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230B1 -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230B1
KR101857230B1 KR1020170163943A KR20170163943A KR101857230B1 KR 101857230 B1 KR101857230 B1 KR 101857230B1 KR 1020170163943 A KR1020170163943 A KR 1020170163943A KR 20170163943 A KR20170163943 A KR 20170163943A KR 101857230 B1 KR101857230 B1 KR 10185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tension
sprinkler
coup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백행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아이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아이기술단 filed Critical (주)케이아이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16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누수가 예상되는 곳에 누수감지수단을 마련해 줌으로서 누수발생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설물관리자가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Fire figh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실내의 천장 텍스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소방수가 화재발생지점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천장텍스의 상방에 위치하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최초 설계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할 시, 스프링클러의 설치가 쉽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스프링클러와 스프링클러에 연결되는 연결기구간의 밀봉이 약해, 소방수가 분사될 시 연결부분에서 소방수가 세거나, 오랜 노후로 인해 소방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빈번하였다.
그리고 스프링클러를 통해 분사된 물 중 일부가 텍스로 튀어 텍스를 적시게 되고, 이에 의해 텍스가 손상되면서 스프링클러를 고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8276호
본 발명은 누수가 예상되는 곳에 누수감지수단을 마련하여 누수발생시 신속하게 감지하여 시설물관리자가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는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 텍스의 상방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2고정부; 좌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며 양단이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는 끼움부로 구성된 고정기구와:
상단부가 소방배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끼움부에 의해 고정되는 신축가능한 주름관, 주름관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관, 연장관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질의 플랜지로 구성된 신축배관과:
천장 텍스에 관통되게 끼워져 얹혀지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며, 상단부 내측으로 연장관이 끼워져 상호 연통되는 제1이음관과: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개구부, 상단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플랜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 개구부와 제1가압부 사이에 형성된 제2가압부을 갖추고서 연장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이음관의 상단부 둘레면에 체결되되, 체결시 제2가압부가 플랜지의 상면 가장자리를 가압해 밴딩하고 제1가압부가 플랜지를 가압하여 제1이음관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연결너트와:
천장 텍스와 연결너트 사이에 개입되는 제1오링과:
연장관의 외주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연결너트의 상단부를 감싸는 상협하광형상의 제1커버와:
내부가 상하로 개구되며 천장 텍스의 하부로 노출된 제1이음관에 체결되는 연결부; 연결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며, 상측이 연결부보다 내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 연장부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오링삽입부; 및 연장부의 하측에 연장부의 외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착부로 구성된 제2이음관과:
제2이음관의 연장부가 삽입되며 제2이음관의 안착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삽입부; 삽입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제2이음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연장부 내부를 통과하는 소방수가 배출되는 스프링클러부를 갖춘 스프링클러와:
제2이음관의 안착부와 스프링클러의 삽입부 사이에 끼워지며, 스프링클러의 삽입부에 의해 가압되는 제2오링과:
제2이음관의 연결부의 외방으로 돌출되게 제2이음관의 연결부의 외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끝단이 스프링클러의 삽입부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스프링클러를 가리는 이음관 보호용 커버와:
제2이음관의 오링삽입부에 삽입되며, 제1이음관에 의해 가압되는 제3오링과:
연결부를 관통하여 양단부가 연결부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면서 연결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이격배치되는 축을 매개로 연결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부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소방수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 축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축과 함께 회전되어 바람이 이음관 보호용 커버의 상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팬으로 구성된 텍스보호기구와:
하부재 상에 상부재를 적층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한 투명한 재질의 플렉서블판; 제2이음관의 둘레로 끼워질 수 있게 플렉서블판을 상하로 관통시켜 형성한 관삽입부; 관삽입부를 개방할 수 있게 플렉서블판의 일측을 절개한 절개부; 하부재와 상부재 사이에 개입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 쌍의 도전라인; 한 쌍의 도전라인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부재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수공; 한 쌍의 도전라인 중 어느 하나와 일단이 연결되는 엘이디; 나머지 도전라인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엘이디의 타단과 이격되는 연장라인으로 구성되어, 투수공을 통해 유입된 침투수에 의해 엘이디와 연장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로 불빛을 방출하여 누수를 알리는 누수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누수가 예상되는 곳에 누수감지수단을 마련해 줌으로서 누수발생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설물관리자가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방수에 의해 연동되는 텍스보호기구가 바람층을 형성함에 따라 스프링클러로부터 분사되는 물 중 일부가 텍스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순 구조를 이루면서 효과적인 실링이 가능하여 부품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서 누수감지수단을 따로 발췌하여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서 누수감지수단을 따로 발췌하여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는 고정프레임(10)과 고정기구(20), 신축배관(30), 제1이음관(40), 연결너트(50), 제1오링(60), 제1커버(70), 제2이음관(80), 스프링클러(90), 제2오링(100),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 제3오링(120), 텍스보호기구(130) 및 누수감지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천장 텍스(T)의 상방에 배치되어 신축배관(30)을 지지해주는 기구물로서, 본 실시 예에서 고정프레임(10)은 다수 개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기구(20)는 고정프레임(10)에 전후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2고정부(21,22)와, 좌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전측이 제1고정부(21)에 연결되고 후측이 제2고정부(22)에 연결되는 끼움부(23)를 갖는다.
상기 신축배관(30)은 요부(31a)와 철부(31b)를 구비하여 신축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상측이 소방배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요부(31a)에 고정기구(20)의 끼움부(23)가 끼워져, 하측이 고정기구(20)의 끼움부(23)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주름관(31)과, 주름관(31)의 하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주름관(31)와 연통되는 관 형상의 연장관(32) 및 연장관(32)의 하측 외면에 구비되는 연질의 플랜지(3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소방배관(미도시)은 소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을 말한다.
이와 같은 신축배관(30)은 고정기구(20)에 의해 고정될 시, 고정기구(20) 보다 하방에 위치한 신축배관(30)의 길이가 신축되어 스프링클러(90)의 설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스프링클러(90)에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음관(40)은 내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내부 상측이 신축배관(30)의 연장관(32)의 내부와 연통되고, 신축배관(30)의 연장관(32)가 삽입되며, 하측이 천장 텍스(T)에 안착되는 안착부(41)와, 안착부(41)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42)와, 내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안착부(41)의 내부와 연통되고 안착부(4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천장 텍스(T)를 관통하는 관통부(43) 및, 관통부(43)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44)를 갖춘다.
상기 연결너트(50)는 연결너트(50)의 내측 상부에 연결너트(50)의 내방으로 개구되게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구부(51)와, 연결너트(50)의 내측 상부에 개구부(51)보다 연결너트(50)의 내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개구부(51)에 삽입되는 신축배관(30)의 플랜지(33)를 제1이음관(40)의 상면을 향해 가압하는 제1가압부(52)와, 개구부(51)의 상면에 제1가압부(52)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신축배관(30)의 플랜지(33)를 개구부(51)의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53)와, 개구부(51)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연결너트(5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제1이음관(40)의 제1체결부(42)에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54) 및 연결너트(50)의 하면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오링삽입부(55)를 갖춘다.
이와 같은 연결너트(50)는 신축배관(30)의 플랜지(33)를 가압 굴곡시켜, 신축배관(30)을 제1이음관(4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신축배관(30)과 제1이음관(40) 간의 연결부가 안정적으로 밀봉되도록 한다.
상기 제1오링(60)은 연결너트(50)의 오링삽입부(55)에 삽입되며, 연결너트(50)에 의해 가압된다.
이와 같은 제1오링(60)은 연결너트(50)와 천장 텍스(T) 상면 사이가 안정적으로 밀봉되도록 하여, 연결너트(50)의 체결부(54)와 제1이음관(40)의 제1체결부(42) 간의 결합부에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커버(70)는 신축배관(30)의 연장관(32)의 외방으로 돌출되게 신축배관(30)의 연장관(32)의 외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끝단이 연결너트(50)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연결너트(50)를 가린다.
이와 같은 제1커버(70)는 신축배관(30) 손상 시, 소방수가 연결너트(5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2이음관(80)은 내부가 상하로 개구되는 연결부(81)와, 연결부(81)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1이음관(40)의 제2체결부(44)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는 체결부(85)와, 연결부(8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연결부(81)보다 내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82)와, 연장부(82)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오링삽입부(83) 및 연장부(82)의 하측에 상기 연장부(82)의 외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착부(84)를 갖추고서 천장 텍스(T)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3오링(120)은 제2이음관(80)의 오링삽입부(83)에 삽입되며, 제1이음관(40)에 의해 가압된다.
이와 같은 제3오링(120)은 제1이음관(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이음관(40)의 체결부(44)와 제2이음관(80)의 체결부(85) 사이를 밀봉함으로써 소방수가 제1이음관(40)의 제2체결부(44)와 제2이음관(80)의 체결부(85)에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클러(90)는 제2이음관(80)의 연장부(83)가 삽입되며 제2이음관(80)의 안착부(84)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삽입부(91)와, 삽입부(9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제2이음관(8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장부(92) 및 연장부(92)의 하부에 구비되며, 연장부(92) 내부를 통과하는 소방수가 배출되는 스프링클러부(93)를 갖춘다.
상기 제2오링(100)은 제2이음관(80)의 안착부(84)와 스프링클러(90)의 삽입부(91) 사이에 끼워지며, 스프링클러(90)의 삽입부(91)에 의해 가압된다.
이와 같은 제2오링(100)은, 소방수가 제2이음관(80)의 안착부(84)와 스프링클러(90)의 삽입부(91) 사이로 새어, 소방수가 제2이음관(80)의 연결부(81) 상면과 천장 텍스(T)의 하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하여, 제2이음관(80)의 체결부(85)와 제1이음관(40)의 제2체결부(44)에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는 제2이음관(80)의 연결부(81)의 외방으로 돌출되게 제2이음관(80)의 연결부(81)의 외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끝단이 스프링클러(90)의 삽입부(91)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스프링클러(90)를 가린다.
이와 같은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는 제2오링(100)으로부터 1차적인 누수를 차단하지 못할 시, 2차적인 차단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텍스보호기구(130)는 연결부(81)를 관통하는 축(131a)을 매개로 연결부(81)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부(81)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소방수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131)와, 축(131a)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축(131a)과 함께 회전되어 바람이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의 상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팬(132)으로 구성된다.
도 12는 부분 측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축(131a)은 연결부(81)에 관통되게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연결부(81)와 직교형태를 이루고, 양단부가 연결부(81)의 외주면(둘레면)으로 노출되며, 연결부(81)의 중심(0:수직축)으로부터 수평거리(D) 만큼 편심되게 이격배치된다.
상기 수차(131)는 축(131a)과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팬(132)은 축(131a)의 양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부(81)를 따라 소방수가 흐르게 되면, 이에 의해 수차(131)가 회전하게 되고, 수차(131)가 회전함에 따라 축(131a)이 회전하게 되며, 축(131a)이 회전함에 따라 축(131a)의 양단에 고정된 팬(132)이 회전하게 되면서 바람을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바람은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의 상면 경사를 따라 이동되어 바람층을 만들게 되면서 스프링클러(9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천장 텍스(T)에 닿지 않도록 차단해 주는 기능을 한다.
도 1과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누수감지수단(140)은 제2이음관(80)의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스프링클러(90)와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며, 누수발생시 유입된 침투수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로 불빛을 방출해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누수감지수단(140)은 플렉서블판(141)과 관삽입부(142), 절개부(143), 한 쌍의 도전라인(144), 복수의 투수공(145), 엘이디(146) 및 연장라인(147)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렉서블판(141)은 투명한 재질의 하부재(141a)와 상부재(141b)로 분할형성되며, 상호 적층되어 일체형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판(141)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삽입부(142)가 일체로 형성되고, 관삽입부(142)를 벌려 제2이음관(80)의 둘레에 끼울 수 있도록 절개부(1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부(143)를 벌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관삽입부(142)가 개방될 수 있으며, 이를 매개로 제2이음관(80)의 둘레에 손쉽게 끼워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재(141a)와 상부재(141b) 사이, 좀 더 명확하게는, 하부재(141a)의 상면에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 쌍의 도전라인(144)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재(141b)에는 도전라인(144)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도전라인(144)을 따라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투수공(14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투수공(145)을 통해 누수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이 도전라인(144)에 설치된 엘이디(146)와 연장라인(147)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게 되고, 이에 의해 엘이디(146)로부터 전기가 흐르게 되면서 불빛을 방출하게 되며, 시설물관리자는 이와 같은 불빛을 통해 현재 누수가 진행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하여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엘이디(146)는 한 쌍의 도전라인(144) 중 어느 하나와 일단이 연결되고, 선택된 도전라인(144)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타단이 연장라인(147)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연장라인(147) 역시 나머지 도전라인(144)에 일단이 연결되되, 선택된 도전라인(144)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타단이 엘이디(146)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이음관(80)과 스프링클러(90) 사이를 통해 소방수가 유출될 경우 유출된 소방수가 투수공(145)을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소방수가 도전라인(144)에 설치된 엘이디(146)와 연장라인(147)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 주는 매개체가 되면서 엘이디(146)와 연장라인(147) 간에 통전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엘이디(146)가 점등되면서 외부로 불빛을 방출하게 되며, 시설물관리자는 이와 같은 불빛을 통해 현재 누수가 진행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하여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방배관에 다수의 신축배관(30)을 연결하고, 신축배관(30)의 일측 하부를 고정기구(20)를 통해 고정프레임(1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프링클러(90)가 설치된 제2이음관(80)과 제1이음관(40)을 체결하고, 제1이음관(40)에 연결너트(50)의 일부를 체결하여, 천장 텍스(T)의 하방에 스프링클러(90)가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신축배관(30)을 제1이음관(40)에 결합하는데, 도 7과 같이 스프링클러(90)의 설치 위치가 초기 설계 위치에서 벗어나, 신축배관(30)과 제1이음관(40)이 상하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시, 신축배관(30)을 당겨 도 7과 같이 신축배관(30)의 하부와 제1이음관(40)이 상하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신축배관(30)의 플랜지(33)를 연결너트(50)의 개구부(51)에 억지끼움하면서 신축배관(30)의 연장관(32)를 제1이음관(40)에 도 8과 같이 삽입한다.
이때, 연결너트(50)를 회전시켜 도 10과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연결너트(50)의 제2가압부(53)가 신축배관(30)의 플랜지(33)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연결너트(50)의 제1가압부(52)가 신축배관(30)의 플랜지(33)의 내측을 가압하여, 도 3과 같이 연결너트(50)와 제1이음관(40)이 체결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감지센서(미도시)가 화재를 감지하면, 소방수가 신축배관(30)으로 공급되어 스프링클러(90)를 통해 분사된다.
이때, 스프링클러(90)는 수압에 의해 도 11과 같이 하방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면서 제2오링(100)을 가압한다. 그러면 제2오링(100)은 찌그러들면서 제2이음관(80)의 연장부(82)와 스프링클러(90)의 삽입부(91) 사이를 1차로 밀봉한다.
여기서, 제2오링(100)이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제2이음관(80)의 연장부(82)와 스프링클러(90)의 삽입부(91) 사이로 소방수가 새어나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에 의해 소방수가 제2이음관(80)의 연결부(81) 상면과 천장 텍스(T)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이음관(80)의 체결부(85)와 제1이음관(40)의 제2체결부(44)에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배관(30)을 당겨, 도 7 및 도 8과 같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축배관(30)에 크랙이 발생하여, 소방수 이동시 도 13과 같이 소방수가 누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신축배관(30)에서 누수된 소방수가 제1커버(70)에 의해 연결너트(50)의 제1가압부(52)와 신축배관(30)의 연장관(32)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연결너트(50)의 체결부(54)와 제1이음관(40)의 제1체결부(42) 사이로 소방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2이음관(80)의 내부를 따라 소방수가 흐르게 되면, 이에 의해 수차(131)가 회전하게 되고, 수차(131)가 회전함에 따라 축(131a)이 회전하게 되며, 축(131a)이 회전함에 따라 축(131a)의 양단에 고정된 팬(132)이 회전하게 되면서 바람을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바람은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의 상면 경사를 따라 이동되어 바람층을 만들게 되면서 스프링클러(9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천장 텍스(T)에 닿지 않도록 차단해 주게 된다.
한편, 제2이음관(80)과 스프링클러(90) 사이를 통해 소방수가 유출될 경우 유출된 소방수가 투수공(145)을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소방수가 도전라인(144)에 설치된 엘이디(146)와 연장라인(147)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 주는 매개체가 되면서 엘이디(146)와 연장라인(147) 간에 통전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엘이디(146)가 점등되면서 외부로 불빛을 방출하게 되며, 시설물관리자는 이와 같은 불빛을 통해 현재 누수가 진행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하여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누수가 예상되는 곳에 누수감지수단(140)을 마련해 줌으로서 누수발생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설물관리자가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90)가 설치된 제2이음관(80)과 제1이음관(40)을 체결하고, 제1이음관(40)에 신축배관(30)을 설치한 후, 연결너트(50)를 통해 신축배관(30) 및 제1이음관(40)을 고정하는 간단한 구조를 이뤄, 스프링클러(90)를 설치할 시,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이음관용오링(120)과 제2오링(100)의 설치 위치를 통해, 제1이음관(40)의 제2체결부(44)와 제2이음관(80)의 체결부(85)에 소방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이음관(40)의 제2체결부(44)와 제2이음관(80)의 체결부(85)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이음관(40) 및 제2이음관(80)의 분해 및 재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제1이음관(40) 및 제2이음관(80)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를 통해, 제2오링(100)의 손상으로 인해 새어나오는 소방수가 제1이음관(40) 및 제2이음관(80)의 결합부 상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제2오링(100)의 손상에도 제1이음관(40) 및 제2이음관(80)의 녹 발생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너트(50)를 통해 신축배관(30)을 제1이음관(40)에 고정할 시, 연결너트(50)와 제1이음관(40)의 체결과 함께 신축배관(30)의 플랜지(33)를 구부려, 신축배관(30)을 제1이음관(40)에 견고히 고정하면서, 신축배관(30)과 제1이음관(40)을 안정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오링(60)과 신축배관(30)의 플랜지(33)의 배치 위치를 통해, 신축배관(30)의 손상으로 새어나오는 소방수가 연결너트(50)와 제1이음관(40)의 하측 결합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연결너트(50)의 체결부(54)와 제1이음관(40)의 제1체결부(42)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너트(50) 및 제1이음관(40)의 분해 및 재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연결너트(50) 및 제1이음관(40)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1커버(70)를 통해, 제1오링(60)의 손상으로 인해 소방수가 연결너트(50) 및 제1이음관(40)의 결합부 하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제1오링(60)의 손상에도 연결너트(50) 및 제1이음관(40)의 녹 발생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고정기구(20)를 통해 다수의 신축배관(30)이 고정프레임(10)에 각각 미리(스프링클러 설치 전에) 설치되기 때문에, 스프링클러(90) 설치 작업시 신축배관(30)과 스프링클러(90)의 설치 위치가 최초 설계 위치와 다르더라도, 신축배관(30)의 재설치 없이 신축배관(30)의 하측을 구부려 신축배관(30)을 제1이음관(4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90)가 연결되어 소방방재 기능을 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로 정의한다.
10; 고정프레임 20; 고정기구 30; 신축배관
40; 제1이음관 50; 연결너트 60; 제1오링
70; 제1커버 80; 제2이음관 90; 스프링클러
100; 스프링클러용오링 110; 이음관보호용커버 120; 제2이음관용오링
130: 텍스보호기구 140: 누수감지수단

Claims (1)

  1. 천장 텍스(T)의 상방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10)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2고정부(21,22); 좌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며 양단이 제1고정부(21)와 제2고정부(22)에 각각 연결되는 끼움부(23)로 구성된 고정기구(20)와:
    상단부가 소방배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끼움부(23)에 의해 고정되는 신축가능한 주름관(31), 주름관부(3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관(32), 연장관(3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질의 플랜지(33)로 구성된 신축배관(30)과:
    천장 텍스(T)에 관통되게 끼워져 얹혀지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며, 상단부 내측으로 연장관(32)이 끼워져 상호 연통되는 제1이음관(40)과: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개구부(51), 상단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플랜지(3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2), 개구부(51)와 제1가압부(52) 사이에 형성된 제2가압부(53)을 갖추고서, 연장관(3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이음관(40)의 상단부 둘레면에 체결되되, 체결시 제2가압부(53)가 플랜지(33)의 상면 가장자리를 가압해 밴딩하고 제1가압부(52)가 플랜지(33)를 가압하여 제1이음관(4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연결너트(50)와:
    천장 텍스(T)와 연결너트(50) 사이에 개입되는 제1오링(60)과:
    연장관(32)의 외주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연결너트(50)의 상단부를 감싸는 상협하광형상의 제1커버(70)와:
    내부가 상하로 개구되며 천장 텍스(T)의 하부로 노출된 제1이음관(40)에 체결되는 연결부(81); 연결부(8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며, 상측이 연결부(81)보다 내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82); 연장부(82)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오링삽입부(83); 및 연장부(82)의 하측에 연장부(82)의 외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착부(84)로 구성된 제2이음관(80)과:
    제2이음관(80)의 연장부(83)가 삽입되며 제2이음관(80)의 안착부(84)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삽입부(91); 삽입부(9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제2이음관(8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장부(92); 및 연장부(92)의 하부에 구비되며, 연장부(92) 내부를 통과하는 소방수가 배출되는 스프링클러부(93)를 갖춘 스프링클러(90)와:
    제2이음관(80)의 안착부(84)와 스프링클러(90)의 삽입부(91) 사이에 끼워지며, 스프링클러(90)의 삽입부(91)에 의해 가압되는 제2오링(100)과:
    제2이음관(80)의 연결부(81)의 외방으로 돌출되게 제2이음관(80)의 연결부(81)의 외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끝단이 스프링클러(90)의 삽입부(91)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스프링클러(90)를 가리는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와:
    제2이음관(80)의 오링삽입부(83)에 삽입되며, 제1이음관(40)에 의해 가압되는 제3오링(120)과:
    연결부(81)를 관통하여 양단부가 연결부(81)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면서 연결부(8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이격배치되는 축(131a)을 매개로 연결부(81)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부(81)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소방수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131); 축(131a)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축(131a)과 함께 회전되어 바람이 이음관 보호용 커버(110)의 상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팬(132)으로 구성된 텍스보호기구(130)와:
    하부재(141a) 상에 상부재(141b)를 적층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한 투명한 재질의 플렉서블판(141); 제2이음관(80)의 둘레로 끼워질 수 있게 플렉서블판(141)을 상하로 관통시켜 형성한 관삽입부(142); 관삽입부(142)를 개방할 수 있게 플렉서블판(141)의 일측을 절개한 절개부(143); 하부재(141a)와 상부재(141b) 사이에 개입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 쌍의 도전라인(144); 한 쌍의 도전라인(144)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부재(141a)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수공(145); 한 쌍의 도전라인(144) 중 어느 하나와 일단이 연결되는 엘이디(146); 나머지 도전라인(144)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엘이디(146)의 타단과 이격되는 연장라인(147)으로 구성되어, 투수공(145)을 통해 유입된 침투수에 의해 엘이디(146)와 연장라인(147)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로 불빛을 방출하여 누수를 알리는 누수감지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0170163943A 2017-12-01 2017-12-01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5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43A KR101857230B1 (ko) 2017-12-01 2017-12-01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43A KR101857230B1 (ko) 2017-12-01 2017-12-01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30B1 true KR101857230B1 (ko) 2018-05-11

Family

ID=6218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943A KR101857230B1 (ko) 2017-12-01 2017-12-01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859B1 (ko) * 2019-06-04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비상대피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KR102031857B1 (ko) * 2019-06-04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5123B2 (ja) * 1994-12-30 2003-11-10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巻出し配管の固定構造
KR101006708B1 (ko) * 2010-03-25 2011-01-10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누액감지 경보장치, 및 그 경보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03329A (ko) * 2010-07-02 2012-01-10 (주)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1705240B1 (ko) * 2016-02-19 2017-02-09 임영순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1725009B1 (ko) * 2016-06-24 2017-04-10 (주)여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KR101804217B1 (ko) * 2017-09-13 2017-12-06 이수기술단(주)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5123B2 (ja) * 1994-12-30 2003-11-10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巻出し配管の固定構造
KR101006708B1 (ko) * 2010-03-25 2011-01-10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누액감지 경보장치, 및 그 경보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03329A (ko) * 2010-07-02 2012-01-10 (주)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1705240B1 (ko) * 2016-02-19 2017-02-09 임영순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1725009B1 (ko) * 2016-06-24 2017-04-10 (주)여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KR101804217B1 (ko) * 2017-09-13 2017-12-06 이수기술단(주)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859B1 (ko) * 2019-06-04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비상대피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KR102031857B1 (ko) * 2019-06-04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230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101944804B1 (ko)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EP1077746A1 (en) Fire-suppression sprinkle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and retrofit
KR101732161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US6546951B1 (en) Appliance safety hose
KR20170000017A (ko) 지하식 옥외소화전용 동파방지 배수밸브 장착구조
KR101839393B1 (ko)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2120724B1 (ko)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200447360Y1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의 배관 연결구
KR101859665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2215643B1 (ko) 내진성을 갖는 소방용 배관 이음장치
KR101173882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US20170082517A1 (en) Leak detection system
KR102280287B1 (ko) 회전식 옥외소화전
KR101839395B1 (ko) 화재발생의 신속 확인 및 진압 가능한 소방용 방재장치
KR101580154B1 (ko) 탄성 클램프가 구비된 배관 보수용 커플링
KR102080673B1 (ko) 소화 설비용 부력식 유수검지장치
KR101084578B1 (ko) 비화재보 방지 커버 및 화재 감지기
KR200414294Y1 (ko) 테스트용 오리피스 및 투명점검구가 구비된 알람밸브드레인 연결관
KR20120012357A (ko)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EP2224051B1 (en) Anti-flooding safety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3209047U (ja) ドレンコレクト
KR20200124393A (ko)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KR20110094614A (ko) 소화전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