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453A -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453A
KR20190042453A KR1020180120496A KR20180120496A KR20190042453A KR 20190042453 A KR20190042453 A KR 20190042453A KR 1020180120496 A KR1020180120496 A KR 1020180120496A KR 20180120496 A KR20180120496 A KR 20180120496A KR 20190042453 A KR20190042453 A KR 20190042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cover
sensor
chemical
reac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이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희 filed Critical 이재희
Publication of KR2019004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G01M3/04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with electrical dete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둥글게 말려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의 커버 부재;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면에 도전성 재료를 도포 또는 인쇄하여 형성된 센서 층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센서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가 둥글게 말리도록 상기 커버 부재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Leak detector for pipe flange}
본 발명은 배관 플랜지와 같은 배관 연결부의 누설을 방지하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는 많은 화학 물질들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웨이퍼의 절단 및 연마 후 세정 공정에 사용되는 세정액, 웨이퍼의 감광 공정에 사용되는 감광액, 웨이퍼의 현상 공정에 사용되는 현상액, 웨이퍼 식각 공정에 사용되는 식각액 등이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이용된다.
이러한 화학 물질들은 이송관(배관)을 통해 각 공정이 수행되는 위치까지 내외부에서 이송되는데, 이송관의 불량 및 열화에 의해 화학 물질이 이송관 외부로 누설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누설된 화학 물질은 사람은 물론 반도체 제조 현장의 다른 장치나 부품들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이송관의 누설을 감지하여 빠르게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약품 이송 배관의 누수는 특히 배관의 플랜지와 같은 배관 연결부에서 주로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누설 감지 장치들은 보통 배관의 외면에 감기는 형태로 부착되거나 배관의 하부에 배치되어 누설 약품을 감지하는 구성을 가졌다.
그러나, 이러한 누설 감지 장치들은 배관의 외면에 부착하기가 번거로웠고, 약품의 누설 시에 약품이 외부로 튀거나 흘러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776006호(2017. 9. 8.)
선행기술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0-2016-0065460호(2016. 6. 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배관 연결부에 설치가 용이하고, 누설된 약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둥글게 말려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의 커버 부재;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면에 도전성 재료를 도포 또는 인쇄하여 형성된 센서 층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센서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가 둥글게 말리도록 상기 커버 부재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부재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약품성을 갖도록 불소 수지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센서 부재가 배관 연결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배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부재는 일면이 상기 커부 부재에 밀봉되고, 타면이 반응막 커버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반응막 커버는 산성 약품, 염기성 약품, 유기 약품 또는 오일에 용해되는 용해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해 물질은 도포 또는 함침된 후 건조 또는 경화되어 필름, 시트 또는 메시 형태로 상기 반응막 커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막 커버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구멍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들은 산성 약품, 염기성 약품, 유기 약품 또는 오일에 용해되는 용해막으로 폐쇄되며, 상기 구멍들은 용해막이 용해되는 경우 누설된 액체가 상기 센서 부재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해막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용해막은 상기 반응막 커버의 내측에 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한 열의 구멍들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센서 부재의 감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되는 LED를 구비한 표시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는, 센서 부재가 배관 연결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커버 부재를 배관 연결부 주변에 둥글게 말아서 체결 부재를 체결함으로써, 배관 연결부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는 커버 부재가 배관 연결부 주변을 둘러싸고 있어 배관 연결부로부터 누설된 화학 약품이 외부로 튀거나 흘러서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의 또 하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의 반응막 커버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의 반응막 커버를 배면에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는 화학 약품 이송 배관의 플랜지와 같은 배관 연결부에 설치되어 화학 약품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 부재(100), 센서 부재(200) 및 체결 부재(300)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100)는 둥글게 말려서 배관 연결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의 부재이다. 이 커버 부재(100)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부재(100)는 내약품성을 갖도록 불소 수지 계열의 소재, 예를 들면 불소 수지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100)는 후술되는 센서 부재(200)가 부착되는 중앙부(110), 그리고 중앙부(110)의 양측에서 연장되고 후술되는 체결 부재(300)가 구비되는 한 쌍의 측부(120)로 이루어진다.
센서 부재(200)는 액상의 불소계 수지와 도전성 재료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베이스 층 또는 상기한 커버 부재(100)의 내측면에 도포 또는 인쇄하여 소정 면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턴은 (+) 도선(210)과 (-) 도선(220)이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교번적으로 배열되어 소정 면적의 감지 영역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센서 부재(200)는 커버 부재(100)의 내측에 부착 또는 결합되고, 커버 부재(100)가 둥글게 말려서 배관 연결부를 둘러쌀 때 커버 부재(100)와 함께 배관 연결부의 주변을 둘러싸게 된다.
한편, 커버 부재(100) 및 센서 부재(200)를 제조하는데에 사용되는 불소계 수지는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예를 들면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 FEP(Flourinated Ethylene Prophylene), PTFE(PolyTetraFluoroeEhylene), PFA(Perfluorinated acids) 등일 수 있다.
체결 부재(300)는 커버 부재(100)가 둥글게 말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커버 부재(100)의 양측 단부, 즉 한 쌍의 측부(1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300)는 센서 부재(2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와이어일 수 있다. 이 와이어는 커버 부재(100)의 측부(120)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 커버 부재(100)의 측부를 묶어서 커버 부재(200)가 둥글게 말릴 수 있게 한다. 또한, 체결 부재(300)는 클램프, 클립, 접착 테이프 등 커버 부재(100)의 단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다른 수단들 또는 커버 부재(100)의 측부(120)를 결합시키는 융착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는 센서 부재(200)가 배관 연결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커버 부재(100)를 배관 연결부 주변에 둥글게 말아서 체결 부재(300)를 체결함으로써, 배관 연결부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는 커버 부재(100)가 배관 연결부 주변을 둘러싸고 있어 배관 연결부로부터 누설된 화학 약품이 외부로 튀거나 흘러서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부재(100)는 센서 부재(200)가 배관 연결부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배관 연결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 센서 부재(200)가 배관 연결부와 접촉하게 되면 센서가 작동하므로 약품의 누설을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센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부재는 커버 부재(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배관 연결부 측으로 연장되는 센서 부재(200)가 배관 연결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절연 부재는 센서 부재(2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센서 부재(20)의 주변에 배치되는 리브 또는 커버 부재(100)로부터 배관 연결부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들일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100)는 배관 연결부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서, 밀봉 방수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배관 연결부가 옥외에 있는 경우, 빗물 등에 의해 센서가 오작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 부재(200)는 빗물 등의 수분에는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부재(200)는 커버 부재(100)에 부착되어 일면이 커버 부재(100)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센서 부재(200)는 타면이 반응막 커버에 의해 밀봉된다. 이 반응막 커버는 특정 화학 약품에 용해되는 용해 물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용해 물질은 산성 약품, 염기성 약품, 유기 약품 또는 오일에 용해되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막 커버는 산성 약품과 접촉하여 용해되는 폴리우레탄, 유성 도료,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응막 커버는 염기성 약품과 접촉하여 용해되는 알루미늄, 아연, 탄산칼륨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응막 커버는 유기 약품과 접촉하여 용해되는 PVC, 유성 도료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응막 커버는 오일과 접촉하여 용해되는 파라핀 등의 지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반응막 커버는 도포 또는 융착된 후 건조 또는 경화되어 필름, 시트 또는 메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부재(200)에 누설된 화학 약품이 접촉하는 경우, 화학 약품과의 반응에 의해 반응막 커버가 용해되고, 이에 따라 화학 약품이 센서 부재(200)와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 부재(200)에 화학 약품이 아닌 빗물 등의 수분이 접촉하는 경우에는 반응막 커버가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수분이 센서 부재(200)와 접촉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는 옥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빗물, 눈, 물과 같은 수분 등에 의해 오작동하지 않고, 특정 화학 약품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는 센서 부재(200)가 특정 화학 약품의 누설을 감지한 경우,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표시 장치(400)는 커버 부재(100)에 내측에 설치되고, 센서 부재(200)와 연결되며, 센서 부재(200)의 누설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LED를 구비한다. 여기서, 표시 장치(400)의 LED는 센서 부재(200)가 특정 화학 약품의 누설을 감지하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에 녹색으로 발광하고, 센서 부재(200)가 특정 화학 약품의 누설을 감지한 경우 적색으로 발광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약품의 누설을 육안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는 빗물, 눈, 물과 같은 수분 등에 오작동하지 않고 특정 화학 약품에만 반응하는 반응막 커버(500)를 포함하고, 이 반응막 커버(500)는 일부만이 특정 화학 약품에 반응하여 용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응막 커버(500)는 센서 부재(200)를 밀봉하도록 커버 부재(100)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반응막 커버(50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구멍들을 구비한다. 이 구멍들은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반응막 커버(500)의 구멍들은 특정 화학 약품, 예를 들면 산성 약품, 염기성 약품, 유기 약품 또는 오일에 용해되는 용해막(510)으로 각각 폐쇄된다. 예를 들면, 용해막(510)은 산성 약품과 접촉하여 용해되는 폴리우레탄, 유성 도료,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해막(510)은 염기성 약품과 접촉하여 용해되는 알루미늄, 아연, 탄산칼륨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해막(510)은 유기 약품과 접촉하여 용해되는 PVC, 유성 도료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해막(510)은 오일과 접촉하여 용해되는 파라핀 등의 지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용해막(510)은 반응막 커버(5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구멍들을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막 커버(500)의 구멍들은 용해막(510)이 특정 화학 약품에 의해 용해되는 경우 누설된 약품이 센서 부재(200)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화학 약품이 누설된 경우, 화학 약품과의 반응에 의해 용해막(510)이 용해되고, 이에 따라 화학 약품이 반응막 커버(5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센서 부재(200)와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빗물 등의 수분이 반응막 커버(50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반응막 커버(500)의 용해막(510)이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수분이 센서 부재(200)와 접촉할 수 없다.
한편, 용해막(510)은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반응막 커버(500)에 구비된 구멍들은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구멍에 맞추어 용해막을 개별적으로 도포하거나 충진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따라서, 막대 형상의 용해막(510)을 반응막 커버(500)의 내측에 부착하여, 복수의 구멍들이 폐쇄되도록 작업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때 하나의 막대 형상의 용해막(5110)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한 열의 구멍들을 폐쇄하도록 배치되고, 이 막대 형상의 복수의 용해막들(510)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반응막 커버(500)의 구멍들을 모두 폐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둥글게 말려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의 커버 부재;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면에 도전성 재료를 도포 또는 인쇄하여 형성된 센서 층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센서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가 둥글게 말리도록 상기 커버 부재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약품성을 갖도록 불소 수지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센서 부재가 배관 연결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배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일면이 상기 커부 부재에 밀봉되고, 타면이 반응막 커버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반응막 커버는 산성 약품, 염기성 약품, 유기 약품 또는 오일에 용해되는 용해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해 물질은 도포 또는 함침된 후 건조 또는 경화되어 필름, 시트 또는 메시 형태로 상기 반응막 커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막 커버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구멍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들은 산성 약품, 염기성 약품, 유기 약품 또는 오일에 용해되는 용해막으로 폐쇄되며, 상기 구멍들은 용해막이 용해되는 경우 누설된 액체가 상기 센서 부재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막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용해막은 상기 반응막 커버의 내측에 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한 열의 구멍들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센서 부재의 감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되는 LED를 구비한 표시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KR1020180120496A 2017-10-16 2018-10-10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KR20190042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142 2017-10-16
KR20170134142 2017-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453A true KR20190042453A (ko) 2019-04-24

Family

ID=662822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35A KR102021422B1 (ko) 2017-10-16 2017-11-01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KR1020180120496A KR20190042453A (ko) 2017-10-16 2018-10-10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35A KR102021422B1 (ko) 2017-10-16 2017-11-01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21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0506A1 (en) * 2021-02-09 2022-08-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nsor strip and flange leak dete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659B1 (ko) * 2019-06-14 2021-06-23 지유하 색상 가변을 이용한 누수감지용 투명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032572B (zh) * 2020-09-08 2021-12-21 河北振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气管道泄漏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996B1 (ko) * 2011-08-22 2013-09-10 (주)유민에쓰티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20140099634A (ko) * 2013-02-04 2014-08-13 (주)유민에쓰티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0506A1 (en) * 2021-02-09 2022-08-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nsor strip and flange leak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409A (ko) 2019-04-24
KR102021422B1 (ko)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2453A (ko)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US7398676B2 (en) Leak sensor and leak sensing system
KR102109143B1 (ko) 액체 유입 수단을 갖는 누액 감지 센서
KR101460020B1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JP6146596B2 (ja) 酸性溶液漏れ感知装置
KR101521155B1 (ko) 누설 감지 센서
KR101830005B1 (ko) 누액 감지 센서
KR101591918B1 (ko) 리크감지센서
KR101505439B1 (ko) 누설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23537B1 (ko)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1776006B1 (ko) 배관 부착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10053704A (ko)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KR101799834B1 (ko) 다중 누설 감지 센서
KR101799836B1 (ko) 강우 구분형 누설 감지 센서
KR101843075B1 (ko) 패시베이션층을 통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구분 감지가 가능한 산염기 누출감지용 센서
JP2006327154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管
KR101538509B1 (ko) 배관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40099634A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806762B1 (ko) 벽면취부형 누액 감지 센서
KR101895750B1 (ko) 국소 부위 누설감지 센서
KR20190054261A (ko) 플렉서블 누설 감지 센서
KR102228311B1 (ko)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KR20180075943A (ko) 신호 구분형 다중 누설 감지 센서
KR101937437B1 (ko) 다중 누설 감지 센서
KR102052349B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