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273A -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273A
KR20150004273A KR20140078932A KR20140078932A KR20150004273A KR 20150004273 A KR20150004273 A KR 20150004273A KR 20140078932 A KR20140078932 A KR 20140078932A KR 20140078932 A KR20140078932 A KR 20140078932A KR 20150004273 A KR20150004273 A KR 20150004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solvent
conductive line
resistance value
film layer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8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근
Original Assignee
(주)유민에쓰티
유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민에쓰티, 유홍근 filed Critical (주)유민에쓰티
Priority to PCT/KR2014/00583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02426A1/ko
Publication of KR2015000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설되는 각종 유기 용제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됨으로써 유기 용제의 누설 상태를 감지함은 물론 누설된 유기 용제의 종류까지 감지하기 위한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전라인; 유기 용제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되는 물질에 의해 상기 도전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Organic solvent leak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설되는 각종 유기 용제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됨으로써 유기 용제의 누설 상태를 감지함은 물론 누설된 유기 용제의 종류까지 감지하기 위한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미 여러 건의 등록 특허(10-0909242, 10-0827385 등)에서 테이프 형태로 되어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누수 발생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프 형태의 누수감지센서를 제안한 바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누수감지센서(100)는 하부접착층(120), 베이스필름층(110), 상부보호필름층(130)이 저면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하부접착층(120)은 누수가 발생되는 곳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베이스필름층(110)은 도전라인(111,112)이 상부에 형성되기 위한 층으로서, 도전라인(111,112)의 패턴을 인쇄 방식에 형성하기 위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라인(111,112)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표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로 인쇄된다.
상부보호필름층(130)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에 적층되어 도전라인(111,112)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베이스필름층(110)과 같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도전라인(111,112)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마다 센싱홀(131)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가 발생된 위치의 센싱홀(131)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어 두 도전라인(111,112)이 수분에 의해 통전되며, 원격의 제어기가 그 통전상태 즉 폐회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파악하여 누수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경보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필름형 누수감지센서(100)는 도전성을 가져서 도전성 용액의 누설을 검출할 수 있지만, 윤활유, 작동유, 절연유, 휘발유, 경유, 등유, 항공유 등의 각종 오일류, 노말핵산, 디클로로에틸렌(이염화아세틸렌), 디클로로에탄(이염화에틸렌), 메타놀, 사염화탄소, 아세톤,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이황화탄소, 초산메틸, 크실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테트라클로로에탄(사염화아세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파-클로로에틸렌),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 기타 석유화학 합성물 등의 유기 용제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오일류, 노말핵산, 디클로로에틸렌(이염화아세틸렌), 디클로로에탄(이염화에틸렌), 메타놀, 사염화탄소, 아세톤,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이황화탄소, 초산메틸, 크실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테트라클로로에탄(사염화아세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파-클로로에틸렌),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 기타 석유화학 합성물 등의 유기 용제와 접촉시 빠르게 반응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유류 및 유기 용제의 누설을 감지하도록 한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라인의 기본 저항값으로부터 상하방향 리미트 저항값을 설정하여 리미트 저항값의 범위내로 저항값이 변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누설되는 유기 용제의 종류까지 판별할 수 있도록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전라인;
유기 용제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되는 물질에 의해 상기 도전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전라인;
유기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침식되는 재질로서, 상기 도전라인을 덮는 코팅층;으로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에는 제어기가 연결되어 상기 도전라인에 센싱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누설되는 유기 용제에 빠르게 반응하여 즉각적인 유기 용제 누설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서 누설에 의한 화재, 토양 또는 수질 오염 등을 신속히 확인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설되는 유기 용제의 종류에 따른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누설에 대하여 빠르고 올바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공지의 누수감지장치의 분해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도1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제어기가 연결된 상태 및 회로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6은 유기 용제의 누설에 의해 도전라인의 저항값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제어기가 연결된 상태 및 회로 구조를 보인 도.
도8은 누설된 유기 용제의 종류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기의 동작 상태를 보인 그래프.
도9는 유기 용제 감지 센서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
도10 및 도11은 도전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예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적용된 유기용제 누설 감지 센서(2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PET, PE, PTFE, PI,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필름 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210)과, 상기 베이스필름층(210)의 상측에 적층되는 상부보호필름층(230), 베이스필름층(210)과 상부보호필름층(230) 사이에 적층되는 코팅층(24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필름층(210)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도전라인(211,212)이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이러한 도전라인(211,212)은 은(silver) 화합물, 도전성 잉크, 금속 박판 또는 시트 등 다양한 도전체에 의해 형성된다.
도전라인(211,212)의 상부면으로는 도전라인(211,212) 또는 베이스필름층(210) 전체를 덮도록 코팅층(24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코팅층(240)은 윤활유, 작동유, 절연유, 휘발유, 경유, 등유, 항공유 등의 각종 오일류, 노말핵산, 디클로로에틸렌(이염화아세틸렌), 디클로로에탄(이염화에틸렌), 메타놀, 사염화탄소, 아세톤, 오르토-디클로로벤젠, 이황화탄소, 초산메틸, 크실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테트라클로로에탄(사염화아세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파-클로로에틸렌),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 기타 석유화학 합성물 등의 유기 용제(이하, 유기 용제라 한다)에 반응하여 용해 또는 침식되는 물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코팅층(240)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수성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45~55 중량%에 비이온계면활성제 45~55 중량%가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물에는 도전 라인의 표면 장력을 낮추기 위해 ?팅 에이전트(Wetting agent)와, 인쇄시 용제를 휘발시키기 위한 에탄올(ethanol), 그리고 카본 나노 튜브인 그레이핀(graphene)이 1~2 중량% 더 첨가되어 혼합된다.
수성 폴리스타이렌은 산에 약해서 쉽게 용해되는 물질이고, 그리고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유기용제와 반응하는 물질로서, 코팅층(240)에 유기용제가 접촉되면 쉽게 용해되는 조성물이다.
?팅 에이전트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쇄방식에 의해 코팅층(240)을 형성할 때 표면장력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표면장력이 높으면 코팅층(240)의 인쇄시에 퍼지지 않고 뭉쳐지게 베이스필름층(210) 또는 도전라인(211,212)에 부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팅 에이전트의 첨가에 의해 표면장력을 낮추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휘발성을 갖는 에탄올과 그레이핀을 1~2 중량% 더 첨가하게 되는데, 이는 코팅층(120)의 인쇄시에 수성 폴리스타이렌의 용제를 휘발시켜 부착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물을 도전라인(211,212)이 형성된 베이스필름층(210)의 상부면 전체에 인쇄방식에 의해 도포하여 코팅층(220)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전라인(211,212)에만 한정하여 코팅층(24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코팅층(240)의 두께는 2~20㎛의 두께를 갖는다.
상부보호필름층(230)은 PET, PE, PTFE, PI,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필름 재질로 형성되고, 도전라인(211,212)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센싱홀(23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유기 용제의 유류의 누설이 발생하면, 상부보호필름층(230)의 센싱홀(231)을 통해 유기 용제가 유입되고, 이로 인해 코팅층(240)이 용해 또는 침식되면서 저항값의 변화를 가져오고,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도전라인(211,212)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되므로 유기 용제의 누설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4는 이러한 유기 용제의 누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보인 도로서,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센서(200)의 양단에 스타트 커넥터(400)와 엔드 커넥터(500)가 연결되는데, 스타트 커넥터(400)는 제어기(300)와 연결되고, 엔드 커넥터(500)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센서(200)의 끝단에서 도전라인(211,212)을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따라서, 유기 용제의 누설이 발생하여 센싱홀(231)을 통해 유입되어 제1도전라인(211)과 제2도전라인(212)이 통전되면, 저항값 변화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원격의 제어기(300)는 유기용제의 누설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도5에서와 같이 베이스필름층(210)상에 형성된 도전라인(211,212)이 유기 용제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되는 물질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전라인(211,212)은 액티브 카본 또는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또는 그래핀(Graphene) 또는 카본 블랙(Carbon black) 등의 도전성을 갖는 전도성 카본 50~99%와, 바인더로서 폴리우레탄(PU) 1~50 중량%가 혼합되어 전도성 카본 잉크가 조성되고, 그 전도성 카본 잉크로 그라비아 인쇄방식,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 잉크젯 인쇄방식 등의 다양한 인쇄방식에 의해 베이스필름층(210)에 인쇄하여 도전라인(211,212)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바인더로서 폴리우레탄 대신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페놀수지(PF) 중 어느 하나를 1~50 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부보호필름층(230)은 강산성 용액에 강한 PC, PP, PE, PI, PET, 테프론 재질 등의 합성수지재로 50~300㎛ 두께로 형성되며, 도전라인(211,212)이 형성된 위치에 센싱홀(2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기 용제의 누설이 발생하면, 누설이 발생된 위치의 센싱홀(231)을 통해 알칼리 용액이 유입되고, 도6에서와 같이 도전라인(211,212)을 구성하는 바인더가 유기 용제와 반응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풀어 오르면서 전도성 카본 입자의 배열이 무너지게 된다.
이로 인해, 도전라인(211,212)의 저항값이 증가하게 되며, 원격의 제어기가 그 도전라인(211,212)의 저항값 변화를 제공받아 유기 용제의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전라인(211,212)은 아래 표1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도전라인(211) 제2도전라인(212)
1 액티브 카본 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 + 바인더 액티브 카본 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 + 바인더
2 은 화합물 액티브 카본 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 + 바인더
3 금속박판 액티브 카본 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 + 바인더
4 기타 도전체 액티브 카본 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 + 바인더
제1도전라인(211)과 제2도전라인(212)이 모두 액티브 카본 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에 바인더가 혼합된 경우에는 제1도전라인(211)과 제2도전라인(212)에 해당하는 위치에 센싱홀(231)이 형성된다.
그러나 제1도전라인(211)이 은 화합물, 금속박판, 도전성 잉크 등 도전체로 구성되고, 제2도전라인(212)만 액티브 카본 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에 바인더가 혼합된 형태로 구성된다면, 제2도전라인(212)에 해당되는 위치에만 센싱홀(231)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7는 이러한 유기용제의 누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보인 도로서,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산성 용액 누설 감지 센서(200)의 양단에 스타트 커넥터(400)와 엔드 커넥터(500)가 연결되는데, 스타트 커넥터(400)는 제어기(300)와 연결되고, 엔드 커넥터(500)는 유기용제 누설 감지 센서(200)의 끝단에서 도전라인(211,212)을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도7(b)는 제2도전라인(212)이 유기 용제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되는 물질로 형성되고, 제1도전라인(211)은 도전체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든 회로도로서, 유기 용제의 누설이 발생하여 센싱홀(231)을 통해 유입되어 제2도전라인(212)과 접촉되면, 제2도전라인(212)의 저항값 변화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원격의 제어기(300)는 유기 용제의 누설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유기 용제는 다양한 종류를 가지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도전라인(211,212)이 통전되어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는 구조에서는 단순히 유기 용제의 누설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로 누설 상태만 알 수 있을 뿐 누설되는 유기 용제의 종류는 확인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그 누설되는 유기 용제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와 도전라인(212)의 저항값 변화 또는 도전라인(211,212)이 서로 통전되어 발생하는 저항값 변화를 제어기(300)에서 입력받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유기 용제의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도8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코팅층(240)이 형성된 상태에서의 두 도전라인(211,212) 사이의 저항값 변화에 따른 유기 용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제어기(300)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제어기(300)에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센서(200)의 센서 길이에 따른 기준 저항값이 설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준 저항값을 기준으로 외부 온도, 습도, 전기적 잡음, 물리적 접촉 등의 외부 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자체 저항값의 변화를 흡수하도록 '+' 오프셋(offset) 값과 '-' 오프셋 값이 설정된다.
이러한 오프셋 값은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센서(20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조절된다.
또한, 제어기(300)에는 기준 저항값의 '+'방향으로 알람 설정값(High Limit) 즉 상한 저항값이 설정되어 있고, '-'방향으로 알람 설정값(Low Limit) 즉 하한 저항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알람 설정값의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센싱 감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기 용제가 누설되어 도전라인(211,212) 사이의 저항값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면서 알람 설정값의 범위내에 들어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유기 용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화학용액A의 경우에는 누설되어 코팅층(240)과 접촉하게 되면, 코팅층(240)이 용해 또는 침식되면서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고, 그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알람 설정값의 범위내로 저항값이 변화하여 들어오는 시간을 제어기(300)에서 측정하여 그 측정 시간에 따라 유기 용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화학용액B와 화학용액C, 화학용액D의 경우에는 화학용액A보다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알람 설정값의 범위내로 저항값이 변화하여 들어오므로, 제어기(300)는 이러한 시간을 측정하여 누설되는 유기 용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기(300)는 각 화학용액의 저항 변화값이 알람 설정값(High Limit)과 일치하면 그 위치에서 경보를 발생하게 되고, 이후 지속적인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게 되는데, 어느 특정 화학용액의 경우 화학용액D와 같이 알람 설정값(Low Limit)를 벗어나도록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게 되며, 제어기(300)에서는 알람 설정값(Low Limit)이 벗어나는 위치에서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제어기(300)에는 이러한 각종 유기 용제의 시간경과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서, 초기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한 시점부터 알람 설정값의 범위내로 저항값의 변화가 진입하는 시간을 특정하여 해당 시간에 해당하는 화학용액 즉 유기 용제의 종류에 대한 경보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를 적용하면, 유기 용제에 의해 도전라인(212)의 저항값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저항값이 증가하는 그래프 형태를 보일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의해 도전라인(211,212)의 저항값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항값의 변화 정도를 판단하여 누설되는 유기 용제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테이프 타입의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센서를 케이블 타입의 센서로 대체하여 본 발명의 강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데, 도9에서와 같이 케이블 센서(600)는 2가닥의 도전선(610,620)이 나란히 이격되어 위치한 상태에서 그 외측에 유기 용제에 의해 용해되는 재질로 피복층(630)을 코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피복층(630)은 본 발명의 코팅층(240)과 같은 재질로 피복되거나 또는 유기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침식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류가 피복층(630)에 접촉하게 되면, 피복층(630)이 용해되면서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도전선(610,620)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되는 구조이다.
이와의 동작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전라인(211)(212)을 액티브 카본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쇄방식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도10에서와 같이 베이스필름층(210)의 상부면에서 도전라인(211)(212)이 형성될 위치에 양면테이프를 부착시키거나 또는 접착제를 도포시켜 부착제(211-1)(212-1)를 형성한 다음 분말 형태의 액티브 카본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을 뿌려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전성 분말을 부착제(211-1)(212-1)에 뿌려서 도전라인(211)(212)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착제(211-1)(212-1)가 형성된 위치에서만 도전성의 액티브 카본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이 부착되어 도전라인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다른 방안으로,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에 의해 도전라인(211,212)을 형성시킬 수 있는데, 스퍼터링 공정은 진공 챔버에서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과 본 발명의 베이스필름층(210)을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베이스필름층(210)에는 도전라인 형성될 위치를 제외한 부위에 도11에서와 같이 보호막(213)을 씌우게 된다.
이러한 보호막(213)은 합성수지재로 된 테이프가 될 수 있다.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에는 (-)전압을 걸고, 베이스필름층(210)에는 (+)전압을 건 다음 진공 챔버내에 아르곤 가스를 투입하게 되면, 이온화된 아르곤 가스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과 충돌하여 튀어나온 금속 입자는 베이스필름층(210)에 증착된다.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 보호막(213)을 제거하면, 도전라인(211,2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는 이유는 도전성 잉크, 은 화합물, 금속 시트 또는 박판 등의 도전성 재질로 도전라인(211,212)이 형성되는 경우에 5~10㎛의 두께를 가지므로 높은 저항값을 가지며, 아울러 그 상부에 코팅층(240)이 도포되는 경우에 도전라인(211,212)과 코팅층(240)의 두께가 30~50㎛까지 두꺼워지게 되고, 또한 도전라인(211,212)의 두께에 의하여 코팅층(240)이 안정적으로 베이스필름층(210)에 부착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퍼터링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전라인(211,212)의 두게가 0.1~1㎛를 가질 수 있으므로, 두께도 얇아지게 되고, 얇은 두께에 의하여 코팅층(240)이 베이스필름층(24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전라인(211,212)은 굳이 2개가 아닌 액티브 카본 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또는 그래핀(Graphene)이 바인더와 혼합된 물질로 하나의 도전라인만 베이스필름층(210)의 상부면에 형성시키고, 그 하나의 도전라인의 양단을 도전성 케이블에 의해 제어기로 접속시킬 수 있을 것이다.
110 : 베이스층 111,112 : 도전라인
120 : 코팅층 121,122 : 센싱홀

Claims (13)

  1.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전라인;
    유기 용제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되는 물질에 의해 상기 도전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성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45~55 중량%에 비이온계면활성제 45~55 중량%가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는 도전 라인의 표면 장력을 낮추기 위해 ?팅 에이전트(Wetting agent)와, 인쇄시 용제를 휘발시키기 위한 에탄올(ethanol), 그리고 카본 나노 튜브인 그레이핀(graphene)이 1~2 중량% 더 첨가되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4. 테이프 형태로 된 베이스 필름층;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인쇄된 도전 라인;으로 형성된 누유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라인은 유기 용제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되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도전라인은 전도성 카본 50~99 중량%에 폴리우레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페놀수지(PF) 중 어느 하나가 1~50 중량%으로 혼합된 혼합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전도성 카본은 액티브 카본, 탄소 나노 튜브(CNT), 그래핀(Graphene), 카본 블랙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7.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전라인;
    유기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침식되는 재질로서, 상기 도전라인을 덮는 코팅층;으로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에는 제어기가 연결되어 상기 도전라인에 센싱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8.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유기 용제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되는 재질로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전라인;으로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에는 제어기가 연결되어 상기 도전라인에 센싱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9. 나란히 이격되어 위치하는 2가닥의 도전선;
    유기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침식되는 재질로서, 상기 도전선의 외측으로 피복되는 피복층;으로 구성된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에는 제어기가 연결되어 상기 도전선에 센싱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의 기준 저항값이 설정되고, 상기 기준 저항값의 '+'방향과 '-'방향으로 알람 설정값의 상한 저항값과 하한 저항값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11. 제4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라인은 한 쌍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각 도전라인은 표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12. 제4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라인은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부착제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제에 도전성 분말을 뿌려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13. 제1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라인은 스퍼터링(sputterin)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KR20140078932A 2013-07-02 2014-06-26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KR20150004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5834 WO2015002426A1 (ko) 2013-07-02 2014-07-01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157 2013-07-02
KR1020130077157 2013-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73A true KR20150004273A (ko) 2015-01-12

Family

ID=5247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8932A KR20150004273A (ko) 2013-07-02 2014-06-26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27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508A (ko) * 2017-03-20 2018-10-01 이재희 강우 구분형 누액 감지 장치
KR101939660B1 (ko) * 2018-09-04 2019-01-17 성백명 화재 및 유해화학용액 누설 통보장치
KR102273495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490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505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32053A (ko) * 2021-08-30 2023-03-07 (주)와이즈 누액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508A (ko) * 2017-03-20 2018-10-01 이재희 강우 구분형 누액 감지 장치
KR101939660B1 (ko) * 2018-09-04 2019-01-17 성백명 화재 및 유해화학용액 누설 통보장치
KR102273495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490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505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WO2022050689A1 (ko) * 2020-09-01 2022-03-10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4193690A (zh) * 2020-09-01 2022-03-18 成百明 液体泄漏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20230032053A (ko) * 2021-08-30 2023-03-07 (주)와이즈 누액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4273A (ko)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KR20150033516A (ko) 강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
JP5904386B2 (ja) 漏油感知組成物及びこれを適用した漏油感知センサー
KR20150041564A (ko) 알칼리 용액 누설 감지 장치
JP2010164344A (ja) 物質検知センサ
KR101623537B1 (ko)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US20150362397A1 (en) Device for detecting leakage of acidic solution
KR100856577B1 (ko) 탄소나노튜브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305127B1 (ko) 누설용액 감지장치
JP5760027B2 (ja) 有機液体検出用センター
KR101702360B1 (ko) 약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467200B1 (ko) 누유 감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누유 감지센서
KR20150052609A (ko) 누액 감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WO2015002426A1 (ko)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KR101579484B1 (ko) 고분자가 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변압기 오일의 수소 감지용 나노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8815B1 (ko) 누액감지센서
CN105987794A (zh) 碱性溶液泄漏传感装置
KR20190001987A (ko) 재사용이 가능한 누설감지센서
KR101847090B1 (ko)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KR101444651B1 (ko) 유기인 화합물 가스 감지를 위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이용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05502B1 (ko) 누설용액 감지장치
KR20150131888A (ko) 누수 감지 센서
KR200484838Y1 (ko) 리크 감지 센서
JP2010249692A (ja) 物質検知センサ
Yu et al. Liquid leakage thin film-tap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