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108B1 - 플랜지 커버체 - Google Patents

플랜지 커버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108B1
KR100919108B1 KR1020070114613A KR20070114613A KR100919108B1 KR 100919108 B1 KR100919108 B1 KR 100919108B1 KR 1020070114613 A KR1020070114613 A KR 1020070114613A KR 20070114613 A KR20070114613 A KR 20070114613A KR 100919108 B1 KR100919108 B1 KR 100919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flange
sheet
pip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659A (ko
Inventor
설세혁
Original Assignee
설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세혁 filed Critical 설세혁
Priority to KR102007011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1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7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in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r detection of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을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배관을 유동하는 유체가 누수되었을 경우 누수여부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다수의 장비를 동원하지 않더라도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고온에 잘 견디고 내화학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유체의 누수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배관이나 파이프의 길이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플랜지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플랜지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플랜지부(10)의 외부에 감싸지고, 짧은변에 근접한 양단부에는 암/수로 이루어진 밸크로(27)가 장착되는 일정면적의 투시시트(20)와; 상기 투시시트(20)에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10)를 통해 누수된 유체의 접촉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23)와; 상기 투시시트(20)의 양측긴변에 난연성 엮음실(25)로 결합되는 난연시트(30)로 구성되고, 상기 난연시트(30)의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부(1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를 결속시키도록 하는 묶음로프(3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랜지 커버체{FLANGE COVER DEVICE}
본 발명은 플랜지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을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배관을 유동하는 유체가 누수되었을 경우 누수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다수의 장비를 동원하지 않더라도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고온에 잘 견디고 내화학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유체의 누수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플랜지와 플랜지 또는 각종 파이프의 이음부상에 장착되는 플랜지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장 또는 건물의 외벽면 등에 밀착 시공되어 유류, 스팀, 용수, 오폐수 등이 이송되도록 하는 각종 배관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라인은 일체로 사용되기도 하나 배관의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굵기가 다른 배관을 사용할 때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결합부의 양단에 플랜지를 만들고 이를 볼트로 체결하는 플랜지 커플링과, 파이프 끝에 파이프용나사를 파고, 엘보·T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배관내에 고온 고압의 유체가 흐르거나 오랜 기간 사용함으로써, 이음부가 느슨해지거나 고무 패킹이 마모되어 이음부로부터 유체가 새어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인해 건물 상단에 설치된 배관으로부터 새어 나온 유체가 작업자의 머리나 옷깃에 떨어져 작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유독물질의 경우 작업자의 신체에 손상을 주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관로가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이음부로부터 새어 나온 유체는 배관을 따라 흐름으로써 상기 흐르는 유체를 발견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유지보수가 늦어져 전면보수가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누수가 발생되는 부위를 찾아내기가 곤란하여 누설되는 상태를 그대로 방치하거나 누수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을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배관을 유동하는 유체가 누수되었을 경우 누수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여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다수의 장비를 동원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쉽게 상기 플랜지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고온에 잘 견디고 내화학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유체의 누수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배관이나 파이프의 길이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플랜지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플랜지 커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배관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플랜지부(10)의 외부에 감싸지고, 짧은변에 근접한 양단부에는 암/수로 이루어진 밸크로(27)가 장착되는 일정면적의 투시시트(20)와, 상기 투시시트(20)에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10)를 통해 누수된 유체의 접촉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23)와, 상기 투시시트(20)의 양측긴변에 난연성 엮음실(25)로 결합되는 난연시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난연시트(30)의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부(1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를 결속시키도록 하는 묶음로프(3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을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감싸 밀폐시켜 플랜지부에서 새어나오는 유체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누수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누수에 따른 사전 조치를 신속히 취해 안전사고나 배관의 전면보수를 방지하며, 다른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누구나 손쉽게 플랜지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플랜지의 크기 변화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의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가 플랜지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가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플랜지부 20: 투시시트
23: 검출부 25: 엮음실
27: 벨크로 30: 난연시트
35: 묶음로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랜지 커버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의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가 플랜지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가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커버체는 배관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0)의 외부에 감싸지는 일정면적의 투시시트(20)와, 상기 투시시트(20)에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10)를 통해 누수된 유체의 접촉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23)와, 상기 투시시트(20)의 양측에 상기 배관방향으로 난연성 엮음식(25)로 결합되는 난연시트(30)로 구성된다.
투시시트(20)는 배관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10)의 외부를 감싸게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지며, 고온에서도 잘 견디고 질산, 염산, 황산 및 기타 알카리 산 모든 종류의 화학약품에 의하여 내화학성을 지닌 재질로 제작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투시시트(20)의 짧은 변에 근접한 양단부에는 암/수로 이루어진 벨크로(27)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10)를 통해 누수된 유체가 접촉될 경우에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검출부(23)가 상기 투시시트(20)의 중앙에 일측 짧은 변에서 타측 짧은 변 방향으로 띠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부(23)는 상기 투시시트(20)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난연시트(30)는 상기 투시시트(20)의 양측긴변에 배관방향으로 난연성 엮음실(25)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시트(30)의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부(1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를 결속시키도록 하는 묶음로프(3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엮음실(25)과 상기 묶음로프(35)는 고온에 잘 견디며 내화학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체를 결속시키는 묶음로프(35)를 후크, 걸고리, 스냅단추, 또는 밸크로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고온에 견디며 내화학성을 지닌 재질의 누수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23)가 형성된 투시시트(20)와 상기 투시시트(20)의 양측긴변에 배관방향으로 난연성 엮음실(25)로 결합된 난연시트(30)로 이루어진 커버체를 배관연결부위의 플랜지부(10)에 감싸 난연시트(30)에 구비된 묶음로프(35)를 이용하여 단단히 결속시킨다.
이후, 상기 플랜지부(10)를 통하여 유체가 누수되었을 경우 상기 투시시트(20)에 형성된 검출부(23)로 상기 유체가 접촉되게 되면 상기 검출부(23)의 색상이 변화되어 작업자는 육안으로 쉽게 누수여부를 판단하여,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된 유체가 질산, 염산, 황산 등과 같은 화학약품이라 할지라도 상기 커버체는 고온에 견디며 내화학성을 지닌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누수된 유체에 의하여 파손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배관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플랜지부(10)의 외부에 감싸지고, 짧은변에 근접한 양단부에는 암/수로 이루어진 밸크로(27)가 장착되는 일정면적의 투시시트(20)와; 상기 투시시트(20)에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10)를 통해 누수된 유체의 접촉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23)와; 상기 투시시트(20)의 양측긴변에 난연성 엮음실(25)로 결합되는 난연시트(30)로 구성되고,
    상기 난연시트(30)의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부(1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를 결속시키도록 하는 묶음로프(3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커버체.
KR1020070114613A 2007-11-12 2007-11-12 플랜지 커버체 KR100919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613A KR100919108B1 (ko) 2007-11-12 2007-11-12 플랜지 커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613A KR100919108B1 (ko) 2007-11-12 2007-11-12 플랜지 커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659A KR20090048659A (ko) 2009-05-15
KR100919108B1 true KR100919108B1 (ko) 2009-09-28

Family

ID=4085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613A KR100919108B1 (ko) 2007-11-12 2007-11-12 플랜지 커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1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897B1 (ko) * 2017-07-04 2018-01-11 (주) 동양인더스트리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064B1 (ko) * 2018-07-16 2020-06-29 (주) 솔리렉스 사이즈 조절 가능한 플랜지커버
KR102603170B1 (ko) * 2021-05-17 2023-11-16 주식회사 파이오벡 누설감지기능을 갖는 유체배관 실링용 클램프장치
KR102523057B1 (ko) * 2023-03-06 2023-04-17 주식회사 행복에너지 플랜지의 가스누설 차단용 고무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3329A (ja) * 1983-10-28 1985-05-25 Moru Chem Kk パイプ連結部の内部流体漏洩検知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検知テ−プ
JP2001056086A (ja) * 1999-08-16 2001-02-27 Sogo Tsusho Kk 固液混合物搬送管の飛散防止カバー
KR200333386Y1 (ko) * 2003-07-11 2003-11-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의 플랜지부 누수차단용 커버체
JP2006266388A (ja) * 2005-03-23 2006-10-05 Tokyo Nisshin Jabara Kk 配管用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3329A (ja) * 1983-10-28 1985-05-25 Moru Chem Kk パイプ連結部の内部流体漏洩検知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検知テ−プ
JP2001056086A (ja) * 1999-08-16 2001-02-27 Sogo Tsusho Kk 固液混合物搬送管の飛散防止カバー
KR200333386Y1 (ko) * 2003-07-11 2003-11-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의 플랜지부 누수차단용 커버체
JP2006266388A (ja) * 2005-03-23 2006-10-05 Tokyo Nisshin Jabara Kk 配管用カ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897B1 (ko) * 2017-07-04 2018-01-11 (주) 동양인더스트리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659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108B1 (ko) 플랜지 커버체
US4295669A (en) Thermal insulation especially for pipe, flanges and fittings
CN103341248B (zh) 柔性干式喷洒装置
US6546951B1 (en) Appliance safety hose
KR200474712Y1 (ko) 유체 이송관의 파손에 따른 유체 유출 대응 기구
ITTO20120190A1 (it) Sistema di alimentazione di combustibile ad elevata sicurezza per un bruciatore di turbina a gas
KR20110038010A (ko)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US7004510B2 (en) Tubing containment system
RU97800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защитный кожух для фланцевых соединений и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варианты)
JP7431544B2 (ja) ブレーカボックスアセンブリ
KR101746083B1 (ko) 배관용 히팅 보온 커버
KR20180065230A (ko) 벌룬셔터 및 그를 포함하는 원격 배관설비 관리 시스템
KR20140001788U (ko) 가연성 배관 연결부의 비산방지 보호커버
JP2011053080A (ja) 漏洩検査器具
KR20190000615U (ko) 배관 이음부 커버체
KR20180002239U (ko)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KR200316886Y1 (ko)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KR20200051329A (ko) 배관용 안전커버
KR101498694B1 (ko) 냉온수 배관 조립체
KR102284820B1 (ko)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CN205278666U (zh) 一种泄漏防飞溅保护套
KR200330141Y1 (ko) 비산방지용 안전커버체
KR101817897B1 (ko)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KR20130003346U (ko)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CN112594456B (zh) 一种具有防爆抗高压型衬里的消防水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