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020B1 -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020B1
KR101460020B1 KR1020140111449A KR20140111449A KR101460020B1 KR 101460020 B1 KR101460020 B1 KR 101460020B1 KR 1020140111449 A KR1020140111449 A KR 1020140111449A KR 20140111449 A KR20140111449 A KR 20140111449A KR 101460020 B1 KR101460020 B1 KR 10146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acid
base film
present
acidic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020B9 (ko
KR20140112462A (ko
Inventor
유홍근
Original Assignee
(주)유민에쓰티
유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228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99634A/ko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민에쓰티, 유홍근 filed Critical (주)유민에쓰티
Priority to KR102014011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02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020B1/ko
Publication of KR10146002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020B9/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산, 염산, 질산, 불산 등과 같은 강산성의 유독성 화학 용액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도전라인; 산성 용액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에 의해 상기 도전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Acidic solution leakage sensor}
본 발명은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산, 염산, 질산, 불산 등과 같은 강산성의 유독성 화학 용액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미 여러건의 등록 특허(10-0909242, 10-0827385 등)에서 테이프 형태로 되어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누수 발생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프 형태의 누수감지센서를 제안한 바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누수감지센서(100)는 하부접착층(120), 베이스필름층(110), 상부보호필름층(130)이 저면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하부접착층(120)은 누수가 발생되는 곳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베이스필름층(110)은 도전라인(111,112)이 상부에 형성되기 위한 층으로서, 도전라인(111,112)의 패턴을 인쇄 방식에 형성하기 위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라인(111,112)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표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로 인쇄된다.
상부보호필름층(130)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에 적층되어 도전라인(111,112)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베이스필름층(110)과 같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도전라인(111,112)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마다 센싱홀(131)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가 발생된 위치의 센싱홀(131)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어 두 도전라인(111,112)이 수분에 의해 통전되며, 원격의 제어기가 그 통전상태 즉 폐회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파악하여 누수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경보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필름형 누수감지센서(100)는 물은 물론 도전성을 갖는 황산,염산, 질산, 불산 등의 강산성의 유독성 화학 용액도 검출할 수 있지만, 이를 강산성의 액체가 저장된 옥내외의 저장조 또는 배관에 설치되어 산성용액의 누설을 감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습기나 빗물, 결로, 눈, 수증기 등에 노출되어도 경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오작동의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강산성이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에만 도전라인이 통전되어 동작하도록 한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도전라인;
산성 용액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에 의해 상기 도전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강산성의 용액에만 반응하여 통전되므로 강산성을 갖는 유독물 저장시설이나 이송시설에 설치되는 경우에 강산성의 성분만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오작동없이 빠르게 감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테이프 형태를 가지므로 배관 등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저렴하여 가격 경쟁력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누수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적층된 측단면도.
도5 및 도6은 산성용액에 의해 통전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층(110), 부착층(120), 상부보호필름층(130)의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 적용된 코팅층(2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유독물인 산성용액은 물과 같이 전기적 도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토양이나 대기로 누설되는 경우에는 수질오염, 토양오염, 대기오염 등이 발생함으로써 물적피해는 물론 인적피해까지 심각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산성용액의 누설을 빠르고 저비용으로 감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전라인(111,112)이 형성된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면에는 황산, 염산, 질산, 불산 등과 같은 강산성의 유독성 화학 용액, 즉 산성용액에 의해 용해되는 코팅층(200)이 형성되며, 이러한 코팅층(200)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면 전체에 도포되거나 또는 도전라인(111,112)만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하여 도전라인(111,112)이 형성된 부위에만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층(200)은 산성용액에 의해 쉽게 녹아 용해될 수 있는 에나멜, 멜라닌, 우레탄, 기타 합성수지 등이 분사에 의해 얇은 막 형태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200)의 상부로는 센싱홀(131)이 형성된 상부보호필름층(130)이 적층되는데, 이러한 상부보호필름층(130)은 선택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즉, 외부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옥외에는 코팅층(200)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보호필름층(130)이 적층되는 것이 좋으며, 옥내에서는 여건에 따라 상부보호필름층(130)이 적층되거나 또는 적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보호필름층(130)이 적층된 상태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산성용액이 이동하는 배관의 이음새 부분이나 저장조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감겨서 설치되는 경우에 산성용액의 누설이 발생되어 도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보호필름층(130)의 상부면에 산성용액(300)이 위치하여 센싱홀(131)로 유입되면, 도6에서와 같이 코팅층(200)이 산성용액에 의해 용해되어 도전라인(111)과 도전라인(112)이 통전된다.
원격의 제어기는 이러한 통전상태를 확인하여 산성용액의 누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코팅층(210)이 상보보호필름층(130)의 상부면에 도포된 형태를 보인 것이다.
그러므로, 산성용액이 누설된 경우에 가장 상부층인 코팅층(210)을 용해시킨 후 센싱홀(131)을 통해 유입되어 도전라인(111,112)이 서로 통전이 됨으로써 누설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8은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베이스필름층(110)이나 상부보호필름층(130)의 전체면에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센싱홀(131)만을 메꾸는 형태로 코팅부위(220)가 형성되어 산성용액이 코팅부위(220)를 용해시켜 도전라인(111,112)을 통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도7과 도8의 구조는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적층이 완료된 기존의 누수감지센서(100)를 그대로 이용하여 상부보호필름층(130)의 상부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하거나 또는 센싱홀만을 코팅액에 의해 메꾸는 공정만을 추가하여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물론, 가장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환경에 따른 영향을 가장 최소화하고, 또한 도전라인을 외부로부터 완전하게 격리시키기 위하여 도3에서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장 좋다.
110 : 베이스필름층 111,112 : 도전라인
120 : 하부접착층 130 : 상부보호필름층
131 : 센싱홀 200 : 코팅층
300 : 산성용액

Claims (1)

  1.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도전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는 도전라인을 노출시키기 위한 센싱홀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부보호필름층이 적층되며, 산성 용액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에 의해 상기 상부보호필름층의 센싱홀들이 폐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20140111449A 2013-02-04 2014-08-26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46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49A KR101460020B1 (ko) 2013-02-04 2014-08-26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88A KR20140099634A (ko) 2013-02-04 2013-02-04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20140111449A KR101460020B1 (ko) 2013-02-04 2014-08-26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288A Division KR20140099634A (ko) 2013-02-04 2013-02-04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462A KR20140112462A (ko) 2014-09-23
KR101460020B1 true KR101460020B1 (ko) 2014-11-10
KR101460020B9 KR101460020B9 (ko) 2022-10-21

Family

ID=8380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449A KR101460020B1 (ko) 2013-02-04 2014-08-26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0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053B1 (ko) * 2015-11-10 2016-04-07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누수감지센서
KR20190014428A (ko) 2017-08-02 2019-02-12 오토센서코리아(주) 광원을 이용한 리크센서
KR20200041175A (ko) 2018-10-11 2020-04-21 김경호 공기압을 이용한 누액감지시스템
KR102397328B1 (ko) 2021-04-21 2022-05-13 (주)유민에쓰티 필름형 비접촉 정전용량형 누액 감지 장치
KR20220092017A (ko) * 2020-12-24 2022-07-01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누액 검출 장치
KR20220169047A (ko) 2021-06-17 2022-12-27 (주)유민에쓰티 누액 감지 센서를 위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70A (ko) * 2016-12-12 2018-06-20 이재희 교환형 누설 감지 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246A (ja) * 2002-08-30 2004-03-25 Origin Electric Co Ltd 酸性液漏れセンサ
KR20110053704A (ko) * 2009-11-16 2011-05-24 (주)유민에쓰티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246A (ja) * 2002-08-30 2004-03-25 Origin Electric Co Ltd 酸性液漏れセンサ
KR20110053704A (ko) * 2009-11-16 2011-05-24 (주)유민에쓰티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053B1 (ko) * 2015-11-10 2016-04-07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누수감지센서
KR20190014428A (ko) 2017-08-02 2019-02-12 오토센서코리아(주) 광원을 이용한 리크센서
KR20200041175A (ko) 2018-10-11 2020-04-21 김경호 공기압을 이용한 누액감지시스템
KR20220092017A (ko) * 2020-12-24 2022-07-01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누액 검출 장치
KR102607155B1 (ko) 2020-12-24 2023-11-29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누액 검출 장치
KR102397328B1 (ko) 2021-04-21 2022-05-13 (주)유민에쓰티 필름형 비접촉 정전용량형 누액 감지 장치
KR20220169047A (ko) 2021-06-17 2022-12-27 (주)유민에쓰티 누액 감지 센서를 위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020B9 (ko) 2022-10-21
KR20140112462A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020B1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US20150362397A1 (en) Device for detecting leakage of acidic solution
ES2429109T3 (es) Aparato dectector de fugas para detectar la humedad
KR101521155B1 (ko) 누설 감지 센서
US8971673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2109143B1 (ko) 액체 유입 수단을 갖는 누액 감지 센서
KR102305127B1 (ko) 누설용액 감지장치
WO2014195756A1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2247905B1 (ko) 발열기능을 갖는 누설감지장치
KR20140099634A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623537B1 (ko)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1346381B1 (ko) 플렉시블 누설센서
US8653971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1505439B1 (ko) 누설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1422B1 (ko)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KR101702360B1 (ko) 약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799834B1 (ko) 다중 누설 감지 센서
KR102228311B1 (ko)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WO2016041727A3 (de) Medienbeständige multilagenbeschichtung für ein messgerät der prozesstechnik
KR101605244B1 (ko) 누설 감지 장치
KR20150131888A (ko) 누수 감지 센서
KR102228312B1 (ko) 화학용액 누설감지장치
KR101847090B1 (ko)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KR101693761B1 (ko) 상면 및 측면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KR102086727B1 (ko) 누설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401

Effective date: 2015092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618

Effective date: 201509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02

Effective date: 2015102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918

Effective date: 201511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1111

Effective date: 2016051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45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811

Effective date: 201611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9547;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0342;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118

Effective date: 201701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0000805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209

Effective date: 2017012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0328;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118

Effective date: 201701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0335;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118

Effective date: 201701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035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118

Effective date: 201701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3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227

Effective date: 201703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020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119

Effective date: 201809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047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220

Effective date: 201809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851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109

Effective date: 2019052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46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731

Effective date: 20200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3584;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0000394;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215

Effective date: 2020101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0000370;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215

Effective date: 202010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358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420

Effective date: 2020121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9547;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1223

Effective date: 202107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8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0721

Effective date: 202110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300010077;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112

Effective date: 2021060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4000368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607

Effective date: 2021112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300011537;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1229

Effective date: 202204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3000005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628

Effective date: 2022082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313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115

Effective date: 202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