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141B1 -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 - Google Patents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141B1
KR101175141B1 KR1020120020781A KR20120020781A KR101175141B1 KR 101175141 B1 KR101175141 B1 KR 101175141B1 KR 1020120020781 A KR1020120020781 A KR 1020120020781A KR 20120020781 A KR20120020781 A KR 20120020781A KR 101175141 B1 KR101175141 B1 KR 101175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nt
drain
fire
backflow prevention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중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14Draining device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소화전은 상수도관과 연결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된 하부 소화전 및 상기 하부 소화전과 연결되며 지상에 배치된 상부 소화전을 포함하는 소화전 몸체; 상기 하부 소화전에 연통 되며 지하에 배치되는 드레인 체크 밸브; 및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에 연통 되며 단부가 개구 되어 상기 소화전 몸체 내의 소방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몸체 및 상기 드레인 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로 이물질이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 역유입 방지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WATER DRAIN APPARATUS FOR FIRE HYDRANT AND HYDRA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hydrant)은 옥내 소화전과 옥외소화전으로 구분된다. 옥외소화전은 지상식과 지하식으로 구분된다. 지상식 소화전은 일부는 지상에 배치되며 일부는 지하에 매설된다. 지상식 소화전 중 일부는 지하의 상수도관과 연결된다.
지상식 소화전은 야간 또는 눈 내릴 때에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소방 호스를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청소나 표지 등에 비용이 들지 않는 이점이 있다.
반면, 상수도관과 연결된 지상식 소화전의 내부에 소방용수가 채워질 경우 겨울철에 동결될 수 있기 때문에 지상식 소화전 중 지하에 매설된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드레인 체크 밸브가 설치되고, 드레인 체크 밸브에 의하여 지상식 소화전의 내부에 채워진 소방용수를 지하로 드레인 시킨다.
그러나, 지상식 소화전의 내부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감압 될 경우, 지하에 매설된 드레인 체크 밸브로 흙, 모래 등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드레인 체크 밸브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반대로 지하에 매설된 드레인 체크 밸브로 흙, 모래 등이 유입될 경우 항시 개방 상태가 되어 화재 발생에 의하여 지상식 소화전 내부로 고압의 소방용수가 유입될 때 항시 개방된 드레인 체크 밸브를 통해 소방용수가 다량 누설되어 지상식 소화전 주변 지반이 침하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소화전의 내부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감압 되더라도 소화전에 연결된 드레인 체크 밸브를 통해 토사, 모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레인 체크 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한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소화전 드레인 장치는 소화전에 연통 된 드레인 체크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소화전 내에 채워진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단부가 개구된 드레인 몸체; 및 상기 드레인 몸체 내에 결합 되어 상기 소화전 내부로 이물질이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 역유입 방지벽을 포함한다.
소화전 드레인 장치의 상기 드레인 몸체는 파이프 형상을 갖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단에 결합 되며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에 연통 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에 결합 되며 개구가 형성된 제3 몸체부를 포함한다.
소화전 드레인 장치는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에 연결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상기 드레인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소화전 드레인 장치의 상기 연결관의 단부는 상기 드레인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관은 엘보우 형상을 갖는다.
소화전 드레인 장치의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상기 드레인 몸체 내에 복수개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다.
소화전 드레인 장치의 상기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 상기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의 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소화전 드레인 장치의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소화전 드레인 장치의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의 단부는 상기 이물질의 역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몸체의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꺾어진다.
일실시예로서, 소화전은 상수도관과 연결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된 하부 소화전 및 상기 하부 소화전과 연결되며 지상에 배치된 상부 소화전을 포함하는 소화전 몸체; 상기 하부 소화전에 연통 되며 지하에 배치되는 드레인 체크 밸브; 및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에 연통 되며 단부가 개구 되어 상기 소화전 몸체 내의 소방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몸체 및 상기 드레인 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로 이물질이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 역유입 방지벽을 포함한다.
소화전의 상기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상기 드레인 몸체 내에 복수개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의 단부는 상호 중첩된다.
소화전의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의 단부는 상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꺾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에 의하면, 소화전의 내부 압력이 다양한 원인들에 의하여 낮아지더라도 지중에 매설된 드레인 체크 밸브로 토사가 유입되어 동계에 소화전의 동파 및 소화전 주변의 지반이 침하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소화전 드레인 장치를 갖는 소화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화전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소화전에 결합된 드레인 체크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소화전 드레인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소화전 드레인 장치를 갖는 소화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화전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소화전에 결합된 드레인 체크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소화전 드레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화전(200)은 소화전 몸체(110), 드레인 체크 밸브(120) 및 소화전 드레인 장치(100)를 포함한다.
소화전 몸체(110)는 지상에 배치되는 상체(111), 지하에 매설되는 중체(112) 및 상수도관(113a)과 연통 되는 하체(113)를 포함한다. 소화전 몸체(110)의 상체(111) 및 하체(113)는 중체(112)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소화전 몸체(11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제공된 회전력에 의하여 승강 및 하강되는 밸브대(114)가 설치된다.
밸브대(114)의 단부에는 하체(113)에 형성된 시트링(115)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수도관(113a)을 통하여 하체(113)로 제공된 소방용수를 중체(112) 및 상체(111)로 제공 또는 차단하는 개폐부(116)가 형성된다.
소화전 몸체(110)의 상체(111)에는 상수도관(113a)을 통해 제공된 소방용수를 소방 호스로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117)가 형성되며, 연결구(117)에는 각각 연결구 캡(118)이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소화전 몸체(11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소화전 몸체(11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소화전(200) 인근에 화재가 발생 되었을 경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소화전(200)의 연결구(117)에는 소방 호스가 결합 된다.
소방 호스가 연결구(117)에 결합 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하여 밸브대(114)를 하강시킴으로써 밸브대(114)에 결합 된 개폐부(116)가 개방되면서 하체(113)에 연결된 상수도관(113a)으로부터 제공된 소방용수는 하체(113), 중체(112) 및 상체(111)를 통해 연결구(117)에 연결된 소방 호스로 제공된다.
화재가 진압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인가된 반대 방향 회전력에 의하여 밸브대(114)를 상승시켜 밸브대(114)에 결합 된 개페부(116)가 폐쇄되면서 상수도관(113a)으로부터 제공된 소방용수는 더 이상 연결구(117)로 제공되지 않게 된다.
한편, 밸브대(114)에 의하여 개폐부(116)가 폐쇄될 경우, 개폐부(116)의 상부에 배치된 중체(112) 및/또는 상체(111)에는 소방용수가 남아 있게 된다.
중체(112) 및/또는 상체(111)에 소방용수가 남아 있을 경우 잔류 된 소방용수에 의하여 동계에 소화전 몸체(110)의 동파가 발생 될 수 있다.
소화전 몸체(11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드레인 체크 밸브(120)는 소화전 몸체(110)의 중체(112) 또는 상체(111)에 잔류 된 소방용수를 소화전 몸체(110)의 외부로 드레인 시킨다.
도 2 및 도 4를 드레인 체크 밸브(120)는 체결 부재(122), 밸브 몸체(124), 오링(125), 볼(126) 및 스프링(127)을 포함한다.
체결 부재(122)는 외주면에 수나사(122a)가 형성된 형상을 갖고, 체결 부재(122) 중 후술 될 볼(126)과 맞닿는 단부에는 볼(126)을 수납하기 위해 경사진 경사면(122b)이 형성된다. 체결 부재(122)는 밸브 몸체(124) 내에 배치되는 볼(126)을 서포트 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 부재(122)에는 볼(126)과 접촉하는 체결 부재(122)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복수개의 홈(122e)들이 형성된다. 체결 부재(122)의 홈(122e)들은 볼(126)이 체결 부재(122)의 경사면(122b)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소화전 몸체(110)의 내부에 잔류 된 소방용수가 소화전 몸체(110)의 외부로 완전히 드레인 될 수 있도록 한다.
밸브 몸체(124)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밸브 몸체(124)의 일측 단부의 내측면에는 체결 부재(122)와 체결되는 암나사(124a)가 형성되며, 암나사(124a)와 대향 하는 밸브 몸체(124)의 일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소화전 몸체(110)의 하체(113)와 결합 되는 수나사(124b)가 형성된다.
밸브 몸체(124)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수나사부(124c)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 단부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후술 될 스프링(127)이 걸리는 걸림턱(124d)이 형성된다.
오링(O-ring;125)은 밸브 몸체(124)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오링(125)은 소화전 몸체(110) 내부에 소방용수가 제공될 경우 볼(126)과 접촉되어 밸브 몸체(124)를 폐쇄한다.
볼(126)은 밸브 몸체(124)의 내부에 배치되며, 볼(126)은 체결 부재(122)의 경사면(122b) 및 오링(125)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127)은 밸브 몸체(125)의 걸림턱(124d)에 일측 단부가 배치되며, 스프링(127)의 타측 단부는 볼(126)과 접촉된다.
소화전 몸체(110)의 내부에 소방용수가 제공되면 소방용수의 압력에 의하여 볼(126)은 오링(125)에 접촉되고 이로 인해 밸브 몸체(124)는 폐쇄된다. 반대로 소화전 몸체(110)의 내부에 소방용수가 제공되지 않으면 볼(126)은 스프링(127)의 탄성력에 의하여 오링(125)으로부터 분리된 후 체결 부재(122)의 경사면(122b)에 배치되고 소화전 몸체(110)에 잔류 된 소방용수는 밸브 몸체(125)로부터 드레인 된다.
한편, 소화전 몸체(110)의 내부의 소방용수가 드레인 된 상태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소화전 몸체(110)의 내부의 압력이 완만히 또는 급격히 낮아질 경우 지중에 배치된 드레인 체크 밸브(120)의 밸브 몸체(124)를 통해 토양, 모래, 토사와 같은 이물질이 드레인 체크 밸브(120)를 통해 소화전 몸체(110) 내부로 역 유입된다.
토양, 모래, 토사와 같은 이물질이 드레인 체크 밸브(120)로 유입될 경우, 토양, 모래, 토사 등은 드레인 체크 밸브(120)를 작동시키는 스프링(127), 볼(126), 오링(124) 및 체결 부재(122) 등에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드레인 체크 밸브(1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된다.
드레인 체크 밸브(1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소화전 몸체(110)의 내부에 채워진 잔류 소방용수가 드레인 되지 않아 동계에 동파가 발생 되거나 소화전 몸체(110)에 고압의 소방용수가 제공될 때 드레인 체크 밸브(120)를 통해 소방용수가 다량 누설되어 소화전 주변 지반을 크게 침하시킬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소화전 드레인 장치(100)는 드레인 몸체(50) 및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을 포함한다.
드레인 몸체(50)는 양단이 각각 개구 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드레인 몸체(50)는 소화전(200)의 소화전 몸체(110)의 드레인 체크 밸브(120)에 연통 되어 소화전 몸체(110) 내부에 잔류 된 소방용수를 지중으로 드레인 시킨다.
드레인 몸체(50)는 제1 몸체부(52), 제2 몸체부(54) 및 제3 몸체부(56)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52)는, 예를 들어, 양단이 각각 개구 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몸체부(54)는, 예를 들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몸체부(54)는 제1 몸체부(52)의 일측단에 결합 되며, 제2 몸체부(54)에는 제1 사이즈를 갖는 개구(5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몸체부(54)의 개구(55)는 드레인 체크 밸브(120)에 연통 된다.
제3 몸체부(56)는, 예를 들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몸체부(56)는 제1 몸체부(52)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 하는 타측단에 결합 되며, 제3 몸체부(56)에는 제1 사이즈 보다 작은 제2 사이즈를 갖는 개구(55)가 형성된다.
제3 몸체부(56)에 형성된 개구(57)의 제2 사이즈가 제2 몸체부(54)에 형성된 개구(55)의 사이즈보다 작은 것은 토사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소화전 드레인 장치(100)는 커플러(70) 및 연결관(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70)는, 예를 들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플러(70)의 일측단의 내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드레인 체크 밸브(120)의 밸브 몸체(124)의 수나사부(124c)와 체결되는 암나사(72)가 형성된다.
연결관(80)은 커플러(70)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에 결합 되며 연결관(80)은 커플러(70)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결관(80)은 엘보우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관(80)의 단부는 드레인 체크 밸브(120)를 통해 잔류 소방용수가 원활하게 드레인 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하게 형성된다.
연결관(80)의 단부는 드레인 몸체(50)의 제2 몸체부(54)의 개구(55)에 삽입되며 연결관(80) 및 제2 몸체부(54)는 상호 용접에 의하여 결합 된다.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드레인 몸체(50)의 제1 몸체부(52)의 내측에 결합 되며,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다양한 원인들에 의하여 소화전(200) 내부의 압력이 감소 되었을 때, 드레인 몸체(50)의 외부에 배치된 토사 등이 드레인 몸체(50)를 통해 드레인 체크 밸브(120) 또는 소화전 몸체(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토사가 드레인 몸체(50)를 통해 드레인 체크 밸브(120)로 유입되어 드레인 체크 밸브(120)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동계에 소화전(200)의 동파를 예방 및 소화전(200)에 고압의 소방용수가 제공될 때 드레인 체크 밸브(120)로 소방용수가 다량 누설되어 지반 침하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복수개가 드레인 몸체(50)의 제1 몸체부(52)의 내측면에 상호 어긋나게 고정될 수 있다. 드레인 몸체(50)의 제1 몸체부(52)의 내부에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토사가 드레인 체크 밸브(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의 단부는, 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호 일정 길이 중첩 되게 배치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이 제1 몸체부(52)에 배치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드레인 몸체(50)의 제2 몸체부(54) 또는 제3 몸체부(56)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이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설명되고 있지만,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반원판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이 토사의 역유입 방지 기능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의 단부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절곡 시킬 수 있으며, 절곡 된 부분은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으로부터 둔각의 각도로 절곡 될 수 있다.
한편,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제1 몸체부(52)의 내측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토사 역유입 방지벽(60)은 제1 몸체부(52)의 내측면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소화전의 내부 압력이 다양한 원인들에 의하여 낮아지더라도 지중에 매설된 드레인 체크 밸브로 토사가 유입되어 동계에 소화전의 동파 및 소화전 주변의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소화전 110...소화전 몸체
120...드레인 체크 밸브 100...소화전 드레인
50...드레인 몸체 60...토사 역유입 방지벽
70...커플러 80...연결관

Claims (11)

  1. 소화전에 연통 된 드레인 체크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소화전 내에 채워진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단부가 개구된 드레인 몸체; 및
    상기 드레인 몸체 내에 결합 되어 상기 소화전 내부로 이물질이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 역유입 방지벽을 포함하는 소화전 드레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몸체는 파이프 형상을 갖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단에 결합 되며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에 연통 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에 결합 되며 개구가 형성된 제3 몸체부를 포함하는 소화전 드레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에 연결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상기 드레인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소화전 드레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단부는 상기 드레인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관은 엘보우 형상을 갖는 소화전 드레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상기 드레인 몸체 내에 복수개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 소화전 드레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 상기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의 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소화전 드레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소화전 드레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의 단부는 상기 이물질의 역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몸체의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꺾어진 소화전 드레인 장치.
  9. 상수도관과 연결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된 하부 소화전 및 상기 하부 소화전과 연결되며 지상에 배치된 상부 소화전을 포함하는 소화전 몸체;
    상기 하부 소화전에 연통 되며 지하에 배치되는 드레인 체크 밸브; 및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에 연통 되며 단부가 개구 되어 상기 소화전 몸체 내의 소방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몸체 및 상기 드레인 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 체크 밸브로 이물질이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 역유입 방지벽을 포함하는 소화전 드레인 장치를 포함하는 소화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은 상기 드레인 몸체 내에 복수개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각 토사 역유입 방지벽의 단부는 상호 중첩된 소화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 역유입 방지벽의 단부는 상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꺾어진 소화전.
KR1020120020781A 2012-02-29 2012-02-29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 KR101175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781A KR101175141B1 (ko) 2012-02-29 2012-02-29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781A KR101175141B1 (ko) 2012-02-29 2012-02-29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141B1 true KR101175141B1 (ko) 2012-08-20

Family

ID=4688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781A KR101175141B1 (ko) 2012-02-29 2012-02-29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21B1 (ko) * 2022-07-28 2023-05-10 주식회사 미성 옥내 소화전의 앵글밸브용 감압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497A (ja) 2002-09-26 2004-04-15 Nippon Dry Chem Co Ltd 消防自動車の冷却水循環システム
JP2006518816A (ja) 2003-02-08 2006-08-17 ドー スク カン 消火栓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497A (ja) 2002-09-26 2004-04-15 Nippon Dry Chem Co Ltd 消防自動車の冷却水循環システム
JP2006518816A (ja) 2003-02-08 2006-08-17 ドー スク カン 消火栓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21B1 (ko) * 2022-07-28 2023-05-10 주식회사 미성 옥내 소화전의 앵글밸브용 감압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1902A (ko) 지상 소화전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10083182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1175141B1 (ko) 소화전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갖는 소화전
US20070017576A1 (en) Inflatable sewage line backflow prevention devices
KR200396621Y1 (ko) 소화전용 소방호스 릴 장치의 드레인 밸브
KR101556955B1 (ko) 옥외 소화전
KR200296539Y1 (ko) 소화전
KR101613358B1 (ko) 부단수 누수방지대
US20050283890A1 (en)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KR20120101845A (ko) 삼방 볼 밸브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CN205742377U (zh) 室外消火栓泄水装置
KR102318589B1 (ko) 싱크홀 방지부가 형성된 부동전 구조
KR101282303B1 (ko) 교체 및 수리 용이한 상수도용 부동전
US20070028970A1 (en) Public water system protection apparatus
KR200316886Y1 (ko)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KR102368134B1 (ko) 제수밸브 및 체크밸브 일체형 사수방지 소화전 시스템
KR101223965B1 (ko) 맞춤형 소화전 제조방법
KR101223964B1 (ko) 맞춤형 소화전
JP2001073418A (ja)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KR101634486B1 (ko) 자동 퇴수밸브가 구비된 승강식 소화전
CN107119753B (zh) 防撞消火栓
CN210797733U (zh) 消防应急井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