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275A -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275A
KR20200091275A KR1020190008355A KR20190008355A KR20200091275A KR 20200091275 A KR20200091275 A KR 20200091275A KR 1020190008355 A KR1020190008355 A KR 1020190008355A KR 20190008355 A KR20190008355 A KR 20190008355A KR 20200091275 A KR20200091275 A KR 20200091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hemical
liquid
chemicals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서
김현순
조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에이
Priority to KR102019000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1275A/ko
Publication of KR2020009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유해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된 액상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도출하여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며, 측정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누액 감지센서; 상기 누액 감지센서로 측정한 액상유체가 유해 화학물질인지 판단하기 위하여 사전 시험측정으로 획득한 정보로서 화학물질의 고유한 특성을 지시하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 제1 내지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제1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2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실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및 실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 상기 누액 감지센서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누액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의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로 확정되면 사용자 단말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전송하는 화학물질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iquid Chemical Material Using Leak Detecting Sensor}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을 감지할 수 있고, 관리대상으로 특정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을 모니터링하며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시 신속히 경보할 수 있으며,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정보인 측정 데이터를 복수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대조하여 해당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함으로써 복수의 액상 화학물질의 누출 검사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는 지하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배관이 노화, 부식, 충격, 온도변화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되고, 내부에 액상유체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를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해준다.
종래 기술에 따른 누출된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의 일예로서, 누출된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방식은 강산성 물질 또는 강염기성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데 유용하나, 물의 전기전도도와 비슷한 약산성, 약염기성 및 유기용매에 대해서는 누출 감지의 정확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전기적 성질을 띄지 않은 오일류는 측정 대상에서 배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 기술의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로서, 물질의 유전율(permittivity) 혹은 정전용량(capacity) 측정 방식으로 물질을 구분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화학물질은 물과 혼합된 혼합물질이므로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로 측정한 결과로부터 물의 유전율을 구별하기 어려워 물이 혼합되지 않은 순수한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목적에 알맞은 사용이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원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반도체, 태양광 등 고순도 화학 공정, 중화학과 플랜트 및 바이오, 제약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액상 화학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지시하는 임피던스의 크기에 따라 누출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새로운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를 제시하고, 이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로 얻어진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누출 발생을 경보할 수 있는 유해 화학물질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571398호(2015.11.24. 공고)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623537호(2016.05.23. 공고)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로 측정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측정 데이터와 그룹별로 구분한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기준 데이터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관리대상으로 특정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시 사용자 단말로 신속히 경보할 수 있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정보인 측정 데이터를 복수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대조하여 해당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함으로써 복수의 액상 화학물질의 누출 검사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은,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된 액상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도출하여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며, 측정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누액 감지센서; 상기 누액 감지센서로 측정한 액상유체가 유해 화학물질인지 판단하기 위하여 사전 시험측정으로 획득한 정보로서 화학물질의 고유한 특성을 지시하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 제1 내지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제1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2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실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및 실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 상기 누액 감지센서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누액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의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로 확정되면 사용자 단말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전송하는 화학물질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액 감지센서는 센서 하우징의 일단에 노출된 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면에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된 전극부, 상기 전극부 상면과 상기 기판 후면에 각각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층은 내화학성 소재로서 실리콘 수지, 불소수지, 에폭시수지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층은 내화학성 필름으로 라미네이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액 감지센서는 센서 하우징에 내장된 신호처리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화학물질 관리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방법은, 누액 감지센서가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된 액상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누액 감지센서가 측정 신호로부터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도출하여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를 화학물질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 관리장치가 상기 누액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 관리장치가 상기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을 확정시 사용자 단말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학물질 관리장치는 측정 데이터를 구성하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해 각각의 변화 여부에 따라 측정 대상의 액상유체를 유형별로 구분한 제1 내지 제3그룹 중 어느 하나를 1차 확정하고, 1차 확정된 제1 내지 제3그룹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누출된 화학물질을 최종 확정하며, 상기 제1그룹에 임피던스의 허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이 대응되고, 상기 제2그룹에 임피던스의 실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이 대응되며, 상기 제3그룹에 임피던스의 실수부 및 허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이 대응되고, 상기 제1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2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실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및 실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그룹에 대응하는 1군의 화학물질은 오직 유전율 변화에 민감한 오일류이고, 상기 제2그룹에 대응하는 1군의 화학물질은 오직 전기전도도 변화에 민감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화학물질이며, 상기 제3그룹에 대응하는 1군의 화학물질은 유전율 및 전기전도도에 민감한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은, 서로 다른 진폭과 주파수를 가지도록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류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반복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측정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부, 복수의 액상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기준 데이터가 저장된 기준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에서 전송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기준 데이터와 대조하여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해당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와 대조하여 상기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되, 특정된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가 복수 개인 경우 나머지 다른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해당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추가적으로 대조하여 상기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어느 하나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는, 튜브 형상의 센서 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의 일단에 노출된 센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센싱모듈은 기판,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전극층, 및 상기 전극층의 상면과 상기 기판의 후면에 각각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는, 상기 전극층에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입력모듈, 상기 교류신호 인가시 전극층을 통해 상기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도출하는 임피던스 측정모듈, 및 상기 도출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장치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신호입력모듈, 임피던스 측정모듈, 및 통신모듈은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는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및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되어 저장되되, 상기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허수부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실수부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허수부 및 실수부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누액 감지센서로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누출 발생을 감지할 수 있어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을 측정 대상으로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액 감지센서를 휴대하여 확인되지 않은 측정 대상의 액상유체를 센싱모듈에 접촉시켜 측정된 임피던스 크기를 바탕으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신속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 현장에 소형 크기의 누액 감지센서를 설치하기 쉽고, 생산 현장에 설비된 유체저장탱크의 배관에 인접하여 누액 감지센서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시적으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화학물질 관리장치에서 관리대상으로 특정된 유해물질의 누출 발생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단말로 신속하게 알려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액 감지센서부가 서로 다른 진폭과 주파수를 가지도록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류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반복 측정하고, 복수의 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측정 데이터를 도출함으로서 복수의 액상 화학물질의 누출 검사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액 감지센서부가 진폭과 주기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복수의 교류신호를 인가할 경우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값이 순차적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전기전도도나 유전율이 유사한 서로 다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액 감지센서를 소형 크기의 프로브 타입으로 제조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센싱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의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상유체의 확정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의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액상 화학물질들이 임피던스 특성에 따라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의 3개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에 대하여 측정한 임피던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그룹의 액상 화학물질은 오직 유전율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통해 임피던스를 측정할 경우 기준 상태에서 측정한 임피던스와 대비할 때 임피던스의 허수부 변화가 나타나는 화학물질(일예로서, 오일류)이 이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기준 상태에서 측정한 임피던스'라 함은 후술하는 누액 감지센서의 센싱모듈에 어떠한 액상 화학물질도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임피던스, 즉 공기를 매질로 측정한 임피던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2그룹의 액상 화학물질은 오직 전기전도도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통해 임피던스를 측정할 경우 기준 상태에서 측정한 임피던스와 대비할 때 임피던스의 실수부 변화가 나타나는 화학물질(일예로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화학물질)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3그룹의 액상 화학물질은 유전율 및 전기전도도로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통해 임피던스를 측정할 경우 기준 상태에서 측정한 임피던스와 대비할 때 임피던스의 실수부 및 허수부 변화가 나타나는 화학물질(일예로서, 유기용매류)이 이에 해당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누액 감지센서(100), 누액 감지센서(100)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화학물질 관리장치(200),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누액 감지센서(100)와 화학물질 관리장치(200) 사이를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LoRa)으로 연결하였으나, 무선 통신 방식이 특정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100)는 액정표시장치, 반도체, 태양광 등 고순도 화학 공정, 중화학과 플랜트 및 바이오, 제약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에 대한 누출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 기능을 구비한다. 누액 감지센서(100)는 생산 현장에 설비된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된 액상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도출하여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며, 측정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누액 감지센서(100)의 구조와 상세한 기능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출원인은 생산 현장에 사용하는 여러 화학물질들이 임피던스 크기에 따라 3개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화학물질 관리장치(200)가 누액 감지센서(100)로 측정한 임피던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을 확정한다. 제1그룹의 화학물질은 오직 유전율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누액 감지센서(100)를 통해 측정시 임피던스의 허수부 변화가 나타나는 오일류가 해당된다. 제2그룹의 화학물질은 오직 전기전도도의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누액 감지센서(100)를 통해 측정시 임피던스의 실수부 변화가 나타나는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화학물질이 해당된다. 제3그룹의 화학물질은 유전율 및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누액 감지센서(100)를 통해 측정시 임피던스의 실수부 및 허수부 변화가 나타나는 유기용매가 해당된다.
이와 같이 화학물질 관리장치(200)는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 및 허수부 변화를 바탕으로 측정 대상의 화학물질이 제1 내지 제3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해당하는지 1차로 확정한 후, 1차 확정된 임의 그룹에 속하는 화학물질의 기준 데이터와 대조하여 측정 대상의 화학물질을 최종 확정한다. 여기서 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의 대조 방법은 동일 항목에 대해 비교한다. 측정 데이터의 허수부 수치가 기준 데이터의 허수부 수치를 비교하여 허용 오차범위를 충족하면 해당 그룹의 임의 화학물질로 특정하게 된다. 또한 측정 데이터의 실수부 수치가 기준 데이터의 실수부 수치를 비교하여 허용 오차범위를 충족하면 해당 그룹의 임의 화학물질로 특정하게 된다.
화학물질 관리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전송한다.
화학물질 관리장치(200)는 누액 감지센서(100)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누액 감지센서(100)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의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로 확정되면 사용자 단말(400)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은 휴대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총칭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망을 매개로 화학물질 관리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 미디어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는 화학물질의 고유한 특성을 지시하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 제1 내지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센싱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의 이미지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액 감지센서(100)는 센서 하우징(101)의 일단에 노출된 센싱모듈(110), 센서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된 신호처리모듈(120) 및 통신모듈(130)을 포함한다. 또한 센서 하우징(101) 일측에 전원 케이블(102)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센싱모듈(110)은 기판(111), 기판(111) 상면에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된 전극부(112), 전극부(112) 상면과 기판(111) 후면에 각각 형성된 보호층(113)(114)을 포함한다. 전극부(112)의 전극패턴은 저항값이 적은 금속소재 예를 들어 Au, Pt, Cu, Ni 등으로 스퍼터링하여 형성하나 전극패턴의 형성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물질의 임피던스 측정시 전극부(112)의 전극패턴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 전극패턴이 손상, 파손,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세척 후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보호층(113)(114)이 구비된다.
보호층(113)(114)은 내화학성 소재로서 실리콘 수지, 불소수지, 에폭시수지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하여 형성하거나 내화학성 필름으로 라미네이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화학물질 관리장치(20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의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을 확정한다.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는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 제1 내지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다. 기준 데이터는 유해 화학물질을 판단하기 위하여 사전 시험측정을 통하여 획득되는 것으로, 제1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유전율의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제2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유전율 및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다.
화학물질 관리장치(200)에서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로 확정되면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하여 경보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경보 정보는 누출된 화학물질의 종류와, 누출 위치, 누출 시간, 대응 조치 매뉴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유해 화학물질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브 형태의 소형 크기로 제작된 누액 감지센서(100)를 준비한다(S10). 사용자가 확인되지 않은 측정 대상의 화학물질을 누액 감지센서(100)의 센싱모듈(110)에 접촉시킨다(S11). 신호처리모듈(120)의 교류 입력부에서 100kHz의 교류 펄스 신호를 센싱모듈(110)에 인가한다(S12).
이 센싱모듈(110)에 의해 측정된 임피던스 신호는 신호처리모듈(120)의 클램핑 회로부에 인가된다. 클램핑 회로부는 센싱모듈(110)에 의해 측정된 임피던스 신호를 클램핑하여 신호처리모듈(120)의 필터링 및 변환부에 인가한다(S13).
신호처리모듈(120)의 필터링 및 변환부는 저역필터(LPF)를 이용하여 클램핑 회로부에 의해 클램핑된 신호에 섞인 노이즈를 제거하고, 디지털변환기(ADC)를 이용하여 디지털 변환한 측정 임피던스 데이터를 생성하여 신호처리모듈(120)의 데이터 추출부에 인가한다. 신호처리모듈(120)의 데이터 추출부는 디지털신호처리 연산기(DFT)를 이용하여 측정 임피던스 데이터에서 실수부 데이터와 허수부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제1레지스터(REAL REGISTER) 및 제2레지스터(IMAGINARY REGISTER)에 각각 일시 기억시킨다(S14).
그런 다음 신호처리모듈(120)은 인터페이스(I2C INTERFACE)를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마이컴의 직렬데이터라인(SDA)과 직렬클럭라인(SCL)에 따라 임피던스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응하는 측정 데이터를 제1 및 제2 레지스터(REAL REGISTER)(IMAGINARY REGISTER)로부터 읽어내어 통신모듈(130)로 전달한다. 통신모듈(130)은 무선 통신망(LoRa)을 통해 화학물질 관리장치(200)로 임피던스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응하는 측정 데이터를 전송한다(S15).
화학물질 관리장치(200)가 누액 감지센서(200)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로부터 제공받은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을 확정한다(S16). 화학물질 관리장치(200)가 미확인 액상유체를 확정하는 방법을 도 6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화학물질 관리장치(200)가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수부 변화가 있는지 판단하고(S161), 실수부 변화가 있는 경우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허수부 변화가 있는지 판단한다(S162).
측정 데이터에서 실수부 및 허수부 변화가 없으면 감지된 액상유체가 없는 것으로 인식한다(S163).
측정 데이터에서 실수부 변화가 없으며 허수부 변화만 있는 경우 측정 대상의 미확인 액상유체는 제1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1차 확정한다(S164). 여기서 제1그룹은 임피던스의 허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이 대응되는 것으로,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시 용기 오직 유전율 변화에 민감한 오일류가 해당된다. 제1그룹으로 1차 확정된 경우 화학물질 관리장치(200)가 제1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데, 측정 임피던스의 허수부 데이터와 제1그룹에 속하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하여 사전 시험측정하여 저장된 각각의 허수부 데이터를 비교한다(S165).
한편 측정 데이터에서 실수부 변화가 있고 허수부 변화가 없는 경우 측정 대상의 미확인 액상유체는 제2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1차 확정한다(S166). 제2그룹은 임피던스의 실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이 대응되는 것으로,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시 오직 전기전도도 변화에 민감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화학물질이 해당된다. 제2그룹으로 1차 확정된 경우 화학물질 관리장치(200)가 제2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데, 측정 임피던스의 실수부 데이터와 제2그룹에 속하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하여 사전 시험측정하여 저장된 각각의 실수부 데이터를 비교한다(S168).
한편 측정 데이터에서 실수부 및 허수부 변화가 모두 있는 경우 측정 대상의 미확인 액상유체는 제3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1차 확정한다(S169). 제3그룹은 임피던스의 실수부 및 허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이 대응되는 것으로,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시 유전율 및 전기전도도에 민감한 유기용매가 해당된다. 제3그룹으로 1차 확정된 경우 화학물질 관리장치(200)가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데, 측정 임피던스의 실수부 및 허수부 데이터와 제3그룹에 속하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하여 사전 시험측정하여 저장된 각각의 실수부 및 허수부 데이터를 비교한다(S170).
단계 S165, S168, S170에서 비교 결과 허용 오차범위를 충족하면 관리 대상으로 특정한 화학물질인지를 판단한다(S171). 그 판단 결과 화학물질 관리장치(200)에서 관리대상으로 특정된 유해 화학물질로 확정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400)로 관리대상으로 특정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경보 정보는 누출된 화학물질의 종류와, 누출 위치, 누출 시간, 대응 조치 매뉴얼 등이 포함될 수 있다(S17).
[제2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타입 누액 감지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타입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부(100),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장치 제어부(200),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부(100)는 액정표시장치, 반도체, 태양광 등 고순도 화학 공정, 중화학과 플랜트 및 바이오, 제약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누출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 기능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는 생산 현장에 설비된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된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측정 데이터를 도출하여 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장치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는 튜브 형상의 센서 하우징(101)과, 상기 센서 하우징(101)의 일단에 노출된 센싱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센서 하우징(101)의 타단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케이블(10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모듈(110)은 기판(111),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기판(111)의 상면에 형성된 전극층(112), 및 상기 전극층(112)의 상면과 상기 기판(111)의 후면에 각각 형성된 보호층(113,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극층(112)은 저항값이 적은 금속소재 예를 들어 Au, Pt, Cu, Ni 등으로 스퍼터링하여 형성하나 전극층의 형성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보호층(113,114)은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 측정시 기판(111)이나 전극층(112)이 액상 화학물질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손상, 파손,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보호층(113,114)은 내화학성 소재인 실리콘 수지, 불소수지, 에폭시수지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내화학성 필름으로 라미네이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호층(113,114)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액 감지센서부(100)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됨으로써 기판(111)이나 전극층(112)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 측정이 완료된 이후에도 센싱모듈을 교체할 필요 없이 증류수 등으로 세척하여 바로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는, 상기 전극층(112)에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입력모듈(120), 상기 교류신호 인가시 전극층(112)을 통해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도출하는 임피던스 측정모듈(130), 및 상기 도출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장치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신호입력모듈(120), 임피던스 측정모듈(130), 및 통신모듈(140)은 PCB와 같은 하나의 회로기판(PB)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하우징(101)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입력모듈(120)은 미리 정해진 진폭과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극층(112)에 인가하게 되며, 상기 임피던스 측정모듈(130)은 상기 전극층(112)에 접촉한(구체적으로는, 보호층을 통하여 상기 전극층에 접촉한)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임피던스 측정모듈(130)은 측정된 임피던스 신호를 클램핑 회로부(미도시)에 의해 클램핑하고, 저역필터(LPF)를 이용하여 상기 클램핑된 신호에 섞인 노이즈를 제거한 후 ADC,DFT 등의 디지털 연산기에 의하여 임피던스 신호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정보인 상기 측정 데이터를 도출하게 되는데,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도출하는 기술은 공지기술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측정된 임피던스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작업과 디지털 변환 작업을 수행할 경우 필터의 성능 한계와 디지털 변환기의 연산 한계 등으로 인하여 전기전도도나 유전율이 유사한 서로 다른 액상 화학물질들의 경우 임피던스의 실수부 또는 허수부가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됨으로써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가 서로 다른 진폭과 주파수를 가지도록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류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반복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측정 데이터를 도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는 진폭과 주기(주파수의 역수)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진폭과 주기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복수의 교류신호를 인가할 경우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값이 순차적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전기전도도나 유전율이 유사한 서로 다른 액상 화학물질들의 종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신호입력모듈(120)은 일예로서 0.99 Vpp의 진폭과 200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1교류신호, 1.98 Vpp의 진폭과 100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2교류신호, 3,98 Vpp의 진폭과 50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3교류신호를 상기 전극층(112)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임피던스 측정모듈(130)은 상기 제1교류신호, 제2교류신호, 제3교류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될 때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반복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제1교류신호, 제2교류신호, 제3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제1측정 데이터, 제2측정 데이터, 및 제3측정 데이터를 도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40)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LoRa)을 통하여 상기 도출된 제1측정 데이터, 제2측정 데이터, 및 제3측정 데이터를 상기 장치 제어부(20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통신모듈(140)의 무선 통신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에 대하여 상기 누액 센서부(10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 및 허수부에 관한 정보(즉, 상기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이 상기 제1 내지 제3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해당하는지 1차로 특정한 후, 상기 측정 데이터를 1차 특정된 임의 그룹에 속하는 액상 화학물질의 기준 데이터와 대조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최종적으로 특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특정된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가 관리 대상으로 정해진 액상 화학물질과 동일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400)로 상기 관리 대상으로 정해진 액상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은 휴대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총칭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망을 매개로 장치 제어부(200)와 통신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 미디어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와 후술하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는 복수의 액상 화학물질 각각의 고유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지시하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 제1 내지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 데이터는 복수의 서로 다른 액상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본 실시예의 경우, 제1교류신호, 제2교류신호, 및 제3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사전 시험측정을 통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이다.
이때, 상기 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는 해당 액상 화학물질에 대하여 누액 센서부(10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값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상기 해당 액상 화학물질에 대하여 누액 센서부(10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를 앞서 설명한 기준 상태에서 측정한 임피던스와 비교하여 얻은 실수부의 차이값과 허수부의 차이값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가 해당 액상 화학물질에 대하여 누액 센서부(10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를 기준 상태에서 측정한 임피던스와 비교하여 얻은 실수부의 차이값과 허수부의 차이값에 대한 정보인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허수부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일예로서 제1교류신호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제2교류신호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제3교류신호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실수부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일예로서 제1교류신호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제2교류신호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제3교류신호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허수부 및 실수부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일예로서 제1교류신호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제2교류신호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제3교류신호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가 복수의 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얻어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제어부(200)는 어느 하나의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해당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와 대조하여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되, 특정된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가 복수 개인 경우 나머지 다른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해당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추가적으로 대조하여 상기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어느 하나로 특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9와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의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가 진폭과 주파수가 서로 다른 제1교류신호, 제2교류신호, 및 제3교류신호의 3가지 종류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가 제1교류신호와 제2교류신호로 이루어진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브 형태의 소형 크기로 제작된 액상 화학물질 감지용 누액 감지센서부(100)를 준비한 후(S10),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액상 화학물질에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의 센싱모듈(110)을 접촉시킨다(S20).
상기 S20 단계가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작동 스위치(미도시)가 온(on) 되면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는 센싱모듈(110)의 전극층(112)에 제1교류신호를 인가하고(S31),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제1측정 데이터를 도출한다(S32,S33).
상기 S33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는 센싱모듈(110)의 전극층(112)에 제2교류신호를 인가하고(S34),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제2측정 데이터를 도출한다(S35,S36).
상기 S36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100)는 통신모듈(140)을 통하여 상기 도출된 제1측정 데이터와 제2측정 데이터를 상기 장치 제어부(200)로 전송한다(S40).
상기 S4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누액 감지센서부(100)로부터 수신한 제1,2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고(S50), 상기 특정된 액상 화학물질이 관리 대상으로 정해진 액상 화학물질과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해당 액상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전송한다(S60).
상기 S50 단계에서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는 방법은 도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제1측정 데이터의 실수부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1), 실수부 변화가 있는 경우 제1측정 데이터의 허수부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2).
이때, 상기 실수부와 변화와 허수부의 변화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측정 데이터를 기준 상태에서 측정한 임피던스와 대비할 때 실수부와 허수부의 변화를 의미한다.
상기 S161 단계와 S162 단계의 판단결과 제1측정 데이터의 실수부 및 허수부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감지된 액상 화학물질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절차를 종료한다(S163).
반면에,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상기 S161 단계와 S162 단계의 판단결과 제1측정 데이터의 실수부 변화가 없고 허수부 변화만 있는 경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은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에 속하는 것으로 1차 특정하고(S163), 제1측정 데이터를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1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164).
한편, 상기 S161단계의 판단결과 제1측정 데이터의 실수부 변화가 있는 경우이면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제1측정 데이터의 허수부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5), 허수부 변화가 없는 경우이면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은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에 속하는 것으로 1차 특정하고(S166), 제1측정 데이터를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1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167).
또한, 상기 S165단계의 판단결과 제1측정 데이터의 허수부 변화가 있는 경우이면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은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에 속하는 것으로 1차 특정하고(S168), 제1측정 데이터를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제1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169).
상기 S164 단계, S167 단계 또는 S169 단계 중 어느 하나가 완료되면,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제1측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 즉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가 특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70), 제1측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데이터가 없는 경우이면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S170 단계의 판단결과 제1측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데이터가 있는 경우이면,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제1측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데이터가 복수 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1).
상기 S171 단계의 판단결과 제1측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데이터가 복수 개가 아닌 경우(즉, 1개인 경우)이면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상기 기준 데이터를 가진 액상 화학물질로 특정하고 S60 단계를 수행한다(S173).
반면에, 상기 S171 단계의 판단결과 제1측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이면, 상기 장치 제어부(200)는 제2측정 데이터를 S163 단계, S166 단계, 또는 S168 단계에서 특정된 그룹의 액상 화학물질 제2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S172), 검색된 기준 데이터를 가진 액상 화학물질을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로 특정하고 S60 단계를 수행한다(S173).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S171 단계의 판단결과 제1측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제2측정 데이터의 검색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화학물질로 특정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제2측정 데이터에 의해서도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가 특정되지 않을 경우이면 제3측정 데이터, 제4측정 데이터, 제5측정 데이터 등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가 특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를 휴대하여 확인되지 않은 측정 대상의 액상유체를 센싱모듈에 직접 접촉시켜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모니터링한다. 이 실시예와 다르게 생산 현장에 설비된 유체저장탱크의 배관에 인접하여 액상유체용 누액 감지센서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시적으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누액 감지센서
101 : 센서 하우징
102 : 전원 케이블

Claims (11)

  1.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된 액상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도출하여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며, 측정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누액 감지센서;
    상기 누액 감지센서로 측정한 액상유체가 유해 화학물질인지 판단하기 위하여 사전 시험측정으로 획득한 정보로서 화학물질의 고유한 특성을 지시하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 제1 내지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제1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2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실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및 실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
    상기 누액 감지센서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누액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의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로 확정되면 사용자 단말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전송하는 화학물질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유해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감지센서는 센서 하우징의 일단에 노출된 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면에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된 전극부, 상기 전극부 상면과 상기 기판 후면에 각각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유해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내화학성 소재로서 실리콘 수지, 불소수지, 에폭시수지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유해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내화학성 필름으로 라미네이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유해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감지센서는 센서 하우징에 내장된 신호처리모듈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화학물질 관리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유해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6. 누액 감지센서가 유체저장탱크 밖으로 누출된 액상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누액 감지센서가 측정 신호로부터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도출하여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를 화학물질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 관리장치가 상기 누액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기준 데이터를 대조하여 관리대상으로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 관리장치가 상기 특정한 유해 화학물질을 확정시 사용자 단말로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학물질 관리장치는 측정 데이터를 구성하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해 각각의 변화 여부에 따라 측정 대상의 액상유체를 유형별로 구분한 제1 내지 제3그룹 중 어느 하나를 1차 확정하고, 1차 확정된 제1 내지 제3그룹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누출된 화학물질을 최종 확정하며,
    상기 제1그룹에 임피던스의 허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이 대응되고, 상기 제2그룹에 임피던스의 실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이 대응되며, 상기 제3그룹에 임피던스의 실수부 및 허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이 대응되고,
    상기 제1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2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실수부 변화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3그룹 액상유체 데이터베이스는 허수부 및 실수부 변화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유해 화학물질 모니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에 대응하는 1군의 화학물질은 오직 유전율 변화에 민감한 오일류이고, 상기 제2그룹에 대응하는 1군의 화학물질은 오직 전기전도도 변화에 민감한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화학물질이며, 상기 제3그룹에 대응하는 1군의 화학물질은 유전율 및 전기전도도에 민감한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유해 화학물질 모니터링 방법.
  8. 서로 다른 진폭과 주파수를 가지도록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류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반복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측정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부;
    복수의 액상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관한 정보인 기준 데이터가 저장된 기준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에서 전송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기준 데이터와 대조하여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해당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와 대조하여 상기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특정하되, 특정된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가 복수 개인 경우 나머지 다른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해당 교류신호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추가적으로 대조하여 상기 액상 화학물질의 종류를 어느 하나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는,
    튜브 형상의 센서 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의 일단에 노출된 센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센싱모듈은 기판, 상기 측정 대상인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전극층, 및 상기 전극층의 상면과 상기 기판의 후면에 각각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감지센서부는,
    상기 전극층에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입력모듈, 상기 교류신호 인가시 전극층을 통해 상기 액상 화학물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도출하는 임피던스 측정모듈, 및 상기 도출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장치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신호입력모듈, 임피던스 측정모듈, 및 통신모듈은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류신호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는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및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되어 저장되되,
    상기 제1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허수부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2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실수부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3그룹 액상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허수부 및 실수부로 식별할 수 있는 1군의 액상 화학물질에 대한 각각의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KR1020190008355A 2019-01-22 2019-01-22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1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355A KR20200091275A (ko) 2019-01-22 2019-01-22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355A KR20200091275A (ko) 2019-01-22 2019-01-22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75A true KR20200091275A (ko) 2020-07-30

Family

ID=7183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355A KR20200091275A (ko) 2019-01-22 2019-01-22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12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8582B1 (en) 2021-07-07 2022-05-10 T-Mobile Usa, Inc. Enhanced hazard detection device configured with security an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KR102425838B1 (ko) 2021-12-21 2022-07-28 주식회사 유한테크 유기용제 및 오일류용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KR20220169047A (ko) * 2021-06-17 2022-12-27 (주)유민에쓰티 누액 감지 센서를 위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30112409A (ko) 2022-01-20 2023-07-27 이상철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398B1 (ko) 2014-05-08 2015-11-24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누액 감지 센서
KR101623537B1 (ko) 2014-06-05 2016-05-23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398B1 (ko) 2014-05-08 2015-11-24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누액 감지 센서
KR101623537B1 (ko) 2014-06-05 2016-05-23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047A (ko) * 2021-06-17 2022-12-27 (주)유민에쓰티 누액 감지 센서를 위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328582B1 (en) 2021-07-07 2022-05-10 T-Mobile Usa, Inc. Enhanced hazard detection device configured with security an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KR102425838B1 (ko) 2021-12-21 2022-07-28 주식회사 유한테크 유기용제 및 오일류용 전자식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KR20230112409A (ko) 2022-01-20 2023-07-27 이상철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KR20230112448A (ko) 2022-01-20 2023-07-27 이상철 산알칼리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누액감지 포인트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1275A (ko)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0429268B2 (en) Leakage monitoring system for geomembranes
CN102680570B (zh) 复合钢管缺陷检测装置及复合钢管缺陷检测方法
Muthuvel et al. Magnetic-capacitive wear debris sensor plug for condition monitoring of hydraulic systems
CN207976198U (zh) 一种电容式液位检测装置
CN108871498A (zh) 电容式自适应通用液位测量装置及方法
CN103149252B (zh) 一种电阻式钢桥疲劳裂纹检测装置
CN102323302A (zh) 非接触式电阻层析成像数据采集装置及方法
CN104977062A (zh) 用于液体的自动化分类的方法和设备以及用于电容性液位测量的预设置的自动化适应的方法和设备
CN106323571A (zh) 基于介电常数检测的煤油监测系统与方法
CA2933675A1 (en) Leak-monitoring system for space-enclosing objects and coupling regions located therebetween and related method
KR102006469B1 (ko) 프로브 타입의 누액 감지센서를 이용한 액상 화학물질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US4077261A (en) Instrument protective apparatus
CN103115656B (zh) 一种液路位置检测的方法和装置
CN105092413A (zh) 一种油液特性传感器模块
CN111982984A (zh) 一种高精度交叉电容油液检测传感器及其检测方法
CN208847287U (zh) 电容式自适应通用液位测量装置
CN102628726A (zh) 洁净内衬容器用漏点检测装置
KR101895750B1 (ko) 국소 부위 누설감지 센서
CN212622366U (zh) 一种高精度交叉电容油液检测传感器
JP7353407B2 (ja) キャピラリ電気泳動カソード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646061A (zh) 一种双路冗余智能校准射频导纳防溢液位计及其测量方法
US1073206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breaches in pipelines
CN103149103A (zh) 检测热收缩套管产品耐冲击性能的装置及其检测方法
CN116124844B (zh) 基于激励切换的非金属复合材料老化状态多深度检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