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464A - 누수감지키트 - Google Patents

누수감지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464A
KR20150117464A KR1020140042941A KR20140042941A KR20150117464A KR 20150117464 A KR20150117464 A KR 20150117464A KR 1020140042941 A KR1020140042941 A KR 1020140042941A KR 20140042941 A KR20140042941 A KR 20140042941A KR 20150117464 A KR20150117464 A KR 20150117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leakage
leak detection
pa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관
Original Assignee
김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관 filed Critical 김재관
Priority to KR102014004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464A/ko
Publication of KR2015011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와의 접촉시 변색되는 누수감지패드; 상기 누수감지패드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밀착 또는 접착되어 누수감지패드를 보호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봉 처리하여 누수감지패드가 누수된 액체와의 접촉에 의해 변색발생시 액체가 보호필름의 가장자리 부위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테이프를 포함하는 누수감지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누수감지키트{Water leakage detecting kit}
본 발명은 누수감지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제조장비 등의 파이프 연결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위로부터 화학용액 등의 액체가 누수되는 경우 액체와의 접촉에 따라 반응하는 시약의 변색을 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누수감지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LCD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판을 세정하는 세정공정이나 필요물질을 식각하는 식각공정은 반드시 필요하며, 상기 세정공정 및 식각공정은 주로 세정용 화학용액 및 식각용 화학용액의 사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반도체 제조방비의 특성상 장비들이 파이프 등과 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부재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문제점으로 인하여 수시로 작업자가 환경 안전 순찰을 하고 있으나 미세한 누수의 경우 육안으로 작업자가 즉시 발견하기가 어려워 작업자에게 화학약품이 직접 접촉되는 사고가 발생된다. 게다가 누수 사고시 조기 진압을 하지 못하는 경우 누수가 발생된 연결부위의 배관, 전기케이블, 기타 부대설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제2, 제3의 사고 발생으로 결국 반도체 제조라인이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특허 10-0978383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관 등에 장착된 센서에서 빛을 쏘아 빛의 반사된 광량을 계산하여 누수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누수 감지 시스템의 경우, 반도체 설비나 밸브 박스 내부에 누수 센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포인트형 누수 센서를 이용하더라도 누수 발생시 누수로 인해 센서의 빛이 누수에 의해 센서로 반사되어 광량 차이가 미미한 경우 누수가 발생되었더라도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누수 감지 시스템의 경우, 동작전원을 소모하는 센서와 이에 연결되는 제어부 등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제조장비 등의 파이프 연결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위로부터 화학용액 등의 액체가 누수되는 경우 액체와의 접촉에 따라 반응하는 시약의 변색을 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누수감지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와의 접촉시 변색되는 누수감지패드; 상기 누수감지패드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밀착 또는 접착되어 누수감지패드를 보호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봉 처리하여 누수감지패드가 누수된 액체와의 접촉에 의해 변색발생시 액체가 보호필름의 가장자리 부위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테이프를 포함하는 누수감지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누수감지키트는, 상기 보호필름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보호필름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접착되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위치된 어느 하나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누수감지패드를 가지는 보호필름이 누수감지부위에 접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이형부착테이프와; 상기 이형부착테이프의 제거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 부착되어 식별력을 제공하는 반사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패드는, 흡수력이 뛰어난 섬유재질 또는 종이재질의 패드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천연 재료로 특수 처리된 시약이 흡수 및 건조 처리되는 것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약은, 포도당, 식용색소 적색2호, 식용색소 황색 및 H2O가 혼합된 화합물이거나, Backing Adhesive Sheet, Indicator Cover Adhesive Sheet, Nonwoven Fabric 및 Special Reagents(C6H12O6, C2H5OH, HCL, COCL2ㅇH2O, H2O)가 혼합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누수감지패드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밀착 또는 접착되는 상부보호필름과 하부보호필름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보호필름과 하부보호필름 중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직접 대면되는 보호필름에는 누수액이 누수감지패드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누수액침투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제조장비 등의 파이프 연결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위로부터 화학용액 등의 액체가 누수되는 경우 액체와의 접촉에 따라 반응하는 시약의 변색을 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누수감지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누수감지키트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도 1의 누수감지키트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누수감지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누수감지키트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누수감지키트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키트는, 시약이 함침 및 건조되어 액체와의 접촉시 특정색으로 변색되는 누수감지패드(110), 상기 누수감지패드(11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누수감지패드(1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밀착 또는 접착되어 누수감지패드(110)를 보호하는 보호필름(120), 상기 보호필름(120)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봉 처리하여 누수감지패드(110)가 누수된 액체와의 접촉에 의해 변색발생시 액체가 보호필름(120)의 가장자리 부위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테이프(130), 상기 보호필름(12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보호필름(12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접착되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위치된 어느 하나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누수감지패드(110)를 가지는 보호필름(120)이 누수감지부위에 접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는 이형부착테이프(140) 및 상기 이형부착테이프(140)의 제거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 부착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제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반사테이프(15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누수감지패드(110)는, 반도체 제조장비들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위를 통한 누수 발생시 액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시약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한 누수감지수단으로, 흡수력이 뛰어난 섬유재질 또는 종이재질의 패드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천연 재료로 특수 처리된 시약이 흡수 및 건조 처리되는 것을 통해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시약은, Backing Adhesive Sheet 42%, Indicator Cover Adhesive Sheet 21%, Nonwoven Fabric 19%, Special Reagents(C6H12O6 35%, C2H5OH 16%, HCL 24%, COCL2ㅇH2O 15%, H2O 10%) 18%가 혼합된 화합물이거나, 포도당 47중량%, 식용색소 적색2호 2중량%, 식용색소 황색5호 1중량% 및 H2O 50%가 혼합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시약은, 상성 또는 염기성 액체에 따라 그 색깔이 다르게 변색되는 리트머스 등과 같은 혼합액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산성의 액체와의 접촉시에는 적색, 염기성 액체와의 접촉시에는 청색으로 변하는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누수액에 대한 종류를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누수감지패드(110)에 의하면, 반도체 제조장비들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연결부위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위로부터 누수 발생시 누수액과의 접촉시 특정 색으로 변색이 진행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쉽게 육안으로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120)은, 상기 누수감지패드(11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누수감지패드(1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밀착 또는 접착되어 누수감지패드(110)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로, 상부보호필름(120A)과 하부보호필름(120B)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보호필름(120A)과 하부보호필름(120B) 중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직접 대면되는 보호필름에는 누수액이 누수감지패드(11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누수액침투공(121)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호필름(120)에 의하면, 상기 누수감지패드(110)가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직접 대면되지 않는 부위로부터 액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직접 대면된 부위로부터 누수되는 누수액과 접촉되는 경우에만 변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한 누수의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밀봉테이프(130)는, 상기 보호필름(120)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봉 처리하여 누수감지패드(110)가 누수된 액체와의 접촉에 의해 변색발생시 액체가 보호필름(120)의 가장자리 부위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테이프(130)에 의하면, 상기 보호필름(120)의 누수액침투공(121)을 통해 누수액이 침투되어 누수감지패드(110)가 변색시 누수액이 누수감지패드(110)에 모두 흡수되지 못하는 경우 흡수되지 못한 누수액이 보호필름(120)의 외부로 누수되어 장비가 설치된 바닥이나 grating 하부로 투하되어 전기 제품이나 전력 배전수단 등에 쇼트 등을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이형부착테이프(140)는, 상기 보호필름(12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보호필름(12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접착되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위치된 어느 하나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누수감지패드(110)를 가지는 보호필름(120)이 누수감지부위에 접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는 부착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이형부착테이프(140)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테이프(140A)가 제거된 후 상기 누수액침투공(121)을 가지는 보호필름(120)이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직접 대면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테이프(140B)가 연결부위를 감싸면서 접착되는 것을 통하여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면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사테이프(150)는, 상기 이형부착테이프(140)의 제거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테이프(140B)에 부착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제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반사부재로, 상기 이형부착테이프(140)에 의해서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누수감지패드(110)가 보호되는 보호필름(120)이 부착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해당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필름(120)과 이형부착테이프(14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색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누수감지패드(110)의 변색시 외부에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키트의 제조 방법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섬유재질이나 종이재질의 패드에 특수 처리된 시약이 함침 및 건조되어 누수감지패드(110)가 제조된다.
이후, 상기 누수감지패드(1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보호필름(120)이 상호간 접착 가능한 상태로 접착되는데, 이때, 상기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누수액침투공(121)을 가지는 상부보호필름(120A)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보호필름(120)의 가장자리 부위에 밀봉테이프(130)가 부착되어 상기 누수액침투공(121)을 통해 유입된 누수액이 누수감지패드(110)에 완전히 흡수되지 못하여 보호필름(120)의 대면 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보호필름(12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이형부착테이프(140)가 부착되어 어느 하나의 테이프(140A)가 제거된 후 상기 누수액침투공(121)을 가지는 보호필름(120)이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직접 대면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테이프(140B)가 연결부위를 감싸면서 접착되는 것을 통해 누수감지키트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이형부착테이프(140) 중 제거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테이프(140B)에 반사테이프(150)가 부착되어 작업자에게 누수감지키트의 설치 위치 파악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 처리된 시약이 함침 및 건조된 상태의 누수감지패드(110)가 보호필름(120)과 이형부착테이프(140)를 통해 연결관의 연결부위를 감싸면서 부착된 상태에서 누수 발생시 누수액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연결관의 누수 유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부착되는 구조를 통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액체와의 접촉시 변색되는 누수감지패드(110);
    상기 누수감지패드(1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밀착 또는 접착되어 누수감지패드(110)를 보호하는 보호필름(120);
    상기 보호필름(120)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면서 밀봉 처리하여 누수감지패드(110)가 누수된 액체와의 접촉에 의해 변색발생시 액체가 보호필름(120)의 가장자리 부위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테이프(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12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보호필름(12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접착되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위치된 어느 하나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누수감지패드(110)를 가지는 보호필름(120)이 누수감지부위에 접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이형부착테이프(140)와;
    상기 이형부착테이프(140)의 제거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 부착되어 식별력을 제공하는 반사테이프(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패드(110)는,
    흡수력이 뛰어난 섬유재질 또는 종이재질의 패드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천연 재료로 특수 처리된 시약이 흡수 및 건조 처리되는 것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은,
    포도당, 식용색소 적색2호, 식용색소 황색 및 H2O가 혼합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키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은,
    Backing Adhesive Sheet, Indicator Cover Adhesive Sheet, Nonwoven Fabric 및 Special Reagents(C6H12O6, C2H5OH, HCL, COCL2ㅇH2O, H2O)가 혼합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120)은,
    상기 누수감지패드(1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밀착 또는 접착되는 상부보호필름(120A)과 하부보호필름(120B)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보호필름(120A)과 하부보호필름(120B) 중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직접 대면되는 보호필름에는 누수액이 누수감지패드(11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누수액침투공(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장치.
KR1020140042941A 2014-04-10 2014-04-10 누수감지키트 KR20150117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941A KR20150117464A (ko) 2014-04-10 2014-04-10 누수감지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941A KR20150117464A (ko) 2014-04-10 2014-04-10 누수감지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464A true KR20150117464A (ko) 2015-10-20

Family

ID=5439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941A KR20150117464A (ko) 2014-04-10 2014-04-10 누수감지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4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98986A1 (en) * 2015-04-10 2016-10-13 University Of Dayton Persistent color change indicator
KR20170128959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US20180202888A1 (en) * 2017-01-17 2018-07-19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leaks in a chromatography system
CN108468949A (zh) * 2018-05-08 2018-08-31 广州飞机维修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水管渗漏检测的遇水变色指示管套
CN113790851A (zh) * 2021-09-14 2021-12-14 深圳市英维克科技股份有限公司 漏液检测器及液体传输设备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98986A1 (en) * 2015-04-10 2016-10-13 University Of Dayton Persistent color change indicator
US9983089B2 (en) * 2015-04-10 2018-05-29 University Of Dayton Persistent color change indicator
KR20170128959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 감지시트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US20180202888A1 (en) * 2017-01-17 2018-07-19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leaks in a chromatography system
WO2018134735A1 (en) * 2017-01-17 2018-07-26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leaks in a chromatography system
CN110168336A (zh) * 2017-01-17 2019-08-23 沃特世科技公司 用于检测色谱系统中的泄漏的系统、方法和设备
US10690563B2 (en) 2017-01-17 2020-06-23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leaks in a chromatography system
CN110168336B (zh) * 2017-01-17 2022-04-19 沃特世科技公司 用于检测色谱系统中的泄漏的系统、方法和设备
CN108468949A (zh) * 2018-05-08 2018-08-31 广州飞机维修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水管渗漏检测的遇水变色指示管套
CN113790851A (zh) * 2021-09-14 2021-12-14 深圳市英维克科技股份有限公司 漏液检测器及液体传输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7464A (ko) 누수감지키트
KR101555682B1 (ko) 누수감지장치
KR20070005234A (ko) 누수 센서 및 누수 감지 시스템
US7185601B2 (en) Chemically sensitive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06538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521155B1 (ko) 누설 감지 센서
US2004022387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reach of exposure protection equipment
BRPI0911018B8 (pt) sensor para detectar a presença de um líquido de base aquosa, e, artigo absorvente capaz de determinar a presença ou a ausência de um líquido contendo água
CA3038805C (en) Gas sensor module with field replaceable, ingress protected, sensor filter
CN106796155B (zh) 变色感测器及其制造方法
KR101555681B1 (ko) 누수감지장치
JP2010107476A (ja) ガス漏れ箇所検知方法およびガス漏れ検知用キット、並びにガス漏れ検知用シート
KR20190042453A (ko)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KR101843075B1 (ko) 패시베이션층을 통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구분 감지가 가능한 산염기 누출감지용 센서
KR101698975B1 (ko)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
KR100919108B1 (ko) 플랜지 커버체
WO2008107937A1 (ja) 保護手袋、これを用いた防護保護手袋、及び防護手袋の損傷検知方法
KR20160027769A (ko) 누수 검출용 플랜지
KR102056878B1 (ko) 가스 누출 감지용 피팅 케이스
KR102323945B1 (ko) 플랜지 쉴드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랜지 쉴드 시스템
WO2009142451A2 (ko) 오일미스트 검지기
JP5887186B2 (ja) 漏水検知帯カバー
KR200330141Y1 (ko) 비산방지용 안전커버체
KR20230006958A (ko) 누설 검출장치
KR20000018575A (ko) 누출 감지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