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177B1 - 물성감지 리크센서 - Google Patents

물성감지 리크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177B1
KR101479177B1 KR20130082416A KR20130082416A KR101479177B1 KR 101479177 B1 KR101479177 B1 KR 101479177B1 KR 20130082416 A KR20130082416 A KR 20130082416A KR 20130082416 A KR20130082416 A KR 20130082416A KR 101479177 B1 KR101479177 B1 KR 10147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layer
conductive
leak sensor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규
양천근
Original Assignee
강진규
양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규, 양천근 filed Critical 강진규
Priority to KR2013008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테이프나 시트 형태로 별도의 브라켓 없이도 리크의 발생이 예상되는 곳에 부착되어 누수된 유체가 발생될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는 물성감지 리크센서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도전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투과시키는 도전성 유체투과층과,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전성 유체투과층을 통과한 유체를 흡수하는 절연성 유체흡수층, 및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절연성 유체흡수층에 의해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에 절연되며,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에 흡수된 유체를 통해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에 통전되는 도전체층을 포함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량의 누수가 제공되더라도 전극과 전극 사이전체를 누수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량의 누수에도 즉각적인 센싱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물성감지 리크센서{LEAK SENSOR FOR SENSING MOISTURE}
본 발명은 누수된 유체를 감지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나 시트 형태로 별도의 브라켓 없이도 리크의 발생이 예상되는 곳에 부착되어 누수된 유체가 발생될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는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스팀관, 송수관, 가스관 등 원격지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또는 전력배관들은 지하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짧게는 수백미터에서 길게는 수십킬로미터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들은 부식, 외부로부터의 충격, 온도에 따라 수축 및 팽창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내부에 흐르는 스팀, 물 등이 외부로 누수되거나 또는 배관이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스팀이나 물 등이 누수되는 경우 지반을 약화시켜 붕괴사고까지 발생하며, 상수관의 경우 상수 오염까지 발생하므로 누수 및 절단 사고는 엄격히 관리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체의 누수 또는 배관의 절단이 발생하는 경우 지하에 매설된 배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누수 또는 절단이 예측되는 위치를 일일이 파헤쳐 확인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짧게는 수백 미터에서 길게는 수 킬로미터의 구간을 파헤쳐야 하므로 복구를 위한 공사시간이 매우 길고,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부담이 뒤따른다.
지상에 노출된 경우에도 감독자가 누설되는 위치를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즉각적인 복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리크센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으로는 케이블형 리크센서, 밴드형 리크센서, 그리고 모듈형 리크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케이블형 리크센서는 물, 기름 등의 각종 액체의 노출을 감지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지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주는 누수 및 누유감지용 리크센서이다.
또한, 이러한 케이블형 리크센서는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가 누출된 액체의 저항에 의하여 전압이 변경(전위차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누수 및 누유의 발생여부를 고지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지점도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케이블형 리크센서는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센서 케이블 길이가 7M, 15M, 30M 등으로 정해져 있어 고객의 선택폭이 적다. 또한 리크센서 설치 시 별도 브라켓을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추가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물성 감지 후 물성을 제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외부기기와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밴드형 리크센서는 전선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동안 물이 전선에 닿게 되면 저항 값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밴드형 리크센서를 통해 조작이 가능한 저항치는 0Ω 내지 50MΩ이고, 출력은 최대 30V DC에서 100mA, 배선길이는 최대 50m이고, 밴드형 리크센서의 길이는 최대 10m이다.
이와 같은 밴드형 리크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넓은 면적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지만, 높은 습도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오작동 발생률이 높고, 정확한 누수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의 연계성이 없어 제품설치 조잡성이 있으며, 네트워크 또는 PC 사용을 위해서는 많은 투자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센서 케이블의 길이가 1M, 2M, 5M, 10M, 20M 등으로 정해져 있어 고객선택폭이 적다. 아울러, 성능에 비해 가격이 고가이며, 설치 시 바닥에 고정할 브라켓을 따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추가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기기 연결 시 단순한 릴레이 접점방식 이외에는 연결 디바이스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모듈형 리크센서는 플라스틱 케이스 내 포토센서를 위치시켜, 액체를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광부의 빔(beam)을 수광부에서 받아들이지만, 발광부 빔이 액체를 감지하게 되면 굴절률의 변화로 빔이 수광부로 가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듈형 리크센서는 누수를 감지한다. 이러한 모듈형 리크센서의 입력전압은 12 내지 24V DC이고, 응답시간은 50ms이며, 사용온도는 -10 내지 60℃이다.
그리고 모듈형 리크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누수 위험부분을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며, 주변장치와 상관없이 자체적 알람(ALARM) 및 경보불빛 발생이 가능하고, 습도에 따른 에러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케이블형 리크센서와 달리 특정위치의 누수여부만 확인 가능하고, 주변장치와 연결하기가 어려우며, 별도의 센서 고정방안을 계획해야 하므로 제품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누수 위험지역의 특정부위만 검출가능 하므로 누수위치가 바뀌게 되면 감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베이스 필름층, 도전성 라인층, 보호 필름층이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도전성 라인층은 길이방향으로 도전성을 가지고 형성되며, 일정 간격마다 단위 면적당 일정한 저항값을 갖는 저항체가 형성된 제1도체 라인과, 상기 제1도체 라인과 이격되면서 나란히 형성된 제2도체 라인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호 필름층은 상기 도전성 라인층의 제1도체 라인과 제2도체 라인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마다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성 감지 리크 센서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의 내용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7385호로 공지되었다.
그러나, 상기 리크센서는 가격이 저렴하여 광범위지역을 적은 투자비로 리크감지가 가능하고 설치가 쉬운 장점이 있지만, 누수의 센싱을 위해서는 보호 필름층에 나란히 이격되어 형성된 제1도체 라인과 제2도체 라인의 사이에 누수가 충분히 고여야 하므로, 누수의 발생을 즉각적으로 감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리크센서는 도전성 라인층의 패턴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호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지만, 상기 보호 필름층에 의해 도전성 라인층이 외부와 완전히 격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호 필름층의 일정 구간마다 홀을 형성해야 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비교적 높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7385호(2008.05.06 공고)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9242호(2009.07.27 공고)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1347호(2011.05.1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의 감지를 위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도전체를 좌우 방향이 아닌 상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미량의 누수 발생에도 즉각적인 센싱이 이루어지는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전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투과시키는 도전성 유체투과층과,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전성 유체투과층을 통과한 유체를 흡수하는 절연성 유체흡수층, 및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절연성 유체흡수층에 의해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에 절연되며,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에 흡수된 유체를 통해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에 통전되는 도전체층을 포함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크센서는 투과가 원활하게 진행되고, 전류가 흐르는 한 쌍의 전극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전극과 전극 사이에 유체흡수층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미량의 누수가 제공되더라도 전극과 전극 사이전체를 누수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량의 누수에도 즉각적인 센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쌍의 도전체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로 보호 필름 대신 홀의 타공이 필요 없는 도전성 유체투과층을 사용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제조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나 시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벽, 파이프, 설비 등 리크가 발생되는 곳에 별도의 브라켓 필요 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바닥 등에 설치하여도 사람의 통행에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성감지 리크센서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물성감지 리크센서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가 연결된 제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투과시키는 구조로 형성되고 도전성을 가지는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을 통과한 유체를 흡수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성 유체흡수층(120), 및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에 흡수된 유체를 통해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통전되는 도전체층(130)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투과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누수 발생 시 누수를 도전체층(130)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이러한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은 별도로 누수 투과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누수를 원활히 투과시킬 수 있도록 부직포, 직물, 투과성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과성 합성수지로는 스폰지 등의 발포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기공이 형성되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은 상기 누수를 매개체로 도전체층(130)에 연결되어 도전체층(130)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쪽 전극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누수를 매개체로 도전체층(130)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은 도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은 금속 분말 또는 도전성 고분자 분말이 포함되도록 구성되거나, 금속 또는 도전성 고분자가 코팅, 도금, 증착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은 통전이 가능하도록 금속 분말이나 도전성 고분자 분말이 제조과정 중에 첨가된 부직포, 직물, 투과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은 통전이 가능하도록 구리, 니켈 등의 금속이나 도전성 고분자를 코팅, 도금, 증착처리한 절연성 부직포, 직물, 투과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은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의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 평상 시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도전체층(130)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을 도전체층(13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은 누수 발생 시 유체투과층을 통과한 누수를 흡수하여 상기 누수를 매개체로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도전체층(130)을 통전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부직포, 직물, 투과성 합성수지, 망사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두께는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도전체층(130)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도전체층(13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는 두께를 의미한다. 이러한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의 두께는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도전체층(130)의 두께 및 너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으로 사용되는 투과성 합성수지는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에 사용되는 투과성 합성수지와 동일한 합성수지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도전체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체층(130)은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평상 시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에 의해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에 절연되며, 누수 발생 시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에 흡수된 유체를 통해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에 통전될 수 있도록 다른 쪽 전극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누수가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제공되면, 상기 누수가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을 통해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에 흡수되고,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의 하부에 접촉된 도전체층(130)과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120)의 상부에 접촉된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의 사이에는 미소전류가 발생한다.
상기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발생한 전류, 즉 누수발생 신호는 상기 물성감지 리크센서의 도전체층(130)과 연결된 누수 센싱단자(150)를 통해 저항값을 계산하는 제어기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전체층(130)은 단위면적당 일정한 저항값을 가지도록 도전 패턴이 형성되며, 이러한 도전 패턴은 박판형태의 저항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때, 저항 라인과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은 리크 감지 회로를 구성한다.
이러한 저항 라인은 단위면적당 균일한 저항을 가지게 형성됨으로써 누수 발생 시에 저항 라인과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이 누설된 물에 의해 서로 쇼트되는 경우 그 저항 값의 크기를 읽어 들여 누수가 발생된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전체층(130) 도전성 유체투과층(110)에 한 방울의 액상 물질이라도 떨어지게 되면, 일정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체층(130)은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부에 구비된 도전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층으로, 절연과 도전 패턴을 에칭이나 인쇄 방식으로 형성하기 위해 PET, P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VC, PI, OPP(Oriented Polypropylene), CPP(Cast Polypropylene)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시트를 사용하여 통전시킬 수도 있으며, 유체투과층(110)과 같은 재질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 패턴은 저항 라인이 패턴 형태로 형성되는 층으로서, 베이스 필름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 필름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도전 패턴은 사용하는 부위에 따라 원형, 직선형, 평판형등 어떠한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
전술한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나 시트 형태로 별도의 브라켓 없이도 리크의 발생이 예상되는 곳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점착시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시트(140)는 도전체층(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전체층(130)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점착제(142)와 이형지(1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지(144)는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착제(142)와 함께 도전체층(130)에 구비되어 있다가,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벽, 파이프, 설비, 바닥 등 리크가 발생되는 곳에 부착시키는 경우 점착제(142)로부터 제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가 연결된 제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누수 센싱단자(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수 센싱단자(150)는 도전체층(130)에 연결되어 상기 도전체층(130)에 발생된 저항의 값을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도전체층(130) 사이에 전류가 발생함을 외부에 알리는 것으로, 저항 값을 분석하는 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로 도전체층(130)에 발생된 저항 값을 제공한다.
전술한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한다.
먼저, 물성감지를 원하는 위치에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부착시킨다.
상기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저면에 점착시트(1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때,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도전체층(130)의 사이에는 수V 정도의 전압이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리크가 발생하여 물성감지 리크센서의 상부의 일정위치에 물, 화학용액, 기타 물성이 떨어지면, 도전성 유체투과층(110)과 도전체층(130) 사이에 리크에 의한 폐회로가 구성된다.
리크의 위치에 따라서 저항값 및 전압이 달라지게 되므로, 도 5와 같이 그 저항 값 및 전압 값을 제어기(200)쪽에서 입력받아 저항 값 및 전압 값에 따른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기(200)는 계산된 값과 미리 세팅된 값을 비교하여 감지거리를 표시하고 알람음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누수 센싱단자(150)를 통하여 도전체층(130)과 신호선(300)을 연결하여 제어기(200)와 접속되도록 한다. 또한, 리크 감지를 위한 길이가 긴 경우 물성감지 리크센서를 커넥터(400)를 통하여 상호 연장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일정한 저항 측정값에 의해 신호를 외부로 보내 리크부분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대형의 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물성감지 리크센서 110 : 도전성 유체투과층
120 : 절연성 유체흡수층 130 : 도전체층
140 : 점착시트 142 : 접착제
144 : 이형지 150 : 누수 센싱단자
200 : 제어기 300 : 신호선
400 : 커넥터

Claims (7)

  1. 도전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투과시키는 도전성 유체투과층과,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전성 유체투과층을 통과한 유체를 흡수하는 절연성 유체흡수층, 및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절연성 유체흡수층에 의해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에 절연되며,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에 흡수된 유체를 통해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에 통전되는 도전체층을 포함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은 통전이 가능하도록 금속 분말 또는 도전성 고분자 분말이 포함되거나, 금속 또는 도전성 고분자가 코팅, 도금, 증착 중 어느 하나로 처리된 부직포, 직물, 또는 투과성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체층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부에 단위 면적당 일정한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된 도전 패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 패턴은 도전성 유체투과층과 함께 리크 감지 회로를 구성하는 박판형태의 저항 라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전체층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점착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유체투과층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부직포, 직물, 투과성 합성수지, 망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에 연결되어 상기 도전성 유체투과층과 도전체층 사이에 전류가 발생함을 알리는 누수 센싱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

KR20130082416A 2013-07-12 2013-07-12 물성감지 리크센서 KR101479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416A KR101479177B1 (ko) 2013-07-12 2013-07-12 물성감지 리크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416A KR101479177B1 (ko) 2013-07-12 2013-07-12 물성감지 리크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177B1 true KR101479177B1 (ko) 2015-01-05

Family

ID=5258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416A KR101479177B1 (ko) 2013-07-12 2013-07-12 물성감지 리크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1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280B1 (ko) * 2015-04-09 2015-11-09 주식회사 덱스솔루션 물성감지 리크센서
KR20180102249A (ko) * 2017-03-06 2018-09-17 조수동 화학반응에 의해 누출물질을 감지하는 화학반응 리크 감지센서
KR102009968B1 (ko) 2018-08-06 2019-08-12 아머스 주식회사 성상분리센서
KR20190109917A (ko)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에프티에스에스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KR20190109919A (ko)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에프티에스에스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CN116066764A (zh) * 2023-02-22 2023-05-05 河北君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热力管道泄漏检测定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282A (ja) * 2002-09-06 2004-04-02 West Japan Railway Co 漏水検出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漏水検出器
KR100909242B1 (ko) * 2008-04-24 2009-07-27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282A (ja) * 2002-09-06 2004-04-02 West Japan Railway Co 漏水検出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漏水検出器
KR100909242B1 (ko) * 2008-04-24 2009-07-27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280B1 (ko) * 2015-04-09 2015-11-09 주식회사 덱스솔루션 물성감지 리크센서
KR20180102249A (ko) * 2017-03-06 2018-09-17 조수동 화학반응에 의해 누출물질을 감지하는 화학반응 리크 감지센서
KR102010497B1 (ko) * 2017-03-06 2019-08-14 조수동 화학반응에 의해 누출물질을 감지하는 화학반응 리크 감지센서
KR20190109917A (ko)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에프티에스에스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KR20190109919A (ko)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에프티에스에스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KR102009968B1 (ko) 2018-08-06 2019-08-12 아머스 주식회사 성상분리센서
CN116066764A (zh) * 2023-02-22 2023-05-05 河北君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热力管道泄漏检测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177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KR100827385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US9212965B2 (en) Leak detection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having slave controllers with unique IDs
KR100909242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US8971673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CN205785702U (zh) 一种检测漏液的新型条带式传感器装置
US11614378B2 (en) Polymeric nanocomposite based sensor and coating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CN103328946A (zh) 漏油检测装置
WO2014195756A1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2247905B1 (ko) 발열기능을 갖는 누설감지장치
EP3052916B1 (en) System for monitoring integrity of a waterproofing system or membrane
KR102305127B1 (ko) 누설용액 감지장치
KR20110053704A (ko)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US8653971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120128477A (ko)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
KR20210023595A (ko) 이중 감지를 이용한 누액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102187189B1 (ko)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KR102052349B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20110020199A (ko)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KR102009968B1 (ko) 성상분리센서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KR20150131888A (ko) 누수 감지 센서
KR101447988B1 (ko) 방폭 누유 감지장치
KR102365352B1 (ko) 누액감지센서가 접속된 r형 화재 수신장치
KR200472545Y1 (ko) 누유 및 수위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