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86633A1 -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86633A1
WO2018186633A1 PCT/KR2018/003838 KR2018003838W WO2018186633A1 WO 2018186633 A1 WO2018186633 A1 WO 2018186633A1 KR 2018003838 W KR2018003838 W KR 2018003838W WO 2018186633 A1 WO2018186633 A1 WO 20181866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conductor
leak detection
detection devic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38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대훈
윤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위드원
Publication of WO20181866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866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G01M3/04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with electrical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leak of a pipe in which a fluid flows, especially a pipe buried underground, and a leak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FIG. 8 relates to a background art, which will be described as a background art by an applicant invented and registered.
  • the leak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hee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 the leak detection apparatus includes a base layer, a case layer, a leak detection line, and an adhesive layer.
  • the base layer and the case layer form an outer shell of the leak detection device and are supported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mplemented by butyl and the like to support the leak detection device,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inflow of water or moisture from the outside.
  • a pair of existing leak detection lines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 a pair of leak detection lines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o surround the joint, but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fit the joint and leak check is difficult.
  • the leak detection wire is installed in a zigzag so that the worker can check the leak even without precise construction.
  •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hould supplement the step by putting a protective cover with a leak detection sensor or by placing a step complementary material in the joint.
  • the radius of the large tube is about 3000mm by attaching a sheet with a leak detection sensor is attached
  • the length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ective cover is more than 20m. Even when the step complementary material is us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late or economically expensive.
  • a protective cover with a leak detection sensor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pipe joint, or a leak detection sheet may be attached after a step complementary member is attached. come.
  • the radius may be more than 3000 mm.
  • the inner diameter of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or is about 20 m, and the protective cover suffers a lot of cost and work difficulti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such a problem.
  • the first conduct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sconnected state
  • the second conductor is spaced apart in parallel from the disconnected portion to form a second conductor
  • the leak det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disconnected portion of the first conductor so that the disconnected portion is shorted.
  • the first conductor is preferably a thick copper plate, and the second conductor is preferably a thin copper plate.
  • the first conductor,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plastic or steel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mount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 the plastic or steel enclosure comprises a base portion and a case portion
  •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constitute a first groove so that the first conductor is drawn out.
  • the case part covers the base part and constitutes a fourth groove horizontally along both ends of the case part so that the first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sensing system.
  • the first groove is configured to draw the first conductor from the base part to the case part.
  • a groove is formed in the cas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which ar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nclosure, so that water is easily absorbed by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is composed of water-expanded rubber or water-expanded paper, but may include any material that expands if it contains water.
  • the leak detection device is attached to the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the butyl sheet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ak detection device so that water or moisture does not penetrate from the outside to build a leak detection system.
  • Another effect is to solve the problem by attaching a simple leaky market valu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line of the leak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FIG.
  •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portion of the leak detection apparatus.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sertion of a thick copper plate and a thin copper plate blocked by the base portion of FIG. 3 and a water-expandable rubber of water-expandable material.
  • FIG 5 is a view showing a case portion of the leak detection apparatus.
  • 6 and 7 are views for attaching the leak detection device directly to the pipe and connecting the leak detection system.
  • the first conductor 140 is configured to conduct electricity, but the first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copper wire, but the end of the first conductor is configured to be a thick copper plate as shown in FIG. 4.
  • the copper plate is connected by soldering to the copper wire of the first conductor or by other connection method.
  • Copper plates which are ends of the first conduct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 the second conductor 150 is spaced apart in parallel from the disconnected portion
  • the leak det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disconnected portion of the first conductor so that the disconnected portion is shorted.
  • the first conductor is composed of a thick copper plate 140
  • the second conductor is composed of a thin copper plate 150.
  • the thin copper plate 150 pushed by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is configured to be shorted in contact with the thick copper plate 140.
  • the plastic or steel enclosure is constituted by means of placing the first conductor,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is composed of water-expanded rubber or water-expanded paper, but may include any material that expands if it contains water.
  • plastic or steel enclosure is composed of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case portion 200,
  • Both ends of the base constitute a first groove 110 to draw out the first conductor.
  • FIG. 1 is a housing showing an outline of a leak detection device, and constitutes a second hole 230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base part 100 and the case part 200 and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therei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FIG. 1 and configures the fourth hole 210 parallel to both ends so that two sensing lin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long both ends of the case part 200 of FIG.
  • the third groove 220 is configured to draw out the first conductor drawn out from the base part well.
  • the first conductor 140 is configured to conduct electricity, but the first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copper wire, but the end of the first conductor is configured to be a thick copper plate as shown in FIG. 4.
  • the copper plate is connected by soldering to the copper wire of the first conductor or by other connection method.
  • Copper plates which are ends of the first conduct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 the second conductor 150 is spaced apart in parallel from the disconnected portion
  • the leak det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disconnected portion of the first conductor so that the disconnected portion is shorted.
  • the first conductor is composed of a thick copper plate 140
  • the second conductor is composed of a thin copper plate 150.
  • the thin copper plate 150 pushed by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is configured to be shorted in contact with the thick copper plate 140.
  • the plastic or steel enclosure is constituted by means of placing the first conductor,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is composed of water-expanded rubber or water-expanded paper, but may include any material that expands if it contains water.
  • plastic or steel enclosure is composed of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case portion 200,
  • Both ends of the base constitute a first groove 110 to draw out the first conductor.
  • the case part 200 covers the base part 100 and forms a fourth groove 210 horizontally along both ends of the case part so that the first conductor 140 is connected to the sensing system.
  • the enclosure is a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cas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nd the four protrusions 240 at the end of the case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four holes 130 in the base portion.
  • a second hole 230 is formed in the case part and the base part, which ar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ousing, so that wate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 the water-expandable material expands when absorbing moisture, pushes out the copper plate which is the second conductor, and attaches to the disconnected first conductor.
  • Leakage detection system is constructed by disabling.
  • the butyl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 non-drying self-adhesive. It is made by extruding adhesive compound made based on butyl rubber and has excellent adhesion to almost all materials. In particular, unlike silicone, no drying time is required, and it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special tools.
  • the leak detection device attaches a release PE or PVC shee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and marks the cutting line every 5cm to 30cm so that the leak can flow into the leak detection device quickly through this cutting line.
  • the sheet is wrapped with strong adhesive butyl rubber on both sides of the sheet, and the sheet is protected by a sheet to protect the leak detector.
  • a butyl rubber pad is attached around the joint of the pipe.
  • the leak detec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tyl rubber pad, and the leak detection device is wrapped with a butyl sheet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 wrap anticorrosive tape After wrapping with butyl sheet, wrap anticorrosive tape twice to prevent corrosion and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s needed.
  • a plurality of leak detection devices are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leak monitoring system configured externally by the first conductor.
  • the leak detection device attached around the joint of the pipe is attached to the case of a small pipe, one or more leak detection device is attached to a large pipe.
  • 6 and 7 are views for attaching the leak detection device directly to the pipe and connecting the leak detection system.
  • FIG. 6 and 7 are shown to attach the leak detection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pipe 500 and the second pipe 600
  • Figure 6 shows the first conductor (310,320) leak detection device The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arrange
  • FIG. 7 shows that the first conductor 310 is integrally arranged in one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another first conductor 320.
  • the first conductor is connected to a leak detection system to detect whether a short is detected and to display a corresponding lo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leaks or leaks at low cost in the early stages of leaks or leaks by simply attaching a leak detection device without using a step complementary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by developing and attaching a low-cost and high-efficiency leak feeling market value, and thus can be used industri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전기를 도통하는 제1전도체가 구성되되, 상기 제1전도체가 서로 단선이 되어있는 상태로 이격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이 되어있는 부분에서 평행하게 이격하여 제2전도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2전도체에 이웃하여 수팽창재질을 삽입하여 상기 수팽창재질에 물이 유입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전도체를 밀어내어 상기 제1전도체에 단선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부분이 쇼트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관 특별히 지하에 매설된 관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8은 배경기술에 관한 것으로 출원인이 발명하여 등록받은 것으로 배경기술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누수감지장치는 시트형태로 구현되며,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다.
배경기술에 따른 누수감지장치는 베이스층, 케이스층, 누수감지선 그리고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베이스층과 케이스층은 누수감지장치의 외피를 이루며, 점착제층에 의해 지지된다. 점착제층은 부틸 등으로 구현되는 것으로서 누수감지장치를 지지하며, 평상시 외부의 물이나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의 한쌍의 누수감지선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한 쌍의 누수감지선을 이음부를 감싸도록 일직선으로 배치하여도 되나, 이럴 경우 이음부에 맞추어 정확히 시공하기 어렵고 누수확인도 어렵다.
따라서 작업자가 정밀시공을 하지 않더라고 누수확인을 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누수감지선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누수감지센서가 부착된 보호커버를 씌우거나 이음부에 단차보완재를 게재하여 단차를 보완해야 한다.
또한, 누수감지센서가 부착된 시트를 부착하는 것으로 대형관인 반경이 3000mm정도 되는 경우에는 보호커버의 내경의 길이는 무려 20m를 넘는다. 단차보완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작업의 늦어지거나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액체를 이송하는 배관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누수감지센서가 부착된 보호커버를 관이음부 전체에 씌우거나 단차보완재를 부착한 후에 누수감지시트를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대형관의 경우에는 반경이 3000mm이상 되는 경우도 있게 되는데 단차 보완재의 내경이 20m정도가 되고 보호커버의 경우에도 많은 비용과 작업상 곤란성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구성한다.
전기를 도통하는 제1전도체가 구성되되,
상기 제1전도체가 서로 단선이 되어있는 상태로 이격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이 되어있는 부분에서 평행하게 이격하여 제2전도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2전도체에 이웃하여 수팽창재질을 삽입하여 상기 수팽창재질에 물이 유입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전도체를 밀어내어
상기 제1전도체에 단선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부분이 쇼트되도록 누수감지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는 두꺼운 동판으로 제2전도체는 얇은 동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 및 상기 수팽창 재질을 재치하는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는 베이스부와 케이스부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양쪽단부는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1전도체가 감지시스템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양단부를 따라서 수평하게 제4홈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케이스부로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함체의 상하부인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베이스부에 홈이 구성되어 물이 용이하게 수팽창재질에 흡수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팽창재질은 수팽창고무 또는 수팽창 종이로 구성하되 물을 함유하면 팽창하는 재질은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장치를 유체가 흐르는 관에 부착하고 누수감지장치 상부에 부틸시트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누수감지시스템을 구축한다.
단차보완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하는 것으로 해결한다.
또다른 효과는 간단한 누수감시장치를 부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누수감지장치의 개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누수감지장치의 베이스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베이스부에 차단된 두꺼운 동판 및 얇은 동판과 수팽창재질인 수팽창고무를 삽입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누수감지장치의 케이스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누수감지장치를 관에 직접부착하여 누수감지시스템과 연결하는 것에 관한 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전기를 도통하는 제1전도체(140)가 구성되되, 제1전도체는 동선으로 연결하되 제1전도체의 끝단에는 도면4와 같이 두꺼운 동판으로 구성하도록 한다.
제1전도체의 동선에 땜질을 한다든지의 또는 기타의 연결 방법으로 동판을 연결한다.
상기 제1전도체의 끝단인 동판이 서로 단선이 되어있는 상태로 이격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이 되어있는 부분에서 평행하게 이격하여 제2전도체(150)를 구성하고,
상기 제2전도체(150)에 이웃하여 수팽창재질(160)을 삽입하여 상기 수팽창재질에 물이 유입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전도체(150)를 밀어내어
상기 제1전도체에 단선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부분이 쇼트되도록 누수감지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는 두꺼운 동판(140)으로 제2전도체는 얇은 동판(150)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하여 수팽창재질에 의하여 밀려진 얇은 동판(150)이 두껍게 구성된 동판(140)에 접촉되어 쇼트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 및 상기 수팽창 재질을 재치하는 수단으로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팽창재질은 수팽창고무 또는 수팽창종이로 구성하되 물을 함유하면 팽창하는 재질은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팽창고무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는 베이스부(100)와 케이스부(200)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양쪽단부는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110)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면을 따라서 하기와 같이 구성설명한다.
제1도는 누수감지장치의 개략을 보이는 함체로써 베이스부(100)와 케이스부(200)와 내부에 있는 수팽창재질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제2홀(230)을 구성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로써 제1도의 케이스부(200)의 양단부를 따라서 2개의 감지선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4홀(210)을 양단부에 평행하게 구성한다.
베이스부에서 인출된 제1전도체가 잘 인출되도록 제3홈(220)을 구성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전기를 도통하는 제1전도체(140)가 구성되되, 제1전도체는 동선으로 연결하되 제1전도체의 끝단에는 도면4와 같이 두꺼운 동판으로 구성하도록 한다.
제1전도체의 동선에 땜질을 한다든지의 또는 기타의 연결 방법으로 동판을 연결한다.
상기 제1전도체의 끝단인 동판이 서로 단선이 되어있는 상태로 이격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이 되어있는 부분에서 평행하게 이격하여 제2전도체(150)를 구성하고,
상기 제2전도체(150)에 이웃하여 수팽창재질(160)을 삽입하여 상기 수팽창재질에 물이 유입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전도체(150)를 밀어내어
상기 제1전도체에 단선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부분이 쇼트되도록 누수감지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는 두꺼운 동판(140)으로 제2전도체는 얇은 동판(150)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하여 수팽창재질에 의하여 밀려진 얇은 동판(150)이 두껍게 구성된 동판(140)에 접촉되어 쇼트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 및 상기 수팽창 재질을 재치하는 수단으로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팽창재질은 수팽창고무 또는 수팽창종이로 구성하되 물을 함유하면 팽창하는 재질은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팽창고무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는 베이스부(100)와 케이스부(200)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양쪽단부는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110)을 구성한다.
제5도는 케이스부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를 커버하고 상기 제1전도체(140)가 감지시스템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양단부를 따라서 수평하게 제4홈(210)을 구성한다.
함체는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구성으로, 케이스부의 단부에 있는 4개의 돌기(240)는 베이스부에 있는 4개의 홀(130)에 삽입하여 결합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의 상하부인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제2홀(230)을 구성하여 물이 용이하게 수팽창재질에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수팽창재질은 수분을 흡수하면 팽창하여 제2전도체인 동판을 밀어내어 단선된 제1전도체에 부착되므로 쇼트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한 누수감지장치를 유체가 흐르는 관의 이음부 주위에 점착성을 가지는 부틸을 먼저 부착한 후 점착성을 가지는 부틸시트가 부착된 누수감지장치 상부에 점착성을 가지는 부틸시트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누수감지시스템을 구축한다.
부틸(butyl) 재질의 점착제층은 불건조성의 자기점착성이다. 부틸 고무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점착성을 가진 컴파운드를 압출성형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거의 모든 재질에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실리콘과 달리 건조시간이 필요 없으며, 사용시 특별한 공구 없이 간단히 시공이 가능하다.
누수감지장치가 설치된 관이 땅속에 매설되기 때문에 결로가 생길 우려도 없으며, 결로가 생기더라도 부틸시트에 의하여 커버되어 수팽창재질에 습기가 침투되지 않는다.
누수감지장치가 신속하게 누수를 감지하기 위하여 관외면에 이형처리된 PE 또는 PVC 시트를 부착하고 이 시트 약 5cm 내지 30cm마다 절단선을 표시하여 누수발생시 이절단선을 통하여 누수감지장치에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 시트 양쪽에 강력한 접착력이 있는 부틸러버를 감싸 부착하고 이 위에 누수감지장치를 보호하는 시트를 부착하여 마감처리한다.
즉 누수감지장치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부틸고무패드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한다. 부틸고무패드의 상부에 누수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누수감지장치를 부틸시트로 감싸서 외부에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부틸시트로 감싼 후에 필요에 따라 부식방지 및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식테이프를 2회 감싼다.
대형관일 경우에는 다수개의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하여 제1전도체에 의하여 외부에 구성되어있는 누수감시시스템과 연결된다.
즉 상기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누수감지장치는 소형관일 경우 1개를 부착하고, 대형관일 경우 2개 이상의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한다.
제6도 및 제7도는 누수감지장치를 관에 직접부착하여 누수감지시스템과 연결하는 것에 관한 도이다.
제6도 및 7도는 본 발명의 누수감지장치(300)를 제1관(500)과 제2관(600)의 연결부에 부착하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제6도는 제1전도체(310,320)를 누수감지 장치 양면으로 인출하여 관과 평행하도록 제1전도체를 배치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7도는 제1전도체(310)를 일방향쪽으로 즉 또 다른 제1전도체(320)방향에서 통합하여 배치한 것을 보이는 것이다.
제1전도체는 누수감지시스템에 연결하여 쇼트여부를 검출하고 해당되는 개소의 표시를 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단차보완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하여 누수 또는 누유초기에 저렴한 비용으로 누수 또는 누유를 감지할 수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누수감지장치가 부착된 보호커버를 관 이음부 전체 둘레를 걸쳐 씌우는 고비용 저효율의 장치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저비용이면서 고효율의 누수감시장치를 개발하여 부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어서 산업상 이용가능한 것이다.

Claims (13)

  1. 전기를 도통하는 제1전도체가 구성되되,
    상기 제1전도체가 서로 단선이 되어있는 상태로 이격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이 되어있는 부분에서 평행하게 이격하여 제2전도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2전도체에 이웃하여 수팽창재질을 삽입하여 상기 수팽창재질이 물이 유입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전도체를 밀어내어 상기 제1전도체에 단선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부분이 쇼트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는 두꺼운 동판으로 제2전도체는 얇은 동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 및 상기 수팽창 재질을 재치하는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스틱 함체는 베이스부와 케이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쪽단부는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이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1전도체가 감지시스템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양단부를 따라서 수평하게 제4홈이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케이스부로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이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하부인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베이스부에 홈이 구성되어 물이 용이하게 수팽창재질에 흡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창재질은 수팽창고무 또는 수팽창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장치를 유체가 흐르는 관 이음부 주위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누수감지장치는 소형관일 경우 1개를 부착하고, 대형 관일 경우 2개 이상의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틸시트를 부착한 후 상기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하고 상기 누수감지장치 상부에 부틸시트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장치의 상부에 상기 부틸시트를 부착한 후 배관의 방식 및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식테이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PCT/KR2018/003838 2017-04-06 2018-04-02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WO201818663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915 2017-04-06
KR1020170044915A KR102052349B1 (ko) 2017-04-06 2017-04-06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633A1 true WO2018186633A1 (ko) 2018-10-11

Family

ID=6371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3838 WO2018186633A1 (ko) 2017-04-06 2018-04-02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2349B1 (ko)
WO (1) WO2018186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645B1 (ko) * 2020-12-30 2024-04-1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772A (ja) * 1998-03-18 1999-10-05 Yotsugi Kk 水道管の漏水検知装置
JP2006078389A (ja) * 2004-09-10 2006-03-23 Toyoko Kagaku Co Ltd 漏水検知装置
KR100908137B1 (ko) * 2007-12-21 2009-07-16 윤상조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1058141B1 (ko) * 2009-02-18 2011-08-24 윤대훈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JP2015152313A (ja) * 2014-02-10 2015-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漏水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0771B2 (ja) * 1998-01-12 2005-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用梱包ケース
KR20030087242A (ko) 2002-05-08 2003-11-14 이긍재 상하수도 누수감지장치
KR101431380B1 (ko) * 2013-05-02 2014-08-18 성주현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1690542B1 (ko) 2014-10-14 2016-12-29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장치, 그것의 제조방법, 그에 적합한 체결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772A (ja) * 1998-03-18 1999-10-05 Yotsugi Kk 水道管の漏水検知装置
JP2006078389A (ja) * 2004-09-10 2006-03-23 Toyoko Kagaku Co Ltd 漏水検知装置
KR100908137B1 (ko) * 2007-12-21 2009-07-16 윤상조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1058141B1 (ko) * 2009-02-18 2011-08-24 윤대훈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JP2015152313A (ja) * 2014-02-10 2015-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漏水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349B1 (ko) 2019-12-05
KR20180113400A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1039A (ko)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WO2018186633A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WO2011021882A2 (ko)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WO2017086568A1 (ko) 다중파이프 보호관
WO2016126015A1 (ko)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WO2014208906A1 (ko)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콤플레이트
WO2018105877A1 (ko)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WO2016108363A1 (ko) 맨홀 내부 무선 통신 장치
WO2012081840A2 (ko) 지하 관정 및 금속제 함체를 구비한 제어반과 원격 제어반을 포함한 설비의 스마트 접지 본딩공법
WO2015064807A1 (ko)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242001A1 (ko)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WO2015142043A1 (ko)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WO2014204037A1 (ko) 광전복합 커넥터
WO2014092371A1 (ko) 수밀구조를 갖는 파이프 이음구
WO2023277252A1 (ko) 침수 및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침수 및 누수 감지기능을 가지는 맨홀뚜껑
WO2016093384A1 (ko) 파이프 수밀용 패킹부재
WO2019112258A1 (ko) 케이블의 열화상태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WO2014208805A1 (ko) 열에너지용 배관 및 배관 시스템
WO2018062687A1 (ko) 매설된 가스배관 멀티측정장치
WO2023282430A1 (ko) 누설 검출장치
WO2019054578A1 (ko) 전선낙하 방지장치
CN216053991U (zh) 一种综合布线的光电复合缆
WO2020111703A1 (ko)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WO2017065337A1 (ko) 케이블 연결 보호장치
WO2020032539A1 (ko) 성상분리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812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812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