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072B1 -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072B1
KR102188072B1 KR1020190075577A KR20190075577A KR102188072B1 KR 102188072 B1 KR102188072 B1 KR 102188072B1 KR 1020190075577 A KR1020190075577 A KR 1020190075577A KR 20190075577 A KR20190075577 A KR 20190075577A KR 102188072 B1 KR102188072 B1 KR 10218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storage
control unit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찬
Original Assignee
정화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찬 filed Critical 정화찬
Priority to KR102019007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6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이 허락된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차량정보로 관리자스토리지(11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관리자서버(100); 상기 관리자서버(100)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리자스토리지(110)와 동기화되는 클라우드스토리지(210)를 구비한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 차량이 출입하는 정문에 설치되어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하며,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와 비교하여 진입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 방문세대정보를 입력받은 후 진입 여부를 결정하며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를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하는 차량통제부(300); 상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와 동기화된 상기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저장된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달받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거주자단말기(400); 및, 잠금장치가 구비된 다수의 보관함(931), 택배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에 포함된 수령인정보를 읽는 리더기(932), 상기 보관함(931)의 개폐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933)를 포함하는 택배보관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Apartment House Smart Management System based on Cloud Service}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등록된 차량과 방문차량을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출입문과 승강기가 연동되도록 제어하고, 비상시 범죄현장이나 사고현장의 동영상을 촬영하여 원격지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고, 택배물품의 수령 편의성을 제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동주택(또는 집합건물)에는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상가형 공장 등이 있는데, 이러한 공동주택의 관리는 통상 관리 사무소의 주관 하에 경비원을 포함한 소속 직원들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경비원의 경우 공동주택 출입자 통제에서부터 아파트 주변, 아파트 단지 내 시설물 등의 점검 및 보수, 관리를 담당하고 보수나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으면 해당 업체에 연락하여 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인력이 직접 동원되어 아파트를 관리할 경우 아파트 전체를 세밀하게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력을 보충할 경우 추가 인건비 지출이 불가피하여 이에 따른 관리비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어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건설되는 공동주택의 경우 리모컨을 사용하거나 RFID(ri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tag) 등을 이용하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판독하여 미리 저장된 등록차량의 번호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차량 출입 통제를 자동화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은 대부분 이미 등록된 거주자들의 차량 출입 편의성에 중점을 둔 것으로서 외부차량(방문차량)의 출입시에는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경비실을 경유하여 출입증을 별도로 발급받는 형태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울러 공동주택의 승강기 제어는 특별한 제한이 없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층으로 얼마든지 이동이 가능한 바 공동주택 단지 내부로 침입한 범죄자가 자유자재로 각 층을 오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 내에 다수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나 사각지대가 존재할 수 밖에 없고 경비원의 순찰 중 불의의 사건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원격지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는 적절한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아 범죄예방 및 해결에 한계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0-1165364호
등록특허 제10-0768465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등록된 거주자의 차량 통행뿐만 아니라 방문자들의 차량 통행도 예약신청을 통하여 미리 등록함으로써 원활한 출입이 가능하고, 예약이 되지 않은 외부차량은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클라우드서비서서버를 활용하고, 이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다수의 장치와 동기화됨으로써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승강기를 자동 호출하여, 미리 예정된 층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승강기 제어 방식 적용된 새로운 개념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사고나 범죄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화일을 원격지로 전송하여 범죄 예방 및 해결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편의 및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여섯째, 거주자가 택배기사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 물품을 안전하게 수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이 허락된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차량정보로 관리자스토리지(11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관리자서버(100); 상기 관리자서버(100)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리자스토리지(110)와 동기화되는 클라우드스토리지(210)를 구비한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 차량이 출입하는 정문에 설치되어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하며,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와 비교하여 진입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 방문세대정보를 입력받은 후 진입 여부를 결정하며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를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하는 차량통제부(300); 상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와 동기화된 상기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저장된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달받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거주자단말기(400); 및, 잠금장치가 구비된 다수의 보관함(931), 택배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에 포함된 수령인정보를 읽는 리더기(932), 상기 보관함(931)의 개폐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933)를 포함하는 택배보관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방문 예정인 차량에 대한 방문예정차량정보를 입력하여 예약신청을 하면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서버(100)로 방문예정차량정보가 전달되며, 상기 관리자서버(100)는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전달된 방문예정차량정보에 대한 출입승인 여부를 결정한 후 출입승인결정정보와 방문예정차량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거주자단말기(400) 및 상기 차량통제부(300)로 전달하며, 상기 관리자서버(100)는 택배보관부(930)의 제어부(933)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수령인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거주자단말기(400)는 상기 관리자서버(100)로부터 택배물품정보를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록된 거주자의 차량 통행뿐만 아니라 방문자들의 차량 통행도 예약신청을 통하여 미리 등록함으로써 원활한 출입이 가능하고, 예약이 되지 않은 외부차량은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둘째, 클라우드서비서서버를 활용하고, 이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다수의 장치와 동기화됨으로써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셋째, 승강기를 자동 호출하여, 미리 예정된 층으로 자동 이동시켜 거주자(거주자) 및 방문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등록되거나 예정되지 않은 층으로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범죄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잠재적인 범죄위험으로부터 거주자(거주자)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넷째, 사고나 범죄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화일을 원격지로 전송하여 범죄 예방 및 해결에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비콘(beacon)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편의 및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여섯째, 거주자가 택배기사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 택배물품을 수령할 수 있어 잠재적인 범죄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택배보관부(930)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것처럼 관리자서버(100),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 차량통제부(300), 거주자단말기(400), 경비원단말기(500), 메인출입문제어부(600), 승강기제어부(700), 방문자단말기(800), 스마트랜턴(910), 비콘(920) 및 택배보관부(9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자서버(100)는 출입이 허락된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차량정보로 관리자스토리지(11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관리자서버(100)는 인터넷망에 연결됨은 물론 별도의 무선통신모듈(블루투스, 지그비, LoRa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등록차량정보에는 거주자 성명 및 주소, 차량소유자 성명 및 주소, 차량의 종류,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는 관리자서버(100)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관리자스토리지(110)와 동기화되는 클라우드스토리지(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는 일종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Cloud Storage Service)를 제공하게 되는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여러 개의 스토리지(예를 들어, 하드디스크)들을 동일한 표준 스토리지로 구성하고, 고객이 요구할 때마다 스토리지 공간을 용량 별로 할당하여 실시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여러 개의 동일 콘텐츠가 업로드 되더라도 하나의 파일만 존재하도록 회선 및 스토리지의 이중화 구조를 구현하기 때문에, 안정성 확보, 회선 장애시 우회경로를 통한 무정지 서비스, 물리적인 스토리지 장애 예방, 콘텐츠의 안전 및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리자서버(100)가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폴더 계층 구조를 가지는 관리자스토리지(110)에서 등록차량정보폴더를 선택하여 동기화 폴더로 설정하면,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는 관리자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동기화 폴더 대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차량정보폴더의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공간을 클라우드스토리지(210) 내에 할당하여 저장하게 된다.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는 동기화가 설정된 등록차량정보폴더의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자스토리지(110)와 클라우드스토리지(210) 사이의 동기화를 실시간으로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관리자서버(100)를 이용하여 관리자스토리지(110)에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거나 문서의 내용을 갱신하면 별도로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업로드를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업로드 되어 데이터가 동일(폴더의 계층 구조 및 세부 내역이 동일)하게 된다.
차량통제부(300)는 차량이 출입하는 공동주택의 정문(또는 후문)에 설치되어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한다.
이러한 차량통제스토리지(310)도 클라우드스토리지(210)와 동기화됨으로써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폴더의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폴더의 계층 구조 및 세부 내역이 동일)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차량통제부(300)에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이 구비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와 비교하여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되지 않은 차량의 차량번호가 인식될 경우 일단 출입을 막고 방문세대정보를 입력받는다.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가 입력되면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되고, 동기화를 통하여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도 업로드되어 저장되고, 관리자서버(100)의 관리자스토리지(110)에도 저장된다.
거주자단말기(400)는 차량통제스토리지(310)와 동기화된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저장된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달받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거주자단말기(400)는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것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는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거주자의 거주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거주자는 거주자단말기(400)로 전송된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를 확인한 후 출입을 원하지 않는 차량인 경우,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출입불허요청을 하면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관리자서버(100) 및 차량통제부(300)로 전달되어 출입불허차량으로 등록되고, 출입불허차량으로 등록될 경우 해당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게 된다. 출입을 원할 경우에는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출입허가요청을 하면 동일한 방식으로 출입허가차량으로 등록된다.
거주자는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방문예정차량정보를 입력하여 예약신청을 할 수 있는데,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방문 예정인 차량에 대한 방문예정차량정보를 입력하여 예약신청을 하면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관리자서버(100)로 방문예정차량정보가 전달된다.
관리자서버(100)는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전달된 방문예정차량정보에 대한 출입승인 여부를 결정한 후 출입승인결정정보와 방문예정차량정보를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거주자단말기(400) 및 차량통제부(300)로 전달하게 된다.
차량통제부(300)는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가 방문예정차량정보와 일치할 경우 진입을 허용하고, 방문차량의 진입정보를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거주자단말기(400) 및 관리자서버(100)로 전달한다. 따라서 거주자는 방문 예정이었던 차량이 공동주택 단지 내로 진입한 사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경비원단말기(500)는 경비원이 휴대하는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수단이 될 수 있는데, 공동주택 단지 내에 주차된 거주자 차량의 손상이나 특이사항이 발견된 경우 경비원은 경비원단말기(500)를 통하여 차량이상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비원단말기(500)에는 입력된 정보를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로 전달하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고, 입력된 차량이상정보는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거주자단말기(400)와 관리자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어, 경비원이 별도의 인터폰이나 전화로 해당 차주(거주자)에게 차량의 손상이나 특이사항을 알릴 필요가 없다.
메인출입문제어부(600)는 공동주택 각동의 출입문 주변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이러한 메인출입문제어부(600)에는 NFC기반의 통신 기능이 구비된다.
승강기제어부(700)는 공동주택 각층의 승강기탑승구 주변에 설치되어 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러한 승강기제어부(700)에는 NFC기반의 통신 기능이 구비된다.
이러한 메인출입문제어부(600)와 승강기제어부(7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관리자서버(100)와 연결되는데, 관리자서버(100)는 유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로 유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지 않고 LoRa,지그비, 블루투쓰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이러한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거주자단말기(400)에는 미리 등록받은 인증정보를 NFC기반 통신으로 메인출입문제어부(600)나 승강기제어부(700)로 전달하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다.
메인출입문제어부(600)는 거주자단말기(4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정보를 관리자서버(100)로 전달한다.
메인출입문제어부(600)로부터 관리자서버(100)로 인증정보가 전달되면, 관리자서버(100)는 관리자서버(100)에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한 후 인증결과를 메인출입문제어부(600)로 전달하고, 메인출입문제어부(600)는 전달받은 인증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게 된다.
승강기제어부(700)도 메인출입문제어부(600)가 출입문을 개폐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승강기 작동을 제어하는데, 거주자단말기(4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정보를 관리자서버(100)로 전달하고, 관리자서버(100)에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한 인증결과를 관리자서버(100)로부터 전달받아 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아울러, 관리자서버(100)의 인증결과에 따라 메인출입문제어부(600)가 출입문을 개방할 경우 이와 연동하여 승강기제어부(700)가 출입문이 있는 층으로 승강기를 자동 이동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승강기제어부(700)는 관리자서버(100)의 인증결과에 따라 승강기를 작동시킬 경우 거주자단말기(4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정보에 포함된 층으로 승강기를 자동 이동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인증정보에 포함된 층(거주자가 거주하는 층)이 아닌 다른 층으로의 이동은 원칙적으로 금지되고,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한 별도의 요청절차를 통하여 해당 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허락을 얻은 경우에만 승강기가 해당 층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이동을 원하는 층(타 거주자가 거주하는 층)으로 승강기 작동을 요청하면 요청정보가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관리자서버(100)와 타 거주자단말기(400)로 전달되고, 타 거주자가 내용을 확인 후 승낙여부의 메시지를 타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입력하면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승낙여부의 메시지가 요청정보를 입력했던 거주자단말기(400)와 관리자서버(100)로 전달되고, 승강기제어부(700)는 승낙받은 거주자가 해당 층을 선택할 경우에는 해당 층으로 승강기를 이동시키게 된다.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방문 예정인 방문자에 대한 방문자정보를 입력하여 예약신청을 할 수도 있는데, 예약신청을 하면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관리자서버(100)로 방문자정보가 전달된다.
방문자단말기(800)도 거주자단말기(400)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방문자단말기(800)는 미리 저장된 방문자정보를 NFC기반 통신으로 메인출입문제어부(600)와 승강기제어부(700)로 전달하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다.
메인출입문제어부(600)는 방문자단말기(800)로부터 전달받은 방문자정보를 관리자서버(100)로 전달하고, 관리자서버(100)는 메인출입문제어부(600)가 전달한 방문자정보를 관리자서버(100)에 미리 저장된 방문자정보와 비교한 후 인증결과를 메인출입문제어부(600)로 전달하고, 메인출입문제어부(600)는 관리자서버(100)로부터 전달받은 방문자정보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한다.
승강기제어부(700)도 메인출입문제어부(600)와 같은 방식으로 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거주자단말기(400)로부터 전달받은 방문자정보를 관리자서버(100)로 전달하고, 관리자서버(100)에 미리 저장된 방문자정보와 비교한 인증결과를 관리자서버(100)로부터 전달받아 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관리자서버(100)의 인증결과에 따라 메인출입문제어부(600)가 출입문을 개방할 경우 이와 연동하여 승강기제어부(700)가 출입문이 있는 층으로 승강기를 자동 이동시키고, 승강기제어부(700)는 관리자서버(100)의 인증결과에 따라 승강기를 작동시킬 경우 방문자단말기(800)로부터 전달받은 방문자정보에 포함된 층으로 승강기를 자동 이동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마트랜턴(910)은 경비원단말기(500)와 마찬가지로 경비원이 순찰시 휴대하는데, 야간 순찰이나 지하공간 순찰시 조명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랜턴 기능과 함께 다양한 추가 기능이 구비된다.
즉 동영상 촬영 기능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는데, 필요한 경우에는 자체 메모리가 구비되어 촬영된 동영상 화일을 스마트랜턴(910) 내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스마트랜턴(910)은 일반적인 랜턴 기능과 함께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되어 비상시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동영상 화일을 실시간으로 관리자서버(100)로 전송(예를 들어 LoRa통신 등의 현재 상용화된 다양한 무선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무선통신과 유선통신을 혼용하여 전송)하여 관리자스토리지(11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관리자스토리지(110)와 동기화되는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도 동영상 화일이 업로드되어 저장되고,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장치가 구비된 장소라면 어디라도 동영상 화일을 다운로드받아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순찰 도중 범죄현장을 목격하거나 범인으로부터 불의의 습격을 당할 경우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랜턴(910)의 촬영버튼을 눌러 현장을 촬영하면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이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서버(100)로 전송되어 즉각적인 인력지원이 가능하고, 추후 범죄사건 해결에 유용한 증거자료로 활용도 가능하다.
만약, 촬영기능만 있고 촬영된 동영상 화일이 스마트랜턴(910) 자체에만 저장될 경우 범인이 스마트랜턴(910)만 강탈해가면 무용지물이 될 것이나, 동영상 화일이 촬영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원격지로 전송되는 바 스마트랜턴(910)을 강탈당하더라도 범죄현장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비콘(920)은 공동주택 단지 내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고 거주자단말기(400)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인식하여 비콘(920) 각각의 고유식별ID정보를 거주자단말기(400)로 전송하게 된다.
비콘(920)은 저전력 블루투스 4.0(BLE)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일종이다. 기존의 블루투스가 최대 8대까지만 연결이 가능한 제한된 연결이라는 단점을 극복한 블루투스 기술이 바로 'BLE' 이다. BLE기술이 적용된 비콘(920)은 페어링(연결)이 불필요해서 많은 사람들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콘(920)은 GPS보다 정확한 위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실내에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기도 한다.
비콘통신을 하기위해서는, '비콘', '비콘을 식별하는 기능이 포함된 웹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웹서버'가 필요하다. 먼저 비콘(920)은 웹어플리케이션에 일정한 신호를 전달하는데, 여기서 신호란 비콘의 식별정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비콘(920)의 유니크한 ID값들이 웹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면, 웹어플케이션은 이를 받아 웹서버에 전달하게 된다. 웹서버는 비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필요한 서비스가 웹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거주자단말기(400)에는 비콘(920)을 식별하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는데, 거주자단말기(400)가 비콘(920)이 전송하는 고유식별ID정보를 수신하면 내장된 웹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비콘(920)의 고유식별ID정보를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는 거주자단말기(400)로부터 비콘의 고유식별ID정보가 수신되면 거주자단말기(400)로 '안심존(safety zone)'이라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공동주택 단지 내의 안전한 지역에 거주자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거주자단말기(400)는 비콘(920)이 전송하는 고유식별ID정보를 수신하여 내장된 웹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경우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는 거주자단말기(400)로부터 긴급상황이 수신되면, 이를 경비원단말기(500) 및 관리자서버(100)로 전송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즉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거주자단말기(400)를 흔들거나 몇 번 두드리면 거주자단말기(400)에 내장된 가속도센서가 이를 긴급상황 신호로 인지하여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하게 되는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로 전송되는 신호에는 비콘(920)의 고유식별ID정보가 포함되고, 이를 근거로 해당 비콘(920)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바, 긴급상황이 발생된 위치가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다.
거주자단말기(400)를 소지한 거주자가 주차를 할 경우 주차구역에 설치된 비콘(920)이 거주자단말기(400)를 인식하고 웹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면 고유식별ID정보로부터 차량의 주차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
공동주택 각동의 출입문 주변에 설치된 상기 비콘(920)이 거주자단말기(400)를 인식하면 미리 등록받아 거주자단말기(400)에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가 비콘(920)의 고유식별ID정보와 함께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로 전송되는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와 동기화되어 있는 관리자서버(100)를 통하여 메인출입문제어부(600)가 출입문을 개폐함과 동시에 승강기제어부(700)가 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출입문이 있는 층으로 승강기를 자동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공동주택 각층의 승강기탑승구 주변에 설치된 비콘(920)이 거주자단말기(400)를 인식하면 미리 등록받아 거주자단말기(400)에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가 비콘(920)의 고유식별ID정보와 함께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로 전송되고,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와 동기화되어 있는 관리자서버(100)를 통하여 승강기제어부(700)가 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해당 층으로 승강기를 자동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비콘(920)과 연동하는 기능은 거주자단말기(400)뿐만 아니라 경비원단말기(500)나 방문자단말기(800)를 통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택배보관부(930)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장치가 구비된 다수의 보관함(931), 택배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에 포함된 수령인정보를 읽는 리더기(932), 상기 보관함(931)의 개폐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933)를 포함한다.
보관함(931)은 택배물품을 보관하는 독립된 공간으로서 공동주택의 호수를 감안하여 적절한 수량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 보관함(931)의 규격(가로x세로x깊이)을 각기 달리하여 택배물품의 사이즈에 맞는 보관함(931)을 선택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리더기(932)는 택배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에 포함된 수령인정보를 읽는 역할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바코드나 큐알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 가운데 적절한 사양의 제품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택배보관부(930)에는 보관함(931)의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키패드(935)가 추가될 수 있으며, 수령인은 거주자단말기(400)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바코드나 큐알코드와 함께 일반 문자로 전달된 정보를 기억한다면 키패드(935)를 통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키패드(935)를 통하여 입력된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도 리더기(932)와 마찬가지로 제어부(933)로 전달된다.
제어부(933)는 리더기(932)의 인식정보를 기초로 보관함(931)의 개폐를 자동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택배기사가 택배물품을 보관할 경우 리더기(932)가 택배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로부터 수령인 주소, 수령인 전화번호, 수령인 성명이 포함된 수령인정보를 읽어 제어부(933)로 전달하면, 제어부(933)는 보관함(931) 가운데 빈 보관함(931)을 선정하여 개방하여 택배기사가 택배물품을 보관함(931)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수령인이 보관함(931)에 보관된 택배물품을 찾을 경우에는 리더기(932)가 거주자단말기(400)에 표시된 바코드나 큐알코드로부터 택배물품이 보관된 보관함(931)의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를 읽어 제어부(933)로 전달하면, 제어부(933)는 관리자서버(1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가운데 리더기(932)가 인식하여 전달한 정보와 일치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 한 후 해당 택배물품이 보관된 보관함(931)을 개방하여 수령자가 택배물품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서버(100)는 택배보관부(930)의 제어부(933)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수령인정보를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리자서버(100)는 유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로 유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지 않고 LoRa,지그비, 블루투쓰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이러한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을 혼용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관리자서버(100)는 택배보관부(930)의 제어부(933)로부터 수령인정보와 택배물품이 보관된 보관함(931)의 식별정보(각각의 개별 보관함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정보로서 번호나 코드 등이 될 수 있음)를 수신하면 잠금상태의 보관함(931)을 개방하는데 필요한 인증코드를 생성한 후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를 거주자단말기(400) 및 제어부(933)로 전송한다.
이러한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를 거주자단말기(400)로 전송할 경우 일반 문자로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거주자단말기(400)로 전송되는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는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 형태로 전환되어 전송되는데, 거주자단말기(400)는 관리자서버(100)로부터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를 수신하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수신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거주자단말기(400)는 관리자서버(100)로부터 택배물품정보를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령인은 단지 내에 거주하지 않고 멀리 타도시로 여행이나 출장을 간 경우에도 인터넷통신망을 통하여 택배물품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거주자단말기(400)는 관리자서버(100)로부터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를 수신하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며,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PD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택배보관부(931)의 외부 영역(보관함(931)이 구비된 영역)을 촬영하여 동영상화일로 저장하는 카메라부(934)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카메라부(934)가 구비될 경우 도난사고를 방지하거나 도난사고 발생시 범인 검거에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관함(931)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개방될 경우 제어부(933)는 이를 감지하여 비상신호정보와 함께 카메라부(934)에 저장된 동영상화일을 관리자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자서버(100)는 경비원단말기(500)로 해당 택배보관부(100)의 위치정보와 도난상황정보를 자동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관리자서버
110:관리자스토리지
200:클라우드서비스서버
210:클라우드스토리지
300:차량통제부
310:차량통제스토리지
400:거주자단말기
500:경비원단말기
600:메인출입문제어부
700:승강기제어부
800:방문자단말기
910:스마트랜턴
920:비콘(beacon)
930:택배보관부
931:보관함
932:리더기
933:제어부
934:카메라부
935:키패드

Claims (3)

  1.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이 허락된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차량정보로 관리자스토리지(11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관리자서버(100);
    상기 관리자서버(100)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리자스토리지(110)와 동기화되는 클라우드스토리지(210)를 구비한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
    차량이 출입하는 정문에 설치되어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하며,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와 비교하여 진입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 방문세대정보를 입력받은 후 진입 여부를 결정하며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를 차량통제스토리지(310)에 저장하는 차량통제부(300);
    상기 차량통제스토리지(310)와 동기화된 상기 클라우드스토리지(210)에 저장된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달받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거주자단말기(400); 및,
    잠금장치가 구비된 다수의 보관함(931), 택배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에 포함된 수령인정보를 읽는 리더기(932), 상기 보관함(931)의 개폐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933)를 포함하는 택배보관부(9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방문 예정인 차량에 대한 방문예정차량정보를 입력하여 예약신청을 하면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서버(100)로 방문예정차량정보가 전달되며,
    상기 관리자서버(100)는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전달된 방문예정차량정보에 대한 출입승인 여부를 결정한 후 출입승인결정정보와 방문예정차량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거주자단말기(400) 및 상기 차량통제부(300)로 전달하며,
    상기 관리자서버(100)는 택배보관부(930)의 제어부(933)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수령인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거주자단말기(400)는 상기 관리자서버(100)로부터 택배물품정보를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거주자는 상기 거주자단말기(400)로 전송된 진입을 요청한 차량정보 및 방문세대정보를 확인한 후 출입을 원하지 않는 차량인 경우, 상기 거주자단말기(400)를 통하여 출입불허요청을 하면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서버(100) 및 상기 차량통제부(300)로 전달되어 출입불허차량으로 등록되고,
    상기 차량통제부(300)는,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가 방문예정차량정보와 일치할 경우 진입을 허용하고, 방문차량의 진입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비스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거주자단말기(400) 및 상기 관리자서버(1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택배보관부(930)는,
    상기 리더기(932)가 택배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로부터 수령인 주소, 수령인 전화번호, 수령인 성명이 포함된 수령인정보를 읽어 상기 제어부(933)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933)는 상기 보관함(931) 가운데 빈 보관함(931)을 선정하여 개방하고,
    택배기사가 택배물품을 넣은 후 상기 보관함(931)을 닫으면 자동으로 상기 보관함(931)을 잠금상태로 전환한 후 수령인정보 및 택배물품이 보관된 상기 보관함(931)의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자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리더기(932)가 상기 거주자단말기(400)에 표시된 바코드나 큐알코드로부터 택배물품이 보관된 상기 보관함(931)의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를 읽어 상기 제어부(933)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933)는 상기 관리자서버(1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가운데 일치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 한 후 해당 택배물품이 보관된 상기 보관함(931)을 개방하여 수령자가 택배물품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관함(931)은 택배물품을 보관하거나 찾는 과정에서만 한시적으로 개방되며, 그 이외에는 상시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관리자서버(100)는,
    상기 택배보관부(930)의 제어부(933)로부터 수령인정보와 택배물품이 보관된 상기 보관함(931)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잠금상태의 상기 보관함(931)을 개방하는데 필요한 인증코드를 생성한 후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거주자단말기(400) 및 상기 제어부(933)로 전송하되, 상기 거주자단말기(400)로 전송되는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는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 형태로 전환되어 전송되고,
    상기 거주자단말기(400)에는,
    상기 관리자서버(100)로부터 식별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를 수신하는 웹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1020190075577A 2019-06-25 2019-06-25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10218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77A KR102188072B1 (ko) 2019-06-25 2019-06-25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77A KR102188072B1 (ko) 2019-06-25 2019-06-25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072B1 true KR102188072B1 (ko) 2020-12-07

Family

ID=7379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577A KR102188072B1 (ko) 2019-06-25 2019-06-25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072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662B1 (ko) * 2020-12-30 2021-12-06 이광휘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설치 시스템
KR102334999B1 (ko) * 2020-12-30 2021-12-06 (주)동현기술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KR102335449B1 (ko) * 2020-12-30 2021-12-07 (주)부광네트워크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KR102335443B1 (ko) * 2020-12-30 2021-12-07 (주)부광네트워크 공사감리를 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시스템
KR102335284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무선 설치시스템
KR102335283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케이블 보호관 매설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35282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단자함 설치형 정보통신 시스템
KR102335281B1 (ko) * 2020-12-28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방수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41545B1 (ko) * 2020-12-23 2021-12-22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최첨단 정보통신망 시스템
KR102341547B1 (ko) * 2020-12-23 2021-12-22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의 첨단 통신 정보 시스템
KR102342390B1 (ko) * 2020-12-29 2021-12-24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75589B1 (ko) * 2020-12-28 2022-03-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정보 공유 시스템
KR102375605B1 (ko) * 2020-12-24 2022-03-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선 정보 통신시스템
KR102375595B1 (ko) * 2020-12-22 2022-03-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신시스템
KR102375615B1 (ko) * 2020-12-23 2022-03-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 보호시스템
KR102384013B1 (ko) * 2022-01-03 2022-04-08 (주)서영티이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오류감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389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택배 보관 및 수령 시스템과 방법
KR20120022300A (ko) * 2010-09-01 2012-03-12 (주)한별테크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KR20120047071A (ko) * 2010-11-03 2012-05-11 (주)한별테크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20180011599A (ko) * 2016-07-25 2018-02-02 (주)코맥스시큐리티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및 차량 출입 관리방법
KR20190024377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택배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71348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바로서비스 택배함의 식별번호를 이용한 택배 보관과 수령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택배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389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택배 보관 및 수령 시스템과 방법
KR20120022300A (ko) * 2010-09-01 2012-03-12 (주)한별테크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KR20120047071A (ko) * 2010-11-03 2012-05-11 (주)한별테크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20180011599A (ko) * 2016-07-25 2018-02-02 (주)코맥스시큐리티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및 차량 출입 관리방법
KR20190024377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택배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71348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바로서비스 택배함의 식별번호를 이용한 택배 보관과 수령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택배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95B1 (ko) * 2020-12-22 2022-03-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신시스템
KR102341545B1 (ko) * 2020-12-23 2021-12-22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최첨단 정보통신망 시스템
KR102375615B1 (ko) * 2020-12-23 2022-03-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능형 공동주택의 초고속 정보통신 보호시스템
KR102341547B1 (ko) * 2020-12-23 2021-12-22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의 첨단 통신 정보 시스템
KR102375605B1 (ko) * 2020-12-24 2022-03-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선 정보 통신시스템
KR102335281B1 (ko) * 2020-12-28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방수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75589B1 (ko) * 2020-12-28 2022-03-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정보 공유 시스템
KR102335283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케이블 보호관 매설형 정보통신시스템
KR102335282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단자함 설치형 정보통신 시스템
KR102335284B1 (ko) * 2020-12-29 2021-12-08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무선 설치시스템
KR102342390B1 (ko) * 2020-12-29 2021-12-24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35443B1 (ko) * 2020-12-30 2021-12-07 (주)부광네트워크 공사감리를 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시스템
KR102334662B1 (ko) * 2020-12-30 2021-12-06 이광휘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설치 시스템
KR102335449B1 (ko) * 2020-12-30 2021-12-07 (주)부광네트워크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KR102334999B1 (ko) * 2020-12-30 2021-12-06 (주)동현기술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KR102384013B1 (ko) * 2022-01-03 2022-04-08 (주)서영티이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오류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072B1 (ko)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101995873B1 (ko)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출입통제 및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101995874B1 (ko)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US8577498B2 (en) Automatic transfer method, transfer robot, and automatic transfer system
JP2021108231A (ja) 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KR101595413B1 (ko) 계층적 관리자 승인 구조형 ict 융합기술 기반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89121B1 (ko) 출입권한 관리시스템 및 그 출입 인증방법
WO2016025927A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KR101788121B1 (ko) 사물함 통합관리 시스템
KR101945688B1 (ko)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관리 방법
KR101936824B1 (ko) 스마트 원패스 시스템
KR10203373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아파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 관리 시스템
KR102150642B1 (ko) 무선충전을 이용한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345479B1 (ko) 건물 출입 관리시스템
KR101404154B1 (ko) 문제차량에 대한 지능형 무인 교통감시 시스템
KR20160116849A (ko) 순찰 및 차량 관리 시스템
US11122135B2 (en) Location-based behavioral monitoring
KR20220155815A (ko) 주차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43712B1 (ko) 출입 통제 시스템
KR101236581B1 (ko) 자가 인증 등록기능을 갖춘 보안 시스템
JP6708870B2 (ja) ドアの施解錠システム及びトランクルーム
JP4548965B2 (ja) 携帯端末及びそれを用いた照合システム
CN108665591B (zh) 基于身份识别的治安防盗系统
KR102505756B1 (ko) 클라우드 방식의 보안 제어 시스템
KR102463758B1 (ko) 캠핑카 공유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