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039A -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039A
KR20130021039A KR1020110083320A KR20110083320A KR20130021039A KR 20130021039 A KR20130021039 A KR 20130021039A KR 1020110083320 A KR1020110083320 A KR 1020110083320A KR 20110083320 A KR20110083320 A KR 20110083320A KR 20130021039 A KR20130021039 A KR 2013002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lamp
insertion hole
leak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8996B1 (ko
Inventor
유홍근
Original Assignee
(주)유민에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민에쓰티 filed Critical (주)유민에쓰티
Priority to KR1020110083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9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7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in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r detection of lea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관의 외측에 클램프 형태로 감아서 고정시킴으로써 미세하게 누설되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한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도전라인이 나란히 형성된 누수센서; 상기 누수센서의 일측을 몸체의 내측에 고정시켜 도전라인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누수센서의 타측이 몸체에 형성된 센서 삽입공의 내측으로 수용되면 고정부에 의해 고정시키는 클램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필름형 누수센서에 일체화된 클램프에 의해 유체관에 누수센서를 감아서 손쉽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체관에 발생된 미세 누수까지 감지할 수 있어 유체관의 누수상태를 초기에 확인하여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Clamp type leakage sensor}
본 발명은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되어 미세하게 누설되는 유체를 감지하기 위한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미 여러건의 등록 특허(10-0909242, 10-0827385 등)에서 테이프 형태로 되어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누수 발생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프 형태의 누수감지센서를 제안한 바 있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누수감지센서(10)는 하부접착층(12), 베이스층(11), 상부보호층(13)이 저면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하부접착층(12)은 누수가 발생되는 곳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베이스층(11)은 도전라인(11-1,11-2)이 상부에 형성되기 위한 층으로서, 도전라인(11-1,11-2)의 패턴을 인쇄 방식에 형성하기 위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라인(11-1,11-2)은 베이스층(11)의 상부표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로 인쇄된다.
상부보호층(13)은 베이스층(11)의 상부에 적층되어 도전라인(11-1,11-2)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베이스층(11)과 같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도전라인(11-1,11-2)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마다 센싱홀(13-1)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가 발생된 위치의 센싱홀(13-1)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어 두 도전라인(11-1,11-2)이 수분에 의해 도전되며, 원격의 제어기가 그 도전상태 즉 폐회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파악하여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필름형 누수감지센서(10)는 누수가 발생하기 위한 유체관 등의 하측에서 바닥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낙하되는 누수를 감지하게 되지만, 유체관에서 미세하게 누설되는 유체는 낙하되지 않거나 또는 낙하되더라도 쉽게 감지가 되지 않는다.
이로인해, 유체관의 균열상태를 초기에 확인하여 조치하지 못함으로 인해 더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체관의 외측에 클램프 형태로 감아서 고정시킴으로써 미세하게 누설되는 유체를 감지하도록 한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도전라인이 나란히 형성된 누수센서;
상기 누수센서의 일측을 몸체의 내측에 고정시켜 도전라인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누수센서의 타측이 몸체에 형성된 센서 삽입공의 내측으로 수용되면 고정부에 의해 고정시키는 클램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필름형 누수센서에 일체화된 클램프에 의해 유체관에 누수센서를 감아서 손쉽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체관에 발생된 미세 누수까지 감지할 수 있어 유체관의 누수상태를 초기에 확인하여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측단면도.
도3은 클램프 몸체의 정단면도.
도4는 누수센서의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누수센서의 결합도.
도6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7은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8 및 도9는 종래의 누수감지센서의 구조를 보인 도.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클램프(100)에 필름형태의 누수센서(200)가 고정된 형태를 보인 것으로, 클램프(100)의 몸체(110)에 하측에는 누수센서(200)의 일측이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된 형태로서, 몸체(110)의 몰딩 성형시에 내측에 고정되어 외측으로부터 인입된 전원 케이블(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몸체(110)의 중간 부위에는 측방향을 관통하여 센서 삽입공(120)이 형성됨으로써 누수센서(200)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하여 누수센서(200)가 링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센서 삽입공(120)까지 관통된 고정부 삽입공(130)이 형성되며, 이 센서 삽입공(120)에 고정부(150)가 삽입되어 누수센서(200)의 타측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부(150)는 상기 센서 삽입공(120)에 꽉 끼도록 압입되는 마개 형태를 가지며, 하단 양측에는 고정핀(151)이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도2에서와 같이 고정핀(151)이 누수센서(200)의 타측을 관통하여 누수센서(2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압입된 고정부(150)의 이탈을 쉽게 하기 위하여 도3에서와 같이 고정부 삽입공(130)과 고정부(150)는 상측이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아울러 고정부 삽입공(130)에 양측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탈홈(131,1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탈홈(131,132)에 핀을 삽입하여 몸체(110)의 외측방향으로 젖힘으로써 고정부(150)를 쉽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도4는 누수센서(2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필름 재질로 된 베이스층(210)과, 상기 베이스층(210)의 상측에 적층되는 상부보호층(22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층(210)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도전라인(211,212)이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로 인쇄된다.
상부보호층(220)은 베이스층(210)의 상부에 적층되어 도전라인(211,212)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베이스층(210)과 같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도전라인(211,212)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마다 센싱홀(221,222)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가 발생된 위치의 센싱홀(221,222)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어 두 도전라인(211,212)이 수분에 의해 도전되며, 원격의 제어기가 그 도전상태 즉 폐회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파악하여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원 케이블(140)의 전원선은 각각 도전라인(211,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6은 이러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로서, 난방제어 시스템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온수관의 외측에 감아서 미세하게 누설되는 누수를 감지하여 제어기가 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온수관에 본 발명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온수관에서 본 발명을 설치할 위치에 (a)와 같이 부직포로 된 물 흡착포(300)를 감은 다음, 그 물 흡착포(300)의 외측으로 (b)와 같이 누수센서(200)를 감게 되는데, 이때 상부보호층(220)이 형성된 부위가 물 흡착포(300)와 접촉되도록 안쪽으로 감아 센서 삽입공(120)에 삽입하여 꽉 조이도록 당긴다.
이후 (c)와 같이 고정부(150)를 고정부 삽입공(130)에 삽입하여 누수센서(200)가 물 흡착포(300)의 외측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므로, (d)와 같이 온수관으로부터 누수가 발생하여 하측으로 흐르게 되면, 먼저 물 흡착포(300)가 누수를 머금어 확산시키게 되고, 확산된 누수는 센싱홀(221,222)을 통해 유입되어 도전라인(211,212)이 서로 도통이 됨으로써 원격의 제어기는 누수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클램프 110 : 몸체
120 : 센서 삽입공 1 130 : 고정부 삽입공
131,132 : 이탈홈 140 : 전원케이블
150 : 고정부 151 : 고정핀
200 : 누수센서 210 : 베이스층
211,212 : 도전라인 220 : 상부보호층
221,222 : 센싱홀 300 : 물 흡착포

Claims (4)

  1.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도전라인이 나란히 형성된 누수센서;
    상기 누수센서의 일측을 몸체의 내측에 고정시켜 도전라인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누수센서의 타측이 몸체에 형성된 센서 삽입공의 내측으로 수용되면 고정부에 의해 고정시키는 클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센서는 상기 베이스층의 상측에 필름재질로 된 상부보호층이 적층되고, 상기 상부보호층에는 베이스층의 도전라인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싱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몸체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센서 삽입홀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측으로부터 센서 삽입홀까지 관통된 고정부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 삽입공에는 하단에 고정핀이 형성된 고정부가 압입되도록 삽입되어 고정핀이 센서 삽입홀에 삽입된 누수센서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삽입공과 고정부는 상측이 넓고, 하측으로 갈수로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고정부 삽입공의 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이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1020110083320A 2011-08-22 2011-08-22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101298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20A KR101298996B1 (ko) 2011-08-22 2011-08-22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20A KR101298996B1 (ko) 2011-08-22 2011-08-22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39A true KR20130021039A (ko) 2013-03-05
KR101298996B1 KR101298996B1 (ko) 2013-09-10

Family

ID=4817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320A KR101298996B1 (ko) 2011-08-22 2011-08-22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996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393B1 (ko) * 2013-08-16 2014-11-06 최기환 액상물 감지센서
KR20150014202A (ko) * 2013-07-29 2015-02-06 (주)유민에쓰티 누설 감지 장치
KR101538509B1 (ko) * 2014-11-21 2015-07-23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배관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50097065A (ko) * 2014-02-18 2015-08-26 (주)유민에쓰티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KR20150097068A (ko) * 2014-02-18 2015-08-26 (주)유민에쓰티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KR20150097069A (ko) * 2014-02-18 2015-08-26 (주)유민에쓰티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KR20150097067A (ko) * 2014-02-18 2015-08-26 (주)유민에쓰티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CN106970112A (zh) * 2017-04-17 2017-07-21 东北师范大学 基于传感器网络的车辆漏雨定位系统
KR20170128959A (ko)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KR20190042409A (ko) * 2017-10-16 2019-04-24 이재희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WO2020111703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2120724B1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20210089979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모원 진단 장치
KR20210135969A (ko) * 2019-12-02 2021-11-16 최기환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US20230133191A1 (en) * 2021-11-03 2023-05-04 Delta Electronics, Inc. Leak detection sensor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740B1 (ko) 2023-03-21 2023-06-26 주식회사 사이몬 센서 일체형 누수 탐지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누수탐지 장치
KR102568177B1 (ko) 2023-06-19 2023-08-18 주식회사 사이몬 센서 일체형 누수탐지 전기융착식 소켓 및 이를 이용한 누수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3477B2 (ja) * 2008-04-23 2012-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119823B1 (ko) * 2009-11-27 2012-02-28 유홍근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202A (ko) * 2013-07-29 2015-02-06 (주)유민에쓰티 누설 감지 장치
KR101457393B1 (ko) * 2013-08-16 2014-11-06 최기환 액상물 감지센서
KR20150097065A (ko) * 2014-02-18 2015-08-26 (주)유민에쓰티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KR20150097068A (ko) * 2014-02-18 2015-08-26 (주)유민에쓰티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KR20150097069A (ko) * 2014-02-18 2015-08-26 (주)유민에쓰티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KR20150097067A (ko) * 2014-02-18 2015-08-26 (주)유민에쓰티 테이프형 가스 감지 센서
KR101538509B1 (ko) * 2014-11-21 2015-07-23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배관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70128959A (ko)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CN106970112A (zh) * 2017-04-17 2017-07-21 东北师范大学 基于传感器网络的车辆漏雨定位系统
KR20190042409A (ko) * 2017-10-16 2019-04-24 이재희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WO2020111703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2120724B1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20210135969A (ko) * 2019-12-02 2021-11-16 최기환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20210089979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모원 진단 장치
US20230133191A1 (en) * 2021-11-03 2023-05-04 Delta Electronics, Inc. Leak detection sensor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same
US11761844B2 (en) * 2021-11-03 2023-09-19 Delta Electronics, Inc. Leak detection sensor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996B1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996B1 (ko)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EP3317632B1 (en) Leak detection system
US8971673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042235B2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leaks in components conducting liquids and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1591918B1 (ko) 리크감지센서
WO2013022165A1 (ko) 누유 감지 장치
CN205785702U (zh) 一种检测漏液的新型条带式传感器装置
KR102052343B1 (ko)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WO2014195756A1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1460020B1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2305127B1 (ko) 누설용액 감지장치
KR20110053704A (ko)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US8653971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100138523A (ko)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102120724B1 (ko)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20120128477A (ko)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
JP2008128666A (ja) 漏水検知具及び該検知具を用いた配管構造
KR20140007156A (ko) 유체관의 누수감지장치
KR200472415Y1 (ko)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102052349B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2086727B1 (ko) 누설 감지 장치
CN107543533A (zh) 一种海洋牧场水下视频监控与水质监测用水下电子舱
KR101500515B1 (ko) 유류저장소의 누유감지장치
RU197833U1 (ru) Датчик протечки
CN207215107U (zh) 一种海洋牧场水下视频监控与水质监测用水下电子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