으로 얼마든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단지로 들어온 외부자가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어 범죄 예방에 대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단지 내에는 다수의 CCTV가 설치되어 있으나 사각지대가 존재할 수 밖에 없고, CCTV를 통해 불미스런 사건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즉시 관리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한계에 봉착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를 일부 해소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229363호(2021.03.12.)에 의한 것으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이 있다.
도 7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은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와 감시카메라(13)와 출입문 구동장치(15)와 경보장치(16)와 호스트장치(1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와 감시카메라(13)는 출입문(11) 주위의 해당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출입문 구동장치(15)는 입력되는 출입문 제어 신호에 의하여 출입문(11)을 구동하고, 경보장치(16)는 정보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경보 제어 신호에 의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하며, 호스트장치(14)는 상황실에 설치되고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121,122)로부터 검출된 태그 신호가 수신되면 식별 번호를 해석하며, 허용된 식별 번호이면 출입문 제어 신호를 출입문 구동장치(15)에 출력하면서 진입 태그의 개수를 인식하고 진입 인원수와 일치 여부에 따라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경보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상황실의 경비원은 동행이 진입허용자 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호스트장치(14)는 감시카메라(13)로부터의 동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진입 인원수를 계수한다.
그러므로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를 소지한 진입 허용자가 진입할 경우에 침입자가 함께 진입할 수 없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거주자가 아니면서 거주자의 거주에 필요한 택배기사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 직접 거주자의 확인을 받아야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혹한기와 혹서기에 추위와 더위에 의하여 지하주차장을 편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공동주택의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며, 공공요금 검침의 불확실함과 검침을 가장한 범죄에 악용되는 것을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거주자의 거주에 필요한 택배기사 출입을 자유롭게 하고, 지하주차장의 혹한기 추위와 혹서기 더위를 해결하며, 화재 발생시 상층으로 번지를 것을 차단하고 각종 공공요금 검침이 간편 정확하며 범죄에 악용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14993호(2011.02.08.) '공동주택 통합제어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229363호(2021.03.12.)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의 출입관리를 편리하게 하여 특히, 외부차량이 출입할 때 사전예약방식을 채택하고,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며, 각 세대로 진입하는 현관출입문인 게이트와 엘리베이터의 동작까지 연계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 및 방문자의 이동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범죄 예방 효율을 높이면서 화재발생시 불길이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막도록 개선된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난간과 창문 쪽을 통하여 화재가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고, 창문 쪽을 통하여 옥상까지 번지는 것을 방지하며 가스 검침의 불편함과 범죄에 악용되지 않도록 하는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 중에 하나 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택배기사의 출입을 원활히 하고 무인택배함 주위를 단열하여 누풍을 차단하며, 지하주차장 입구 지붕을 통하여 유입되는 적외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고, 빛의 난반사를 통하여 하절기에 차열시키며 항온수를 이용하여 차광시키고, 에어커튼과 부동액을 이용하여 혹서기와 혹한기의 주민편의를 높이는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 중에 하나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출입이 허락된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차량정보로 부서버메모리(21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부서버(200); 상기 부서버(2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서버메모리(210)와 동기화되는 주서버메모리(110)를 구비한 웹호스팅 서비스인 주서버(100); 차량이 출입하는 공동주택의 정문 또는 후문에 설치되어 상기 주서버(1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주서버메모리(1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차량제어메모리(310)에 저장하고,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차량제어기(300); 상기 부서버(200)와 통신하여 각 동의 현관출입문 개폐를 통제하는 게이트제어기(600); 상기 부서버(200)와 통신하여 각 동의 엘리베이터 작동을 통제하는 EL(Elevator)원격제어기(70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공동주택 방문차량은 주서버(100)에서 사전예약을 통해 차량을 등록하고, 등록된 차량번호 4자리는 게이트제어기(600) 및 EL원격제어기(700)로 전송되어 출입을 위한 비밀번호로 설정되며; 설정된 비밀번호는 24시간 경과 후에 자동으로 삭제되고;
각 세대의 내벽에는 부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방화벽제어기(1000)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방화벽유닛(1100)을 구동시켜 화재가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되, 방화벽유닛(1100)은 난간대(1110) 및 샷시(1120)가 설치되는 난간벽(1130)의 외표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1140)와, 상기 한 쌍의 고정대(114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되 토션스프링(TS)이 내장되어 항상 바깥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질을 갖도록 조립된 회전봉(1142)과, 상기 회전봉(1142)에 고정되어 일체화 된 경량의 방화패널(1144)과, 상기 난간벽(1130)에 매립되고 상기 방화벽제어기(100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솔레노이드(1146)와, 상기 방화패널(1144)의 하단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솔레노이드(1146)에 출몰동작하도록 조립되는 결속바(1148)를 포함하며;
현관출입문(GT) 일측 외벽에 적산전력량계(EC)와 나란하게 가스표시기(1300)를 더 설치하며, 실내 가스계량기(1310)의 전방 상측에는 계량촬영가메라(1320)를 더 설치하고, 상기 계량촬영카메라(1320)는 부서버(200)에 의해 작동되는 카메라제어기(1340)에 의해 구동 제어되도록 구성하여 가스계량 일정에 맞춰 가스계량기(1310)의 숫자를 촬영한 후 이미지처리를 통해 숫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숫자를 상기 가스표시기(1300)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공동주택의 옥상(TOP)에는 부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옥상분사유닛(UNT)을 제어하는 소화분무제어기(12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옥상분사유닛(UNT)은 옥상(TOP)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물탱크(1210)와, 물탱크(1210)에 연결된 도관(1220)과, 도관(1220)에 설치되고 소화분무제어기(1200)에 의해 제어되는 분사펌프(1230)와, 도관(1220) 단부에 연결되고 옥상(TOP)의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배관된 분사유도관(1240)과, 분사유도관(1240)이 접속된 지점에 설치되고 소화분무제어기(1200)에 의해 동작하는 개도조절밸브(1250)와, 옥상(TOP)의 전방측 및 후방측 벽면을 따라 배열되고 분사유도관(1240)에 수직하게 접속된 분사관(1260)과, 분사관(1260)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출입관리를 편리하게 하여 특히, 외부차량이 출입할 때 사전예약방식을 채택하고,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며, 각 세대로 진입하는 현관출입문인 게이트와 엘리베이터의 동작까지 연계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 및 방문자의 이동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범죄 예방 효율을 높이면서 화재발생시 불길이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막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난간과 창문 쪽을 통하여 화재가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고, 창문 쪽을 통하여 옥상까지 번지는 것을 방지하며 가스 검침의 불편함과 범죄에 악용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택배기사의 출입을 원활히 하고 무인택배함 주위를 단열하여 누풍을 차단하며, 지하주차장 입구 지붕을 통하여 유입되는 적외선과 자외선을 차단하고, 빛의 난반사를 통하여 하절기에 차열시키며 항온수를 이용하여 차광시키고, 에어커튼과 부동액을 이용하여 혹서기와 혹한기의 주민편의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보인 예시적인 구성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함제어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차양막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방화벽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스계량기 검침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옥상분사유닛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주서버(Main Server)(100), 부서버(Sub Server)(200), 차량제어기(300), 세대단말기(400), 방문자단말기(500), 게이트제어기(600), EL(Elevator)원격제어기(700), 택배함제어기(800) 및 주차장제어기(9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서버(100)와 부서버(200)는 각각 주서버메모리(110)와 부서버메모리(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서버(100)는 일종의 구름 서비스(Cloud Service)를 제공하는 웹호스팅 업체가 될 수 있다. 때문에, 주서버(100)는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부서버메모리(210)와 주서버메모리(110) 사이의 동기화를 실시간으로 수행하여 서로 동일한 데이터 계층을 유지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상기 부서버(200)는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에 설비되어 인터넷망에 연결됨은 물론 별도의 무선통신모듈(블루투스, 지그비, 비콘 등)을 통해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출입이 허락된 차량정보, 즉 세대원이 등록한 등록차량 정보를 입력받아 부서버메모리(21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등록차량정보로는 세대원 성명, 동호수, 차량소유자명, 차량번호 및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량제어기(300)는 공동주택으로 진출입할 수 있는 정문 또는 후문에 설치되어 상기 주서버(100)와 인터넷망으로 통신하며, 통행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주서버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차량정보를 읽어들여 차량제어메모리(310)에 저장한다.
이때,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세대원이 보유한 등록차량은 차량제어메모리(310)에 저장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도록 함으로써 등록차량의 통행시에는 주서버(100)까지 통신하지 않고 즉시 출입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제어기(300)에는 고성능 카메라가 탑재되어 진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차량제어메모리(3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와 비교하여 진입 여부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차량제어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차량번호가 인식될 경우 일단 출입을 막고, 차량제어기(300)는 주서버(100)로 예약자명단 확인요청을 하며, 주서버(100)는 주서버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당일 예약자명단과 예약차량번호를 차랭제어메모리(310)로 송신한다.
그러면, 차량제어기(300)는 예약차량번호 중에 촬영된 차량 번호가 있는지 확인하여 있으면 출입을 허가하고, 없으면 출입할 수 없음을 음성으로 송출하고 회차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에서, 방문예약은 아파트방문차량예약 전용앱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전국단위로 아파트마다 신청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전용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등록과 휴대폰인증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신원이 확인되기 때문에 전용앱을 통해 아파트방문예약을 하게 되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다만, 아무런 이유없이 무단으로 출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반드시 방문 목적을 밝혀야 하며, 방문세대의 승인이 있어야 예약방문자로 등록되며, 세대 방문이 아닌 경우에는 관리사무소 승인이 있어야 예약방문자로 등록되도록 시스템화할 수 있다. 때문에, 만약 방문세대의 세대원이 확인을 못하여 승인이 안될 경우 관리사무소 승인으로 전환하여 신청할 수도 있다. 그러면, 관리사무소에서는 예약방문자가 확인해 주는 자신의 정보와 방문예정 세대의 세대원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승인해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예약접수는 실시간도 가능하므로 차량제어기(300)에 도착한 다음 실시간으로 예약하여 승인된다면 당연히 출입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세대단말기(400)는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무선통신단말기로서 세대원이 소유한 단말기이다.
이 세대단말기(400)는 차량제어기(300)가 방문예약차량인 경우에만 방문예약차량의 차량번호를 주서버(100)로부터 전송받아 방문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제어기(300)가 방문예약차량을 확인하고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예약차량이 공동주택으로 진입했음을 주서버(100)로 고지하고, 주서버(100)는 해당 예약차량정보를 세대단말기(400)로 송신하게 된다.
동시에, 주서버(100)는 방문예약차량이 등록할 때 입력한 휴대폰인 방문자단말기(500)로 방문예정인 동의 현관문인 게이트를 출입할 수 있는 비밀번호로 방문예약차량의 차량번호 4자리임을 알려줌과 동시에 출입한 공동주택에서 불법적인 일을 하였을 때는 법적처리될 수 있음을 통지문 형태로 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동일한 정보는 부서버(200)로도 동시에 전송되어 부서버메모리(210)에 저장되며, 이를 수신한 부서버(200)는 방문예약차량의 차량번호 4자리수를 방문하기로 예약된 공동주택의 동 현관문인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제어기(600)로 전송하여 이를 임시비밀번호로 승인하고, 해당 비밀번호를 눌렀을 때 게이트를 열어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임시비밀번호는 24시간으로 한정되며, 24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삭제되어 더 이상 출입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이와 달리, 거주하는 세대원은 정해진 룰에 따라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부서버(200)는 방문예약차량의 방문예약자가 전용앱으로 예약할 때 그 전용앱에는 NFC 기반 통신으로 EL원격제어기(700)로 전달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승인을 받는 순간 활성화되게 하고 24시간이 지나면 활성화가 해제되도록 전용앱이 제어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EL원격제어기(700)는 NFC 기반의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1층 탑승구 버튼 주변에 설치된 통신기기를 통해 NFC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세대원의 경우에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자유롭게 탑승 운행할 수 있지만, 예약방문자는 NFC 통신을 통해 허가된 방문자단말기(500)를 소지한 경우에만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게 하여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도록 제한함으로써 불법 침입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대단말기(400)에는 미리 등록받은 인증정보를 NFC 기반 통신으로 EL원격제어기(700)로 전달하는 전용앱이 내장되게 하여 자유롭게 탑승 운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예시와 같이, 각 세대의 현관출입문(GT)을 기준으로 일측 외벽면에는 무인택배함(810)이 설치된다.
즉, 현관출입문(GT)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전함(WA) 및 소화함(EX) 반대편에 무인택배함(810)이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무인택배함(810)은 외벽을 관통하여 실내,외가 통한 상태에서 매립 고정되는 형태로서, 아웃도어와 인도어 2개가 구비되어 밖에서도 열 수 있고 안에서도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인택배함(810)은 그 상측에 마련된 택배함제어기(800)에 의해 제어되며, 택배함제어기(800) 인접측에는 택배보안카메라(820)가 더 설치되어 보안 기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택배함제어기(800)는 상기 부서버(200)와 유,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무인택배함(810)의 아웃도어에는 키패드(830)가 구비되고, 오토락 형태의 시건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택배기사차량이 차량제어기(300)를 통과하는 순간 랜덤하게 생성된 비밀번호가 택배기사단말기(840, 도 1 참조)에 출력됨과 동시에 부서버(200)에서는 생성된 비밀번호를 택배함제어기(800)로 전송하여 택배기사가 키패드(830)를 통해 키인한 비밀번호와 상호 일치시에만 무인택배함(810)을 열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택배기사단말기(840)에는 앞서 설명한 전용앱이 설치되어야 하며, 사전에 관리사무소를 방문하여 주서버(100)에 택배차량과 택배기사단말기(840) 및 택배시가 정보를 등록한 후 승인받아야 한다.
따라서, 다수의 등록 택배기사들은 차량제어기(300)를 통과할 때 각각 서로 다른 랜덤함 비밀번호를 부여 받기 때문에 택배를 배송하는데 전혀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생성된 비밀번호는 24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된다.
또한, 무인택배함(810)의 인도어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시건이 되어 있어 아웃도어를 열었을 때 외부에서는 쉽게 인도어를 열 수 없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보안성을 위한 것이다.
아울러, 택배보안카메라(820)는 무인택배함(810) 앞으로 인체가 접근하면 이를 체온으로 감지하여 촬영을 시작하고, 촬영된 정보는 택배함제어기(800)를 통해 부서버(200)의 부서버메모리(210)에 저장되도록 하며, 인체를 감지할 수 없을 때 촬영을 종료한다.
그리고, 부서버메모리(210)에 저장된 촬영정보는 30일간 보관 후 자동 삭제되게 하여 메모리 용량을 확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웃도어의 힌지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항상 잠김방향으로 회동되게 하여 아웃도어를 열었다 놓으면 일부러 닫지 않아도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택배기사가 물건을 넣고 그냥 가더라도 아웃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무인택배함(810)이 외벽을 관통하여 매립설치되므로 무인택배함(810)의 외측테두리와 관통공 사이의 틈새로 누풍이 발생하여 단열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무인택배함(810)의 둘레에는 단열재(850)가 설치된다.
상기 단열재(850)는 무인택배함(810)의 외테두리에 발라진 상태로 시공되며, 매립설치 후 무인택배함(810)과 외벽체 사이의 틈새에는 건 샷(Gun Shot) 방식으로 쏘아져 채워지는 씰링방식으로 마감된다.
이러한 단열재(850)는 단열, 방수 성능 외에 내화성도 갖도록 구성되어 화재에 대한 안전성도 확보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한 단열재(850)는 중합반응물 30중량%와, 에폭시수지 50중량%와, 팽창흑연(Exandable Graphite) 10중량%와, 우레아 5중량% 및 메틸실리코네이트 5중량%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중합반응물은 유화제 및 반응개시제를 반응조의 모노머에 투입하여 1차 중합반응을 개시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1차 중합반응물에 소디움 옥탄설포네이트를 1kg투입한 후 30분 경과된 시점에서 술폭실산 포름알데하이트염을 2kg 투입하여 중합반응을 종료시킨 후 얻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어, 이렇게 얻어진 1차 중합반응물에 소디움 옥탄설포네이트를 1kg투입한 후 30분 경과된 시점에서 술폭실산 포름알데하이트염을 2kg 투입하여 중합반응을 종료시킨 것을 사용한다.
이때, 유화제는 소디움도데실 설페이트이고, 반응개시제는 암모늄 퍼설페이트이며, 모노머는 2-에틸헥실 프롭-2-에노에이트이며, 상호 혼합비율은 유화제, 반응개시제, 모노머가 각각 1kg, 1kg, 8kg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2-에틸헥실 프롭-2-에노에이트(molecular weight 184.28, solubility 100mg/100L, Tg -70℃, boiling point 125℃, melting point -90℃)는 중합된 폴리머 입자의 내부 중심부 연성(softness)을 조절하여 화재시 부풀어 오름을 증대시키고 자기소화성을 강화시킨다.
또한, 여기에서, 소디움 옥탄설포네이트는 유화중합을 균일하고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모노머이고, 술폭실산 포름알데하이트염은 반응종결제이다.
이와 같이, 모노머 2종류를 나누어 반응조에 투입함으로써 폴리머 주쇄의 중합반응을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중합 완료된 폴리머의 품질변화를 최대한 줄여 품질균일성을 극대화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방열특성 및 내열성을 증대시키는데 유리하다.
아울러, 에폭시수지는 점착막을 형성하면서 자기소화성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팽창흑연은 단열 및 불연 특성을 강화시키는 물질로서, 그라파이트의 층상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층상 사이에 원자나 작은 분자를 집어 넣고 열을 가할 경우 아코디언처럼 분리가 되면서 입자가 수백배 팽창하게 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방염성을 넘어 불연성 및 단열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우레아는 고형분의 용해성이 뛰어나 분산 결합력을 높임으로서 바인딩 기능을 강화하며 공융점 형성에 따른 잠열성 강화를 통해 강한 단열특성을 제공한다.
또한, 메틸실리코네이트는 강한 발수력을 제공하면서 오염되지 않도록 표면을 평활하게 유지하는 방오 기능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단열재(850)를 사용함으로써 외벽체에 구멍을 내더라도 내실과의 단열, 차열 성능을 높일 수 있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한편, 도 3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부서버(200)에 연결제어되는 주차장제어기(9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제어기(900)는 지하주차장으로 연결되는 통로의 입구부 지붕(910)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지붕(910)은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입구부를 눈,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단으로, 보통 주차장벽체(920)에 고정된 다수의 포스트(930)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910)은 차열, 차광 특성을 높이고, 지하주차장의 입구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덮고, 가장 춥기 때문에 입구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붕(910) 구조가 특이하게 구성된다.
즉, 지붕(910)은 반원형 챔버형태의 상부판(912)과, 상기 상부판(912)의 하부에 부착되어 부동액이 채워지는 사각형 챔버형태의 하부판(914)이 일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부판(912)과 하부판(914)은 ATO(Antimony doped Tin Oxide) 10중량%, 바나듐 옥사이드(V2O5) 10중량%, DOTP(Dioctyl Terephthalate) 40중량%, 아연 5중량% 및 나머지 PVC 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된다.
여기에서, ATO는 안티몬이 도핑되어 적외선 차단율 20-60%, 자외선 차단율 99%를 유지시키는 물질로서, 나노 파우더 형태로 첨가되며, 금속산화물로서 투명한 PVC에 고르게 분산되어 적외선과 자외선 차단 효과를 높이게 된다.
또한, DOTP(Dioctyl Terephthalate)는 친환경 가소제로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전성과 낮은 휘발성을 가진 안정적인 물질이다.
뿐만 아니라, 아연은 열분해에 따른 PVC의 손상을 방지하고 가공을 원활하게 만들어 주는 첨가제이다. 즉, PVC가 열이나 빛에 의해 탈염화가 진행되어 분해되는데 이때 아연이 HCl을 제어하여 PVC의 열분해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912)에 형성된 반원형은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여 분산시킴으로써 흡수율을 떨어뜨려 지붕(910)이 가열되는 것을 막는다. 때문에, 하절기 지붕(910) 아래 부분은 차열 특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부판(912)의 반원형 챔버에는 항온수배관(916)이 항온수펌프(P1)를 경유하여 항온수탱크(TK1)에 연결 배관된다.
이 경우, 항온수탱크(TK1)는 지중에 매립설치되며, 채워져 있는 항온수는 물에 카본블랙이 분산되되, 물과 카본블랙이 8:2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그러면, 항온수는 차광효과까지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차광수는 기온이 30℃를 넘길 때 부서버(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차장제어기(900)가 항온수펌프(P1)를 가동시킴으로써 순환이 이루어지고, 기온이 30℃ 미만으로 떨어지면 가동을 멈추도록 제어된다.
아울러, 하부판(914)의 사각형 챔버에는 부동액배관(918)이 부동액펌프(P2)를 경유하여 부동액탱크(TK2)에 연결 배관된다.
이때, 상기 부동액배관(918)의 일부는 지붕(910) 직하방 위치에 설치된 트레이(TR) 상에 다수회 절곡배관되어 라디에이터부(940)를 구성하며, 이 라디에이터부(940)의 상부에 에어커튼용 송풍팬(950)이 설치되고, 그 위에 주차장제어기(9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부동액탱크(TK2)는 지중에 매립설치되며, 채워져 있는 부동액은 물에 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한 것으로, 물과 에틸렌글리콜을 6:4의 부피비로 혼합시켜 동절기에 유체가 부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부서버(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장제어기(900)는 기온이 30℃를 넘길 때 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때 에어커튼용 송풍팬(950)과 부동액펌프(P2)를 가동시켜 주차장 입구가 혹서기 더위 또는 혹한기 추위를 최소화시키도록 제어하여 주민 편의를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도 4의 예시와 같이, 각 세대의 내벽에는 부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방화벽제어기(1000)가 설치되고, 상기 방화벽제어기(1000)는 화재 발생시 부서버(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화벽유닛(1100)을 구동시켜 화재가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여 대형화재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때, 방화벽유닛(1100)은 난간대(1110) 및 샷시(1120)가 설치되는 난간벽(1130)의 외표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1140)와, 상기 한 쌍의 고정대(114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되 토션스프링(TS)이 내장되어 항상 바깥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질을 갖도록 조립된 회전봉(1142)과, 상기 회전봉(1142)에 고정되어 일체화 된 경량의 방화패널(1144)과, 상기 난간벽(1130)에 매립되고 상기 방화벽제어기(100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솔레노이드(1146)와, 상기 방화패널(1144)의 하단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솔레노이드(1146)에 출몰동작하도록 조립되는 결속바(11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방화벽제어기(1000)는 부서버(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염차단신호를 솔레노이드(1146)로 보내고, 이를 수신한 솔레노이드(1146)는 결속바(1148)를 인입시킨다.
그러면, 방화패널(1144)은 구속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토션스프링(TS)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방화패널(114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난간을 통해 외부로 뻗쳐나가던 화염은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고 차단되게 되어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가스검침시 불편함, 가스검침을 가장하여 빈번하게 발생되는 범죄 악용을 해소할 수 있도록 문 밖에서 디지털 검침할 수 있도록 개량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와 같이 현관출입문(GT) 인접측 외벽, 바람직하게는 택배함제어기(800) 하측에 적산전력량계(EC)와 나란하게 가스표시기(1300)를 더 설치한다.
그리고, 실내 가스계량기(1310)의 전방 상측에는 계량촬영가메라(1320)를 더 설치하고, 상기 계량촬영카메라(1320)는 카메라제어기(1340)에 의해 구동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카메라제어기(1340)는 부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공동주택마다 정해진 가스계량 일정에 맞춰 송출하는 부서버(200)의 제어신호를 받아 촬영개시 명령을 내리고, 이 신호에 따라 계량촬영카메라(1320)는 가스계량기(1310)의 숫자를 촬영한다.
이후, 카메라제어기(1340)는 내장된 이미지처리기(미도시)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에서 숫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숫자정보를 가스표시기(1300)로 보내 가스표시기(1300)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검침원이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러한 방식은 아주 저렴한 소형 카메라만 설치하면 되므로 복잡하게 IoT 방식으로 설계 전체를 바꿔야 하는 방식보다 간단하고 간편하여 오래된 아파트 등에소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계량촬영카메라(1320)에 버블 분무기를 더 달고,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 분무되게 하여 가스관 접속부 주변에서의 가스 누출여부로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즉, 버블액을 분무하여 그 변화를 계량촬영카메라(1320)로 촬영하면 가스가 누출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버블이 부풀어 오르면 가스가 새는 것이므로 즉시 조처할 수 있도록 경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주로 창문쪽을 타고 상층으로 번져 옥상까지 피해를 입게 된다.
그런데, 화재시 사람들은 급한 마음에 보통 옥상으로 대피하게 되므로 옥상 쪽으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옥상(TOP)에는 부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소화분무제어기(1200)가 구비되고, 소화분무제어기(1200)는 옥상분사유닛(UNT)을 제어하여 해당 동 해당 세대에서 불이 났다고 인식되면 화재발생 정보를 취합 수신하여 관리하는 부서버(2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소화분무제어기(1200)가 옥상분사유닛(UNT)을 가동시켜 옥상(TOP)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불길이 창문을 타고 옥상쪽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옥상분사유닛(UNT)은 옥상(TOP)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물탱크(1210)를 포함하며, 이 물탱크(1210)는 평상시 식수용으로 사용되다가 비상시 화재진압용 소방수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탱크(1210)에는 도관(1220)이 연결되고, 상기 도관(1220)에는 분사펌프(1230)가 설치되며, 상기 도관(1220)의 단부에는 옥상(TOP)의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배관된 분사유도관(1240)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유도관(1240)이 접속된 지점에는 개도조절밸브(1250)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유도관(1240)에는 옥상(TOP)의 전방측 및 후방측 벽면을 따라 배열된 분사관(1260)이 배관되고, 상기 분사관(126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분사노즐(1270)이 설치되며, 상기 분사펌프(1230)와 개도조절밸브(1250)는 상기 소화분무제어기(12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아울러, 상기 분사관(1260)의 길이 중간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격막(1262)이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단으로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즉, 관통공이 일종의 오리피스 역할을 수행하여 필요시 압을 해소할 수 있어 압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270)은 분사관(1260)에 일체로 형성된 주관(1272)과, 상기 주관(1272)에 나사체결되는 부관(1274)으로 이루어지되, 부관(1274)은 선단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뿔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분출공(1276)이 형성됨으로써 물 분사시 자동적으로 방사형태로 분사되게 하여 소화범위를 넓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동 제어가 가능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화재 억제 기능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100:부서버
200:주서버
300:차량제어기
400:세대단말기
500:방문자단말기
600:게이트제어기
700:EL원격제어기
800:택배함제어기
900: 주차장제어기

Claims (1)

  1. 출입이 허락된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차량정보로 부서버메모리(21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부서버(200); 상기 부서버(2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서버메모리(210)와 동기화되는 주서버메모리(110)를 구비한 웹호스팅 서비스인 주서버(100); 차량이 출입하는 공동주택의 정문 또는 후문에 설치되어 상기 주서버(1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주서버메모리(1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차량제어메모리(310)에 저장하고,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차량제어기(300); 상기 부서버(200)와 통신하여 각 동의 현관출입문 개폐를 통제하는 게이트제어기(600); 상기 부서버(200)와 통신하여 각 동의 엘리베이터 작동을 통제하는 EL(Elevator)원격제어기(700);를 포함하고, 공동주택 방문차량은 주서버(100)에서 사전예약을 통해 차량을 등록하고, 등록된 차량번호 4자리는 게이트제어기(600)와 EL원격제어기(700)로 전송되어 출입을 위한 비밀번호로 설정되며; 설정된 비밀번호는 24시간 경과 후에 자동 삭제되고; 각 세대의 내벽에는 부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방화벽제어기(1000)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방화벽유닛(1100)을 구동시켜 화재가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되, 방화벽유닛(1100)은 난간대(1110) 및 샷시(1120)가 설치되는 난간벽(1130)의 외표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1140)와, 상기 한 쌍의 고정대(114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되 토션스프링(TS)이 내장되어 항상 바깥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질을 갖도록 조립된 회전봉(1142)과, 상기 회전봉(1142)에 고정되어 일체화 된 경량의 방화패널(1144)과, 상기 난간벽(1130)에 매립되고 상기 방화벽제어기(100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솔레노이드(1146)와, 상기 방화패널(1144)의 하단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솔레노이드(1146)에 출몰동작하도록 조립되는 결속바(1148)를 포함하며; 현관출입문(GT) 일측 외벽에 적산전력량계(EC)와 나란하게 가스표시기(1300)를 더 설치하며, 실내 가스계량기(1310)의 전방 상측에는 계량촬영가메라(1320)를 더 설치하고, 상기 계량촬영카메라(1320)는 부서버(200)에 의해 작동되는 카메라제어기(1340)에 의해 구동 제어되도록 구성하여 가스계량 일정에 맞춰 가스계량기(1310)의 숫자를 촬영한 후 이미지처리를 통해 숫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숫자를 상기 가스표시기(1300)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공동주택의 옥상(TOP)에는 부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옥상분사유닛(UNT)을 제어하는 소화분무제어기(12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옥상분사유닛(UNT)은 옥상(TOP)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물탱크(1210)와, 물탱크(1210)에 연결된 도관(1220)과, 도관(1220)에 설치되고 소화분무제어기(1200)에 의해 제어되는 분사펌프(1230)와, 도관(1220) 단부에 연결되고 옥상(TOP)의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배관된 분사유도관(1240)과, 분사유도관(1240)이 접속된 지점에 설치되고 소화분무제어기(1200)에 의해 동작하는 개도조절밸브(1250)와, 옥상(TOP)의 전방측 및 후방측 벽면을 따라 배열되고 분사유도관(1240)에 수직하게 접속된 분사관(1260)과, 분사관(1260)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270)을 포함하는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각 세대의 현관출입문(GT)을 기준으로 일측 외벽면에는 무인택배함(810)이 더 설치되고; 무인택배함(810)은 외벽을 관통하여 실내,외가 통한 상태에서 매립 고정되는 형태로서 아웃도어와 인도어 2개가 구비되어 밖에서도 열 수 있고 안에서도 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무인택배함(810)은 그 상측에 마련된 택배함제어기(800)에 의해 제어되고, 택배함제어기(800)는 상기 부서버(200)와 유,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무인택배함(810)의 아웃도어에는 키패드(830)가 구비되어 오토락 형태의 시건장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택배기사차량이 차량제어기(300)를 통과하는 순간 랜덤하게 생성된 비밀번호가 택배기사단말기(840)에 출력됨과 동시에 부서버(200)에서는 생성된 비밀번호를 택배함제어기(800)로 전송하여 택배기사가 키패드(830)를 통해 키인한 비밀번호와 상호 일치시에만 무인택배함(810)을 열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인택배함(810)의 외측테두리와 관통공 사이의 틈새에는 단열재(850)가 설치되되, 상기 단열재(850)는 중합반응물 30중량%와, 에폭시수지 50중량%와, 팽창흑연(Exandable Graphite) 10중량%와, 우레아 5중량% 및 메틸실리코네이트 5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합반응물은 소디움도데실 설페이트 및 암모늄 퍼설페이트 각 1kg을 반응조의 2-에틸헥실 프롭-2-에노에이트 8kg에 투입하여 1차 중합시킨 후 1차 중합반응물에 소디움 옥탄설포네이트를 1kg투입한 다음 30분 경과된 시점에서 술폭실산 포름알데하이트염을 2kg 투입 종료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부서버(200)에는 주차장제어기(900)가 더 연결되되, 상기 주차장제어기(900)는 지하주차장으로 연결되는 통로의 입구부 지붕(910) 하부에 설치되며; 지붕(910)은 주차장벽체(920)에 고정된 다수의 포스트(930)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차열, 차광 특성을 높이도록 상기 지붕(910)은 반원형 챔버형태의 상부판(912)과, 상기 상부판(912)의 하부에 부착되어 부동액이 채워지는 사각형 챔버형태의 하부판(914)이 일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고, 상부판(912)과 하부판(914)은 ATO(Antimony doped Tin Oxide) 10중량%, 바나듐 옥사이드(V2O5) 10중량%, DOTP(Dioctyl Terephthalate) 40중량%, 아연 5중량% 및 나머지 PVC 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되며; 상부판(912)의 반원형 챔버에는 항온수배관(916)이 항온수펌프(P1)를 경유하여 항온수탱크(TK1)에 연결 배관되고; 하부판(914)의 사각형 챔버에는 부동액배관(918)이 부동액펌프(P2)를 경유하여 부동액탱크(TK2)에 연결 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KR1020200187730A 2020-12-30 2020-12-30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KR102335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730A KR102335449B1 (ko) 2020-12-30 2020-12-30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730A KR102335449B1 (ko) 2020-12-30 2020-12-30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449B1 true KR102335449B1 (ko) 2021-12-07

Family

ID=7886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730A KR102335449B1 (ko) 2020-12-30 2020-12-30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4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013B1 (ko) * 2022-01-03 2022-04-08 (주)서영티이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오류감지 시스템
KR102384018B1 (ko) * 2022-01-04 2022-04-08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운용시스템
KR102416732B1 (ko) * 2022-01-03 2022-07-06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구축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099A (ko) * 2008-05-19 2009-11-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계량기 자동 검침 시스템
KR101014993B1 (ko) 2009-04-07 2011-02-16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동주택 통합제어 시스템
KR20120022300A (ko) * 2010-09-01 2012-03-12 (주)한별테크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KR101832712B1 (ko) * 2016-02-23 2018-02-27 장현실 건물화재 진압시스템
KR101953115B1 (ko) * 2018-06-28 2019-03-05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2188072B1 (ko) * 2019-06-25 2020-12-07 정화찬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102229363B1 (ko) 2020-08-14 2021-03-22 (주)세명이엔지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099A (ko) * 2008-05-19 2009-11-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계량기 자동 검침 시스템
KR101014993B1 (ko) 2009-04-07 2011-02-16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동주택 통합제어 시스템
KR20120022300A (ko) * 2010-09-01 2012-03-12 (주)한별테크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KR101832712B1 (ko) * 2016-02-23 2018-02-27 장현실 건물화재 진압시스템
KR101953115B1 (ko) * 2018-06-28 2019-03-05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2188072B1 (ko) * 2019-06-25 2020-12-07 정화찬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102229363B1 (ko) 2020-08-14 2021-03-22 (주)세명이엔지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013B1 (ko) * 2022-01-03 2022-04-08 (주)서영티이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오류감지 시스템
KR102416732B1 (ko) * 2022-01-03 2022-07-06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구축 시스템
KR102384018B1 (ko) * 2022-01-04 2022-04-08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운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449B1 (ko)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KR102342390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995873B1 (ko)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출입통제 및 스마트 관리 시스템
US20120188054A1 (en) Remote security entrance application
CN10689795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社区安防系统
CN205750458U (zh) 楼宇智能化平台系统
CN106014075B (zh) 一种智能家居用自动防护窗户
KR10234154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최첨단 정보통신망 시스템
US20190325677A1 (en) Home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authorization functionality
KR102341547B1 (ko) 공동주택의 첨단 통신 정보 시스템
CN111080880B (zh) 门禁控制系统及门禁控制方法
KR102335443B1 (ko) 공사감리를 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시스템
KR102335281B1 (ko)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방수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34999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KR102335284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무선 설치시스템
KR102375615B1 (ko)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 보호시스템
KR102335283B1 (ko) 공동주택의 케이블 보호관 매설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34662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설치 시스템
KR102335282B1 (ko) 공동주택의 단자함 설치형 정보통신 시스템
KR102375589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정보 공유 시스템
KR102375605B1 (ko) 공동주택의 배선 정보 통신시스템
KR102375595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신시스템
KR20220155815A (ko) 주차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9735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시설 통합관리 시스템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