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886Y1 -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886Y1
KR200316886Y1 KR20-2003-0008304U KR20030008304U KR200316886Y1 KR 200316886 Y1 KR200316886 Y1 KR 200316886Y1 KR 20030008304 U KR20030008304 U KR 20030008304U KR 200316886 Y1 KR200316886 Y1 KR 200316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lamp
pipe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광열
장형오
유기호
김현철
신동혁
장영진
이강배
원서연
성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천리
Priority to KR20-2003-0008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8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 F16L55/17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the ring, band or sleeve being tightened by a tangentially arranged threaded pin and a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반 굴착공사 또는 부식등으로 인하여 도시가스 운송용 배관표면이 파손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빠른 시간내에 차단할 수 있어서, 가스공급의 중단이 없으며, 누출된 가스로 인하여 폭발, 화재, 인적피해등의 2차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도관, 송유관, 독성가스 또는 독성유체 이동용 배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는, 배관에 형성된 홀을 차단하기 위한 클램프에 있어서,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12)에 의하여 내부통로가 개폐되는 밸브부(10);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내부통로를 가지며 밸브부(10)와 결합되는 연결관(22)이 외부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2)의 내측단부표면에는 가스차단을 위한 패킹(24)이 부착되며,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형상을 가지며, 상기 호형상의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의 결합용홀(26a,26b)들이 형성된 체결판(26)을 갖는 패드부(20); 및 상기 패드부(20)의 결합용홀(26a,26b)에 너트(34)에 의하여 체결되는 볼트(32)가 양단부에 연결된 체인(36) 형태의 체인결합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Clamp for cutting off the leakage of high pressure gas}
본 고안은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반 굴착공사 또는 부식등으로 인하여 도시가스 운송용 배관표면이 파손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빠른 시간내에 차단할 수 있어서, 가스공급의 중단이 없으며, 누출된 가스로 인하여 폭발, 화재, 인적피해등의 2차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도관, 송유관, 독성가스 또는 독성유체 이동용 배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시가스의 배관은 주거지역, 상업지역을 가리지 않고 분포되어 있으며, 통상 지하에 매설되는데 노후화, 부식화에 따라서 배관의 표면에 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지하철공사, 배관공사, 전기선 연결공사등과 같은 공사가 빈발하기 때문에 노후화, 부식화 이외에도 매설된 가스배관이 파손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후화, 부식화 또는 공사에 의하여 생성된 홀을 통하여 누출되는 가스가 폭발, 화재와 같은 큰 사고의 한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도시가스 배관 뿐만 아니라, 수도관, 송유관 등도 노후화, 부식화에 따라서 표면에 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화학 플랜트에서 독성가스 또는 독성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배관 등에도 표면에 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스 배관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노후화, 부식화 또는 공사중 파손에 의한 가스누출시에는 가스배관에 대한 안전조치가 완료될 때 까지 가스공급을 중단하기 때문에 수요자들의 불만의 한 요인이 된다. 또한 가스누출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폭발, 화재발생 등의 대형사고로 발전하기도 한다.
특히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대규모 산업설비에서는 안정적인 가스공급이 필수적인데, 배관의 파손에 의하여 가스공급이 중단됨에 따라서 불량품이 발생되고, 가스공급사가 책임져야 하는 경우도 발생되며, 이에 따라서 사회적으로 기업 이미지와 신뢰성이 저하된다.
도 1은 종래 배관(1)의 표면에 형성된 홀(2)을 도시한 것이다. 배관의 크기에 비하여 직경이 작은 홀이라도 배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압이 중압이상, 예를 들어 5Kg/cm2정도가 되기 때문에 많은 가스량이 누출된다.
종래 이러한 배관의 파손에 대비하여 각 배관의 구경별로 구비된 클램프를 이용하고 있다. 도 2는 클램프(3)를 이용하여 배관(1)에 형성된 홀(2)을 차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의 직경에 맞추어진 내경을 갖는 한 쌍의 커버들을 볼트(4)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있다.
그러나 분출되는 가스압력이 중압이상인 경우에는 사람이 압력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홀(2)에 목침이나 납을 이용하여 압력을 감소시킨 후에 클램프(3)를 체결하고 있으나, 작업자 1인이 클램프(3)를 체결하기 어려워서 2인이 함께 작업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서 넓은 작업공간이 필요하고, 조치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다량의 가스누출시에는 긴급조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의 표면에 밀착되어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클램프(3)에 부착되는 패킹(미도시됨)이 클램프(3)를 조일 때에 이탈되어서 가스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또한 종래 클램프(3)는 배관(1)의 표면에 코우팅이 제거된 상태에서만 체결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중압 또는 고압의 가스가 누출되는 상태에서는 코우팅의 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클램프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배관의 손상된 부분이 넓은 전면부식 상태의 경우에는 클램프의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스공급을 전면 차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반 굴착공사 또는 부식등으로 인하여 도시가스 운송용 배관표면이 파손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어서, 가스공급의 중단이 없으며, 누출된 가스로 인하여 폭발, 화재, 인적피해등의 2차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응급복구시에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중압이상의 배관에서도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가능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유체에 적합한 패킹을 사용함으로서 수도관, 송유관, 독성가스 또는 독성유체 이송관 등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표면에 홀이 형성된 배관의 상태도,
도 2는 홀을 차단하기 위한 종래 클램프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도 3의 클램프의 평면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의 클램프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클램프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관 2 : (가스누출) 홀
3 : 클램프 4 : 볼트
10: 밸브부 12: 손잡이
14: 볼트 20: 패드부
22: 연결관 22a: 통기공
24,24a: 패킹 26: 체결판
26a,26b: 결합용홀 30: 체인결합부
32: 볼트 34: 너트
36: 체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는, 배관에 형성된 홀을 차단하기 위한 클램프에 있어서,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에 의하여 내부통로가 개폐되는 밸브부;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내부통로를 가지며 밸브부와 결합되는 연결관이 외부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내측단부표면에는 가스차단을 위한 패킹이 부착되며,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형상을 가지며, 상기 호형상의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의 결합용 홀들이 형성된 체결판을 갖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결합용홀에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는 볼트가 양단부에 연결된 체인 형태의 체인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패드부의 패킹의 형상, 크기, 재질을 변경하여 수도관, 송유관, 독성가스 또는 독성유체 이송관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의 외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는 밸브부(10)와, 패드부(20)와, 체인결합부(30)의 3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부(10)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압이상의 가스를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물론 저압에서도 중압이나 고압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사용자는 밸브부(10)의 중간에 형성된 손잡이(12)를 회전시켜서 내부통로를개폐한다. 상기 밸브부(10)는 패드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미도시됨)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 패드부(20)는 호형상을 갖는 금속체로서 양단부에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체결판(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판(26)에는 각각 한 쌍의 결합용 홀(26a,26b)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에 체인결합부(30)와 결합에 사용된다. 상기 패드부(20)의 호형상은 배관의 직경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체결판(26)에 형성된 결합용홀(26a)은 외부와 연통되지 않은 구멍형태를 가지며, 이에 비하여 대향위치에 형성된 결합용홀(26b)들은 외부와 연통된 구멍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구멍형태에 의하여 작업시에 체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결합용홀(26a,26b)의 구조가 후에 설명된다.
호형상의 패드부(20)의 내측중앙에는 패킹(24)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패킹(24)은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유지용이다. 또한 패킹(24)의 중앙부에는 통기공(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기공(22a)은 연결관(22)의 통기공이다. 연결관(22)의 구조가 후에 상술된다.
패드부(20)의 하부에는 체인결합부(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체인결합부(30)의 체인(36)은 배관의 몸통과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본 고안의 클램프를 배관표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체인결합부(30)는 모두 한 쌍으로 구성되며, 체인결합부(30)의 양단부에는 볼트(32)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볼트(32)에는 너트(3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볼트(32)와 너트(34)를 이용하여 패드부(20)의 결합용홀(26a,26b)에 체인결합부(30)를 결합시킨다. 상기 체인결합부(30)의 볼트(32)를 제외한 부분은 체인(36)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체인구조로 인하여 배관의 형상에 관계없이 체결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연장되는 이점을 가진다. 물론 체인 대신에 와이어나 다른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클램프의 평면도로서, 체인결합부(30)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패드부(20)의 중앙에는 손잡이(12)가 부착된 밸브부(10)가 위치하고있으며 패드부(20)의 양단부에는 결합용홀(26a,26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결합용홀(26a)은 구멍형태로서 외부와 연통되어 있지 않으며, 대향위치에 있는 결합용홀(26b)들은 외부와 연통되는 형태의 개구를 갖는다. 이렇게 결합용홀(26b)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분을 형성함으로서 배관에 본 고안의 클램프를 체결할 때 체인에 연결된 볼트(32) 부분을 간단히 개구를 통하여 삽입함으로서 용이하게 체결이 가능하다.
특히 결합용홀(26b)의 구멍내측에는 볼트(32)와 연결되는 너트(34)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미도시됨)을 형성함으로서 일단 너트(34)가 안착홈에 고정되면 분리가 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너트(34)가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너트(34)를 회전시켜서 배관주위로 체인(36)을 밀착시킨다. 한편, 결합용홀(26a)에는 안착홈을 형성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램프에 형성된 체결판(26)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볼트(32)들은 모두 상하 이동이 가능한 유동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이 체결판(26)에 완전히 고정되면 체결시에 배관의 직경변화에 따라서 유동이 어렵기때문에 양쪽이 모두 유동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패킹(24)은 그것이 적용되는 손상부위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즉, 패킹(24)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형이거나,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각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다른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패킹은 또한 형상, 크기, 재질을 변경함으로서 가스 이외의 장치, 예를 들면 수도관, 송유관, 독성가스 및/또는 독성유체 이송관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고안의 클램프는 또한 상부측의 밸브부(10)와 패드부(20)를 상호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밸브부(10)와 패드부(20)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호결합되어 있어서 회전시켜 분리가 가능하다.
이렇게 분리하는 경우에 배관에 체결된 경우에는 가스누출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드부(20)의 연결관(22)을 볼트를 이용하여 차단한다. 연결관(22)과 결합되는 볼트는 특히 밸브부(10)의 통로를 통하여 이동시켜서 결합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가스누출없이 밸브부(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밸브부(10)를 패드부(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클램프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스가 누출되는 배관에 클램프를 체결하여 가스누출을 차단하고 그대로 매설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렇게 클램프가 매설된 상태에서 주변에서 공사를 할 때 클램프의 밸브부(10)가 상부측으로 지나치게 노출되기 때문에 파손가능성이 상존한다. 그러나 밸브부(10)를 제거함으로서 노출부위가 낮아지게 되므로 공사중에 손상되는 확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표면에 홀(2)이 형성된 배관(1)을 도 1과 같이 외부로 노출시킨다. 노출된 배관의 홀(2)의 크기에 따라서 적당한 패킹을 갖는 클램프를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홀(2)이 노출된 상태에서 홀(2)의 상부측으로 패드부(20)의 패킹(24)을 이동시킨다. 이 때 밸브부(10)의 손잡이(12)는 밸브부(10)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개방하는 상태이고, 체결판(26)의 결합용홀(26a)에 한 쌍의 볼트(32)와 너트(34)가 이미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 가정한다.
클램프를 홀(2) 근처로 이동할 때, 홀(2)로부터 누출되는 가스는 내부통로를 통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용이하게 홀(2)의 주위로 패킹(24)을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패킹(24)의 접촉면(24c)이 홀(2) 주위에 밀착된다.
패드부(20)가 배관(1)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체결판(26)과 결합되지 않은 체인결합부(30)의 볼트(32)를 결합용홀(26b)에 결합시킨다. 이 때 결합용홀(26b)의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분을 통하여 볼트(32)를 삽입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부분은 결합용홀(26a,26b)의 어느 쪽에 형성하여도 클램프가 대칭이기 때문에 작동에는 지장이 없다.
또한 체결시에는 결합용홀(26b)의 내부에 이미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34)가 안착된다. 결합용홀(26b)에 체인결합부(30)의 단부를 체결한 후에 작업자는 너트(34)를 회전시킴으로서 체인(36)을 조여서 배관(1)의 표면에 클램프를 단단하게 밀착시킨다.
이 때 밸브부(10)의 손잡이(12)는 통로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손잡이(12)를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스누출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12)를 회전시켜 가스이동을 차단한 후에, 개방된 밸브부(10)의 상단부에 너트(14)를 삽입하여 가스를 완전히 차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굴착공사 또는 부식등으로 인하여 도시가스 운송용 배관표면이 파손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어서, 가스공급을 신속하게 재개하고 누출된 가스로 인하여 폭발, 화재, 인적피해등의 2차 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급복구시에 작업시간을 단축되고 중압이상의 배관에서도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가능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수도관, 송유관, 독성가스 또는 독성유체 이송관 등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배관에 형성된 홀을 차단하기 위한 클램프에 있어서,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12)에 의하여 내부통로가 개폐되는 밸브부(10);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내부통로를 가지며 밸브부(10)와 결합되는 연결관(22)이 외부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2)의 내측단부표면에는 가스차단을 위한 패킹(24)이 부착되며,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형상을 가지며, 상기 호형상의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의 결합용홀(26a,26b)들이 형성된 체결판(26)을 갖는 패드부(20); 및 상기 패드부(20)의 결합용홀(26a,26b)에 너트(34)에 의하여 체결되는 볼트(32)가 양단부에 연결된 체인(36) 형태의 체인결합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10)가 패드부(20)와 분리가능하도록 나사결합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4)이 배관(1)의 표면에 형성되는 홀(2)에 따라서 형상, 재질,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홀(26a,26b)중의 어느 한 쌍의 홀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분이 형성되는 결합용홀의 내측에 체인결합부(30)의 볼트(32)에 결합된 너트(34)를 수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KR20-2003-0008304U 2003-03-20 2003-03-20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KR200316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04U KR200316886Y1 (ko) 2003-03-20 2003-03-20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04U KR200316886Y1 (ko) 2003-03-20 2003-03-20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886Y1 true KR200316886Y1 (ko) 2003-06-19

Family

ID=4940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304U KR200316886Y1 (ko) 2003-03-20 2003-03-20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88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12Y1 (ko) 2014-06-18 2014-10-13 최상환 유체 이송관의 파손에 따른 유체 유출 대응 기구
KR102193109B1 (ko) * 2020-06-11 2020-12-18 (주)선운이앤지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시스템
KR102200901B1 (ko) 2020-10-19 2021-01-11 주식회사 미추홀공간지적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측량 타깃 시스템
KR102200904B1 (ko) 2020-10-19 2021-01-11 주식회사 미추홀공간지적 지하시설물의 높낮이를 정밀 측량하는 시스템
KR102200861B1 (ko) * 2019-07-16 2021-01-11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가스공급관로 응급 보수 장치 및 가스공급관로 응급 보수 방법
CN114542978A (zh) * 2022-03-18 2022-05-27 西南石油大学 一种应急工况下天然气长输管道站场临时处理装置及方法
KR102633184B1 (ko) * 2023-05-19 2024-02-02 케이워터기술 주식회사 유도 배수 커플링을 이용한 부단수 누수 차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누수 차단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12Y1 (ko) 2014-06-18 2014-10-13 최상환 유체 이송관의 파손에 따른 유체 유출 대응 기구
KR102200861B1 (ko) * 2019-07-16 2021-01-11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가스공급관로 응급 보수 장치 및 가스공급관로 응급 보수 방법
KR102193109B1 (ko) * 2020-06-11 2020-12-18 (주)선운이앤지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시스템
KR102200901B1 (ko) 2020-10-19 2021-01-11 주식회사 미추홀공간지적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측량 타깃 시스템
KR102200904B1 (ko) 2020-10-19 2021-01-11 주식회사 미추홀공간지적 지하시설물의 높낮이를 정밀 측량하는 시스템
CN114542978A (zh) * 2022-03-18 2022-05-27 西南石油大学 一种应急工况下天然气长输管道站场临时处理装置及方法
KR102633184B1 (ko) * 2023-05-19 2024-02-02 케이워터기술 주식회사 유도 배수 커플링을 이용한 부단수 누수 차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누수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6338A (en) Pipe repair assemblies to repair pipe when fluids therein are under high pressure
KR200316886Y1 (ko)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KR200399091Y1 (ko) 배관 차단용 핏팅
KR200474712Y1 (ko) 유체 이송관의 파손에 따른 유체 유출 대응 기구
US6546951B1 (en) Appliance safety hose
CA2370729C (en) Method and device for plugging a gas main
KR20200109015A (ko) 배관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는 연결부 보강 장치
CN112610797B (zh) 用于输气管道损伤破裂的防护装置及防护方法
JPH09178096A (ja) 災害時対応型lpガス容器バルブ
EA001352B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RU27471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за возникновением аварийных утечек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з трубопроводов, выполненных в защитных футлярах
KR20200113207A (ko) 플랜지 어셈블리
KR20160008327A (ko) 부단수 누수방지대
KR101563108B1 (ko) 수도관 누수보수용 부단수 보수관의 구조
KR100453450B1 (ko) 배관에서 누설되는 계통수 밀봉장치
US6302166B1 (en) Secondary containment cap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primary chlorine container
KR970006913Y1 (ko) 가스 배관용 분기 티이(tee) 장치
JP6797479B2 (ja) 漏洩防止具
KR101919959B1 (ko) 지중매설물 보호 장치
KR200376304Y1 (ko) 배관 폐쇄구
KR200439040Y1 (ko) 송유관 차단장치
US20020005225A1 (en) Secondary containment cap apparatus for either permanent or removable attachment to a primary chlorine container
KR100206166B1 (ko) 압력감지관 및 자동 압력감지 폐쇄장치
KR200191941Y1 (ko) 시일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KR20100117375A (ko) 강관 누수방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