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400A -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400A
KR20180113400A KR1020170044915A KR20170044915A KR20180113400A KR 20180113400 A KR20180113400 A KR 20180113400A KR 1020170044915 A KR1020170044915 A KR 1020170044915A KR 20170044915 A KR20170044915 A KR 20170044915A KR 20180113400 A KR20180113400 A KR 20180113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ater
detection device
leak detection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349B1 (ko
Inventor
윤상조
윤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to KR102017004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349B1/ko
Priority to PCT/KR2018/003838 priority patent/WO2018186633A1/ko
Publication of KR2018011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G01M3/04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with electrical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전기를 도통하는 제1전도체가 구성되되,
상기 제1전도체가 서로 단선이 되어있는 상태로 이격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이 되어있는 부분에서 평행하게 이격하여 제2전도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2전도체에 이웃하여 수팽창재질을 삽입하여 상기 수팽창재질에 물이 유입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전도체를 밀어내어
상기 제1전도체에 단선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부분이 쇼트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system for detecting leakage the same}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관 특별히 지하에 매설된 관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8은 배경기술에 관한 것으로 출원인이 발명하여 등록받은 것으로 선행특허문헌에 대한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누수감지장치는 시트형태로 구현되며,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장치는 베이스층, 케이스층, 누수감지선 그리고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베이스층과 케이스층은 누수감지장치의 외피를 이루며, 점착제층에 의해 지지된다. 점착제층은 부틸 등으로 구현되는 것으로서 누수감지장치를 지지하며, 평상시 외부의 물이나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의 한쌍의 누수감지선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한 쌍의 누수감지선을 이음부를 감싸도록 일직선으로 배치하여도 되나, 이럴 경우 이음부에 맞추어 정확히 시공하기 어렵고 누수확인도 어렵다.
따라서 작업자가 정밀시공을 하지 않더라고 누수확인을 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누수감지선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누수감지센서가 부착된 보호커버를 씌우거나 이음부에 단차보완재를 게재하여 단차를 보완하고 누수감지센서가 부착된 시트를 부착하는 것으로 대형관의 경우에는 3000mm정도되는 경우에는 보호커버의 내경의 길이는 무려 20m를 넘는다. 단차보완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작업의 늦어지거나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1.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 10-2016-0043780( 2016년04월22일) 2.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 특2003-0087242 (2003년11월14일)
액체를 이송하는 배관의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누수감지센서가 부착된 보호커버를 관이음부 전체에 씌우거나 단차보완재를 부착한 후에 누수감지시트를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대형관의 경우에는 3000mm이상되는 경우도 있게 되는데 단차보완재의 내경이 20m정도가 되고 보호커버의 경우에도 많은 비용과 작업상 곤란성을 겪게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구성한다.
전기를 도통하는 제1전도체가 구성되되,
상기 제1전도체가 서로 단선이 되어있는 상태로 이격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이 되어있는 부분에서 평행하게 이격하여 제2전도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2전도체에 이웃하여 수팽창재질을 삽입하여 상기 수팽창재질에 물이 유입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전도체를 밀어내어
상기 제1전도체에 단선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부분이 쇼트되도록 누수감지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는 두꺼운 동판으로 제2전도체는 얇은 동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 및 상기 수팽창 재질을 재치하는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는 베이스부와 케이스부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양쪽단부는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1전도체가 감지시스템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양단부를 따라서 수평하게 제4홈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케이스부로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함체의 상하부인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베이스부에 홈이 구성되어 물이 용이하게 수팽창재질에 흡수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팽창재질은 수팽창고무 또는 수팽창종이로 구성하되 물을 함유하면 팽창하는 재질은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장치를 유체가 흐르는 관에 부착하고 누수감지장치 상부에 부틸시트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누수감지시스템을 구축한다.
단차보완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하는 것으로 해결한다.
또다른 효과는 누수감지센서가 부착된 보호커버를 관의이음부 전체 둘레를 걸쳐 씌우는 것으로 부터 간단한 누수감시장치를 부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누수감지장치의 개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누수감지장치의 베이스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베이스부에 차단된 두꺼운 동판 및 얇은 동판과 수팽창재질인 수팽창고무를 삽입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누수감지장치의 케이스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누수감지장치를 관에 직접부착하여 누수감지시스템과 연결하는 것에 관한 도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면을 따라서 하기와 같이 구성설명한다.
제1도는 누수감지장치의 개략을 보이는 함체로써 베이스부(100)와 케이스부(200)와 내부에 있는 수팽창재질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제2홀(230)을 구성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로써 제1도의 케이스부(200)의 양단부를 따라서 2개의 감지선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4홀(210)을 양단부에 평행하게 구성한다.
베이스에서 인출된 제1전도체가 잘 인출되도록 제3홈(220)을 구성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전기를 도통하는 제1전도체(140)가 구성되되, 제1전도체는 동선으로 연결하되 제1전도체의 끝단에는 도면4와 같이 두꺼운 동판으로 구성하도록 한다.
제1전도체의 동선에 땜질을 한다든지의 또는 기타의 연결 방법으로 동판을 연결한다.
상기 제1전도체의 끝단인 동판이 서로 단선이 되어있는 상태로 이격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이 되어있는 부분에서 평행하게 이격하여 제2전도체(150)를 구성하고,
상기 제2전도체(150)에 이웃하여 수팽창재질(160)을 삽입하여 상기 수팽창재질에 물이 유입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전도체(150)를 밀어내어
상기 제1전도체에 단선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부분이 쇼트되도록 누수감지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는 두꺼운 동판(140)으로 제2전도체는 얇은 동판(150)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하여 수팽창재질에 의하여 밀려진 얇은 동판(150)이 두껍게 구성된 동판(140)에 접촉되어 쇼트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 및 상기 수팽창 재질을 재치하는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8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팽창재질은 수팽창고무 또는 수팽창종이로 구성하되 물을 함유하면 팽창하는 재질은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팽창고무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800)는 베이스부(100)와 케이스부(200)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양쪽단부는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110)을 구성한다.
제5도는 케이스부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를 커버하고 상기 제1전도체(140)가 감지시스템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양단부를 따라서 수평하게 제4홈(210)을 구성한다.
함체는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구성으로, 케이스부의 단부에 있는 4개의 돌기(240)는 베이스부에 있는 4개의 홀(130)에 삽입하여 결합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의 상하부인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베이스부에 제2홀(230)을 구성하여 물이 용이하게 수팽창재질에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수팽창재질은 수분을 흡수하면 팽창하여 제2전도체인 동판을 밀어내어 단선된 제1전도체에 부착되므로 쇼트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한 누수감지장치를 유체가 흐르는 관의 이음부 주위에 점착성을 가지는 부틸을 먼저 부착한 후 점착성을 가지는 부틸시트가 부착된 누수감지장치 상부에 점착성을 가지는 부틸시트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누수감지시스템을 구축한다.
부틸(butyl) 재질의 점착제층(104)은 불건조성의 자기점착성이다. 부틸 고무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점착성을 가진 컴파운드를 압출성형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거의 모든 재질에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실리콘과 달리 건조시간이 필요 없으며, 사용시 특별한 공구 없이 간단히 시공이 가능하다.
누수감지장치가 설치된 관이 땅속에 매설되기 때문에 결로가 생길 우려도 없으며, 결로가 생기더라도 부틸시트에 의하여 커버되어 수팽창재질에 습기가 침투되지 않는다.
누수감지장치가 신속하게 누수를 감지하기 위하여 관외면에 이형처리된 PE 또는 PVC 시트를 부착하고 이 시트 약 5cm 내지 30cm마다 절단선을 표시하여 누수발생시 이절단선을 통하여 누수감지장치에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 시트 양쪽에 강력한 접착력이 있는 부틸러버를 감싸 부착하고 이위에 누수감지장치를 보호하는 시트를 부착하여 마감처리한다.
즉 누수감지장치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부틸고무패드를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한다. 부틸고무패드의 상부에 누수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누수감지장치를 부틸시트로 감싸서 외부에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부틸시트로 감싼 후에 필요에 따라 부식방지 및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식테이프를 2회 감싼다.
대형관일 경우에는 다수개의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하여 제1전도체에 의하여 외부에 구성되어있는 누수감시시스템과 연결된다.
즉 상기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누수감지장치는 소형관일 경우 1개를 부착하고, 대형관일 경우 2개 이상의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한다.
100: 베이스부 110: 제1홈 120:재2홈 130: 제1홀 140: 제1전도체
150: 제2전도체 160: 수팽창재질
200: 케이스부 210: 제4홈 220: 제3홈 230: 제2홀 240: 결합돌기
300: 누수감지장치 310,320,400:제1전도체
500: 제1관 600: 제2관 700: 누수감지시스템 800: 함체

Claims (13)

  1. 전기를 도통하는 제1전도체가 구성되되,
    상기 제1전도체가 서로 단선이 되어있는 상태로 이격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이 되어있는 부분에서 평행하게 이격하여 제2전도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2전도체에 이웃하여 수팽창재질을 삽입하여 상기 수팽창재질이 물이 유입될 때에 부피가 팽창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전도체를 밀어내어
    상기 제1전도체에 단선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부분이 쇼트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는 두꺼운 동판으로 제2전도체는 얇은 동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 및 상기 수팽창 재질을 재치하는 프라스틱 또는 철재 함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스틱 함체는 베이스부와 케이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쪽단부는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이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1전도체가 감지시스템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양단부를 따라서 수평하게 제4홈이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케이스부로 상기 제1전도체가 인출되도록 제1홈이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하부인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베이스부에 홈이 구성되어 물이 용이하게 수팽창재질에 흡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창재질은 수팽창고무 또는 수팽창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장치를 유체가 흐르는 관 이음부 주위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착하는 누수감지장치는 소형관일 경우 1개를 부착하고, 대형 관일 경우 2개 이상의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이음부 주위에 부틸시트를 부착한 후 상기 누수감지장치를 부착하고 상기 누수감지장치 상부에 부틸시트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장치의 상부에 상기 부틸시트를 부착한 후 배관의 방식(防蝕)및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식테이프를 2회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스템.


KR1020170044915A 2017-04-06 2017-04-06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2052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915A KR102052349B1 (ko) 2017-04-06 2017-04-06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PCT/KR2018/003838 WO2018186633A1 (ko) 2017-04-06 2018-04-02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915A KR102052349B1 (ko) 2017-04-06 2017-04-06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400A true KR20180113400A (ko) 2018-10-16
KR102052349B1 KR102052349B1 (ko) 2019-12-05

Family

ID=6371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915A KR102052349B1 (ko) 2017-04-06 2017-04-06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2349B1 (ko)
WO (1) WO20181866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52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942A (ja) * 1998-01-12 1999-07-27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用梱包ケース
KR20030087242A (ko) 2002-05-08 2003-11-14 이긍재 상하수도 누수감지장치
JP2006078389A (ja) * 2004-09-10 2006-03-23 Toyoko Kagaku Co Ltd 漏水検知装置
KR100908137B1 (ko) * 2007-12-21 2009-07-16 윤상조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1431380B1 (ko) * 2013-05-02 2014-08-18 성주현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20160043780A (ko)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장치, 그것의 제조방법, 그에 적합한 체결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772A (ja) * 1998-03-18 1999-10-05 Yotsugi Kk 水道管の漏水検知装置
KR101058141B1 (ko) * 2009-02-18 2011-08-24 윤대훈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JP6413252B2 (ja) * 2014-02-10 2018-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漏水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942A (ja) * 1998-01-12 1999-07-27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用梱包ケース
KR20030087242A (ko) 2002-05-08 2003-11-14 이긍재 상하수도 누수감지장치
JP2006078389A (ja) * 2004-09-10 2006-03-23 Toyoko Kagaku Co Ltd 漏水検知装置
KR100908137B1 (ko) * 2007-12-21 2009-07-16 윤상조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1431380B1 (ko) * 2013-05-02 2014-08-18 성주현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20160043780A (ko)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장치, 그것의 제조방법, 그에 적합한 체결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52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633A1 (ko) 2018-10-11
KR102052349B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2235B2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leaks in components conducting liquids and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US8971673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BR112018008814B1 (pt) Método de monitoramento de integridade em tempo real de tubos terrestres
KR101298996B1 (ko)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100908137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WO2014195756A1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2247905B1 (ko) 발열기능을 갖는 누설감지장치
KR20110053704A (ko)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KR20190092107A (ko)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1690542B1 (ko) 누수감지장치, 그것의 제조방법, 그에 적합한 체결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1479177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US8653971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120128477A (ko)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
KR101341898B1 (ko) 유류탱크의 수평천공형 누유감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80113400A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2120724B1 (ko)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1216384B1 (ko)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KR101567748B1 (ko) 매설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관
NO20101154A1 (no)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overvaking av lekkasjer
KR101411281B1 (ko) 탐지용 파이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39490A (ko)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KR20170128959A (ko)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JP6943775B2 (ja) 二重配管構造および二重配管施工方法
JPS58221143A (ja) 断熱管路の漏洩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