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11703A1 -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11703A1
WO2020111703A1 PCT/KR2019/016301 KR2019016301W WO2020111703A1 WO 2020111703 A1 WO2020111703 A1 WO 2020111703A1 KR 2019016301 W KR2019016301 W KR 2019016301W WO 2020111703 A1 WO2020111703 A1 WO 20201117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ing line
detachable
attached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63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상조
윤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6089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2072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위드원
Publication of WO20201117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117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ensor for applying to a system for detecting a breakage and a leak in a buried pipe, and more particularly, a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a connection portion of a pipe to quickly measure even a slight leak.
  •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eak detection sensor as shown in FIG. 9A.
  • the leak detection sensor 20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can be separated up and down, and a passage 22 through which two lines of copper wire enter and ex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ctangular enclosure, and water enters and exit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closure 23.
  • a plurality of holes 24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 One end of the copper wire extending to the passage 22 is a female connector 25 and the other end is a male connector 26.
  • 9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9A.
  • the lower conductive material 31 and the upper conductive material 32 are mounted on the lower layer inside the enclosure, and the spiral wire 33 is located inside the lower conductive material.
  • An impermeable cloth 34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nductive inducing material 32.
  • the lower conduction-inducing material 31 is made of celloroid foam (FOAME) or cellulose using natural pulp, and the upper conduction-inducing material is melanin foam (FOAME).
  • FOAME celloroid foam
  • FOAME melanin foam
  • the lower conduction-inducing material 31 is not electrolytically treated, and the upper conduction-inducing material 32 is electrolytically treated.
  • NaCl or NaOH may be used as the electrolyte.
  • the impermeable cloth 34 is made of a micropore or ProporeFabric material, and the impermeable cloth 34 does not pass water under atmospheric pressure, but when the pressure becomes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enclosure. It will serve to pass through.
  • the prior art is not only a complicated configuration, but also has 4 terminals, so that signal attenuation cannot be avoided.
  • the sensor of the prior art is configured such that in the event of a leak, the sheet attached to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first separated, then water flows into the hole formed in the sensor enclosure, and then the water expanding rubber or spring inside the sensor is operated to short circuit the sensor. 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complicated, the leak detection time was long, and the cost was increased because the upper and lower sensors had to be assembled and supplied in the factory.
  • 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is that the upper sensor and the lower sensor of the detachable sensor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directly, and when an event occurs and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swells, the sensor needs to be activated immediately.
  • the second task is to solve the problem of cost savings because the upper and lower sensors are produced integrally with the sensing sheet and not assembled in separate factories.
  • the third problem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piping network that transports gas, such as gas, because the detachabl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a sensor that operates only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 the fourth problem is that the detachabl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directly combining the sensors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ends on both ends of the sensing sheet,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and fundamentally solving the problem of quality problems caused by assembly errors.
  • the fifth task is that the existing sensor must use 4 connection jacks to connect the sensor and the sensor line to the seat in the field, but the detachabl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directly connecting the sensor to the sheet where the sensor line is inserted. Therefore, it has solved the problem of reducing the material cost and labor cost.
  • the sixth problem is that the existing crimping sensor strips part of the sensing wire to cause a short circuit when a leak occurs, so if the sensor is not completely seale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ensing wire may be shorted due to corrosion due to long-term use.
  • the detachable sensor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o be completely sealed and the sensing line is not exposed, which can prevent the short circuit caused by corrosion and the signal attenuation problem. The problem was solved.
  • the seventh task is to solve the problem of step complementary materials and watertight sheets and anticorrosive tapes.
  • An upper sensor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is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sensing line sheet.
  • a sensor with a sensing line sheet is configured as a lower sensor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at the other end of the sensing line sheet.
  • a sensor with a plurality of sensing line sheets to which the upper sensor and the lower sensor are attached is configured.
  • the detachable sensor is configured by one-touch coupling with the upper sensor and the first lower sensor of the sensor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sensing line sheets.
  • the first upper sensor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ensor and the sensing line constitutes a second detachable sensor by one-touch coupling with the second lower sensor of another second sensing line sheet attachment sensor among the plurality.
  • a sensor with a sensor line sheet is configured to configure the detachable sensor by one-touch coupling of the upper sensor of the sensor with multiple sensor line sheets and the lower sensor of another sensor with a sensor line sheet equivalent to the number of pipe joints in the pipe joint. do.
  • the length of the sensing lin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unit tube.
  • the upper sensor is configured to have an upper sensor connection terminal protrusion 110, which is a protruding structure
  • the lower sensor is preferably formed as a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nd has an advantageous structure for one-touch coupling.
  • the lower sensor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rubber insert is formed so that a short does not occur even when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detachable sensor when the upper sensor connection terminal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sensor connection terminal of the lower sensor. Do.
  • the sensing line sheet attaches a sensing line to butyl.
  • a butyl release paper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tyl adhesion rubber plate after the butyl adhesion rubber plate is attached.
  •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wrap a sensor protection device on the upper part of the detachable sensor.
  • step of enclosing the side portion of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guring the sensor protection cover on top of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 the sensor protection cover has a configuration to protect the detachable sensor and to have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curved radius of the tube so that the detachable sensor is easily detached when subjected to the detachment pressure.
  •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detachable sensor is seated and protected.
  • the detachabl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ensor and the lower sensor are directly separated, and an event occurs, so that the sensor is activated immediately when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swells.
  • the second effect is that the upper and lower sensors are produced in one piece with the sensing sheet, so they are not assembled in separate factories, thereby reducing costs.
  • the third effect is that the detachabl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that can be applied to a pipe network that transports gas, such as gas, because it is not a sensor that works only when water flows in.
  • the detachabl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directly combining the sensors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ends on both ends of the sensing sheet, it is possible to reduce production costs and fundamentally solve quality problems caused by assembly errors.
  • the existing sensor must use 4 connection jacks to connect the sensor and the sensor line with the sensor line inserted in the field, but the detachabl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directly connecting the sensor to the sheet with the sensor line inserted. Therefore, material cost and labor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 the existing crimping sensor strips part of the sensing wire to cause a short circuit in the event of a leak, so if the sensor is not completely sealed, there is a risk of the sensing wire shorting due to corrosion due to long-term use.
  • signal attenuation may occu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detachable sensor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ompletely clos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nsing line is not exposed, thereby preventing the short circuit caused by corrosion and the signal attenuation problem.
  • FIG. 1 is a view showing a sensor with a monitoring line sheet.
  • FIG. 2A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with the upper sensor of FIG. 1.
  • Figure 2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ensor of Figure 2a.
  • 3A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as the lower sensor of FIG. 1.
  • 3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sensor of FIG. 3A.
  • 4A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upper sensor.
  •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ensor of Figure 4a.
  • 5A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lower sensor.
  • 5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sensor of FIG. 5A.
  • 6A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nsing line sheet.
  • 6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after removing the butyl release paper of the sensing line sheet.
  • 7A is a view showing a sensor protection device.
  • 7B is a view showing that the detachable sensor is attached to the joint of the tube and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is covered at the top.
  • Figure 7c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fter attaching the detachable sensor to the joint of the tube.
  • 7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chable sensor attached to the joint of the tube without a step.
  • Figure 7e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is attached to Figure 6c.
  • 7F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tape, which is an elastic tape, is taped to the side of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 8A is a view showing a sensor protection cover.
  • FIG. 8B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nsor protection cover is configur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tachable sensor of FIG. 7F.
  • FIG. 8C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tape is taped to FIG. 8B.
  • 9A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chnique.
  • 9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 the first embodiment is a drawing and a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FIGS. 2A to 3B.
  • the second embodiment is a drawing and a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FIGS. 4A to 5B.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for checking the joint event (leakage, leakage, gas leakage, etc.).
  • the sensor is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When an event occurs in the joint,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separated and disconnected. It is about.
  • the lower sensor is formed with a groove
  • the upper sensor is a sensor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 the lower sensor is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and the upper sensor is a sensor configured to be easily separated when an event occurs by combining it with a sensor protection device attached with butyl after attaching it to the lower sensor.
  • the sensor configured in this way forms a closed structure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 a lower sensor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heet into which the sensing line is inserted, and an upper sensor is attached to the other, so that it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tube.
  • the sensor of the prior art is a method of assembling these parts after separately producing a copper plate, a water expansion rubber, a water inflow prevention sheet, etc., which make up the sensor housing and constituting the sensor, so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 the sen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directly combining the sensors separated into the upper and lower ends on both ends of the sensing sheet,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and fundamentally solving the quality problems caused by assembly errors.
  • the leakage detection time is relatively long because when the leak occurs, the butyl sheet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is first separated and water flows into the hole formed in the enclosure to expand the water expanding rubber to detect the leakage.
  • the butyl sheet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is first separated and water flows into the hole formed in the enclosure to expand the water expanding rubber to detect the leakage.
  • the sen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ensor that is operated only when water flows into the sensor, it is a sensor that can be applied to a pipe network that transports gas such as gas and has excellent expandability.
  • the sen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irectly separate the upper sensor and the lower sensor, and when an event occurs and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swells, the sensor is separated up and down and immediately operated, so it is detected within 1 minute. .
  • the prior art crimping sensor strips a part of the sensing wire to cause a short circuit when a leak occurs, when the sensor is not completely sealed, the sensing wire is likely to be short-circuited by corrosion when used for a long time, and a signal according to the sensing line exposure Although attenuation may occur, the sensor housing is constructed to be completely sealed and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sensing line is not exposed, thereby preventing the short circuit and signal attenuation caused by corrosion.
  • the sensor sheet is composed of an upper sensor on one side and a lower sensor on the other side.
  •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When the sensor insertion space is provided and a leak occurs in the pipe joint,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be sealed until the sensor is operated.
  • It is composed of a sensor protection cover and a tape that wraps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and the sensor in close contact with the pipe and prevents damage due to external pressure.
  • the lower sensor is perfect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with butyl rubber, and the upper sensor is installed in combination with the lower sensor.
  • the sensor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ive device and butyl rubber to form a detachable sensor so that the upper sensor is detached and disconnected when the upper sensor and the attached sheet are swollen.
  • a detachable sensor is constructed in which rubber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ensor coupling parts.
  • a space is formed on a certain part of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to protect the detachable sensor, and both ends are manufactured in a V-shape so that when the leak occurs,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swells up by water pressure until the upper sensor is released. .
  • the middle part is constructed to be wrapped with a durable tape so as not to be damaged by external pressure.
  • a sensor protection cover configured to be installed at a distance of about 3cm from the sensor by installing a sensor cover of about 15cm in length and 15cm in width at the top of the sensor built into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Make up.
  •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may be configured to wrap a sheet of glass fiber or a material having good impact resistance before winding the secondary tape, and then attach it and then wrap the protective tape.
  • the sheet with a sensing wi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that transmits a signal to the detachable sensor is weather-resistant, such as Teflon, to a glass fiber sheet with butyl of 3 cm or less attached so as not to damage the sensing wir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during backfilling or long-term use.
  • a sensor with a sensing line sheet is constructed by inserting sensing wires coated with resin with excellent wear resistance at intervals of 10 mm or less.
  •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used is configured to form a hole so that the fusion protrusion can be inserted, and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used for the socket type connection Constitutes a sensor protection device on one side and high on the other.
  • the upper sensor 100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at one end of the sensing line sheet 300 and
  • a sensor 1000 with a sensing line sheet is configured as a lower sensor 200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 the upper sensor 100 and the lower sensor 200 ar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ensing line sheet attached sensors 1000 are attached.
  • the detachable sensor 10 is constituted by one-touch coupling with the upper sensor 100 and the first lower sensor of the sensor line sensor 1000 of the plurality.
  • the first lower sensor means a lower sensor of a plurality of sensors with a sensor line sheet as described above.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sensor and the lower sensor of the sensor with a sensor line sheet as shown in FIG. 1 The lower sensor is described to distinguish the upper sensor from the lower sensor.
  • the first upper sensor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ensor and the sensing line 310 is a second detachable sensor by one-touch coupling with the second lower sensor of the second second sensing line sheet attachment sensor 1000 among the plurality ( 10).
  • connection terminals In the prior art, the number of connection terminals is increased by combining in the field, and the signal of the sensing line is distorted or weakened.
  • the sensor line is fixed to the sheet, and the upper and lower sensors are inserted with a simple pressure as many as the number of pipe joints while spreading along the pipe.
  • the length (a) of the sensing line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unit tube (20).
  • the upper sensor 100 constitutes an upper sensor connection terminal protrusion 110 that is a protruding structure
  • the lower sensor 200 is formed of a connection terminal receiving unit 216 and has an advantageous structure for one-touch coupling.
  • the upper sensor connection terminal protrusion 11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receiving portion 216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upper sensor 100 can be seen that the upper sensor connection terminal protrusion 110 is protruded downward.
  • connection protrusion 120 is configured at the edge of the upper sensor case, and the connection sensor 220 is inserted at the edge of the case of the first lower sensor to constitute the detachable sensor 10.
  • the lower sensor 200 comprises a rubber insert 215 so that the upper sensor connection terminal protrusion 1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receiving portion 216 of the lower sensor 200 of the lower sensor 200, so that the detachable sensor (10)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cause a short even if water flows into the interior.
  • the sensing line sheet 300 applies butyl to the sheet 320 and attaches the sensing line 310 thereto.
  • the sensing line 3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wo sensing lines are arranged inside one circular line, such as a household wire.
  • butyl-attached rubber plate 330 to which butyl is attached is appropriate.
  • the method for attaching the sensor line sensor to the joint of the tube is as follows.
  • the lower sensor is attached to the joint of the tube, and then the upper sensor is combined.
  • the word meaning of the detachable sensor 10 means that the upper sensor and the lower sensor are combined.
  • the sensor protection cover 600 is a buried pipe to protect the detachable sensor when buried by solid stones buried in the buried pipe and the like.
  • the step of configuring to surround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ep of wrapping a side tape of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with an elastic tape.
  •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has a V-shape on both sides, and is designed for sealing so that water or moisture does not reach the detachable sensor from the outside of the tube, that is, from the outside.
  • It is configured to seal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tep.
  •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constitutes a watertight portion 410 and a step watertight portion 420 on both sides.
  • the detachable sensor has a volume, and it is preferable to cut out the space support part 435 from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so that uneven portions are not generated unnecessarily due to the detachable sensor 10.
  • FIG. 7B and 7C are views showing that the space support portion 435 is removed and the detachable sensor 10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portion.
  •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and the direction of the sensing line indicate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ube.
  • the step watertight portion 420 covers the portion where the step joint 30 is located in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 step portion Even if there is a step porti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watertight simply by the step watertight portion 420.
  •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is a flexible material,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rubber material is acceptable.
  • 7D show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as having a joint between pipes having no step.
  • 7E is a view showing that the detachable sensor 10 is attached to the joint of the tube and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is wrapped to protect the detachable sensor.
  • the liquid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detachable sensor 10 inside the pipe joint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or not it leaks.
  • the sensor protection cover 600 has a configuration to protect the detachable sensor 10 and have a curved radius smaller than the curved radius of the tube so that the detachable sensor 10 is easily detached when subjected to the detachment pressure. .
  • the outside of the buried pipe is buried at least 1 m or more, it is subjected to earth pressure.
  • the sensor protection cover 600 is placed so that the detachable sensor 10 is not subjected to earth pressure, but the outer shape is not deformed by the earth pressure, so that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detachable sensor 10 and the sensor protection cover 600.
  • the upper sensor 100 is quickly separated from each other from the lower sensor 200,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whether liquid or gas leaks through the tube initially.
  • the sensor protection device 4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pace portion 430 is placed so that the detachable sensor 10 is seated and protected.
  • the detachable sens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rrelevant even if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formed interchangeabl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ensor for applying to a system for detecting a breakage and a leak in a buried pipe, and is installed in a connection portion of a pipe, and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ensor for quickly measuring even a slight lea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이음부에서 누수,누유 및 가스누설이 발생할 경우 관망 이음부 모니터링장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에 있어서, 감지선시트의 일단에 감지선과 연결된 상부센서; 상기 감지선시트의 타단에 상기 감지선과 연결된 하부센서;로 감지선시트 부착 센서를 구성하되,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하부센서가 부착된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복수개 중의 하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1하부센서와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감지선으로 연결된 제1상부센서는 상기 복수개 중의 또 다른 하나의 제2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2하부센서와 원터치결합으로 제2의 착탈센서를 구성하되, 관이음부의 관이음 숫자에 상당하는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부센서와 또 다른 감지선부착센서의 하부센서를 압력에 의하여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본 발명은 매설관의 파손 및 누수감지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배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약간의 누수라도 신속하게 측정하는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도 9a로서 누수감지센서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누수감지센서(20)는 직육면체의 함체로서 상하 분리가능하고 하부함체(21)에는 2줄의 동선이 출입하는 통로(22)가 양변에 설치되고, 상부함체(23)의 상면에는 물이 출입하는 다수개의 구멍(24)이 일정간격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통로(22)로 연장되어 나온 동선의 일단은 암커넥터(25)이고, 타단은 수커넥터(26)이다.
도 9b은 도9a의 A-A' 단면도이다.
함체의 내부에는 가장 밑층에 하부전도유도물질(31)과 그 위층에 상부전도유도물질(32)이 장착되고, 하부전도유도물질 내부에는 나동선(33)이 위치한다. 상기 상부전도유도물질(32)의 상부에는 불투과성 천(34)이 올려진다.
하부 전도유도물질(31)은 셀로로이드 폼(FOAME) 또는 천연펄프를 사용한 셀룰로오즈가 사용되며, 상부 전도유도물질은 멜라닌 폼(FOAME)이 사용된다.
또한, 하부전도유도물질(31)은 전해질처리를 하지 않은 것이며, 상부전도유도물질(32)은 전해질 처리를 한 것이다.
이는 센서내부의 통전분위기 강화(전해력 증대)를 위해 내부 전도유도물질에 미리 전해질 처리를 하게 되나, 하부 전도유도물질의 경우 나동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나동선의 전해질 접촉에 기인한 나동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전도유도물질에는 전해질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다.
이 때 전해질로는 NaCl 또는 NaOH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불투과성 천(34)은 재질은 마이크로포어(micropore)류 또는 프로포어패브릭(ProporeFabric) 소재이며, 불투과성천(34)은 대기압하에서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으나, 대기압 이상이 되면 함체 내부로 물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복잡한 구성일 뿐만 아니라 4단자가 있어 신호감쇄가 일어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이음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음부에 외부로 단차지어 나타나므로 더욱 튀어나오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토압에 견디기 위하여 별도로 외부함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의 양이 늘어나고 신뢰도에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많은 것이다.
단락이 되는 형태이나 누수가 되어 압력이 있게 되면 누수감지센서가 단선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감지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감지센서에 부착된 시트가 먼저 분리된 후 센서 외함에 형성된 홀로 물이 유입된 후 센서 내부에 있는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이 작동되어 센서가 단락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누수감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상하센서를 공장에서 조립하여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감지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센서 외부에 부착된 부틸시트가 먼저 분리되고 외함에 형성된 홀로 물이 유입되어 수팽창고무가 팽창되어야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누수감지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고 액체 성분의 누수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어왔다.
첫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는 착탈센서의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직접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이벤트가 발생하여 센서보호장치가 부풀어 오르면 즉시 센서가 작동될 필요가 있다.
두번째 과제로는 상, 하부센서가 감지시트와 일체화되어 생산되어 별도 공장에서 조립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세번째 과제로는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반드시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야 작동되는 센서가 아니기 때문에 가스 등 기체를 수송하는 배관망에도 적용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네번째 과제로는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센서를 감지시트 양단에 직접 결합시켜 제작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실수에 따른 품질문제에 대한 과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이다.
다섯번째 과제로는 기존 센서는 현장에서 센서와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잭 4개를 사용하여야 하나, 본원발명의 착탈 센서는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센서를 직접 연결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인건비를 줄여야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여섯번째 과제로는 기존 압착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쇼트를 유발하기 위해 감지선 일부를 탈피하기 때문에 센서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않을 경우 장기간 사용에 의해 부식으로 감지선이 단락 우려가 있다.
또한, 감지선 노출에 따른 신호감쇄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본원발명의 착탈센서 함체는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감지선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식에 의한 단락과 신호감쇄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일곱번째 과제로는 단차보완재와 수밀용 시트 및 방식테이프에 대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수단을 둔다.
관이음부에서 누수,누유 및 가스누설이 발생할 경우 관망 이음부 모니터링장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에 있어서,
감지선시트의 일단에 감지선과 연결된 상부센서를 구성한다.
상기 감지선시트의 타단에 상기 감지선과 연결된 하부센서로 감지선시트 부착 센서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하부센서가 부착된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복수개 중의 하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1하부센서와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한다.
상기 제1하부센서와 감지선으로 연결된 제1상부센서는 상기 복수개 중의 또 다른 하나의 제2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2하부센서와 원터치결합으로 제2의 착탈센서를 구성한다.
관이음부의 관이음 숫자에 상당하는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부센서와 또 다른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하부센서를 압력에 의하여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선의 길이는 단위 관의 길이에 상당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상부센서는 돌출되는 구조인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 구성하고 상기 하부센서는 접속단자수용부로 형성되어 원터치로 결합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하부센서에는 고무삽입부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가 상기 하부센서의 하부센서접속단자에 삽입될 때에 상기 착탈센서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선시트는 부틸에 감지선을 부착한다.
상기 감지선의 상부에 부틸부착고무판을 부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틸부착고무판을 부착하고 난후에 상기 부틸부착고무판의 상부에 부틸이형지를 부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기 제1하부센서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 제1하부센서의 상부에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한 상기 착탈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센서의 상부에 센서보호장치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내구성이 양호한 보호커버를 부착하는 단계를 갖도록 하여 착탈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장치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 이후에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 이후에 센서보호커버를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구성하는 단계를 더 둔다.
상기 착탈센서의 상부의 부분을 감싸는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커버는 상기 착탈센서를 보호하고 상기 착탈센서가 이탈압력을 받을 때에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관의 곡면반지름보다 더 작은 곡면반지름을 갖도록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장치는 상기 착탈센서가 안착보호되도록 공간부를 두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직접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이벤트가 발생하여 센서보호장치가 부풀어 오르면 즉시 센서가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두번째 효과로는 상, 하부센서가 감지시트와 일체화되어 생산되기 때문에 별도 공장에서 조립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된다.
세번째 효과로는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야 작동되는 센서가 아니기 때문에 가스 등 기체를 수송하는 배관망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센서로 확장성이 뛰어나다.
네번째 효과로는 본원발명의 착탈센서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센서를 감지시트 양단에 직접 결합시켜 제작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실수에 따른 품질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번째 효과로는 기존 센서는 현장에서 센서와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잭 4개를 사용하여야 하나, 본원발명의 착탈 센서는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센서를 직접 연결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여섯번째 효과로는 기존 압착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쇼트를 유발하기 위해 감지선 일부를 탈피하기 때문에 센서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않을 경우 장기간 사용에 의해 부식으로 감지선이 단락 우려가 있고, 감지선 노출에 따른 신호감쇄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본원발명의 착탈센서 함체는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감지선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식에 의한 단락과 신호감쇄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일곱번째 효과로는 단차보완재와 수밀시트를 통합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재료비와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감시선시트부착센서를 보이는 도이다.
제2a도는 제1도의 상부센서로 제1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2b도는 제2a도의 상부센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제1도의 하부센서로 제1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제3a도의 하부센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상부센서의 제2 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제4a도의 상부센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5a도는 하부센서의 제2 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5b도는 제5a도의 하부센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6a도는 감지선 시트의 제조과정을 보이는 도이다.
제6b도는 감지선 시트의 부틸이형지를 제거한 후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7a도는 센서보호장치를 보이는 도이다.
제7b도는 착탈센서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고 상부에 센서보호장치를 커버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c도는 착탈식센서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고 난후에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7d도는 단차가 없는 관의 이음부에 착탈식센서를 부착한 것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제7e도는 제6c도에 센서보호장치를 부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f도는 신축성있는 테이프인 제1테이프를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에 테이핑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8a도는 센서보호커버를 보이는 도이다.
제8b도는 제7f도의 착탈센서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센서보호커버를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8c도는 제8b 도에 제2테이프를 테이핑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9a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제9b도는 A-A'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에서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다.
제1실시예는 도2a 내지 3b에 해당하는 도면과 설명이다.
제2실시예는 도4a 내지 5b에 해당하는 도면과 설명이다.
단지 1실시예와 2실시예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동일한 효과의 범주내에 있는 것이다.
기술적 사상으로도 동일한 범주내에 있는 것이다.
어느 것이 최선의 상태라고 할 수는 없는 것으로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음부 이벤트(누수, 누유, 가스누설, 등) 확인을 위한 센서로써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어 제작되는 센서로 이음부에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부와 하부가 이탈되어 단선되도록 구성되는 센서에 관한 것이다.
하부센서는 홈이 형성되고, 상부센서는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 센서로써 상부와 하부가 바뀌어 형성되더라도 무관하다. 그러나 홈과 돌출부가 없어도 센서로 작동하는데는 무리가 없는 것이다.
하부센서는 파이프 외면에 밀착되게 부착되며, 상부센서는 하부센서에 결합시킨 다음 부틸이 부착된 센서보호장치와 결합되어 이벤트 발생시 상부센서가 쉽게 분리되도록 구성된 센서인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센서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구조를 형성한다.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 양 단에 한 쪽에는 하부센서가 부착되고, 다른 쪽에는 상부센서가 부착되어 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기존 이탈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감지센서에 부착된 시트가 먼저 분리된 후 센서 외함에 형성된 홀로 물이 유입된 후 센서 내부에 있는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이 작동되어 센서가 단락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누수감지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상하센서를 별도로 조립하여 공급하므로 작업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센서는 센서함체를 생산하고 센서를 구성하는 동판, 수팽창고무, 물 유입방지시트 등을 별도로 생산 후 이들 부품을 조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이에 비해 본원발명의 센서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센서를 감지시트 양단에 직접 결합시켜 제작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실수에 따른 품질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기존 센서는 현장에서 센서와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잭 4개를 사용하여야 하나, 본 센서는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에 센서를 직접 연결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종래의 압착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센서 외부에 부착된 부틸시트가 먼저 분리되고 외함에 형성된 홀로 물이 유입되어 수팽창고무가 팽창되어야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누수감지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고 액체 성분의 누수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본원 발명의 센서는 센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야 작동되는 센서가 아니기 때문에 가스 등 기체를 수송하는 배관망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센서로 확장성이 뛰어나다.
종래기술의 센서에 비해 본원발명의 센서는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직접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이벤트가 발생하여 센서보호장치가 부풀어 오르면 센서가 상하로 분리되어 즉시 작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1분 이내에 감지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압착센서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쇼트를 유발하기 위해 감지선 일부를 탈피하기 때문에 센서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않을 경우 장기간 사용할 경우 부식에 의해 감지선이 단락우려가 있고, 감지선 노출에 따른 신호감쇄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본 센서 함체는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감지선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부식에 의한 단락과 신호감쇄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감지선이 삽입된 시트 한 쪽에 상부센서, 다른 쪽에 하부센서가 부착된 감지시트를 구성한다.
센서 삽입 공간이 구비되고 파이프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센서가 작동될 때까지 밀폐되도록 센서보호장치를 구성한다.
센서보호장치와 센서를 파이프와 밀착시키고 외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막도록 센서보호커버와 이를 감싸는 테이프로 구성한다.
하부센서는 파이프 외면에 부틸고무로 완벽하게 부착하고, 상부센서는 하부센서와 결합하여 설치된다.
센서보호장치 하부와 부틸고무로 완벽하게 부착하여 누수발생 시 상부센서와 부착된 시트가 부풀어 올라갈 때 상부센서가 이탈되어 단선이 되도록 착탈센서를 구성한다.
센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쇼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하부센서 결합부에 고무가 삽입된 착탈센서를 구성한다.
센서보호장치 일정부위에 공간이 형성되어 착탈센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양 단을 V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누수 발생시 수압에 의해 센서보호장치가 부풀어 올라가 상부센서가 이탈될 때까지 수밀되도록 구성한다.
착탈센서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누수발생 시 누수를 감지할 때까지 수밀을 유지하도록 센서보호장치 양단을 부틸이 부착된 시트로 부착한 후 신축성이 좋은 테이프로 센서보호장치 양단을 견고하게 밀착시킨다.
가운데 부분은 외압에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좋은 테이프로 감싸도록 구성한다.
착탈센서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누수 발생시 센서가 신속하게 작동되도록 센서보호장치에 내장된 센서 상단에 길이 약 15cm, 폭 15cm의 센서보호커버를 센서와 약 3cm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도록 구성된 센서보호커버를 구성한다.
특히, 센서보호장치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더 보호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2차 테이프를 감기 전에 유리섬유 또는 내충격성이 좋은 재질의 시트를 감은 다음 추가로 부착한 후 보호용 테이프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착탈센서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파이프 외면에 부착하는 감지선이 부착된 시트는 되메우기작업 또는 장기간 사용 중에도 외부환경으로부터 감지선이 파손되지 않도록 3cm 이하의 부틸이 부착된 유리섬유시트에 테프론 등 내후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수지로 코팅된 감지선을 10mm이하 간격으로 삽입하여 감지선시트부착센서를 구성한다.
주철관 등 외면이 거친 관에 부착하는 감지선시트부착센서는 마찰에 의해 감지선 파손을 막기 위해 3cm 이하의 부틸이 부착된 고무를 먼저 부착한 후 부틸이 부착된 이형지를 부착하여 감지시트를 구성한다.
이음부 단차가 없는 맞대기 융착방식의 PE관(용접용 관 포함)을 연결할 경우 사용하는 센서보호장치는 융착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소켓방식의 연결부에 사용하는 센서보호장치는 한 쪽은 높고, 다른 쪽은 낮게 센서보호장치를 구성한다.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 내지 도5b 및 도7b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관이음부에서 누수,누유 및 가스누설이 발생할 경우 관망 이음부 모니터링장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에 있어서,
감지선시트(300)의 일단에 감지선과 연결된 상부센서(100)와
상기 감지선시트(300)의 타단에 상기 감지선과 연결된 하부센서(200)로 감지선시트 부착 센서(1000)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센서(100)와 상기 하부센서(200)가 부착된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센서(100)와 상기 복수개 중의 하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제1하부센서와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10)를 구성한다.
제1하부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하부센서를 의미하는 것이다.도시하지 않았으나 도1과 동일한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를 각각 제1상부센서와 제1하부센서를 전술한 상부센서와 하부센서를 구분하기 위하여 기재하는 것이다.
상기 제1하부센서와 감지선(310)으로 연결된 제1상부센서는 상기 복수개 중의 또 다른 하나의 제2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제2하부센서와 원터치결합으로 제2의 착탈센서(10)를 구성한다.
종래기술로는 현장에서 결합함으로 접속단자의 수가 많아져 감지선의 신호가 왜곡되거나 약해지는 단점을 크게 보완하는 것이다.
관이음부의 관이음 숫자에 상당하는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상부센서(100)와 또 다른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하부센서(200)를 압력에 의하여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10)를 구성하는 것으로 감지선시트 부착센서(1000)를 구성하는 것이다.
시트에 감지선을 고정하는 것으로 하여 관을 따라 펼쳐놓으면서 관이음부의 갯수만큼 상부센서와 하부센서를 간단한 압력으로 삽입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감지선의 길이(a)는 단위 관(20)의 길이에 상당하게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센서(100)는 돌출되는 구조인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 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센서(200)는 접속단자수용부(216)로 형성되어 원터치로 결합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다.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는 접속단자수용부 (216)의 내부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부센서(100)는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가 하부로 돌출구성됨을 볼 수 있다.
상부센서 케이스의 모서리에는 접속돌기(120)를 구성하고 제1하부센서의 케이스의 모서리에는 대응되는 접속홈(220)에 삽입되어 착탈센서(1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센서(200)에는 고무삽입부(215)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110)가 상기 하부센서(200)의 하부센서의 접속단자수용부(216)에 삽입될 때에 상기 착탈센서(1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a 및 도6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감지선시트(300)는 시트(320)에 부틸을 도포하고 여기에 감지선(310)을 부착한다.
감지선(310)은 가정용전선과 같이 하나의 원형선 내부에 두개의 감지선이 배치구성될 수도 있다.
감지선이 2개가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상기 감지선(310)의 상부에 부틸을 부착한 부틸부착고무판(330)을 부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여 감지선을 보호하는 것이다.
관의 표면부에 부착하고 상당한 무게에 해당하는 흙과 돌로 매설되는 것을 고려하여 공사중에 감지선이 단선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부틸이 부착된 부틸부착고무판(330)이 적절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틸부착고무판(330)을 부착하고 난후에 상기 부틸부착고무판(330)의 상부에 부틸이형지(340)를 부착하여 보관 및 이동하고 감지선시트를 매설관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부틸이 부착된 이형지(340)을 제거하고 관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도7a 내지 도8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피면 하기와 같다.
상기 감지선시트부착센서(1000)의 상기 제1하부센서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단계를 갖는다.
먼저는 하부센서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고 난후에 상부센서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제1하부센서의 상부에 상기 상부센서(100)를 결합하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한 상기 착탈센서(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센서(10)의 상부에 센서보호장치(400)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착탈센서(10)의 단어 의미는 상부센서와 하부센서를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상부에 내구성이 양호한 센서보호커버(600)를 부착하는 단계를 갖도록 하여 착탈센서(10)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가진다.
센서보호커버(600)는 매설관이어서 매설관에 매설된 단단한 돌과 이와 유사한 것들에 의하여 매설될 경우 착탈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서보호장치(400)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 이후에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보호장치는 양측면에 V자형으로 구성되어 관의 주변 즉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착탈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밀폐를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단차의 유무에 관계없이 센서보호장치(400)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센서보호장치(400)은 양측면에 각각 수밀부(410)와 단차수밀부(420)를 구성한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공간부(430)를 갖는 공간지지부(435)로 구성한다.
착탈센서는 부피가 있는 것으로 센서보호장치(400)에서 공간지지부(435)를 오려내어 착탈센서(10)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요철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7b 및 도7c는 공간지지부(435)를 제거하고 해당되는 부위에 착탈센서(10)를 삽입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좌우방향은 관의 둘레방향에 해당되고 감지선의 방향은 관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이후에 센서보호커버(600)를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상부에 구성하는 단계를 더 두되, 상기 착탈센서(10)의 상부의 부분을 감싸는 상기 센서보호장치(400)의 상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이음관(30)이 있는 부분을 센서보호장치(400)에서 단차수밀부(420)가 커버하고 있는 것이다.
단차부가 있어도 단차수밀부(420)에 의하여 간단하게 수밀하도록 구성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센서보호장치(400)는 가요성이 있는 재질로 본원발명에서는 고무재질이면 무난한 것이다.
도7d는 단차가 없는 관끼리의 이음부를 갖는 것으로 센서보호장치(400)의 적용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7e는 착탈센서(10)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하고 착탈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센서보호장치(400)를 감싼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7f는 도7e에서 제1테이프(510)인 신축성있는 보호테이프를 커버하되 센서보호장치(400)의 측면부를 부착하므로 센서보호장치(400)의 수밀부(410)와 단차수밀부(420)가 더욱 수밀이 잘되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음부에서 누설되는 경우에는 착탈식센서(10)의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이음부외에서의 물과 같은 액체를 착탈식센서(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된 물에 의하여 착탈식센서(10)가 오작동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관이음부 내부에서 액체가 착탈식센서(10)의 외부로 누설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누설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내부에서 액체나 기체가 새어나올 경우 빠른 응답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센서보호커버(600)는 상기 착탈센서(10)를 보호하고 상기 착탈센서(10)가 이탈압력을 받을 때에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관의 곡면반지름보다 더 작은 곡면반지름을 갖도록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설관의 외부는 적어도 1m이상 매설되므로 토압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관이음부에서 액체나 기체가 누설되어 착탈센서(10)를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100,200)로 이탈되도록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없다면 관이음부에서 어느정도 누설되어도 외부의 매설된 힘을 이기지 못하여 상부센서(100)와 하부센서(200)가 이탈되지 않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즉 누설을 감지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착탈센서(10)에 토압을 받지 않도록 센서보호커버(600)를 두되 토압에 의하여도 외형이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하여 착탈센서(10)와 센서보호커버 (600)사이에 공간부가 있도록 구성하여 낮은 압력으로 누설이 되어도 신속하게 상부센서(100)가 하부센서(200)로부터 서로 분리되어 초기에 관을 지나는 액체 및 기체의 누설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센서보호장치(400) 는 상기 착탈센서(10)가 안착보호되도록 공간부(430)를 두는 구성을 갖는다.
본원발명의 착탈센서(10)는 상부와 하부가 바뀌어 형성되더라도 무관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매설관의 파손 및 누수감지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약간의 누수라도 신속하게 측정하는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임으로 산업상 이용가능한 기술이다.

Claims (11)

  1. 관이음부에서 누수,누유 및 가스누설이 발생할 경우 관망 이음부 모니터링장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에 있어서,
    감지선시트의 일단에 감지선과 연결된 상부센서;
    상기 감지선시트의 타단에 상기 감지선과 연결된 하부센서;로 감지선시트 부착 센서를 구성하되,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하부센서가 부착된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복수개 중의 하나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1하부센서와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감지선으로 연결된 제1상부센서는 상기 복수개 중의 또 다른 하나의 제2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제2하부센서와 원터치결합으로 제2의 착탈센서를 구성하되 ,
    관이음부의 관이음 숫자에 상당하는 복수개의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부센서와 또 다른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하부센서를 압력에 의하여 원터치 결합으로 착탈센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의 길이는 단위 관의 길이에 상당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센서는 돌출되는 구조인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센서는 접속단자수용부로 형성되어 원터치로 결합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 부착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센서에는 고무삽입부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센서접속단자돌기부가 상기 하부센서의 하부센서접속단자에 삽입될 때에 상기 착탈센서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부착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시트는 부틸에 감지선을 부착하고,
    상기 감지선의 상부에 부틸부착고무판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부착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부착고무판을 부착하고 난후에 상기 부틸부착고무판의 상부에 부틸이형지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시트부착센서.
  7. 상기 제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어느 한항의 상기 감지선시트부착센서의 상기 제1하부센서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하부센서의 상부에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한 상기 착탈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센서의 상부에 센서보호장치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내구성이 양호한 보호커버를 부착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장치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단계 이후에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를 더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측면부를 감싸는 단계;이후에 센서보호커버를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구성하는 단계를 더 두되, 상기 착탈센서의 상부의 부분을 감싸는 상기 센서보호장치의 상부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커버는 상기 착탈센서를 보호하고 상기 착탈센서가 이탈압력을 받을 때에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관의 곡면반지름보다 더 작은 곡면반지름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장치는 상기 착탈센서가 안착보호되도록 공간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PCT/KR2019/016301 2018-11-30 2019-11-26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WO202011170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2569 2018-11-30
KR10-2018-0152569 2018-11-30
KR1020180160894A KR102120724B1 (ko) 2018-11-30 2018-12-13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2018-0160894 2018-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703A1 true WO2020111703A1 (ko) 2020-06-04

Family

ID=7085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6301 WO2020111703A1 (ko) 2018-11-30 2019-11-26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1117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855A (ko) * 2002-03-14 2003-09-22 (주)와콘 누수탐지용 액체관 및 설치방법
KR20100138523A (ko) * 2009-06-25 2010-12-31 유홍근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20130021039A (ko) * 2011-08-22 2013-03-05 (주)유민에쓰티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20160150442A (ko) * 2015-06-22 2016-12-30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배관 부착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70128959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855A (ko) * 2002-03-14 2003-09-22 (주)와콘 누수탐지용 액체관 및 설치방법
KR20100138523A (ko) * 2009-06-25 2010-12-31 유홍근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20130021039A (ko) * 2011-08-22 2013-03-05 (주)유민에쓰티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20160150442A (ko) * 2015-06-22 2016-12-30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배관 부착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70128959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416B1 (ko)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WO2016076450A1 (ko) 극저온 냉각장치 및 초전도 기기용 접속 구조체
WO2021010556A1 (ko) 태양광 모듈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231161B1 (ko)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체
WO2012081840A2 (ko) 지하 관정 및 금속제 함체를 구비한 제어반과 원격 제어반을 포함한 설비의 스마트 접지 본딩공법
KR102120724B1 (ko)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WO2020111703A1 (ko)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WO2012036419A2 (en) The structure for insulation of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O2019135434A1 (ko) 배관용 단열장치
WO2020096242A1 (ko) 전력케이블 중간접속구조
WO2022215826A1 (ko) 이종도체 접합부를 갖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및 이종도체를 갖는 전력케이블 접속방법
CN218070867U (zh) 一种具有电缆保护装置的电缆
WO2018186633A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WO2016003183A1 (ko)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WO2020171575A1 (ko)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구조
CN201607544U (zh) 一种用于预制接头分支光缆的光缆接头保护管
WO2021261661A1 (ko) 자가발전 가스밸브 무선원격 개폐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122425A1 (ko) 벤딩 신뢰성이 개선된 연성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EP1220408A1 (en) Cable adap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95974B1 (en) Protective pipe element for sheathed cable for controlling the integrity of the sheath
CN113612187B (zh) 一种变电继电保护线路连接接头保护装置
WO2017065337A1 (ko) 케이블 연결 보호장치
WO2019093753A1 (ko) 스마트 안전 접속장치
KR101625113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WO2016153205A1 (ko) 전기전자통신기기의 캐비넷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캐비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899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899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