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384B1 -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 Google Patents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384B1
KR101216384B1 KR1020100080660A KR20100080660A KR101216384B1 KR 101216384 B1 KR101216384 B1 KR 101216384B1 KR 1020100080660 A KR1020100080660 A KR 1020100080660A KR 20100080660 A KR20100080660 A KR 20100080660A KR 101216384 B1 KR101216384 B1 KR 10121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evice
base layer
leakage
leak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199A (ko
Inventor
유홍근
Original Assignee
유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홍근 filed Critical 유홍근
Priority to PCT/KR2010/00552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21882A2/ko
Publication of KR2011002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with a single sl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형태로 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를 배관에 설치하여 정확한 누설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설치가 편리하고 저렴하게 유체의 누설여부를 감지하여 즉각적인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를 갖는 배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체가 흐르는 관의 외측으로 스파이럴 형태로 감싸면서 위치하거나 또는 관의 길이방향 외측에 직선형태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가 설치되고, 그 외측으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는,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줄 이상의 도전라인;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Pipe, leak/cut-off sens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송수관 등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 장착되어 외측으로 누설되는 유체를 감지함은 물론, 배관의 절단을 감지하기 위한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에 관한 것이다.
스팀관, 송수관, 가스관 등 원격지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또는 전력배관들은 지하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짧게는 수백미터에서 길게는 수십킬로미터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들은 부식, 외부로부터의 충격, 온도에 따라 수축 및 팽창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내부에 흐르는 스팀, 물 등이 외부로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스팀이나 물 등이 누설되는 경우 지반을 약화시켜 붕괴사고까지 발생하며, 상수관의 경우 상수 오염까지 발생하므로 누설 사고는 엄격히 관리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체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지하에 매설된 관체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누설이 예측되는 위치를 일일이 파헤쳐 확인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짧게는 수백미터에서 길게는 수킬로미터의 구간을 파헤쳐야 하므로 복구를 위한 공사시간이 매우 길고,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부담이 뒤따른다.
지상에 노출된 경우에도 감독자가 누설되는 위치를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므로 이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즉각적인 복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테이프 형태로 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를 배관에 설치하여 정확한 누설 위치 및 절단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설치가 편리하고 저렴하게 유체의 누설 및 배관의 절단여부를 감지하여 즉각적인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외관의 내측으로 내관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삽입되며,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보온을 위한 충진재가 구비된 이중 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외측벽 또는 외관의 내측벽 또는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상기 이중 보온관의 길이방향으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는,
테이프 형태로 되고,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의 도전라인;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형태의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를 배관에 설치함으로써 장거리의 배관에서도 누수 여부는 물론 그 위치까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테이프 형태의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는 배관에 부착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의 편리성을 가짐과 아울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력 또는 내부 압력에 의한 배관의 절단시 누수 감지 장치의 절단이 발생하므로 배관의 절단까지 감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관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외관도.
도6은 도5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외관도.
도8은 도7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10과 도11은 본 발명의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
도12는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의 설치 예를 보인 도.
도13은 본 발명의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보인 도.
도14는 제어기의 회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를 갖는 배관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냉열 또는 온열을 가진 유체를 보온하기 위한 이중 보온관(1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강관, 스테인레스관, 동관, PE, PVC 등의 재질로 된 내관(120)이 외관(110)이 내측에 삽입되는데, 이때 내관(120)과 외관(110)은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된다.
외관(110)은 지하에 매설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때 내관(120)을 보호하기 위한 관으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관, 알루미늄 또는 강관, 또는 PE, PVC 등의 합성수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관(110)과 내관(120) 사이의 공간에는 내관(12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보온하기 위하여 경화 폴리우레탄(Rigid Polyurethane) 등의 보온재(120)가 충진된다.
이때 보온재(130)가 충진되기 전에 외관(110)의 내측벽면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누수 감지를 위한 테이프 형태의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는 내관(120)의 외측벽면 또는 외관(110)과 내관(120) 사이의 공간 즉, 보온재(13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데, 절연성을 갖는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 베이스층(2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줄의 도전라인(211,212)이 등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전라인(211,212)은 구리, 금, 은, 기타 전도성 금속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전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로 되어 베이스층(210)에 인쇄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전라인(211,212)은 단위면적당 균일한 저항을 가지게 형성됨으로써 누수 발생시에 도전라인(211,212)이 누설된 물에 의해 서로 쇼트되는 경우 그 저항값의 크기를 읽어들여 누수가 발생된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전라인(211,211)은 별도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외부의 컨트롤러와 접속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층(210)의 하부에는 접착제층(220)이 더 구비되어 외관(110)의 내측벽면이나 내관(120)의 외측벽면에 쉽게 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설치의 편리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외관(110)의 내측벽면이나 또는 내관(120)의 외측벽면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접착제층(220)에 의해 부착한 다음 외관(110)의 내측으로 내관을 삽입시키고, 이후 보온재(130)를 충진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동작과정은 내관(120)으로부터 유체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보온재(130)로 스며들어 확산되며, 그 확산된 유체에 의해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도전 라인(211,212)이 서로 쇼트되어 해당위치에서 저항치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저항치의 변화를 컨트롤러에서 파악하여 누수 발생 여부와 누수 발생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경보를 발생하고, 관리자가 이를 즉각 확인하여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외관(110) 또는 내관(120)이 외력 또는 내부압력에 의하여 절단시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절단이 수반되므로, 신호의 단절을 감지하여 배관 즉 외관(110) 또는 내관(120)의 절단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외관(310)과 내관(320)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바 형태의 스페이서(330)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설치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보통 외관(310)과 내관(320)의 사이 공간에 일정길이를 갖는 스페이서(330)를 복수개 설치하고, 이렇게 복수개 설치된 스페이서(330)들이 관체의 길이방향으로 또한 일정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외관(310)과 내관(320)이 등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스페이서(330)에는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관통되어 삽입될 만큼의 삽입홀(331)이 형성되는데, 삽입홀(331)과 같이 외관(310)과 내관(320) 사이에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모로 세워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삽입홀(332)과 같이 내관(320)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삽입홀(332)에 장착되는 경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는 도전라인(211,212)이 형성된 부위가 내관(320)을 향해 설치되어야 내관(320)으로부터 누설 여부를 빠르고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며, 접착제층(220)은 굳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설치되면, 이후 보온재(340)를 충진하여 설치가 완료된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이중 보온관의 내관 또는 이중 보온관이 아닌 일반관의 외측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스파이럴 형태로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감지하는 구조로서, 관체(400)의 외측에 접착제층(410)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스파이럴 형태로 부착되는데, 도전 라인(211,212)이 형성된 면이 관체(400)의 외면과 접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는 관체(400)의 외측에 스파이럴 형태로 부착될 때 회전간격(d)이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부착되어야 하며, 이는 유체의 누설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함이다.
즉, 스파이럴 형태로 감기면서 부착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는 그 길이가 실제 관체(400)의 길이와 다르게 훨씬 길게 되므로, 회전간격(d)이 등간격을 유지하는 경우 이를 컨트롤러에서 계산하여 관체(400)의 누설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접착제층(220)은 굳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외측으로는 관체(400)와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보호하기 위하여 PE 필름 재질로 된 코팅층(420)이 형성된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관체(400)의 외측에 형성된 접착제층(410)의 외측으로 부직포, 스폰지 등으로 된 흡수성을 갖는 액체흡착층(411)을 형성하고, 그 액체흡착층(411)의 외측으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스파이럴 형태로 감은 다음, 그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외측에 코팅층(420)을 형성함으로써 관체(400)로부터 누수된 물이 액체흡착층(411)에 의해 신속히 흡수되어 넓은 면적으로 확산되도록 하여 누수의 감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관체(400)의 절단시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절단이 수반되므로, 신호의 단절을 감지하여 관체(400)의 절단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7과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관체(5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부착되는데, 이때 도전 라인(211,212)이 형성된 면이 관체(500)의 외면과 접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완전히 감싸도록 외측으로는 PE 재질로 된 코팅층(510)이 형성되는데, 이때 코팅층(510)은 관체(50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 부위만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측과 측면부위를 코팅층(510)으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관체(500)의 외측에 부직포, 스폰지 등으로 된 액체흠착층을 감싼 다음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부착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누수 감지를 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PE재질로 된 관체(700)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중간층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로서, PE재질의 관체로 된 제1층(710)의 외측으로 압력 및 외력에 대한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와이어 매쉬층(720)이 형성되며, 그 외측으로 PE재질로 제2층(730)이 형성된다.
제2층(730)의 외측으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스파이럴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부착되며, 그 외측으로 PE재질로 된 제3층(740)이 형성됨으로써 관체(700)의 중간층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서 적용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다른 형태를 보인 폭방향의 단면도로서, 도3에서 보인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는 도전 라인(211,212)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필름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름재질로 코팅이 된 관의 외측면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도전 라인(211,212)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경우 필름재질이 맞닿아 미끄러짐이 발생하므로 스파이럴 형태로 감을 때 등간격을 유지하기 어렵고, 또한 관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할 때도 직선의 형태로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도10에서와 같이 베이스층(210)의 상부면에 도전 라인(211,212)이 나란히 형성된 상태에서, 도전 라인(211,212)이 형성되지 않는 부위에 핫 멜트 등으로 된 상부 접착제층(230)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부 접착제층(230)은 관의 외측과 관을 감싸고 코팅된 보호필름의 사이에서 열압착에 의해 부착이 용이하므로, 관의 외측에 스파이럴로 감거나 길이방향으로 직선으로 설치할 때 테이프 형태의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상부 접착제층(230)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의 외측에 스파이럴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이러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설치한 다음 PE 재질의 필름으로 그 외측을 감아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누설유체 감지는 물론 배관 절단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층(210) 상부면에 도전라인(211,212)이 인쇄하지 않고, 그 위치에 구리도선을 나란히 위치시킨 다음 구리도선이 놓이지 않은 부위에 핫 멜트 등으로 된 상부 접착제층(23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구리도선은 상측부위는 상부 접착제층(230)으로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부 접착제층(230)은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관의 외측에 부착시킴은 물론, 구리도선을 베이스층(2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11은 본 발명에서 적용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또 다른 형태를 보인 폭 방향의 단면도로서, 베이스층(210)의 하부에 구리도선(241,242)을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하고, 핫 멜트 등으로 된 하부 접착제층(250)을 형성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구리도선(241,242)의 일부가 하부 접착제층(25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베이스층(210)의 상부에 형성된 도전 라인(211,212)과 상부 접착제층(230)이 동시에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베이스층(210)에 한 쌍의 구리선(241,242)과 하부 접착제층(250)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베이스층(210)의 상부에 도전 라인(211,212)과 상부 접착제층(230)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 접착제층(250)에 의해 관의 외측에 부착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상부 접착제층(230)과 하부 접착제층(250)이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 관의 외측과 필름 재질로 된 코팅층 사이에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삽입됨으로써 관의 외측에 코팅층이 형성될 때 접착성능을 높여 코팅층이 관의 외측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감기도록 하며, 굳이 관의 외측에 접착제층을 도포하지 않아도 되어 공정이 줄어들게 된다.
즉, 관의 외측과 코팅층 사이에 본 발명의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삽입시킨 다음 열압착을 하는 경우 핫 멜트 등으로 된 하부 접착제층(250)이 녹아서 코팅층과 부착되어 접착력을 가짐과 아울러 누설 및 절단감지까지 할 수 있는 것이다.
구리도선(241,242)을 베이스층(210)에 형성하는 이유는 굳이 도전 라인(211,212)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누설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전 라인(211,212)과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 누설은 물론 관의 절단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관이 절단되면 구리도선(241,242)도 절단되어 신호의 단절이 발생하므로 제어기에는 이를 감지하여 관의 파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12는 도10에 도시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관(600)의 외측에 설치된 예를 보인 도로서, 도전 라인(211,212)이 형성된 베이스층(210)의 면이 관(600)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부 접착제층(230)에 의해 고정되고, 그 상부에 코팅층(610)이 형성되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즉,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관(600)의 외측과 코팅층(610) 사이에 삽입된 다음 열압착에 의해 고정된 형태이다.
또한, 도11에서와 같이 구리 도선(241,242)이 베이스층(210)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측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코팅층(610)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또 다른 형태를 보인 폭 방향의 단면도로서, 베이스층(210)의 하부에 핫 멜트 등으로 된 하부 접착제층(250)이 도포되어 있고, 상부에는 인쇄방식에 의한 한 쌍의 도전 라인(211,2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 라인(211,212)이 형성되지 않는 부위에 핫 멜트 등으로 도포된 상부 접착제층(2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도전 라인(211,212)의 측부로는 박판 형태의 한 쌍의 구리도선(243,244)이 베이스층(210)의 길이방향으로 스트립 형태로 나란히 놓이게 되는데, 이때 구리도선(243,244)은 핫 멜트 등으로 된 상부 접착제층(230)의 상부표면에 놓이게 된다.
즉, 구리도선(243,244)은 핫 멜트로 도포된 상부 접착제층(230)의 상부표면에 위치하고, 약간의 가압력에 의해 구리도선(243,244)이 핫 멜트로 된 상부 접착제층(230)에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이후 도12에서와 같이 관(600)의 외측과 코팅층(610) 사이에 삽입된 다음 열압착이 행해지면, 상부접착제층(230)과 하부접착제층(250)이 녹아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가 관(600)과 코팅층(610) 사이에서 고정되어 부착되며, 이와 동시에 구리도선(243,244)의 하부면이 상부 접착제층(230)에 견고히 부착된다.
베이스층(210)의 상부면 즉, 도전 라인(211,212)과 구리도선(243,244)이 형성된 면은 관(600)쪽으로 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전라인(211,212) 및 구리도선(243,244)에 의하여 누수를 감지하게 되며, 구리도선(243,244)에 의해 관(600)의 절단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적용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절연성을 갖는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된 긴 테이프 형태의 베이스층(210)의 상부면에 도전성 잉크로 스트립 형태의 도전라인(211,212)을 적어도 2줄 이상 등간격으로 형성하며, 베이스층(210)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핫 멜트 등의 상부 접착제층(230)을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후, 상부 접착제층(230)이 형성된 베이스층(210)의 상부면에 도전라인(211,212)과 나란히 박판형태로 된 한 쌍의 구리도선(243,244)을 부착하여 제조가 완성된다.
즉, 구리도선(243,244)은 상부 접착체층(23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도14는 상기에서 설명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이용하여 누수 및 관의 절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어기(600)의 회로 블럭을 보인 도로서, 컨트롤러(710)는 도전 라인(211,212)과 구리도선(241,242)(243,244)에 펄스형태의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입력받게 되는데, 구리도선(241,242)(243,244)의 말단은 서로 연결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리도선(241,242)(243,244)으로 출력된 감지신호는 정상적으로 콘트롤러(710)로 입력될 것이다.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도전 라인(211,212)이 쇼트되거나 또는 구리도선(241,242)(243,244)의 저항값이 변화되므로 이를 통해 누수의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도전라인(211,212)의 저항값 또는 구리도선(241,242)(243,244)의 저항변화값을 컨트롤러(710)에 인가받아 누수발생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즉, 데이터 저장부(720)에는 도전라인(211,212)과 구리도선(241,242)(243,244)의 저항값에 따른 거리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으므로, 컨트롤러(710)는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저항값과 데이터 저장부(720)에 저장된 저항값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저항값에 해당하는 거리값을 읽어들여 표시하거나 또는 송신부(730)를 통해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게 된다.
관의 절단이 발생한 경우 테이프 형태의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도 절단이 발생되므로, 구리도선(241,242)(243,244)에 인가되는 펄스의 반사신호를 콘트롤러(710)에서 인가받아 그 절단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즉, 펄스 신호가 구리도선(241,242)(243,244)으로 입력되는 시간과, 그 입력된 펄스가 절단부위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시간에 해당하는 거리정보를 데이터 저장부(720)로부터 읽어들여 표시하거나 송신부(730)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데이터 저장부(720)에는 펄스의 반사시간에 따른 거리정보도 저장되어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테이프 형태의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200)를 관체에 부착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관으로부터의 누수 및 절단 부위까지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110,310 : 내관 120,320 : 외관
130 : 보온재
200 :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
210 : 베이스층 211,212 : 도전 라인
220 : 접착제층
230 : 상부접착제층
241,242,243,244 : 구리 도선
250 : 하부 접착제층
330 : 스페이서 331,332 : 삽입홀
600 : 관 610 : 코팅층
710 : 제1층 720 : 와이어 매쉬층
730 : 제2층 740 : 제3층

Claims (14)

  1. 삭제
  2. 외관의 내측으로 내관이 복수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삽입되며,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보온을 위한 충진재가 구비된 이중 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가 상기 이중 보온관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는,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줄 이상의 도전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를 갖는 배관.
  3. 삭제
  4. 삭제
  5. 유체가 흐르는 관의 외측으로 스파이럴 형태로 감싸면서 위치하거나 또는 관의 길이방향 외측에 직선형태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가 설치되고, 그 외측으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는,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줄 이상의 도전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라인이 형성된 베이스층의 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를 갖는 배관.
  6. 유체가 흐르는 관의 외측으로 스파이럴 형태로 감싸면서 위치하거나 또는 관의 길이방향 외측에 직선형태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가 설치되고, 그 외측으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는,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줄 이상의 도전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나란히 한 쌍의 구리 도선이 배치되고, 접착제층에 의해 구리 도선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를 갖는 배관.
  7. 유체가 흐르는 관의 외측으로 스파이럴 형태로 감싸면서 위치하거나 또는 관의 길이방향 외측에 직선형태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가 설치되고, 그 외측으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는,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줄 이상의 도전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도전라인과 나란히 한 쌍의 구리 도선이 배치되고, 접착제층에 의해 구리 도선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를 갖는 배관.
  8.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줄 이상의 도전라인;
    상기 도전라인이 형성된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상부 접착제층;
    상기 상부 접착제층의 상부 표면에 도전라인과 나란히 부착되는 한 쌍의 구리도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베이스층의 하부면에는 하부 접착제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접착제층 또는 하부 접착제층은 핫 멜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11. 절연재질로 된 긴 테이프 형태의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도전성 잉크로 스트립 형태의 도전라인을 적어도 2줄 이상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단계;
    도전라인이 형성된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상부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부 접착제층의 상부면에 상기 도전라인과 나란히 한 쌍의 구리도선을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유체가 흐르는 제1관의 외측으로 와이어 매시층이 형성되고, 외이어 매시층의 외측으로 제2관이 형성되며, 제2관의 외측면으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가 설치됨과 아울러 제2관의 외측으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는,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줄 이상의 도전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나란히 한 쌍의 구리 도선이 배치되고, 접착제층에 의해 구리 도선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를 갖는 배관.
  14. 유체가 흐르는 제1관의 외측으로 와이어 매시층이 형성되고, 외이어 매시층의 외측으로 제2관이 형성되며, 제2관의 외측면으로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가 설치됨과 아울러 제2관의 외측으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누설 및 절단 감지 장치는,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2줄 이상의 도전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면에 도전라인과 나란히 한 쌍의 구리 도선이 배치되고, 접착제층에 의해 구리 도선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를 갖는 배관.
KR1020100080660A 2009-08-21 2010-08-20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KR10121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5526 WO2011021882A2 (ko) 2009-08-21 2010-08-20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7714 2009-08-21
KR1020090077714 2009-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199A KR20110020199A (ko) 2011-03-02
KR101216384B1 true KR101216384B1 (ko) 2013-01-02

Family

ID=4392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660A KR101216384B1 (ko) 2009-08-21 2010-08-20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228B1 (ko) * 2023-09-01 2024-03-05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광센서가 내장된 피복 강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79Y1 (ko) * 2012-02-29 2013-07-29 (주)일진에너지 누설 감지 장치
KR101898447B1 (ko) * 2016-05-16 2018-09-13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KR102009968B1 (ko) * 2018-08-06 2019-08-12 아머스 주식회사 성상분리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346A (ja) * 1993-10-22 1995-05-12 Furoueru:Kk 吸水検知シート
JP2001221379A (ja) * 2000-02-07 2001-08-17 Tokai Rubber Ind Ltd 二酸化炭素冷媒輸送用ホース
KR20090047274A (ko) * 2007-11-07 2009-05-12 한국전기연구원 배관, 배관의 누수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동작방법
KR100909242B1 (ko) * 2008-04-24 2009-07-27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346A (ja) * 1993-10-22 1995-05-12 Furoueru:Kk 吸水検知シート
JP2001221379A (ja) * 2000-02-07 2001-08-17 Tokai Rubber Ind Ltd 二酸化炭素冷媒輸送用ホース
KR20090047274A (ko) * 2007-11-07 2009-05-12 한국전기연구원 배관, 배관의 누수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동작방법
KR100909242B1 (ko) * 2008-04-24 2009-07-27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228B1 (ko) * 2023-09-01 2024-03-05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광센서가 내장된 피복 강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199A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145B2 (en) Real time integrity monitoring of on-shore pipes
US8971673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CA2987127C (en) Pipe assembly
US881026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nsing corrosion under insulation (CUI)
EP0424120A2 (en) Borehole pressure and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KR101216384B1 (ko)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WO2014195756A1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BR122022005676B1 (pt) Método de detecção de defeitos
BR112016009632B1 (pt) Equipamento de duto e método de detecção de defeitos no interior de um corpo de tubo flexível através do dito equipamento de duto
KR20110053704A (ko)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WO2011021882A2 (ko)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US8653971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0933063B1 (ko) 누수감지관
KR20120128477A (ko)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
KR101341898B1 (ko) 유류탱크의 수평천공형 누유감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567748B1 (ko) 매설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관
KR101331014B1 (ko) 유전상수 및 온도의 측정을 이용한 깊이별 하천 제방의 누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898447B1 (ko)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KR100919789B1 (ko)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파악이 용이한 감지관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KR102052349B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CA2833056C (en) Fiber optic splice protector for harsh environments
KR20110137862A (ko) 누수 및 절단 감지센서의 제조방법
JPS58221143A (ja) 断熱管路の漏洩検知装置
KR200472545Y1 (ko) 누유 및 수위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