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537B1 -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537B1
KR101623537B1 KR1020140068089A KR20140068089A KR101623537B1 KR 101623537 B1 KR101623537 B1 KR 101623537B1 KR 1020140068089 A KR1020140068089 A KR 1020140068089A KR 20140068089 A KR20140068089 A KR 20140068089A KR 101623537 B1 KR101623537 B1 KR 10162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ines
base substrate
conductive
synthetic resin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007A (ko
Inventor
장문수
Original Assignee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3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는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제1 및 제2 도전라인을 가지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사이의 베이스 기재는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는 우수한 감도 및 내구성을 가지며, 저항치의 검출이 용이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Liquid leak detect sensor and liquid leak det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구성 및 감도가 우수하며 저항치의 검출이 용이한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리크 센서(Leak Sensor)가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케이블형 리크 센서, 밴드타입 리크 센서, 모듈형 리크센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형 리크센서는 각종 액체(물, 오일 등)의 노출을 감지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지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주는 누수 및 누유 감지 리크 센서이다. 누수 및 누유의 감지는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가 누출된 물 또는 오일의 저항에 의하여 전위차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누수 및 누유의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케이블형 리크 센서는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센서 케이블의 길이가 정해져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센서 설치 시 별도 브라켓을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추가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누수된 물성 감지후 물성을 제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아울러 외부기기와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밴드타입(BEND TYPE) 리크 감지센서(LEAK DETECTION SENSOR)는 전선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동안 물이 전선에 닿게 되면 저항값이 변하게 되어 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타입 리크 감지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넓은 면적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높은 습도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에러(ERROR) 발생률이 높고, 정확한 누수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의 연계성이 없어 제품설치의 조잡성이 있다. 또한, 성능에 비해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고, 설치시 바닥에 고정할 브라켓을 따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려우며, 외부기기 연결시 단순한 릴레이 접점방식 이외의 연결 디바이스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모듈형 리크센서는 플라스틱 케이스 내부에 포토 센서(수광부, 발광부)를 위치시켜, 액체를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광부의 빔(BEAM)을 수광부에서 받아들이지만, 발광부 빔(BEAM)이 액체를 감지하게 되면 굴절률의 변화로 빔(BEAM)이 수광부로 가지 못하게 되므로 빛의 수광된 상태로서 누수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모듈형 리크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누수위험 부분을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며, 주변장치와 상관없이 자체적 경보가 가능함과 아울러 습도에 따른 에러(ERROR)가 없으나, 케이블 타입(CABLE TYPE)과는 달리 특정 위치의 누수 여부만 확인 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주변장치와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센서고정방안을 계획해야 하므로 제품설치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누수 위험지역의 특정부위만 검출가능 하므로 누수위치가 바뀌게 되면 감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909241호에서는 홀포인트가 구비되어 있는 리크센서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누출되는 액이 점성을 가지고 있는 황산, 불산, 염산, 질산 등의 경우에는 누출이 되었다 하더라도 홀에 침투되기가 어려워 반응성이 낮아 제대로 리크 여부를 센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채택하고 있는 합성수지가 산 등에 취약한 재질로 조성되어 한번 누출 감지를 하게 되면 녹아서 다시 재사용할 수 없는 한계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특히 산에 노출되어 센싱을 하는 부분인 은 등과 같은 금속류는 산에 접촉되면 부식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한 번 노출 여부를 센싱한 부분은 잘라내어 버려야 하는 불편함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내구성 및 감도가 우수하며 저항치의 검출이 용이한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제1 및 제2 도전라인을 가지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사이의 베이스 기재는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각각은 하나의 단자부가 형성된 주라인과 상기 주라인에서 상기 베이스 기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뻗어나오는 다수개의 가지라인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가지라인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는 같은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합성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는 카본 블랙 및 아세틸렌 블랙 중 하나 이상의 도전성 물질이 혼합된 불소계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와 제1 및 제2 도전라인은 동종의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로써, 누액이 예상되는 구조물에 배치된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 상기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와 연결된 딥스위치; 및 상기 딥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누액감지센서의 전류 및 저항값을 감지 및 측정하는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는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딥스위치는 병렬 연결된 다수개의 저항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누액감지센서는 누출된 물이나 기타 액체가 누액감지센서의 표면 위로 떨어지게 되면 검출부에 형성된 도전라인이 연결되어 전류가 통하게 된다. 이러한 통전 현상을 감지지가 감지하고, 통전 현상이 발생한 누액감지센서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의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오염물질에 강한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을 확인한 후에 간단히 닦아내는 것만으로 물 또는 기타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누액감지센서의 교체 없이 다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재뿐만 아니라 검출부의 도전라인도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양 구성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라인은 미세한 너비 및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이 대칭되는 패턴을 가지고,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누액이 어느 위치에 떨어지더라도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폭과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되더라도 저항값이 높아지지 않고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어 안정한 검출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 상에 보호층을 적층하여 누액감지센서의 사용 및 설치시에 부주의로 검출 대상이 아닌 물성이 접촉되거나 인체 접촉 및 기타 도체가 접촉되는 사고에 따라 도전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인체나 도체 물질의 접촉은 차단하고, 검출대상인 액상의 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도전라인이 보호됨에 따라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플랜지(Flange), 밸브(Valve)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시스템은 누액감지센서 검출부의 저항치가 상승하더라도 딥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전체 저항치를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지기의 저항치의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검출부의 도전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고, 첨부된 도면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누액감지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검출부의 도전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누액감지센서의 일부가 다른 실시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는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베이스 기재(110);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을 가지는 검출부(D); 및 상기 상기 검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보호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기재(110)는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불소계 합성수지는 비전도성 및 비점착성을 가지며, 물, 기름 등 오염에 강한 성질을 가져 누출 검출 센서의 베이스 기재로 선택하였다.
상기 불소계 합성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베이스 기재(110)의 두께는 100 내지 5000㎛일 수 있고, 면적은 가로×세로가 (30~50cm)×(30~50cm)로 제작될 수 있다.
불소계 합성수지를 열처리하여 베이스 기재(11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이를 위하여 지지기판(140)을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지지기판(140) 상에 베이스 기재(110)를 형성시키고, 공정 완성시에 지지기판(140)에서 베이스 기재(110)를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지지기판(140)과 일체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지지기판(140)은 2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기판(140)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된 기판이나 금속으로 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기판(140)을 선택한 후 그 표면에 샌딩 작업을 하여 표면을 거칠게 한 다음 불소계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베이스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
불소계 합성수지의 종류에 따라 지지기판(140)에 불소계 합성수지액을 코팅하거나 분말상태의 불소계 합성수지를 도포한 후 열처리하여 지지기판(140)에 베이스 기재(1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누출 감지 센서의 작동 온도가 100℃ 전후인 경우에는 ETFE를 재질로 된 베이스 기재를 선택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고온인 250℃에서 작동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 보다 우수한 PTFE 재질로 된 베이스 기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10)의 일면에는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을 가지는 검출부(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서로 다른 도전성을 가지는 것으로,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 기재(110)의 일면 중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이 형성된 영역이 검출부(D)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 사이에 누출된 액체가 떨어지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에 형성된 단자부(120a, 130b)가 감지기와 연결되어 있고, 통전 현상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누수 및 누액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의 간격이 좁을수록 검출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110)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을 미세한 너비로 형성할수록 누액감지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불소계 합성수지에 도전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도전성 물질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본 블랙 또는 아세틸렌 블랙 등의 도전성 물질과 혼합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물질의 입자크기 및 함유량에 따라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의 도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도전성 물질의 입자 크기는 0.3 내지 3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의 경우에는 5 내지 15중량%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경우에는 5 내지 30중량%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전성 물질과 함께 비수용성 용제, 바인더 및 용매 등을 혼합하여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는 미량의 도전성이 아닌 약 600㏀의 도체에 가까운 저항을 가지며, 성형성이 우수하여 이를 이용하여 베이스 기재(110)에 미세한 너비 및 미세한 간격을 가지는 도전라인(120, 13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베이스 기재(110)상에 검출부(D)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형성시키되,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불소계 수지로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 패턴을 인쇄한 후 소결하여 베이스 기재(110) 상에 검출부(D)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라인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탈 마스킹 등의 방법으로 패턴인쇄를 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의 간격은 0.5 내지 3mm일 수 있고, 도전라인의 자체의 너비는 0.1 내지 5mm일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소결 온도는 360 내지 38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기재(110)와 도전 라인(120, 130)은 모두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소결과정에서 일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 라인(120, 130)이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형태 및 위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재(110)와 도전라인(120, 130)을 동종의 PTFE 또는 ETFE을 사용함으로써 그 결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재(110)상에 도전라인(120, 130)을 형성하기 전에 도전라인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비점착성 및 이형성을 가지는 PTFE로 된 베이스 기재의 경우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처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베이스 기재의 표면을 에칭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에칭 용액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수지의 에칭에 사용하는 것은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콜 에테르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검출부(D)의 면적을 넓히고, 데드 포인트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 기재(1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 다수개의 라인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 각각은 단자부(120a, 130a)가 형성된 주라인(121, 131)과 상기 주라인(121, 131)에서 뻗어나온 다수개의 가지라인(122, 13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지라인(122, 132)은 주라인에서 베이스 기재(1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뻗어나올 수 있고, 제1 및 제2 도전라인 각각의 가지라인(122, 132)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각각 하나의 단자부(120a, 130b)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단자부는 각각 주라인(121, 13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하나의 단자부를 가짐으로써 누액 감지 시스템의 연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120a, 130a)는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시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누액감시센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검출부를 구성하는 도전라인의 패턴에 차이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는 제1 및 제2 도전라인(220, 230)을 가지는 검출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220, 230)은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 1 내지 도 3에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220, 230) 각각은 단자부(220a, 230a)가 형성된 주라인과 상기 주라인에서 뻗어나와 베이스 기재(2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뻗어나온 가지라인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각각의 가지라인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220, 230)은 각각 하나의 단자부(220a, 230a)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단자부는 각각 주라인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은 하나의 단자부를 가짐으로써 누액 감지 시스템의 연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220a, 230a)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주라인과 가지라인이 대칭되는 패턴을 가지고, 단자부(220a, 230a)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누액이 어느 위치에 떨어지더라도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게 된다.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폭과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될수록 검출부에 형성되는 저항값이 높아져 이를 검출하기 어려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어 안정한 검출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D)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110)의 일면에 보호층(15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0)은 비도전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베이스 기재(110)와 같이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층(150)은 검출부의 도전라인(120, 130)은 덮되,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 사이의 베이스 기재(110)는 노출시키는 개방부(H)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0)은 베이스 기재에 형성된 도전라인(120, 13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전라인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0)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도전라인에 불소계 합성 수지를 증착시키거나 별로도 불소계 합성수지로 개방부를 가지는 시트를 제조한 후 이를 적층 시킬 수 있다.
검출부(D)의 도전라인(120, 130)이 표면에 노출되는 경우 사용 및 설치시 도전라인이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부주의로 검출 대상이 아닌 물성이 접촉되거나 인체 접촉 및 기타 도체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층(150)을 적층 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50)이 적층되더라도 베이스 기재(110)는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부(H)를 통하여 누출된 물이나 액체가 검출부(D)의 도전라인(120, 130) 사이에 침투할 수 있다. 즉, 인체나 도체 물질의 접촉은 차단하고, 검출대상인 액상의 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누액감지센서는 누출된 물이나 기타 액체가 누액감지센서의 표면 위로 떨어지게 되면 검출부에 형성된 도전라인이 연결되어 전류가 통하게 된다. 이러한 통전 현상을 감지지가 감지하고, 통전 현상이 발생한 누액감지센서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의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오염물질에 강한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을 확인한 후에 간단히 닦아내는 것만으로 물 또는 기타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누액감지센서의 교체 없이 다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재뿐만 아니라 검출부의 도전라인도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양 구성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라인은 미세한 너비 및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이 대칭되는 패턴을 가지고,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누액이 어느 위치에 떨어지더라도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폭과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되더라도 저항값이 높아지지 않고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어 안정한 검출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 상에 보호층을 적층하여 누액감지센서의 사용 및 설치시에 부주의로 검출 대상이 아닌 물성이 접촉되거나 인체 접촉 및 기타 도체가 접촉되는 사고에 따라 도전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인체나 도체 물질의 접촉은 차단하고, 검출대상인 액상의 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도전라인이 보호됨에 따라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플랜지(Flange), 밸브(Valve)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시 시스템은 누액이 예상되는 구조물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S1, S2, Sn); 상기 누액감지센서의 전류 및 저항값을 감지 및 측정하는 감지기(B1); 및 상기 누액감지센서와 감지기를 연결하는 딥스위치(DS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액감지센서(S1, S2, Sn)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일 수 있다. 누액이 예상되는 다수개의 구조물에 각각 누액감지센서를 배치하고, 각각의 누액감지센서는 감지기(B1)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기(B1)는 누액감지센서의 전류 및 저항값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가 직렬로 연결되면, 그 수만큼 저항치가 상승할 수 있고, 저항치가 높아짐에 따라 이의 검출은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딥스위치(DS1)는 병렬 연결된 다수개의 저항(R1, R2, R3, R4)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직렬 연결된 검출부의 저항치 상승에 따라 딥스위치를 조작하여 저항치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기(B1)는 전체 저항치의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210: 베이스 기재 D: 검출부
120, 130, 220, 230: 도전라인 120a, 130a, 220a, 230a:단자부
121, 131: 주라인 122, 132: 가지라인
140: 지지기판 150: 보호층
H: 개방부

Claims (10)

  1.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표면처리가 된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제1 및 제2 도전라인을 가지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사이의 베이스 기재를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각각은 하나의 단자부가 형성된 주라인과 상기 주라인에서 상기 베이스 기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뻗어나오는 다수개의 가지라인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가지라인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는 같은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합성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는 카본 블랙 및 아세틸렌 블랙 중 하나 이상의 도전성 물질이 혼합된 불소계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와 제1 및 제2 도전라인은 동종의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로써, 누액이 예상되는 구조물에 배치된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
    상기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와 연결된 딥스위치; 및
    상기 딥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누액감지센서의 전류 및 저항값을 감지 및 측정하는 감지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는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딥스위치는 병렬 연결된 다수개의 저항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20140068089A 2014-06-05 2014-06-05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162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89A KR101623537B1 (ko) 2014-06-05 2014-06-05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89A KR101623537B1 (ko) 2014-06-05 2014-06-05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07A KR20150140007A (ko) 2015-12-15
KR101623537B1 true KR101623537B1 (ko) 2016-05-23

Family

ID=5502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089A KR101623537B1 (ko) 2014-06-05 2014-06-05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32A (ko) * 2016-12-08 2018-06-18 성백명 재사용이 가능한 판넬형 누설감지센서
KR102006469B1 (ko) 2019-01-22 2019-08-01 주식회사 씨티에이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KR102081261B1 (ko) 2019-11-04 2020-02-25 윤정희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KR20200091275A (ko)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씨티에이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70A (ko) * 2016-12-12 2018-06-20 이재희 교환형 누설 감지 센서
CN113776745A (zh) * 2021-09-14 2021-12-10 深圳市英维克科技股份有限公司 漏液检测传感器及检测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4366A (ja) * 2003-12-02 2005-06-23 Omron Corp 漏液検出器
KR200471278Y1 (ko) * 2012-12-12 2014-02-11 허지현 리크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한 리크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4366A (ja) * 2003-12-02 2005-06-23 Omron Corp 漏液検出器
KR200471278Y1 (ko) * 2012-12-12 2014-02-11 허지현 리크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한 리크감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32A (ko) * 2016-12-08 2018-06-18 성백명 재사용이 가능한 판넬형 누설감지센서
KR101958716B1 (ko) * 2016-12-08 2019-03-18 성백명 재사용이 가능한 판넬형 누설감지센서
KR102006469B1 (ko) 2019-01-22 2019-08-01 주식회사 씨티에이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KR20200091275A (ko)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씨티에이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081261B1 (ko) 2019-11-04 2020-02-25 윤정희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07A (ko)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537B1 (ko)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1544855B1 (ko) 플렉서블 시트형 물성감지 리크센서장치
KR101571398B1 (ko) 누액 감지 센서
KR101591918B1 (ko) 리크감지센서
KR102109143B1 (ko) 액체 유입 수단을 갖는 누액 감지 센서
KR101460020B1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830005B1 (ko) 누액 감지 센서
KR101346381B1 (ko) 플렉시블 누설센서
KR101505439B1 (ko) 누설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4273A (ko)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KR101461539B1 (ko) 플렉서블 시트형 물성감지 리크센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43075B1 (ko) 패시베이션층을 통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구분 감지가 가능한 산염기 누출감지용 센서
KR101594891B1 (ko) 누액 감지 센서
KR101702360B1 (ko) 약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
JP2009518630A (ja) 有機液体検出用センサー
KR101578060B1 (ko) 플렉서블 시트형 물성감지 리크센서장치
KR101458461B1 (ko) 고정평판형 물성감지 리크센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38509B1 (ko) 배관형 누설 감지 센서
KR101693761B1 (ko) 상면 및 측면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KR102144641B1 (ko) 누액 감지 센서
KR20140099634A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2053005B1 (ko)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KR102064606B1 (ko) 저전도성 액체 누설 감지 센서
KR101538504B1 (ko) 거리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KR101952340B1 (ko) 영역 구분형 누설 감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