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724B1 -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724B1
KR102120724B1 KR1020180160894A KR20180160894A KR102120724B1 KR 102120724 B1 KR102120724 B1 KR 102120724B1 KR 1020180160894 A KR1020180160894 A KR 1020180160894A KR 20180160894 A KR20180160894 A KR 20180160894A KR 102120724 B1 KR102120724 B1 KR 10212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ing line
detachable
attache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조
윤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to PCT/KR2019/0163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1170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Abstract

본 발명은 관이음부에서 누수,누유 및 가스누설이 발생할 경우 관망 이음부 모니터링장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에 있어서,
감지선시트의 일단에 감지선과 연결된 상부센서;
상기 감지선시트의 타단에 상기 감지선과 연결된 하부센서;로 감지선시트 부착 센서를 구성하되,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하부센서가 부착된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복수개 중의 하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1하부센서와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감지선으로 연결된 제1상부센서는 상기 복수개 중의 또 다른 하나의 제2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2하부센서와 원터치결합으로 제2의 착탈센서를 구성하되 ,
관이음부의 관이음 숫자에 상당하는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부센서와 또 다른 감지선부착센서의 하부센서를 압력에 의하여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A sensor attaching seet and a method of detachment sensor to a pipe joint}
본 발명은 매설관의 파손 및 누수감지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배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약간의 누수라도 신속하게 측정하는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도 9a로서 누수감지센서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누수감지센서(20)는 직육면체의 함체로서 상하 분리가능하고 하부함체(21)에는 2줄의 동선이 출입하는 통로(22)가 양변에 설치되고, 상부함체(23)의 상면에는 물이 출입하는 다수개의 구멍(24)이 일정간격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통로(22)로 연장되어 나온 동선의 일단은 암커넥터(25)이고, 타단은 수커넥터(26)이다.
도 9b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함체의 내부에는 가장 밑층에 하부전도유도물질(31)과 그 위층에 상부전도유도물질(32)이 장착되고, 하부전도유도물질 내부에는 나동선(33)이 위치한다. 상기 상부전도유도물질(32)의 상부에는 불투과성 천(34)이 올려진다.
하부 전도유도물질(31)은 셀로로이드 폼(FOAME) 또는 천연펄프를 사용한 셀룰로오즈가 사용되며, 상부 전도유도물질은 멜라닌 폼(FOAME)이 사용된다.
또한, 하부전도유도물질(31)은 전해질처리를 하지 않은 것이며, 상부전도유도물질(32)은 전해질 처리를 한 것이다.
이는 센서내부의 통전분위기 강화(전해력 증대)를 위해 내부 전도유도물질에 미리 전해질 처리를 하게 되나, 하부 전도유도물질의 경우 나동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나동선의 전해질 접촉에 기인한 나동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전도유도물질에는 전해질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다.
이 때 전해질로는 NaCl 또는 NaOH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불투과성 천(34)은 재질은 마이크로포어(micropore)류 또는 프로포어패브릭(ProporeFabric) 소재이며, 불투과성천(34)은 대기압하에서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으나, 대기압 이상이 되면 함체 내부로 물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복잡한 구성일 뿐만 아니라 4단자가 있어 신호감쇄가 일어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이음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음부에 외부로 단차지어 나타나므로 더욱 튀어나오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토압에 견디기 위하여 별도로 외부함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의 양이 늘어나고 신뢰도에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많은 것이다.
단락이 되는 형태이나 누수가 되어 압력이 있게 되면 누수감지센서가 단선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감지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감지센서에 부착된 시트가 먼저 분리된 후 센서 외함에 형성된 홀로 물이 유입된 후 센서 내부에 있는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이 작동되어 센서가 단락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누수감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상하센서를 공장에서 조립하여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감지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센서 외부에 부착된 부틸시트가 먼저 분리되고 외함에 형성된 홀로 물이 유입되어 수팽창고무가 팽창되어야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누수감지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고 액체 성분의 누수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어왔다.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 10-1074337(2011.10.17) 대한민국특허청특허공개번호 10-2006-0004741(2006.01.16)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 10-1807739(2017.12.12)
첫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는 착탈센서의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직접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이벤트가 발생하여 센서보호장치가 부풀어 오르면 즉시 센서가 작동될 필요가 있다.
두번째 과제로는 상, 하부센서가 감지시트와 일체화되어 생산되어 별도 공장에서 조립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세번째 과제로는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반드시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야 작동되는 센서가 아니기 때문에 가스 등 기체를 수송하는 배관망에도 적용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네번째 과제로는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센서를 감지시트 양단에 직접 결합시켜 제작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실수에 따른 품질문제에 대한 과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이다.
다섯번째 과제로는 기존 센서는 현장에서 센서와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잭 4개를 사용하여야 하나, 본원발명의 착탈 센서는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센서를 직접 연결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인건비를 줄여야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여섯번째 과제로는 기존 압착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쇼트를 유발하기 위해 감지선 일부를 탈피하기 때문에 센서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않을 경우 장기간 사용에 의해 부식으로 감지선이 단락 우려가 있고, 감지선 노출에 따른 신호감쇄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본원발명의 착탈센서 함체는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감지선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식에 의한 단락과 신호감쇄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일곱번째 과제로는 단차보완재와 수밀용 시트 및 방식테이프에 대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수단을 둔다.
관이음부에서 누수,누유 및 가스누설이 발생할 경우 관망 이음부 모니터링장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에 있어서,
감지선시트의 일단에 감지선과 연결된 상부센서;
상기 감지선시트의 타단에 상기 감지선과 연결된 하부센서;로 감지선시트 부착 센서를 구성하되,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하부센서가 부착된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복수개 중의 하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1하부센서와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감지선으로 연결된 제1상부센서는 상기 복수개 중의 또 다른 하나의 제2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2하부센서와 원터치결합으로 제2의 착탈센서를 구성하되 ,
관이음부의 관이음 숫자에 상당하는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부센서와 또 다른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하부센서를 압력에 의하여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선의 길이는 단위 관의 길이에 상당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상부센서는 돌출되는 구조인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 구성하고 상기 하부센서는 접속단자수용부로 형성되어 원터치로 결합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센서에는 고무삽입부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가 상기 제1하부센서의 하부센서접속단자에 삽입될 때에 상기 착탈센서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선시트는 부틸에 감지선을 부착하고,
상기 감지선의 상부에 부틸부착고무판을 부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틸부착고무판을 부착하고 난후에 상기 부틸부착고무판의 상부에 부틸이형지를 부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기 제1하부센서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하부센서의 상부에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한 상기 착탈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센서의 상부에 센서보호장치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내구성이 양호한 보호커버를 부착하는 단계를 갖도록 하여 착탈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장치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 이후에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이후에 센서보호커버를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구성하는 단계를 더 두되, 상기 착탈센서의 상부의 부분을 감싸는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커버는 상기 착탈센서를 보호하고 상기 착탈센서가 이탈압력을 받을 때에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관의 곡면반지름보다 더 작은 곡면반지름을 갖도록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장치는 상기 착탈센서가 안착보호되도록 공간부를 두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직접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이벤트가 발생하여 센서보호장치가 부풀어 오르면 즉시 센서가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두번째 효과로는 상, 하부센서가 감지시트와 일체화되어 생산되기 때문에 별도 공장에서 조립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된다.
세번째 효과로는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야 작동되는 센서가 아니기 때문에 가스 등 기체를 수송하는 배관망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센서로 확장성이 뛰어나다.
네번째 효과로는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센서를 감지시트 양단에 직접 결합시켜 제작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실수에 따른 품질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번째 효과로는 기존 센서는 현장에서 센서와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잭 4개를 사용하여야 하나, 본원발명의 착탈 센서는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센서를 직접 연결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여섯번째 효과로는 기존 압착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쇼트를 유발하기 위해 감지선 일부를 탈피하기 때문에 센서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않을 경우 장기간 사용에 의해 부식으로 감지선이 단락 우려가 있고, 감지선 노출에 따른 신호감쇄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본원발명의 착탈센서 함체는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감지선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식에 의한 단락과 신호감쇄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일곱번째 효과로는 단차보완재와 수밀시트를 통합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재료비와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감시선시트부착센서를 보이는 도이다.
제2a도는 제1도의 상부센서를 보이는 도이다.
제2b도는 제2a도의 상부센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제1도의 하부센서를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제3a도의 하부센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상부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제4a도의 상부센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5a도는 하부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5b도는 제5a도의 하부센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6a도는 감지선 시트의 제조과정을 보이는 도이다.
제6b도는 감지선 시트의 부틸이형지를 제거한 후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7a도는 센서보호장치를 보이는 도이다.
제7b도는 착탈센서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고 상부에 센서보호장치를 커버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c도는 착탈식센서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고 난후에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7d도는 단차가 없는 관의 이음부에 착탈식센서를 부착한 것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제7e도는 제6c도에 센서보호장치를 부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f도는 신축성있는 테이프인 제1테이프를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에 테이핑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8a도는 센서보호커버를 보이는 도이다.
제8b도는 제7f도의 착탈센서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센서보호커버를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8c도는 제8b 도에 제2테이프를 테이핑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9a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제9b도는 A-A'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음부 이벤트(누수, 누유, 가스누설, 등) 확인을 위한 센서로써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어 제작되는 센서로 이음부에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부와 하부가 이탈되어 단선되도록 구성되는 센서에 관한 것이다.
하부센서는 홈이 형성되고, 상부센서는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 센서로써 상부와 하부가 바뀌어 형성되더라도 무관하다. 그러나 홈이 돌출부가 없어도 센서로 작동하는데는 무리가 없는 것이다.
하부센서는 파이프 외면에 밀착되게 부착되며, 상부센서는 하부센서에 결합시킨 다음 부틸이 부착된 센서보호장치와 결합되어 이벤트 발생시 상부센서가 쉽게 분리되도록 구성된 센서인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센서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구조를 형성한다.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 양 단에 한 쪽에는 하부센서가 부착되고, 다른 쪽에는 상부센서가 부착되어 길이는 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기존 이탈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감지센서에 부착된 시트가 먼저 분리된 후 센서 외함에 형성된 홀로 물이 유입된 후 센서 내부에 있는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이 작동되어 센서가 단락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누수감지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상하센서를 별도로 조립하여 공급하므로 작업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센서는 센서 함체를 생산하고 센서를 구성하는 동판, 수팽창고무, 물 유입방지시트 등을 별도로 생산 후 이들 부품을 조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데 비해,
본원발명의 센서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센서를 감지시트 양단에 직접 결합시켜 제작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실수에 따른 품질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기존 센서는 현장에서 센서와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잭 4개를 사용하여야 하나, 본 센서는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센서를 직접 연결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
종래의 압착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센서 외부에 부착된 부틸시트가 먼저 분리되고 외함에 형성된 홀로 물이 유입되어 수팽창고무가 팽창되어야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누수감지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고 액체 성분의 누수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본원 발명의 센서는 센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야 작동되는 센서가 아니기 때문에 가스 등 기체를 수송하는 배관망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센서로 확장성이 뛰어나다.
종래기술의 센서에 비해 본원발명의 센서는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직접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이벤트가 발생하여 센서보호장치가 부풀어 오르면 센서가 상하로 분리되어 즉시 작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1분 이내에 감지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압착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쇼트를 유발하기 위해 감지선 일부를 탈피하기 때문에 센서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않을 경우 장기간 사용할 경우 부식에 의해 감지선이 단락우려가 있고, 감지선 노출에 따른 신호감쇄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본 센서 함체는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감지선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부식에 의한 단락과 신호감쇄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 한 쪽에 상부센서, 다른 쪽에 하부센서가 부착된 감지시트, 센서 삽입 공간이 구비되고 파이프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센서가 작동될 때까지 밀폐되도록 구성된 센서보호장치, 센서보호장치와 센서를 파이프와 밀착시키고 외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막도록 센서보호커버와 이를 감싸는 테이프로 구성한다.
하부센서는 파이프 외면에 부틸고무로 완벽하게 부착하고, 상부센서는 하부센서와 결합하여 설치되며, 센서보호장치 하부와 부틸고무로 완벽하게 부착하여 누수발생 시 상부센서와 부착된 시트가 부풀어 올라갈 때 상부센서가 이탈되어 단선이 되도록 구성된 착탈센서, 센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못하도록 하여 쇼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하부센서 결합부에 고무가 삽입된 착탈센서를 구성한다.
센서보호장치 일정부위에 공간이 형성되어 착탈센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양 단을 V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누수 발생시 수압에 의해 센서보호장치가 부풀어 올라가 상부센서가 이탈될 때까지 수밀되도록 구성한다.
착탈센서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누수발생 시 누수를 감지할 때까지 수밀을 유지하도록 센서보호장치 양단을 부틸이 부착된 시트로 부착한 후 신축성이 좋은 테이프로 센서보호장치 양단을 견고하게 밀착시키며 가운데 부분은 외압에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좋은 테이프로 감싸도록 구성한다.
착탈센서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누수 발생시 센서가 신속하게 작동되도록 센서보호장치에 내장된 센서 상단에 길이 약 15cm, 폭 15cm의 센서보호커버를 센서와 약 3cm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도록 구성된 센서보호커버를 구성한다.
특히, 센서보호장치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더 보호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2차 테이프를 감기 전에 유리섬유 또는 내충격성이 좋은 재질을 시트를 감은 다음 추가로 부착한 후 보호용 테이프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착탈센서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파이프 외면에 부착하는 감지선이 부착된 시트는 되메우기작업 또는 장기간 사용 중에도 외부환경으로부터 감지선이 파손되지 않도록 3cm 이하의 부틸이 부착된 유리섬유시트에 테프론 등 내후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수지로 코팅된 감지선을 10mm이하 간격으로 삽입하여 감지선시트부착센서를 구성한다.
주철관 등 외면이 거친 관에 부착하는 감지선시트부착센서는 마찰에 의해 감지선 파손을 막기 위해 3cm 이하의 부틸이 부착된 고무를 먼저 부착한 후 부틸이 부착된 이형지를 부착하여 감지시트를 구성한다.
이음부 단차가 없는 맞대기 융착방식의 PE관(용접용 관 포함)을 연결할 경우 사용하는 센서보호장치는 융착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소켓방식의 연결부에 사용는 센서보호장치는 한 쪽은 높고, 다른 쪽은 낮게 센서보호장치를 구성한다.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 내지 도5b 및 도7b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관이음부에서 누수,누유 및 가스누설이 발생할 경우 관망 이음부 모니터링장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에 있어서,
감지선시트(300)의 일단에 감지선과 연결된 상부센서(100)와
상기 감지선시트(300)의 타단에 상기 감지선과 연결된 하부센서(200);로 감지선시트 부착 센서(1000)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센서(100)와 상기 하부센서(200)가 부착된 복수개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센서(100)와 상기 복수개 감지선시트부착센서 중 하나의 제1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제1하부센서와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10)를 구성한다.
제1하부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하부센서를 의미하는 것이다.도시하지 않았으나 도1과 동일한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를 각각 제1상부센서와 제1하부센서를 전술한 상부센서와 하부센서를 구분하기 위하여 기재하는 것이다.
상기 제1하부센서와 감지선(310)으로 연결된 제1상부센서는 상기 복수개 중의 또 다른 하나의 제2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제2하부센서와 원터치결합으로 제2의 착탈센서(10)를 구성한다.
종래기술로는 현장에서 결합함으로 접속단자의 수가 많아져 감지선의 신호가 왜곡되거나 약해지는 단점을 크게 보완하는 것이다.
관이음부의 관이음 숫자에 상당하는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상부센서(100)와 또 다른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하부센서(200)를 압력에 의하여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10)를 구성하는 것으로 감지선시트 부착센서(1000)를 구성하는 것이다.
시트에 감지선을 고정하는 것으로 하여 관을 따라 펼쳐놓으면서 관이음부의 갯수만큼 상부센서와 하부센서를 간단한 압력으로 삽입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감지선의 길이(a)는 단위 관(20)의 길이에 상당하게 구성한다.
단위관(20)의 길이는 관이음부에서 다음 관이음부까지의 길이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센서(100)는 돌출되는 구조인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 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센서(200)는 접속단자수용부(216)로 형성되어 원터치로 결합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다.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는 접속단자수용부 (216)의 내부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부센서(100)는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가 하부로 돌출구성됨을 볼 수 있다.
상부센서 케이스의 모서리에는 접속돌기(120)를 구성하고 제1하부센서의 케이스의 모서리에는 대응되는 접속홈(220)에 삽입되어 착탈센서(1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센서(200)에는 고무삽입부(215)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가 상기 하부센서(200)의 하부센서의 접속단자수용부(216)에 삽입될 때에 상기 착탈센서(1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a 및 도6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감지선시트(300)는 시트(320)에 부틸을 도포하고 여기에 감지선(310)을 부착한다.
감지선(310)은 가정용전선과 같이 하나의 원형선 내부에 두개의 감지선이 배치구성될 수도 있다.
감지선이 2개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상기 감지선(310)의 상부에 부틸을 부착한 부틸부착고무판(330)을 부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여 감지선을 보호하는 것이다.
관의 표면부에 부착하고 상당한 무게에 해당하는 흙과 돌로 매설되는 것을 고려하여 공사중에 감지선이 단선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부틸이 부착된 부틸부착고무판(330)이 적절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틸부착고무판(330)을 부착하고 난후에 상기 부틸부착고무판(330)의 상부에 부틸이형지(340)를 부착하여 보관 및 이동하고 감지선시트를 매설관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부틸이 부착된 이형지(340)을 제거하고 관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도7a 내지 도8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피면 하기와 같다.
상기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상기 제1하부센서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단계를 갖는다.
먼저는 하부센서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고 난후에 상부센서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제1하부센서의 상부에 상기 상부센서(100)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한 상기 착탈센서(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센서(10)의 상부에 센서보호장치(400)로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착탈센서(10)의 단어 의미는 상부센서와 하부센서를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상부에 내구성이 양호한 센서보호커버(600)를 부착하는 단계를 갖도록 하여 착탈센서(10)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가진다.
센서보호커버(600)는 매설관이어서 매설관에 매설된 단단한 돌과 이와 유사한 것들에 의하여 매설될 경우 착탈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서보호장치(400)로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 이후에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보호장치는 양측면에 V자형으로 구성되어 관의 주변 즉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착탈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밀폐를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단차의 유무에 관계없이 센서보호장치(400)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센서보호장치(400)는 양측면에 각각 수밀부(410)와 단차수밀부(420)를 구성한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공간부(430)를 갖는 공간지지부(435)로 구성한다.
착탈센서는 부피가 있는 것으로 센서보호장치(400)에서 공간지지부(435)를 오려내어 착탈센서(10)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요철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7b 및 도7c는 공간지지부(435)를 제거하고 해당되는 부위에 착탈센서(10)를 삽입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좌우방향은 관의 둘레방향에 해당되고 감지선의 방향은 관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이후에 센서보호커버(600)를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상부에 구성하는 단계를 더 두되, 상기 착탈센서(10)의 상부의 부분을 감싸는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이음관(30)이 있는 부분을 센서보호장치(400)에서 단차수밀부(420)가 커버하고 있는 것이다.
단차부가 있어도 단차수밀부(420)에 의하여 간단하게 수밀하도록 구성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센서보호장치(400)는 가요성이 있는 재질로 본원발명에서는 고무재질이면 무난한 것이다.
도7d는 단차가 없는 관끼리의 이음부를 갖는 것으로 센서보호장치(400)의 적용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7e는 착탈센서(10)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고 착탈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센서보호장치(400)로 감싼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7f는 도7e에서 제1테이프(510)인 신축성있는 보호테이프를 커버하되 센서보호장치(400)의 측면부를 부착하므로 센서보호장치(400)의 수밀부(410)와 단차수밀부(420)가 더욱 수밀이 잘되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음부에서 누설되는 경우에는 착탈식센서(10)의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이음부외에서의 물과 같은 액체를 착탈식센서(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된 물에 의하여 착탈식센서(10)가 오작동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관이음부 내부에서 액체가 착탈식센서(10)의 외부로 누설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누설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내부에서 액체나 기체가 새어나올 경우 빠른 응답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센서보호커버(600)는 상기 착탈센서(10)를 보호하고 상기 착탈센서(10)가 이탈압력을 받을 때에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관의 곡면반지름보다 더 작은 곡면반지름을 갖도록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설관의 외부는 적어도 1m이상 매설되므로 토압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관이음부에서 액체나 기체가 누설되어 착탈센서(10)를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100,200)로 이탈되도록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없다면 관이음부에서 어느정도 누설되어도 외부의 매설된 힘을 이기지 못하여 상부센서(100)와 하부센서(200)가 이탈되지 않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즉 누설을 감지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착탈센서(10)에 토압을 받지 않도록 센서보호커버(600)를 두되 토압에 의하여도 외형이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하여 착탈센서(10)와 센서보호커버 (600)사이에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하여 낮은 압력으로 누설이 되어도 신속하게 상부센서(100)가 하부센서(200)로부터 서로 분리되어 초기에 관을 지나는 액체 및 기체의 누설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센서보호장치(400) 는 상기 착탈센서(10)가 안착보호되도록 공간부(430)를 두는 구성을 갖는다.
본원발명의 착탈센서(10)는 상부와 하부가 바뀌어 형성되더라도 무관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착탈센서 20:강관 30:단차이음관 40:무단차이음관
100:상부센서 110: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 120:접속돌기
200:하부센서 210:하부센서접속단자 215:고무삽입부
216:접속단자수용부 220:접속홈
300:감지선시트 310:감지선 320:시트 330:부틸부착고무판
340:부틸이형지 400:센서보호장치 410:수밀부
420:단차수밀부 430:공간부 435:공간지지부
510:제1 테이프 520:제2테이프 600:센서보호커버
1000:감지선시트부착센서

Claims (11)

  1. 관이음부에서 누수,누유 및 가스누설이 발생할 경우 관망 이음부 모니터링장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에 있어서,
    감지선시트의 일단에 감지선과 연결된 상부센서;
    상기 감지선시트의 타단에 상기 감지선과 연결된 하부센서;로 감지선시트 부착 센서를 구성하되,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하부센서가 부착된 복수개 감지선시트부착센서;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복수개 감지선시트부착센서 중 하나의 제1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1하부센서와 원터치 결합으로 제1의 착탈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감지선으로 연결된 제1상부센서는 상기 복수개 감지선시트부착센서 중의 또 다른 하나의 제2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2하부센서와 원터치결합으로 제2의 착탈센서를 구성하되 ,
    관이음부의 관이음 숫자에 상당하는 복수개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부센서와 또 다른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하부센서를 압력에 의하여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의 길이는 상기 관이음부에서 다음 관이음부까지 길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센서는 돌출되는 구조인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센서는 접속단자수용부로 형성되어 원터치로 결합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센서에는 수분이 흡수되지 못하도록 하는 고무삽입부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가 상기 제1하부센서의 하부센서접속단자에 삽입될 때에 상기 착탈센서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부착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시트는 시트에 부틸을 도포하고 여기에 감지선을 부착하고,
    상기 감지선의 상부에 부틸부착고무판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부착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부착고무판을 부착하고 난후에 상기 부틸부착고무판의 상부에 부틸이형지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부착센서.
  7.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항의 상기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기 제1하부센서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하부센서의 상부에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한 상기 착탈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센서의 상부에 센서보호장치로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내구성이 양호한 보호커버를 부착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장치로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 이후에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로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를 더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이후에 센서보호커버를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구성하는 단계를 더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커버는 상기 착탈센서를 보호하고 상기 착탈센서가 이탈압력을 받을 때에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관의 곡면반지름보다 더 작은 곡면반지름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장치는 상기 착탈센서가 안착보호되도록 공간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20180160894A 2018-11-30 2018-12-13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212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6301 WO2020111703A1 (ko) 2018-11-30 2019-11-26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2569 2018-11-30
KR1020180152569 2018-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724B1 true KR102120724B1 (ko) 2020-06-09

Family

ID=7108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894A KR102120724B1 (ko) 2018-11-30 2018-12-13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7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563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20095553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102568177B1 (ko) * 2023-06-19 2023-08-18 주식회사 사이몬 센서 일체형 누수탐지 전기융착식 소켓 및 이를 이용한 누수탐지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855A (ko) * 2002-03-14 2003-09-22 (주)와콘 누수탐지용 액체관 및 설치방법
KR20060004741A (ko) 2004-07-08 2006-01-16 주식회사 위스코 파손 및 누수감지관용 누수감지센서 및 센싱방법
KR20100138523A (ko) * 2009-06-25 2010-12-31 유홍근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101074337B1 (ko) 2011-03-07 2011-10-17 김영식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20130021039A (ko) * 2011-08-22 2013-03-05 (주)유민에쓰티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20160150442A (ko) * 2015-06-22 2016-12-30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배관 부착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70128959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KR101807739B1 (ko) 2017-09-08 2017-12-12 주식회사 대은계전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배관누수 및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855A (ko) * 2002-03-14 2003-09-22 (주)와콘 누수탐지용 액체관 및 설치방법
KR20060004741A (ko) 2004-07-08 2006-01-16 주식회사 위스코 파손 및 누수감지관용 누수감지센서 및 센싱방법
KR20100138523A (ko) * 2009-06-25 2010-12-31 유홍근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101074337B1 (ko) 2011-03-07 2011-10-17 김영식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20130021039A (ko) * 2011-08-22 2013-03-05 (주)유민에쓰티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20160150442A (ko) * 2015-06-22 2016-12-30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배관 부착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70128959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KR101807739B1 (ko) 2017-09-08 2017-12-12 주식회사 대은계전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배관누수 및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563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20095553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102548651B1 (ko) 2020-12-30 2023-06-29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누수감지센서부착보호커버
KR102602888B1 (ko) * 2020-12-30 2023-11-1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102568177B1 (ko) * 2023-06-19 2023-08-18 주식회사 사이몬 센서 일체형 누수탐지 전기융착식 소켓 및 이를 이용한 누수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724B1 (ko)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CA2902176C (en) Flexible contact arrangement for hose assembly
KR102052343B1 (ko)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US20150240972A1 (en) Wave contact arrangement for hose assembly
KR101869974B1 (ko)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101007070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1107202B1 (ko)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KR100889357B1 (ko) 지중 배전용 배관파이프 방수구조
KR20110053704A (ko)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KR100663859B1 (ko)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KR10081832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20200065792A (ko)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착탈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101058141B1 (ko)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KR102065454B1 (ko)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101759737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328191B1 (ko) 관 연결구
CN110499815B (zh) 复合管道结构
KR100869692B1 (ko) 지중 케이블배관의 침수점검장치
JP5384022B2 (ja) 管継手保護カバー、及び管継手保護構造
JP5528735B2 (ja) 配管の水漏れ検知方法及び水漏れ検知配管構造
KR102052349B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CN201119176Y (zh) 电子式传感装置的插接结构
CN215645986U (zh) 一种能快速拆装的电线接管
KR101971473B1 (ko) 관이음부 결함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결함감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