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261B1 -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261B1
KR102081261B1 KR1020190139426A KR20190139426A KR102081261B1 KR 102081261 B1 KR102081261 B1 KR 102081261B1 KR 1020190139426 A KR1020190139426 A KR 1020190139426A KR 20190139426 A KR20190139426 A KR 20190139426A KR 102081261 B1 KR102081261 B1 KR 10208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chemicals
hazardous
hazardous chemicals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희
Original Assignee
윤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희 filed Critical 윤정희
Priority to KR102019013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산용, 알칼리용, 유기용, 오일을 비롯한 각종 유해화학물질이 선택적으로 저장되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화성탱크나 유해화학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배관 및 배관연결부위 또는 펌프 주위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성탱크나 유해화학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배관 및 배관연결부위 또는 펌프 주위를 비롯한 누출예상포인트에 설치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되어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누출감지기; 상기 하나 이상의 누출감지기가 설치되는 현장 주변에 설치하여 누출예상포인트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시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누출경보기; 상기 각 누출감지기로부터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누출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도록 연결되고, 로컬 현장에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누출예상포인트의 주변에 설치된 누출경보기로 경보 발생신호를 전달하는 다채널 수신장치;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와 시리얼통신 또는 PLC통신을 통해 연결 접속되고,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된 해당 화성탱크나 이송배관 측 누출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사내 전체의 개인PC로 전송함으로써 현장근무자 뿐만 아니라 사내근무자까지 혹시모를 위험에 대처 가능하도록 중계역할을 하는 EP망;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나 EP망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감지정보를 전송받아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한 중앙통합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내 그룹 통합망인 EP(Enterprise Portal)망을 이용하여 로컬 현장에서의 유해화학물질 누출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 및 관리할 수 있고,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다수의 화성탱크 및 유해화학물질을 사내의 중앙에서 용이하게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사내 그룹 통합망인 EP(Enterprise Portal)망을 활용함으로써 현장근무자는 물론 사내 근무자 누구나가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시 및 감독하는 감시인으로서 역할을 수행케 할 수 있으며,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신속한 대응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DETECTING LEAK OF HAZARDOUS CHEMICAL MATERIAL USING EP NETWORK OF ENTERPRISE}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내 그룹 통합망인 EP(Enterprise Portal)망을 이용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실시간으로 감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되 로컬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다수의 화성탱크를 중앙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 공장, 제조 공장, 제철 공장 등의 산업시설을 가동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유해화학물질은 다양한 유해 물질, 수분 그리고 유분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독립적인 공간에 마련된 챔버 등의 저장용기 등에 저장하여 관리 및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유해화학물질은 챔버 등의 저장용기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 인적 피해 및 환경 파괴 등의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고, 심각한 경우에는 폭발에 의한 대형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산업시설에는 유해화학물질을 관리하고 이에 대한 감지를 수행함으로써 안전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유해화학물질 관리시스템 및 감지시스템이 채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부연하면,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하면,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또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사항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특히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설비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작업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필요한 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고 경보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감시인 또는 CCTV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유해화학물질이 외부로 누출된 경우에는 감지 및 경보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감지시스템 관련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1692926호 및 국내등록특허 제10-1926368호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시스템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으나, 유해화학물질을 운반하는 이동체에서 누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을 감지하여 대응하기 위한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화학공장 등의 산업시설에서 챔버 등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시스템으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623537호에서와 같이 대부분이 누액감지센서를 적용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9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63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35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내 그룹 통합망인 EP(Enterprise Portal)망을 이용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실시간으로 감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되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다수의 화성탱크를 중앙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시 즉시 경보를 발생하도록 한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내 그룹 통합망인 EP(Enterprise Portal)망을 활용함으로써 사내 근무자 누구나가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시 및 감독하는 감시인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시 신속한 대응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여부에 대한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안전성 및 안정성까지 두루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은, 산용, 알칼리용, 유기용, 오일을 비롯한 각종 유해화학물질이 선택적으로 저장되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화성탱크나 유해화학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배관 및 배관연결부위 또는 펌프 주위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성탱크나 유해화학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배관 및 배관연결부위 또는 펌프 주위를 비롯한 누출예상포인트에 설치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되어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누출감지기; 상기 하나 이상의 누출감지기가 설치되는 현장 주변에 설치하여 누출예상포인트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시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누출경보기; 상기 각 누출감지기로부터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누출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도록 연결되고, 로컬 현장에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누출예상포인트의 주변에 설치된 누출경보기로 경보 발생신호를 전달하는 다채널 수신장치;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와 시리얼통신 또는 PLC통신을 통해 연결 접속되고,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된 해당 화성탱크나 이송배관 측 누출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사내 전체의 개인PC로 전송함으로써 현장근무자 뿐만 아니라 사내근무자까지 혹시모를 위험에 대처 가능하도록 중계역할을 하는 EP망;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나 EP망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감지정보를 전송받아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한 중앙통합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중앙통합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유해화학물질의 누출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이에 대응 및 조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국가환경방재관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누출감지기는, 내부센서의 보호 및 외부반응막의 형성을 위한 자켓부; 상기 자켓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1열 또는 2열 구조의 라인패턴 또는 지그재그형 라인패턴으로 형성되며, 케미컬(chemical) 및 모든 도전성 액체의 유해화학물질을 감지 가능하도록 내화학성과 내후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도전성을 갖는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부센서; 상기 자켓부의 외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에 반응하여 용해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센서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외부반응막;을 포함하여 띠형 또는 판형 몸체로 구비되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시 외부반응막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해당 유해화학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외부반응막이 용해되어 자켓부의 내부로 침투되고, 내부센서와 침투된 유해화학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변화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반응막은, 자켓부의 길이 방향으로 검출대상 유해화학물질의 어느 한 종류에만 반응하는 단일종의 외부반응막을 등간격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자켓부의 길이 방향으로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라 각기 검출대상 유해화학물질과 반응하도록 다품종의 외부반응막을 등간격으로 배열하며; 상기 내부센서는, 불소계 수지로서 PFA(Perflluoroalkoxy), PTEE(Polytetrafluoroethylene), ETFE(Ethylenetetra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fluoride), FEP(Fluoroethylenepropylene)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누출감지기는, 자체 경보 발생을 위해 앰프 일체형 또는 앰프 분리 결합형 구조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누출감지기를 통해 감지되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진성여부 및 누출감지기 측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딜레이 타임(delay time) 기능과 감도(Sensitivity) 기능을 구비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감지시 오감지 방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검증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증기는 상기 누출감지기에 연결하여 로컬 현장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에 장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해화학물질이 저장되는 화성탱크는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여부에 대한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안전성을 위해 내화학도료로 코팅된 도막층을 갖는 콘크리트부 또는 금속강판부 상에 설치하되, 상기 콘크리트부는 수밀성 및 불침투성 구현을 위해 골재 크기를 5~25mm로 하고, 물과 시멘트의 중량비율 총중량의 50% 이하로 하며, 슬럼프 120~150mm와 강도 21MPa 이상을 만족하도록 하되, 콘크리트 0.2m3면적당 방수액 0.6L를 혼합하여 성형 및 양생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성탱크가 실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강우 및 결빙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오류없이 유해화학물질과 구분하여 누출을 검출하도록 화성탱크가 설치된 주변에 강우결빙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강우결빙센서는 유해화학물질과 물의 측정값 차이를 검출하여 강우나 눈 및 얼음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로 검출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내 그룹 통합망인 EP(Enterprise Portal)망을 이용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실시간으로 감지 및 관리할 수 있고,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다수의 화성탱크를 중앙에서 유용하게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시 즉시 경보를 발생하여 후속 조치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내 그룹 통합망인 EP(Enterprise Portal)망을 활용함으로써 현장근무자 이외에도 사내근무자 누구나가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시 및 감독하는 감시인으로서 역할을 수행토록 할 수 있고,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시 신속한 대응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여부에 대한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전 설치에 의한 안전성 및 안정성까지 두루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에 있어 누출감지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에 있어 앰프를 포함하는 누출감지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은 산용, 알칼리용, 유기용, 오일을 비롯한 각종 유해화학물질이 선택적으로 저장되고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화성탱크(10)나 상기 화성탱크(10)에 연계되어 유해화학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배관 및 배관연결부위 또는 펌프 주위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출감지기(20), 누출경보기(30), 다채널 수신장치(40), 사내 EP망(50), 중앙통합서버(60), 및 환경방재관제서버(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성탱크(10)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것을 대표하는 통합명칭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타르저장탱크, 중질타르탱크, AO/RO 저장탱크, BTX 증류탑, BTX SLOP탱크, AO/RO 열교환기, 흡수유탱크, 타르데칸타, BTX 흡수탑 등을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화성탱크의 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누출감지기(20)는 산업현장에서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성탱크나 유해화학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배관 및 배관연결부위 또는 펌프 주위를 비롯한 누출예상포인트에 설치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되어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다수가 사용된다.
상기 누출감지기(2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센서(22)를 보호함과 더불어 외부반응막(23)을 형성하여 구비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자켓부(21)와, 상기 자켓부(21)의 내부에 배치되고 1열 또는 2열 구조의 라인패턴 또는 지그재그형 라인패턴으로 형성되며 케미컬(chemical) 및 모든 도전성 액체의 유해화학물질을 감지 가능하도록 내화학성과 내후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도전성을 갖는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부센서(22)와, 상기 자켓부(21)의 외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에 반응하여 용해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센서(22)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외부반응막(23)을 포함하여 띠형 또는 판형 몸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누출감지기(20)는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시 표면에 위치하는 외부반응막(23)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해당 유해화학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외부반응막(23)이 용해되어 자켓부(21)의 내부로 침투되고, 내부센서(22)와 침투된 유해화학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변화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여기에서, 상기 내부센서(22)는 불소계 수지로서 PFA(Perflluoroalkoxy), PTEE(Polytetrafluoroethylene), ETFE(Ethylenetetra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fluoride), FEP(Fluoroethylenepropylene)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반응막(23)은 자켓부(21)의 길이 방향으로 검출대상 유해화학물질의 어느 한 종류에만 반응하는 단일종의 외부반응막을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고, 자켓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라 각기 검출대상 유해화학물질과 반응하도록 다품종의 외부반응막을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누출감지기(20)는 자체 경보 발생을 위해 앰프(90)를 일체형으로 갖는 구성을 갖게 하거나 또는 앰프(90)를 분리 결합형 구조로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출감지기(20)를 통해 감지되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진성여부 및 누출감지기(20) 측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딜레이 타임(delay time) 기능과 감도(Sensitivity) 기능을 구비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감지시 오감지 방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검증기(8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증기(80)는 상기 누출감지기(20)에 연결하여 로컬 현장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40)에 장착하여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누출경보기(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누출감지기(20)가 설치되는 현장 주변에 설치하여 누출예상포인트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시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누출경보기(30)는 스피커나 경광등 또는 이들 모두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40)는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각 화성탱크(10)마다 설치되는 각 누출감지기(20)로부터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누출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도록 연결되고, 로컬 현장에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누출예상포인트의 주변에 설치된 누출경보기(30)로 경보 발생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40)는 화성탱크(10)가 설치되는 로컬 현장의 화성운전실 등에 설치되며, 안정적인 전원 공급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기실에 설치되는 UPS(무정전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한다.
즉, 상기 UPS(무정전 전원장치)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되, 전기회로의 전압이 끊어지거나 또는 갑자기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경우를 제한할 수 있어 안정된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사내 EP망(50)은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40)와 시리얼통신 또는 PLC통신 등을 통해 연결 접속되고,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40)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된 해당 화성탱크(10)나 이송배관 측 누출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사내 전체의 개인PC로 전송함으로써 현장근무자 뿐만 아니라 사내근무자까지 혹시모를 위험에 대처 가능하도록 중계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사내 EP망(50)은 기업내 데이터베이스(DB)나 전사적자원관리(ERP), 고객관계관리(CRM), 공급망관리(SCM) 등 기간 시스템에 산재한 정형적인 정보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과 이메일이나 텍스트파일 등 비정형적인 정보, 각종 사내 또는 외부 정보를 웹상의 단일 접점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내 근무자 전체가 활용하는 네트워크망을 활용함으로써 로컬 현장에서의 유해화학물질 누출시 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고 빠른 대응이나 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앙통합서버(60)는 사내 중앙운전실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40)에 연결되는 다수의 화성탱크(10)를 중앙에서 실시간으로 통합 감시 및 모니터링을 통해 통합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중앙통합서버(60)는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40)나 사내 EP망(50)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사내의 중앙운전실에서 관리 및 통제하며, 원격에서 통합 관리 및 감시하여 로컬 현장에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방재관제서버(70)는 국가가 운영하는 환경방재관제센터에 구비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소방청이나 각종 소방서 등이 환경방재관제센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통합서버(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산업현장에서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상기한 루트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누출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이에 대응 및 조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성탱크(10)가 공장 등의 실내가 아닌 로컬 현장의 실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강우나 눈 및 결빙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오류없이 유해화학물질과 구분하여 보다 정확하게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검출하도록 하기 위해 강우결빙센서(110)를 설치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우결빙센서(110)는 각 화성탱크(10)가 설치된 주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강우결빙센서(110)는 유해화학물질과 물의 측정값 차이를 검출하여 강우나 눈 및 얼음을 검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때, 상기 강우결빙센서(110)는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40)로 검출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해화학물질이 저장되어 사용되고 로컬 현장에 설치되는 각각의 화성탱크(10)는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여부에 대한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안전성을 위해 내화학도료로 코팅된 도막층을 갖는 콘크리트부(100) 또는 금속강판부 상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부(100)는 수밀성 및 불침투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골재 크기를 5~25mm로 하고, 물과 시멘트의 중량비율을 총중량의 50% 이하로 제한하는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슬럼프 120~150mm와 강도 21MPa 이상을 만족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부(100)는 콘크리트 0.2m3 면적당 방수액 0.6L를 혼합하여 성형 및 양생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내화학도료는 내화학성과 내후성 및 내마모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불소계 수지와 방수성 및 절연성 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 수지를 혼합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을 통해서는 사내 그룹 통합망인 EP(Enterprise Portal)망을 이용하여 로컬 현장에서의 유해화학물질 누출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 및 관리할 수 있고,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다수의 화성탱크 및 유해화학물질을 사내의 중앙에서 용이하게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사내 그룹 통합망인 EP(Enterprise Portal)망을 활용함으로써 현장근무자는 물론 사내 근무자 누구나가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시 및 감독하는 감시인으로서 역할을 수행케 할 수 있으며,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신속한 대응 및 처리가 가능하고 유해화학물질의 누출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화성탱크 20: 누출감지기
30: 누출경보기 40: 다채널 수신장치
50: 사내 EP망 60: 중앙통합서버
70: 환경방재관제서버

Claims (8)

  1. 산용, 알칼리용, 유기용, 오일을 비롯한 각종 유해화학물질이 선택적으로 저장되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화성탱크나 유해화학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배관 및 배관연결부위 또는 펌프 주위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성탱크나 유해화학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배관 및 배관연결부위 또는 펌프 주위를 비롯한 누출예상포인트에 설치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되어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누출감지기;
    상기 하나 이상의 누출감지기가 설치되는 현장 주변에 설치하여 누출예상포인트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시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누출경보기;
    상기 각 누출감지기로부터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누출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도록 연결되고, 로컬 현장에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누출예상포인트의 주변에 설치된 누출경보기로 경보 발생신호를 전달하는 다채널 수신장치;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와 시리얼통신 또는 PLC통신을 통해 연결 접속되고,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된 해당 화성탱크나 이송배관 측 누출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사내 전체의 개인PC로 전송함으로써 현장근무자 뿐만 아니라 사내근무자까지 혹시모를 위험에 대처 가능하도록 중계역할을 하는 EP망;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나 EP망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감지정보를 전송받아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한 중앙통합서버;
    상기 누출감지기를 통해 감지되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진성여부 및 누출감지기 측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딜레이 타임(delay time) 기능과 감도(Sensitivity) 기능을 구비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감지시 오감지 방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검증기; 를 포함하며,
    상기 검증기는 상기 누출감지기에 연결하여 로컬 현장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합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유해화학물질의 누출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이에 대응 및 조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환경방재관제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감지기는,
    내부센서의 보호 및 외부반응막의 형성을 위한 자켓부;
    상기 자켓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1열 또는 2열 구조의 라인패턴 또는 지그재그형 라인패턴으로 형성되며, 케미컬(chemical) 및 모든 도전성 액체의 유해화학물질을 감지 가능하도록 내화학성과 내후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도전성을 갖는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부센서;
    상기 자켓부의 외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에 반응하여 용해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센서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외부반응막; 을 포함하여 띠형 또는 판형 몸체로 구비되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시 외부반응막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해당 유해화학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외부반응막이 용해되어 자켓부의 내부로 침투되고, 내부센서와 침투된 유해화학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변화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반응막은,
    자켓부의 길이 방향으로 검출대상 유해화학물질의 어느 한 종류에만 반응하는 단일종의 외부반응막을 등간격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자켓부의 길이 방향으로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라 각기 검출대상 유해화학물질과 반응하도록 다품종의 외부반응막을 등간격으로 배열하며;
    상기 내부센서는,
    불소계 수지로서 PFA(Perflluoroalkoxy), PTEE(Polytetrafluoroethylene), ETFE(Ethylenetetra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fluoride), FEP(Fluoroethylenepropylene)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감지기는,
    자체 경보 발생을 위해 앰프 일체형 또는 앰프 분리 결합형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화학물질이 저장되는 화성탱크는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여부에 대한 감지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안전성을 위해 내화학도료로 코팅된 도막층을 갖는 콘크리트부 또는 금속강판부 상에 설치하되,
    상기 콘크리트부는 수밀성 및 불침투성 구현을 위해 골재 크기를 5~25mm로 하고, 물과 시멘트의 중량비율 총중량의 50% 이하로 하며, 슬럼프 120~150mm와 강도 21MPa 이상을 만족하도록 하되, 콘크리트 0.2m3면적당 방수액 0.6L를 혼합하여 성형 및 양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성탱크가 실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강우 및 결빙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오류없이 유해화학물질과 구분하여 누출을 검출하도록 화성탱크가 설치된 주변에 강우결빙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강우결빙센서는 유해화학물질과 물의 측정값 차이를 검출하여 강우나 눈 및 얼음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상기 다채널 수신장치로 검출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KR1020190139426A 2019-11-04 2019-11-04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KR10208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26A KR102081261B1 (ko) 2019-11-04 2019-11-04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26A KR102081261B1 (ko) 2019-11-04 2019-11-04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261B1 true KR102081261B1 (ko) 2020-02-25

Family

ID=6964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26A KR102081261B1 (ko) 2019-11-04 2019-11-04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26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537B1 (ko) 2014-06-05 2016-05-23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1692926B1 (ko) 2014-12-29 2017-01-04 이투엠쓰리(주)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1138A (ko) * 2015-08-17 2017-02-27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앰프 일체형 누설 감지 센서
KR101869216B1 (ko) * 2018-01-04 2018-06-19 주식회사 피엔이 원자력 발전소 화재 및 지진 방재 장치
KR101926368B1 (ko) 2018-06-08 2018-12-07 주식회사 주빅스 유해 화학물질 누출 시 실시간 피해 예측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6244B1 (ko) * 2018-04-18 2019-01-08 (주)엠에스아이티 무선 가스검지 시스템
KR20190111237A (ko) * 2018-03-22 2019-10-02 성백명 정전용량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90112529A (ko) * 2018-03-26 2019-10-07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액체 유입 수단을 갖는 누액 감지 센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537B1 (ko) 2014-06-05 2016-05-23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1692926B1 (ko) 2014-12-29 2017-01-04 이투엠쓰리(주)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1138A (ko) * 2015-08-17 2017-02-27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앰프 일체형 누설 감지 센서
KR101869216B1 (ko) * 2018-01-04 2018-06-19 주식회사 피엔이 원자력 발전소 화재 및 지진 방재 장치
KR20190111237A (ko) * 2018-03-22 2019-10-02 성백명 정전용량형 누설 감지 센서
KR20190112529A (ko) * 2018-03-26 2019-10-07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액체 유입 수단을 갖는 누액 감지 센서
KR101936244B1 (ko) * 2018-04-18 2019-01-08 (주)엠에스아이티 무선 가스검지 시스템
KR101926368B1 (ko) 2018-06-08 2018-12-07 주식회사 주빅스 유해 화학물질 누출 시 실시간 피해 예측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563B1 (ko)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2596212C (en) A moisture monitoring system for buildings
KR101662050B1 (ko) 누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시스템
US7768412B2 (en) Moisture monitoring system for buildings
AU2014259545B2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30113505A1 (en) Sensor for detecting liquid spilling
US9010356B2 (en) Fluid spill containment, location, and real time notification device with acoustic based sensor
WO2013115523A1 (ko)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CN111810851A (zh) 基于无线网络的长距离输酸管道泄漏自动监测系统及方法
KR102148783B1 (ko) 무인 펌프장 운용을 위한 원격감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69062B2 (en) Monitoring system for a section or a component of a pipeline for the transport of hydrocarbons in a hazard site
KR102081261B1 (ko) 사내 ep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실시간 누출 감지시스템
KR102358245B1 (ko)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케이블 점검시스템
Klimczak et al. Reliability and operating analysis of transmission of alarm signals of distributed fire signaling system
KR101700870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초고속 통신망과 연계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014697B1 (ko) 무선 주파수 방식을 이용한 누액감지 경보시스템
KR100930980B1 (ko)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CN102606889A (zh) 燃气阀井泄漏监测终端
KR102561220B1 (ko)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EP3994422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physical parameters related to the displacement or deformation of an external element to be monitored
CN111161506A (zh) 一种智能窨井盖远程监控报警系统
KR102091348B1 (ko) 무선 주파수 방식을 이용한 통합 경보시스템
CN113916288A (zh) 基于边缘计算的房屋安全数据监测系统和方法
KR200191374Y1 (ko) 구축물 이상발생 경보 시스템
KR10174214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합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