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447B1 -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447B1
KR101898447B1 KR1020160059722A KR20160059722A KR101898447B1 KR 101898447 B1 KR101898447 B1 KR 101898447B1 KR 1020160059722 A KR1020160059722 A KR 1020160059722A KR 20160059722 A KR20160059722 A KR 20160059722A KR 101898447 B1 KR101898447 B1 KR 10189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heet
water
leakage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959A (ko
Inventor
윤상조
윤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to KR102016005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44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9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breakdown voltage
    • G01R31/02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도전성을 갖는 물체 ;
수분에 의하여 분해되는 재질;
상기 도전성을 갖는 물체를 감싸는 상기 재질;
상기 재질의 일방을 점착성이 있는 테이프로 부착하고,
상기 테이프의 상부에 상기 테이프보다 강한 점착성이 있는 제1시트를 부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트.

Description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Sheet for detecting leakage and it's device thereof}
기존 조인트 등 매커니컬방식의 이음부 누수를 감지하기 위해 고가의 보호커버와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매커니컬조인트를 사용하지 않고 용접 또는 융착으로 직접 접합하거나, PVC관 또는 GRP관과 같이 연결기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배관재의 이음부 누수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매설관은 이음부가 가장 취약하여 가정 먼저 문제가 발생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음부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오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기술은 고가의 보호커버와 센서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저비용으로 용접 또는 이음부 단차가 크기 않은 압력관의 이음부 누수와 압력이 작용되지 않는 관 이음부 누수도 효과적으로 감지하도록 개발된 기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5a 도와 5b 도를 참고하여 배경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와 5b는 종래 발명의 두가지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5a 도를 따라서 배경기술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감지관(1)은 유체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관체(10')와, 관체(10')의 외주면에서 유체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20')와, 누수감지부(20')와 이격된 관체(10')의 일영역에서 누수된 유체를 누수감지부(20')로 이동시키는 수분흡수체(30')와, 누수감지부(20')와 수분흡수체(30')를 보호하는 보호층(40')을 포함한다.
관체(10')는 상수도관이나 하수관, 송유관, 가스관 등의 용도로서 다수의 관체(10')를 연결하여 해당 유체의 이송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관체(10')는 고밀도 PE(폴리에틸렌)관이나 PVC(폴리염화비닐)관 등의 합성수지관이나, 강관 등의 금속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누수감지부(20')는 도전성 코일선을 이용하여 관체(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다. 이 누수감지부(20')는 관체(10')가 합성수지관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관체(10')의 외주면에 별도의 절연층을 형성하지 않고도 관체(10')의 외주면에 직접 접하도록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누수감지부(20')는 나선형으로 관체(1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구조 외에도
또한, 누수감지부(20')는 일시예이지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상의 박막필름(50)일 수 있다. 이때, 박막필름(50)에는 도전성 와이어(wire) 등의 누수감지선이 내장되거나, 도전성 재료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누수감지부(20')는 이러한 박막필름(50)을 관체(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누수감지부(20')로서, 상기 박막필름(50)을 관체(1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예를 들어 관체(10')의 관경에 따라 복수 개를 평행하게 관체(10')의 외주면에 부착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이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누수감지부(20')가 하나 이상이 평행하게 배치되되, 원주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관체가 강관일 경우에는 강관에 절연층(13)을 두고 누수감지부(20')의 하부에 접착층(15)을 두어 접착하도록 한다.
누수감지부(20')의 상부에는 수분흡수체(30')을 두어 수분이 흡수되면 누수감지부와 수분흡수체가 쇼트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수분흡수체의 상부에는 피복층(35)을 구성하고 마지막으로 보호층(40')을 둔다.
한편, 수분흡수체(30')는 수분을 빠르게 흡수하여 누수된 유체를 인접하는 누수감지부(20')에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적어도 누수감지부(20')의 이격 간격에서 인접하는 누수감지부(20')들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관 전체를 도선으로 감거나 아니면 관전체를 길이방향으로 누수감지부를 부착하고 수분 흡수체를 두는 등의 과정을 거친다.
수분 흡수체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할 수없는 단점이 있어왔고 강관이나 금속관의 경우에는 관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관에서 새는 물이 수분흡수체까지 밀봉된 상태가 되므로 누수가 전달되지 않아서 누수가 발생하는데도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수분 흡수체가 수분을 흡수해도 확실하게 쇼트되지 않아서 이미 누수가 상당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누수가 되지 않는 것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누수가 발생하면 확실하게 쇼트가 발생하고 누수가 원인이 아닌 경우에는 오작동을 하지 않도록 신뢰성있는 누수감지시트가 요구되어왔다.
또한 관의 이음새가 누수가 되는 주원인이어서 관 이음새에 부착하는 것이 요구되고 보호관의 케이스가 필요없는 누수감지시트가 요구되어왔다.
1.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3-0021039(2013.03.05) 2.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0933063(2009.12.12)
지금까지 비압력식 하수관은 압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음부의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노력을 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상수도관, 송유관, 가스관 등 압력관의 이음부 누수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보호커버와 센서를 동시에 부착하는 바람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들 방법은 조인트 등으로 연결하는 매커니컬 접합방식에는 어쩔 수 없는 방법이다. 그러나 용접 또는 융착식 연결 및 PVC관 또는 GRP관 등 연결기를 사용하는 접합방식에도 상기 방식을 적용할 경우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용접 또는 융착식으로 접합하는 방식이나, PVC관 또는 GRP관 등과 같이 연결기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식의 이음부 누수를 감지하기 위해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제품인 스마트시트에 내장된 감지선을 일정 간격마다 일정크기로 탈피한 후 누수발생 시 감지하도록 동판(또는 동선)으로 만든 재료를 물에 잘 녹는 비닐(또는 종이)로 감싸 만든 쇼트유발테이프를 탈피된 감지선에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첫째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하수관 이음부 누수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시민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로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국가재정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특히, 매커니컬조인트를 사용하지 않는 압력관 이음부에도 본 기술을 사용할 경우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셋째로 별도의 커버와 별도의 센서를 없애고 스마트시트의 두 개의 감지선이 직접 쇼트되어 감지되도록 하는 장치와 이 장치를 지하매설관 외면에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넷째로 누수가 감지되면 확실하게 쇼트가 발생하고 누수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오작동을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부틸고무시트에 일부가 매립된 두개의 신호선을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쇼트유발테이프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본발명의 완성된 누수감지시트를 보이는 도이다.
제4a 및 4b도는 관체의 이음새에 적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5a 도는 종래의 실시예에 관련한 도이다.
제5b도는 종래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련한 도이다.
부틸이 부착된 감지시트 상단에 지그재그 또는 일직선으로 부착된 감지선을 일정 거리마다 탈피한 후, 물에 녹는 비닐 또는 종이로 감싼 금속재료를 별도의 접착성 물질이 부착된 시트에 부착하여 탈피된 감지선 상부에 부착한다. 이 때, 감지선 위에 부착하는 별도의 시트에 부착된 물에 녹는 비닐 또는 종이는 감지시트와 별도시트 양 쪽의 접착재에 붙지 않도록 하여 누수로 감지시트가 밀려 올라갈 때 물이 유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 감지시트를 매설관 용접부 또는 융착부 외면에 부착할 때 약간 돌출된 용접부나 융착부 상단에 별도의 테이프를 부착하여 평평하게 한 다음 부착하도록 하고, PVC관 또는 GRP관 같이 좀 더 높은 턱이 있는 연결부는 단차를 없애도록 낮은 쪽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한 후 감지장치를 부착한다. 매설여건이 좋지 않을 경우 이와 별도로 감지시트가 외부충격에 손상되거나 장기간 물속에 있더라도 물이 유입되어 센서가 작동되지 않도록 감지시트보다 약 10~20cm 폭이 큰 부틸시트를 이용하여 감싼다.
다만, 단차가 완만하거나 낮을 경우에는 단차보완재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1
부틸시트에 내장된 한 쌍의 감지선의 피복에 미세한 홀을 형성한 후, 쇼트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염분이 함유된 와이어를 감지선의 가운데에 위치시키고 누수를 시킨다.
실시 예의 결과
초기에 쇼트현상이 발생하였으나 염분이 제거된 후 곧 쇼트현상이 없어지게 되어 관리자가 누수현장을 확인할 때까지 쇼트가 지속되지 않아 적절한 실시예가 되지 않았다.
실시예2
부틸시트에 내장된 한 쌍의 감지선을 일정간격인 10mm크기로 피복을 제거한 후 쇼트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염분이 함유된 와이어를 감지선 가운데 위치시키고 누수를 진행하였다.
실시예의 결과
실험 1보다 신속하게 쇼트가 발생하였으나, 실험 1과 같이 염분이 제거된 후 쇼트현상이 없어지게 되어 관리자가 누수현장을 확인할 때 까지 쇼트가 지속되지 않아 적절한 실시예가 될 수 없었다.
실시예3
부틸시트에 내장된 한 쌍의 감지선을 일정간격으로 10mm크기로 피복을 제거한 후, 물에 녹는 비닐(종이)로 동판(또는 동선)을 감싸 부틸테이프에 붙인 다음 피복이 제거된 감지선 상단에 부착한 후 누수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의 결과
누수진행 후 물에 녹는 종이에 물이 접촉했으나 종이가 부틸시트에 부착되어 잘 제거되지 않아 쇼트가 미약해 누수를 확인하기 난해하여 누수를 확인하기 어려움이 있었다.
실시예4
실시예 3에서 물에 녹은 비닐을 감싸는 것으로 하였다.
실시예의 결과 누수 진행 후 종이보다 양호하였으나, 여전히 부틸시트에 붙어 있는 것이 제거되지 않아 쇼트가 미약하게 되어 누수를 확인하기 난해한 점이 있었다.
실시예5
아래로부터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누수감지시트의 바탕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틸시트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폴리비닐계의 어떤 것이어도 부방하다. 뿐만아니라 질기고 흙속에 오랫동안 있어도 부패하지 않는 것이면 무방하다.
도1의 부틸시트로 구성된 누수감지시트의 바탕면(100), 상기 바탕면(100)에 피복선 두께 만큼의 홈을 구성하여 피복을 일정간격(c)인 10mm크기로 벗겨서 나선형태(111,121)의 감지선(110,120)을 지그재그를 구성한다.
다음으로는 쇼트유발테이프를 그위에 배치하여 누수감지시트를 완성하는 것으로 쇼트유발테이프의 구성은 도2와 같다.
도2의 쇼트유발테이프(200)에 해당하는 것으로 물에 녹는 비닐 또는 종이(240)를 배치하고 다음으로는 동판 또는 동선(230)을 배치한 후에 스카치테이프(220:보호필름)를 배치하고 다음으로는 부틸테이프(210)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여 쇼트유발테이프(200)를 구성한다.
스카치테이프(220) 접착면 쪽에 동판(동선)(230)을 위치시킨 다음 동판하부에 물에 녹는 비닐(종이)(240)을 배치함으로 쇼트유발 테이프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스카치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물에 녹은 비닐이나 종이를 가지고 동판을 감싸는 경우에는 비닐이나 종이가 부틸테이프의 강력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물에 의하여 녹지 않고 붙어있는 경우가 있어서 누수가 감지될 경우에도 쇼트에 어려움이 있어왔다.
따라서 동판이나 동선을 감쌀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부틸테이프(210)에 비닐이나 종이가 접촉하는 것보다는 접착력이 떨어지는 스카치 테이프 또는 기타의 재질의 것으로 배치하면 무방하다.
동판 또는 동선을 배치할 경우에는 스카치 테이프를 배치하여도 좋지만 배치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다.
이렇게 완성된 쇼트유발테이프(200)를 도1에서 구성한 피복이 제거된 감지선을 포함하고 있는 누수감지 시트의 바탕면(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틸시트를 사용하였음) 부분에 붙여 누수감지시트(300)를 완성(스카치테이프 폭보다 부틸테이프 폭을 더 크게 구성함.) 하였다
도3은 도1과 도2를 합하여 구성한 누수감지시트(300)을 보이는 도이다.
누수감지시트의 바탕면(400)위에 감지선의 나선부분에 쇼트유발테이프(200,500)를 구성하여 나선부분과 물에 녹는 비닐 또는 종이를 배치한 위에 구성하고 있는 동판 또는 동선부분이 교차될수록 배치한다.
쇼트유발테이프의 맨 위에 부분을 구성하는 제1부틸테이프(210)보다 길게 구성한 동판 또는 동선부분에 별도의 제2부틸 테이프(530)를 부착하여 누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누수감지테이프가 확장될 때에도 누수감지시트 바탕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1,2,3에 의하여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수분에 의하여 분해되는 재질인 비닐 또는 종이(240);
상기 비닐 또는 종이의 상부에 구성되는 도전성을 갖는 동선 또는 동판(230) ;
상기 도전성을 갖는 동선 또는 동판의 상부에 보호필름(220)을 부착하여 구성하는 쇼트유발부로써의 쇼트유발테이프(200,500)
누수감지시트의 바탕면(100,400)에 감지선을 배치하고 상기 감지선의 일정한 부위마다 상기 감지선의 피복을 탈피하여 나선(111,121)을 구성하며,
상기 나선의 상부에 상기 쇼트유발부로써 쇼트유발테이프(200,500)를 배치하고 상부에 점착성이 있는 재질의 제1부틸테이프(210)로 상기 누수감지시트의 바탕면(100)에 부착구성한 것을 보이는 것이다.
도4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관 이음부에 누수감지시트(300)를 감싸 누수시험을 진행하였다.
도4a 및 도4b는 관 이음부에 본 누수감지시트를 적용한 것이 도시되어있다.
도4a에서 관이(600) 누수감지시트의 폭보다 좁은 경우에 단차보완재(620)를 두어 누수감지시트를 감싼 것을 보이는 도이다.
또한 외부신호감지를 위하여 스마트시트(630)를 관의 길이방향에 부착하는 것으로 한다.
도4b에서 관(700)이 너무 협소한 경우에는 단차 보완재(720)를 관을 감싸면서 평평면을 누수감지시트(300)를 감싸는 것이 도시되어있다.
다만, 단차가 완만하거나 낮을 경우에는 단차보완재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 예의 결과 누수발생 시 물에 녹는 비닐(종이)이 신속하게 제거(스카치테이프의 접착력이 부틸시트의 접착력에 비해 약하므로 쉽게 제거됨)되어 신속하게 쇼트가 유발되었으며, 시간이 경과하여도 동판(동선)이 부틸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쇼트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여 누수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었다.
동판(동선)의 양쪽 끝이 부틸테이프(210)보다 더 길게 구성하여 또 다른 접착력이 강한 부틸테이프로 강하게 접착시켜, 수압이 강하여서 누수감지시트가 확장되어도 동판(동선)이 시트에서 이탈되지 않고 특히, 종이보다 비닐이 좀 더 빨리 쇼트를 유발하였다.
동판 또는 동선을 물에 녹는 비닐이나 종이를 완전히 감싸도 무방하다.
쇼트를 유발하는 것은 누수감지시트가 매설되어있어서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물이 있거나 심지어 물에 잠긴다하여도 누수감지시트에 결합된 쇼트유발테이프에 물이 흡수될 수 없어 쇼트되지 않는다.
그러나 관이음부에 압력이 작용하면서 물이 새어나올 경우에는 누수감지테이프가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려는 강한 압력을 받아서 누수감지테이프가 외부로 확장된다.이때에 쇼트유발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약간의 틈이 발생하고 감지선이 있는 부분으로 물이 흘러들어가 비닐 또는 종이등을 녹여서 동판 또는 동선으로 인해 지속적인 쇼트가 유발되는 것이다.이때에 물의 압력에 의하여도 동판이나 동선을 붙잡고 있는 제2부틸테이프와 누수감지시트가 밀착되어 끝까지 동판이나 동선을 붙잡고 있어서 쇼트는 지속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력이 없는 하수관의 이음부에서의 누수문제는 이음부가 부등 침하되고 이탈될 경우에 물이 흘러나오게 된다. 다만 흘러나오는 물의 압력이 누수감지시트가 관에 부착되는 부착력보다 작을 경우에는 설사 부등침하가 되었다 하더라도 누수가 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부등침하 상태가 지속될 경우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누수감지시트의 접착력이 감소되어 점차 누수된 물이 물에 녹는 비닐이나 종이에 유입되게 된다. 이때 누수를 감지할 수 있고, 이때 감지하더라도 거의 실시간 감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최상의 실시예
정확한 기준을 정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여 최선의 실시예를 얻었다.
1) 부틸시트에 부착된 한 쌍의 감지선 간격은 20mm이하로 유지시키고,
2) 감지선의 피복도 5~15mm사이로 탈피하는 것이 좋다.
3) 탈피된 감지선에 부착할 쇼트유발테이프는 다음 순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부틸테이프의 크기는 가로30mmx세로50mm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② 부틸테이프에 부착하는 스카치테이프의 크기는 가로10mmx세로60mm이하로 하는 것이 좋으며,스카치 테이프는 선택사항이다.
③ 수압에 의해 누수감지시트가 움직이더라도 쇼트를 유지하도록 두께 2mm이하, 폭 5mm이하, 길이 70mm이상의 후렉시블한 동판(동선)을 스카치테이프에 부착한다.
④ 그 다음에는 스카치테이프 크기의 물에 녹는 비닐(종이)을 스카치테이프에 부착한다.직접 동판 또는 동선에 부착할 수있다.가장 아래부분에만 물에 녹는 종이나 비닐을 배치할 수있다.
⑤ 마지막으로 이렇게 제작된 쇼트유발테이프를 부틸시트의 피복이 제거된 감지선 상단에 부착하며, 쇼트유발테이프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동판(동선)의 양쪽 끝을 부틸로 부착하여 수압이 강하여도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⑥ 이 때, 탈피된 부근(물에 녹는 비닐(종이)이 위치하는 곳)의 부틸시트에 있는 부틸부분에 스카치테이프 등으로 부착하면 누수발생 시 신속하게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4) 감지선의 리드 폭은 관 외경크기, 수압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정한다.
5) 누수감지시트의 쇼트유발 테이프 숫자는 관경, 수압 또는 중요도에 따라 설치한다.
(기름과 같이 토양이나 물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관에서는 쇼트유발테이프를 촘촘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누수감지시트에 부착된 감지선 위에 부틸을 코팅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감지선은 관이음부에서는 누수감지시트의 바탕면에 지그재그로 구성하고 관이음부가 아닌 부분에서는 통신을 위하여 구성을 하는 것으로 직선으로 구성한다.
지그재그로 구성한 누수감지시트의 감지선과 연결하도록 하는 선로를 구성한다.
감지장치를 부착한 후 외부 충격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추가로 부틸이 부착된 시트를 부가하여 외부로부터의 물로 인해 오작동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누수감지시트를 적용하기 위하여 평면 또는 경사면이 요구되므로 관이음부가 요철이 있는 경우에는 누수감지시트의 폭과 같은 크기로 단차보완재를 두어 평면을 구성한다. 또는 누수감지시트의 늘어남을 이용하여 평면과 유사하도록 약간의 경사면이어도 좋다.
이때 단차보완재의 재질로는 고무나 스치로폼 등으로 구성한다.
상기 단차보완재의 일부에 0.5~1.0mm 홀을 가공하여 누수발생시 상기 홀을 통하여 누수된 물이 나오도록 하여 누수감지가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한다.
감지선이 누수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감지선 양쪽에 부설된 매설관 외면에 부착된 감지선과 연결하고, 이 감지선은 지상에 설치된 감지장치에 연결되어 통신함으로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누수감지 장치를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 누수감지시트를 관의 이음새에 부착한 후 외부 충격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추가로 제3 시트를 부가하여 부착하도록 함으로서 신뢰성을 더욱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10':관체 13:절연층 15:접착층 20':누수감지부 30':수분흡수체
35':피복층 40':보호층 50:박막필름
100,400:누수감지시트의 바탕면 110,120,510,520 :감지선 111:나선
200,500:쇼트유발테이프 210:제1부틸테이프 220:스카치테이프
230:동판 또는 동선 240:물에 녹는 종이 또는 비닐
300:누수감지시트 530:제2부틸테이프
600,700:관이음부 620,720:단차보완재
630,730:스마트시트 a:리드폭 b:감지선이 실장되는 폭

Claims (18)

  1. 수분에 의하여 분해되는 재질인 비닐 또는 종이;
    상기 비닐 또는 종이의 상부에 구성되는 도전성을 갖는 동선 또는 동판 ;
    상기 도전성을 갖는 동선 또는 동판의 상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구성하는 쇼트유발부;
    누수감지시트의 바탕면에 감지선을 배치하고 상기 감지선의 일정한 부위마다 상기 감지선의 피복을 탈피하여 나선을 구성하며,
    상기 나선의 상부에 상기 쇼트유발부를 배치하고 상부에 점착성이 있는 재질로 상기 누수감지시트의 바탕면에 부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스카치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 시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된 상기 감지선의 나선의 길이는 5-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은 한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한쌍의 감지선 간격은 2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트.
  13. 제1항,7항,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은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트.
  14. 제1항,7항,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은 관이음부에서는 지그재그로 구성하고 관이음부가 아닌 부분은 직선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트
  15. 제1항,7항,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시트를 관의 이음부에 부착한 후 외부 충격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추가로 부틸이 부착된 시트를 부가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트.
  16. 제1항,7항,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시트가 부착되는 관의 이음부의 면이 평면이 되도록 보강하는 단차보완재를 상기 관의 이음부 부분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트.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보완재의 일부에 0.5~1.0mm 홀을 가공하여 누수발생시 상기 홀로 누수된 물이 나오도록 하여 누수감지가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시트.
KR1020160059722A 2016-05-16 2016-05-16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KR101898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22A KR101898447B1 (ko) 2016-05-16 2016-05-16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22A KR101898447B1 (ko) 2016-05-16 2016-05-16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59A KR20170128959A (ko) 2017-11-24
KR101898447B1 true KR101898447B1 (ko) 2018-09-13

Family

ID=6081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722A KR101898447B1 (ko) 2016-05-16 2016-05-16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703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2120724B1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2168A (ja) 2013-10-02 2015-04-16 タツタ電線株式会社 漏液検知線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384B1 (ko) * 2009-08-21 2013-01-02 유홍근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KR100933063B1 (ko) 2009-08-31 2009-12-21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누수감지관
KR101298996B1 (ko) 2011-08-22 2013-09-10 (주)유민에쓰티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20150117464A (ko) * 2014-04-10 2015-10-20 김재관 누수감지키트
KR20150131888A (ko) * 2014-05-16 2015-11-25 (주)유민에쓰티 누수 감지 센서
KR101690542B1 (ko) * 2014-10-14 2016-12-29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장치, 그것의 제조방법, 그에 적합한 체결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2168A (ja) 2013-10-02 2015-04-16 タツタ電線株式会社 漏液検知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59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7127C (en) Pipe assembly
US4450711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remotely detecting leaks in a fluid-conveying pipe-line submerged within an ambient fluid and pipe-line provided with such a detection device
US7472476B2 (en) Method of applying joint infill cladding to pipe
KR101898447B1 (ko)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US7166177B2 (en) Method for forming double containment pipeline sections
EP2167861B1 (en) Method of grounding multilayer pipes
KR101107202B1 (ko)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EP29942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or repairing a pipe system
KR20110053704A (ko)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CN1979152A (zh) 防渗层渗漏的双电极检测方法与检测装置
KR101690542B1 (ko) 누수감지장치, 그것의 제조방법, 그에 적합한 체결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0933063B1 (ko) 누수감지관
KR100919789B1 (ko)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파악이 용이한 감지관
KR20120128477A (ko)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
KR101216384B1 (ko)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CN103883822A (zh) 水密增强型电热熔带
KR20100094250A (ko)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KR101411281B1 (ko) 탐지용 파이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52349B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1281507B1 (ko) 배관 연결부의 부식방지용 튜브
EP2791568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cooling of a welded joint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CN203757264U (zh) 水密增强型电热熔带
KR102246677B1 (ko) 지하매설물탐지용 자기마커가 부착된 전자파차단 지중케이블보호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1053B1 (ko) 관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