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005B1 - 누액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누액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005B1
KR101830005B1 KR1020160140957A KR20160140957A KR101830005B1 KR 101830005 B1 KR101830005 B1 KR 101830005B1 KR 1020160140957 A KR1020160140957 A KR 1020160140957A KR 20160140957 A KR20160140957 A KR 20160140957A KR 101830005 B1 KR101830005 B1 KR 10183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leakage
detection sensor
base sheet
she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희
Original Assignee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G01M3/04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with electrical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물질의 선별적인 검출이 가능한 누액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부; 상기 베이스 시트부에 도전성 재료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검지부; 및 상기 베이스 시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검지부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검출 대상 유체와 반응하여 상기 검출 대상 유체를 검지부 측으로 침투시켜 상기 검지부가 전기적으로 단선 또는 단락(쇼트)되도록 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우, 강설, 물청소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여 유해 물질의 선별적인 검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누액 감지 센서{LEAK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누액 감지 센서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해 물질의 선별적인 검출이 가능한 누액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리크 센서(Leak Sensor)가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케이블형 리크 센서, 밴드타입 리크 센서, 모듈형 리크센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형 리크 센서는 각종 액체(물, 오일 등)의 노출을 감지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지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주는 누수 및 누유 감지 리크 센서이다.
누수 및 누유의 감지는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가 누출된 물 또는 오일의 저항에 의하여 전위차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누수 및 누유의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케이블형 리크 센서는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센서 케이블의 길이가 정해져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센서 설치 시 별도 브라켓을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추가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누수된 물성 감지후 물성을 제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아울러 외부기기와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밴드타입(BEND TYPE) 리크 감지센서(LEAK DETECTION SENSOR)는 전선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동안 물이 전선에 닿게 되면 저항값이 변하게 되어 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타입 리크 감지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넓은 면적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높은 습도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에러(ERROR) 발생률이 높고, 정확한 누수 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의 연계성이 없어 제품설치의 조잡성이 있다.
또한, 성능에 비해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고, 설치시 바닥에 고정할 브라켓을 따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려우며, 외부기기 연결시 단순한 릴레이 접점방식 이외의 연결 디바이스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모듈형 리크 센서는 플라스틱 케이스 내부에 포토 센서(수광부, 발광부)를 위치시켜, 액체를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광부의 빔(BEAM)을 수광부에서 받아들이지만, 발광부 빔(BEAM)이 액체를 감지하게 되면 굴절률의 변화로 빔(BEAM)이 수광부로 가지 못하게 되므로 빛의 수광된 상태로서 누수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모듈형 리크 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누수위험 부분을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며, 주변장치와 상관없이 자체적 경보가 가능함과 아울러 습도에 따른 에러(ERROR)가 없으나, 케이블 타입(CABLE TYPE)과는 달리 특정 위치의 누수 여부만 확인 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주변장치와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센서고정방안을 계획해야 하므로 제품설치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누수 위험지역의 특정부위만 검출가능 하므로 누수위치가 바뀌게 되면 감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감지 센서들은 강우, 강설, 작업장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물 청소 등에 의한 무해한 유체에도 반응하여 불필요한 오동작을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5234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01-171340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해 물질의 선별적인 검출이 가능한 누액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부; 상기 베이스 시트부에 도전성 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복수의 검지부; 및 상기 검지부가 전기적으로 단선 또는 단락(쇼트)되도록 검출 대상 유체에 용해되어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검지부 측으로 침투되도록 하고,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상부 시트부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 사이를 접착하여 상기 검지부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 상기 베이스 시트부와 접착하는 상부 시트부; 및 상기 검지부를 연결하는 도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누액 감지 센서는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부 상에 설치한 상부 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누액 감지 센서는 일측면에 상기 검지부가 설치되고, 타측면에 보조 검지부를 설치한 절연 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지부 및 보조 검지부는 실선 패턴과 점선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전부는 검출 대상 유체와 반응하여 상기 검지부가 단선 또는 단락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호부는 임의의 검출 대상 유체와 반응하는 반응 물질이 혼합되고, 베이스 시트부 및 상부 시트부와 접착하는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호부는 도전부가 배치되는 도전부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누액 감지 센서는 상기 검지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종단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우, 강설, 물청소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여 유해 물질의 선별적인 검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도 4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은 도 7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 은 도 9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 는 도 11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 은 도 11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6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7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는 베이스 시트부(110)와, 검지부(120)와, 보호부(130)와, 상부 시트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시트부(110)는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부재로서, 화학 약품에 내식성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부(110)는 메시 형태의 유리 섬유 또는 실리카 섬유를 불소계 수지 용액에 일정시간 침지시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는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예를 들면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 FEP(Flourinated Ethylene Prophylene), PTFE(PolyTetraFluoroeEhylene), PFA(Perfluorinated acids) 등일 수 있다.
상기 검지부(120)는 도전성 재료를 이용하여 베이스 시트부(110)상에 일정 형상의 패턴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액상의 불소계 수지와 도전성 재료를 혼합하여 화학 약품에 대한 내부식성과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누설 감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검지부(120)는 상기 불소계 수지와 도전성 재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미리 설정된 라인 패턴에 따라 베이스 시트부(110)에 도포하거나 또는 인쇄하여 형성한다.
즉 상기 검지부(120)는 (+)선과 (-)선으로 이루어진 예를 들면, 한 쌍의 실선 패턴으로 베이스 시트부(110)에 설치한다.
상기 보호부(130)는 베이스 시트부(110)상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부(110)에 설치된 검지부(12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여 상기 검지부(120)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130)는 검출 대상 유체 즉 검출 대상 화학 약품과 반응하는 반응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검출 대상 화학 약품이 유입되면 용해되어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검지부(120) 측으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침투된 유체를 통해 상기 검지부(120)가 전기적으로 단선 또는 단락(쇼트)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130)는 베이스 시트부(110)와 접착하여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시트부(110) 및 상부 시트부(140)와 접착하여 고정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130)는 베이스 시트부(110)상에 설치된 검지부(120)의 양측면 바깥쪽에 설치되어 베이스 시트부(110)와 상부 시트부(140) 사이의 내측으로 외부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검출 대상 유체와 쉽게 반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130)는 비검출 대상인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 기능을 제공하여 강우, 강설, 물청소 등의 습기로 인한 불필요한 오동작을 배제할 수 있고, 검출 대상 화학 약품에만 반응하여 용해됨으로써 누설 감지를 통한 선별적인 검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베이스 시트부(110)와 상부 시트부(140)의 용이한 접착을 통해 누액 감지 센서(100)의 제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시트부(140)는 화학 약품에 내식성을 갖도록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부재로서, 보호부(130)상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부(130)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시트부(140)는 메시 형태의 유리 섬유 또는 실리카 섬유를 불소계 수지 용액에 일정시간 침지시켜 형성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는 차단하고, 화학 약품은 쉽게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선별적인 누설 검출이 가능하며, 베이스 시트부(110)와 상부 시트부(140)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으로 누설된 용액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우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a)를 설명하면, 베이스 시트부(110)와, 검지부(120)와, 보조 검지부(120a)와, 보호부(130)와, 상부 시트부(140)와, 절연 시트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와 비교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a)는 검지부(120)와, 보조 검지부(120a)와, 절연 시트부(150)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절연 시트부(150)는 화학 약품에 내식성을 갖도록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부재로서, 베이스 시트부(110)와 상부 시트부(140) 사이에 설치되고, 누설 감지를 위한 검지부(120)와 보조 검지부(120a)가 절연 시트부(150)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절연 시트부(15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검지부(120)와 보조 검지부(120a)가 절연 시트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형태의 패턴(예를 들면, 일정 폭을 갖는 박막의 라인)으로 설치함으로써, 보호부(130)를 통해 유입되는 검출 대상 유체의 침투를 상/하 위치에서 각각 감지함으로써, 감지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는 차단하고, 화학 약품은 쉽게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선별적인 누설 검출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b)는 베이스 시트부(110)와, 검지부(120)와, 보호부(130a)와, 상부 시트부(140)와, 도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b)는 제1 실시예의 누액 감지 센서(100)와 비교하여 보호부(130a)와, 도전부(160)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b)의 보호부(130a)는 베이스 시트부(110)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도전부(160)가 설치되는 도전부 설치부(131)가 천공된다.
상기 도전부 설치부(131)는 장방형상의 관통공으로써, 도전부(160)가 안착되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도전부(160)가 화학 약품에 의해 용해되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도전부(160)는 띠 형상의 부재로서, 검출 대상 유체(또는 화학 약품)이 침투하면 반응하여 용해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검출 대상 유체와 반응하면 용해되는 물질과, 도전성 물질이 함께 구성되어 유체가 침투하면 용해되어 침전하여 검지부(120)가 단선 또는 단락되도록 한다.
즉 상기 도전부(160)는 검지부(120) 사이에 단락 또는 단선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유체가 침투하여 용해되면 침전을 통해 단선 또는 단락됨으로써, 상기 검지부(120)를 통한 누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는 차단하고, 화학 약품은 쉽게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선별적인 누설 검출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c)는 베이스 시트부(110)와, 검지부(120)와, 보호부(130b)와, 상부 시트부(140)와, 도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c)는 제3 실시예의 누액 감지 센서(100b)와 비교하여 보호부(130b)의 형상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보호부(130b)는 베이스 시트부(110)의 폭방향 크기와 동일한 폭방향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도전부(1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d1)으로 상기 베이스 시트부(110)와 검지부(120)의 상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시트부(140)의 폭방향 크기(d2)는 베이스 시트부(110)의 폭방향 크기(d3)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검출 대상 유체가 보호부(130b) 사이로 쉽게 유입 및 침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검출 대상 유체의 침투 여부에 따라 검지부(120)를 통해 누설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는 차단하고, 화학 약품은 쉽게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선별적인 누설 검출이 가능하다.
(제5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d)는 베이스 시트부(110)와, 검지부(120b)와, 보호부(130c)와, 상부 시트부(140)와, 도전부(16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와 비교하여 검지부(120b)와, 보호부(130c)와, 도전부(160a)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검지부(120b)는 일정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서, 베이스 시트부(110)상에 점선 패턴으로 설치되고, 상기 점선 패턴으로 이루어진 검지부(120b)는 도전부(160a)를 이용하여 점선 사이의 단선 구간이 도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초기 상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보호부(130c)는 베이스 시트부(110)상에 설치된 검지부(120b)와 대응하여 상기 검지부(120b)가 보호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개별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130c)는 베이스 시트부(110)와 상부 시트부(140)가 접착될 수 있게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부(160a)는 점선 패턴의 검지부(120b) 사이의 단선 영역을 연결하여 상기 검지부(120b)가 단락(쇼트)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서, 검출 대상 유체와 반응하면 용해되는 물질과 도전성 물질을 혼합하여 구성되고, 검출 대상 유체가 침투하면 용해되어 상기 검지부(120b)가 단선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는 차단하고, 화학 약품은 쉽게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선별적인 누설 검출이 가능하다.
(제6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6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6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e)는 제5 실시예의 누액 감지 센서(100d)와 비교하여 베이스 시트부(110)상에 설치되는 검지부(120, 120b)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베이스 시트부(110)상에 실선의 검지부(120)와 점선의 검지부(120b)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종단저항(170)을 통해 검출하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점선 검지부(120b)의 단선 발생 위치에 따른 누설 발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7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의 제7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7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f)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 센서(100d)와 비교하여 베이스 시트부(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점선 패턴의 검지부(120b)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110)의 하면에 설치되는 실선의 검지부(120)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베이스 시트부(11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점선 패턴의 검지부(120b)와 실선 패턴의 검지부(120)를 구성하여 다양한 검지 패턴과 함께 상면 및 측면에서 침투하는 검출 대상 유체의 신속한 누설 감지를 제공할 수 있고, 종단저항(170)을 통해 검출하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점선 검지부(120b)의 단선 발생 위치에 따른 누설 발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는 차단하고, 화학 약품은 쉽게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선별적인 누설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 감지 센서
110 : 베이스 시트부
120, 120b : 검지부
120a : 보조 검지부
130, 130a, 130b, 130c : 보호부
131 : 도전부 설치부
140 : 상부 시트부
150 : 절연 시트부
160, 160a : 도전부
170 : 종단 저항

Claims (9)

  1.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부(110);
    상기 베이스 시트부(110)에 도전성 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 패턴으로 형성한 복수의 검지부(120, 120b); 및
    상기 검지부(120, 120b)가 전기적으로 단선 또는 단락(쇼트)되도록 검출 대상 유체에 용해되어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검지부(120, 120b) 측으로 침투되도록 하고,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상부 시트부(140)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110) 사이를 접착하여 상기 검지부(120, 120b)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130, 130a, 130b, 130c);
    상기 베이스 시트부(110)와 접착하는 상부 시트부(140); 및
    상기 검지부(120, 120b)를 연결하는 도전부(160, 160a)를 포함하는 누액 감지 센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감지 센서는 일측면에 상기 검지부(120)가 설치되고, 타측면에 보조 검지부(120a)를 설치한 절연 시트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120, 120b)는 실선 패턴 또는 점선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보조 검지부(120a)는 실선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160, 160a)는 검출 대상 유체와 반응하여 상기 검지부(120, 120b)가 단선 또는 단락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30, 130a, 130b, 130c)는 임의의 검출 대상 유체와 반응하는 반응 물질이 혼합되고, 베이스 시트부(110) 및 상부 시트부(140)와 접착하는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30a, 130b, 130c)는 도전부(160, 160a)가 배치되는 도전부 설치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감지 센서는 상기 검지부(120, 120b)의 양단을 연결하는 종단저항(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 센서.
KR1020160140957A 2016-10-27 2016-10-27 누액 감지 센서 KR10183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957A KR101830005B1 (ko) 2016-10-27 2016-10-27 누액 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957A KR101830005B1 (ko) 2016-10-27 2016-10-27 누액 감지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005B1 true KR101830005B1 (ko) 2018-02-19

Family

ID=6138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957A KR101830005B1 (ko) 2016-10-27 2016-10-27 누액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0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580B1 (ko) * 2018-06-26 2019-11-27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빔 타입 누액 감지기
KR102198823B1 (ko) * 2019-09-26 2021-01-05 성백명 정전용량형 누액감지센서
KR102198808B1 (ko) * 2019-09-16 2021-01-05 성백명 다층구조를 갖는 정전용량형 누액감지센서
KR102273505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490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8091A (ja) 2009-12-21 2011-06-3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極微量水分計測素子および該計測素子を用いた防湿封止性能評価方法
WO2013187336A1 (ja) * 2012-06-14 2013-12-19 タツタ電線株式会社 液体検知センサー
KR101508553B1 (ko) * 2013-12-24 2015-04-07 (주)유민에쓰티 누수 감지 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8091A (ja) 2009-12-21 2011-06-3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極微量水分計測素子および該計測素子を用いた防湿封止性能評価方法
WO2013187336A1 (ja) * 2012-06-14 2013-12-19 タツタ電線株式会社 液体検知センサー
KR101508553B1 (ko) * 2013-12-24 2015-04-07 (주)유민에쓰티 누수 감지 센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580B1 (ko) * 2018-06-26 2019-11-27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빔 타입 누액 감지기
KR102198808B1 (ko) * 2019-09-16 2021-01-05 성백명 다층구조를 갖는 정전용량형 누액감지센서
KR102198823B1 (ko) * 2019-09-26 2021-01-05 성백명 정전용량형 누액감지센서
KR102273505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490B1 (ko) * 2020-09-01 2021-07-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WO2022050689A1 (ko) * 2020-09-01 2022-03-10 성백명 누액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4193690A (zh) * 2020-09-01 2022-03-18 成百明 液体泄漏传感器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005B1 (ko) 누액 감지 센서
EP2265917B1 (en) Leak sensor apparatus for sensing moisture
KR100827385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KR101623537B1 (ko)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2109143B1 (ko) 액체 유입 수단을 갖는 누액 감지 센서
KR101479177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JP5760027B2 (ja) 有機液体検出用センター
KR101571398B1 (ko) 누액 감지 센서
KR101830026B1 (ko) 플렉시블 막대형 누액 감지 센서
KR101806762B1 (ko) 벽면취부형 누액 감지 센서
KR20190042453A (ko)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KR101843075B1 (ko) 패시베이션층을 통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구분 감지가 가능한 산염기 누출감지용 센서
KR102029359B1 (ko) 액체 누설감지 장치의 센싱방법
KR102053006B1 (ko)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KR101594891B1 (ko) 누액 감지 센서
KR20190014428A (ko) 광원을 이용한 리크센서
KR101538509B1 (ko) 배관형 누설 감지 센서
JPS63228105A (ja) 光フアイバ浸水検知センサ
KR102053005B1 (ko)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JP7012294B2 (ja) 感度調整機能を有する液漏れ検知センサー
KR102187189B1 (ko)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KR102009968B1 (ko) 성상분리센서
KR20200112264A (ko) 누유 감지 센서
KR102268221B1 (ko)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
KR101937437B1 (ko) 다중 누설 감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