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897B1 -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 Google Patents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897B1
KR101817897B1 KR1020170084675A KR20170084675A KR101817897B1 KR 101817897 B1 KR101817897 B1 KR 101817897B1 KR 1020170084675 A KR1020170084675 A KR 1020170084675A KR 20170084675 A KR20170084675 A KR 20170084675A KR 101817897 B1 KR101817897 B1 KR 101817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ver body
fluid
she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세혁
Original Assignee
(주) 동양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양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 동양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7008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인 홀과 드레인 호스를 구비함으로써, 커버체 내에 채워진 유체를 즉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커버체 제거와 배관 수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검사지를 포켓에 끼우는 구조로 만들어 변색된 검사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Cover for leakage prevention}
본 발명은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인 홀과 드레인 호스를 구비함으로써, 커버체 내에 채워진 유체를 즉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커버체 제거와 배관 수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검사지를 포켓에 끼우는 구조로 만들어 변색된 검사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장 또는 건물의 외벽면 등에 밀착 시공되어 유류, 스팀, 용수, 오폐수 등이 이송되도록 하는 각종 배관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라인은 일체로 사용되기도 하나 배관의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굵기가 다른 배관을 사용할 때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유체 수용부의 양단에 플랜지를 만들고 이를 볼트로 체결하는 플랜지 커플링과, 파이프 끝에 파이프용 나사를 파고, 엘보·T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배관내에 고온 고압의 유체가 흐르거나 오랜 기간 사용함으로써, 이음부가 느슨해지거나 고무 패킹이 마모되어 이음부로부터 유체가 새어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인해 건물 상단에 설치된 배관으로부터 새어 나온 유체가 작업자의 머리나 옷깃에 떨어져 작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유독물질의 경우 작업자의 신체에 손상을 주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관로가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이음부로부터 새어 나온 유체는 배관을 따라 흐름으로써 상기 흐르는 유체를 발견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유지보수가 늦어져 전면보수가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누수가 발생되는 부위를 찾아내기가 곤란하여 누설되는 상태를 그대로 방치하거나 누수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9108호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배관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11)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0)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에 감싸지고, 짧은변에 근접한 양단부에는 암/수로 이루어진 밸크로(27)가 장착되는 일정면적의 투시시트(20)와; 상기 투시시트(20)에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통해 누수된 유체의 접촉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23)와; 상기 투시시트(20)의 양측긴변에 난연성 엮음실(25)로 결합되는 난연시트(30)로 구성되고, 상기 난연시트(30)의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부(1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를 결속시키도록 하는 묶음로프(3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커버체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등록특허의 커버체(10)는 도 4b를 참조하면, 강산, 강염기와 같은 유체가 누수되어 커버체에 채워진 경우, 플랜지부(11)의 수리를 위해 커버체(10)를 분리, 제거할 때 커버체 내의 유체가 바닥에 쏟아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용기를 플랜지부 밑에 받치고 있는 동안 커버체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도 작업자가 유체에서 발생하는 유독 가스와의 접촉 가능성이 커서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검출부가 투시시트(20) 내면에는 형성된 검출부(23)가 산 페인트를 도포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검출부(23)가 한 번 유체에 접촉하여 변색이 되고 나면,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변색된 검출부(23)를 완전히 벗겨낸 다음, 다시 산 페인트 등을 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수직하게 입설된 배관에 설치된 커버체(10)는 아래 부분이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누수된 유체가 배관과 커버체 사이의 틈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등록특허의 커버체(10)를 이용하여 몸체(14)와, 핸들(15)로 이루어지는 밸브(13)에 설치하는 경우, 도 5c와 마찬가지로 커버체(10)를 횡방향으로 감싸도록 설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커버체(10)와 몸체(14)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흘러내리기 때문에 바닥에 유체가 떨어지고 유독 가스 발생하여 안전상 큰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910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을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배관을 유동하는 유체가 누수되었을 경우 누수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여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다수의 장비를 동원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쉽게 상기 플랜지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고온에 잘 견디고 내화학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유체의 누수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배관이나 파이프의 길이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플랜지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 홀과 드레인 호스를 구비함으로써, 커버체 내에 채워진 유체를 즉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커버체 제거와 배관 수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검사지를 포켓에 끼우는 구조로 만들어 변색된 검사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는 배관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 또는 배관 사이에 설치된 밸브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부 또는 밸브의 외부에 감싸지고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투시시트와; 상기 투시시트의 적어도 양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난연시트와; 상기 커버체에 누수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홀과; 상기 드레인 홀에 설치되어 누수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와; 상기 플랜지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를 결속시키도록 하는 묶음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있어서, 플랜지부 또는 밸브를 통해 누수된 유체의 접촉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출부는 상기 투시시트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상기 난연시트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포켓과, 상기 한 쌍의 포켓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검사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있어서, 배관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체가 상기 플랜지부 또는 밸브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 홀은 투시시트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있어서, 배관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체가 몸체(본넷)와, 핸들로 이루어진 밸브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커버체는 상기 몸체 및 상기 몸체와 핸들의 연결부위에 종방향으로 감싸지도록 설치되되 상기 난연시트에는 핸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있어서, 배관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체가 상기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경우, 누수된 유체가 하측에 배치된 배관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씰링부는 상기 플랜지부 하측 배관에 밀접하게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난연시트에 결합되는 유체 수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있어서, 드레인 홀은 상기 유체 수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있어서, 부착부는 접착제로 상기 플랜지부 하측 배관에 부착되고, 상기 유체 수용부는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에 의하면, 커버체에 드레인 홀과 드레인 호스를 구비함으로써, 커버체 내에 채워진 유체를 즉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커버체 제거와 배관 수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검사지를 포켓에 끼우는 구조로 만들어 변색된 검사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를 플랜지부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의 사진이며, 도 1d는 본 발명의 포켓과, 검사지가 형성된 커버체 사진이다.
도 2a는 도 1a와 다른 구조의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커버체 실물 사진이며, 도 2c는 도 2a의 커버체를 밸브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가 수직 배관에 설치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씰링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종래 플랜지 커버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 내지 도 4d는 종래 프랜지 커버체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를 플랜지부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의 사진이며, 도 1d는 본 발명의 포켓과, 검사지가 형성된 커버체 사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100)는 배관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11) 또는 배관(10) 사이에 설치된 밸브(13)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크게 투시시트(110)와, 난연시트(120)와, 드레인 홀(130)과, 드레인 호스(131)와, 묶음로프(126)를 포함한다.
상기 투시시트(110)는 배관(10)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11)의 외부를 감싸게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여야 하고, 고온에서도 잘 견디는 내열성과, 질산, 염산, 황산 등의 산 및 알칼리 등의 화학약품에 대한 내화학성을 지닌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시트(120)는 상기 투시시트(110)의 적어도 양측 테두리에 실로 봉제하여 결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연시트(120)는 상기 묶음로프(126)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양단이 투시시트(110)와 함께 봉제된다. 도 1a에 도시된 난연시트(120)는 투시시트(110)의 양쪽에 한 쌍이 배치되며, 각 투시시트(110)에는 플랜지부(11) 등을 감쌀 때 맞닿는 영역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밸크로 테이프(121)나, 스냅단추가 설치된다.
상기 투시시트(110)나 난연시트(120)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 (Perfluoroalkoxy) 등의 불소수지 또는 불소고무를 함유하거나, 적어도 불소수지 등으로 코팅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PVC(폴리염화비닐),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ECTFE(에틸렌 클로로 트리플루오로 에틸렌) 등 다른 수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묶음로프(126)는 플랜지부(11)의 양측에서 묶음결합 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묶음로프(1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겹쳐져 봉제된 각 난연시트(120) 내로 삽입되어 양측으로 인출된다.
상기 드레인 홀(130) 및 드레인 호스(131)는 플랜지부(11) 등에서 누수되어 커버체(100) 내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관(10)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체(100)가 상기 플랜지부(11)에 설치되는 경우, 커버체(100)의 양단은 플랜지부(11)의 상측으로 향하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 홀(130)은 투시시트(11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체(100)는 상기 플랜지부(11) 등을 통해 누수된 유체의 접촉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40)는 상기 투시시트(110)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상기 난연시트(120)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포켓(141)과, 상기 한 쌍의 포켓(141)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검사지(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검사지(142)는 누수된 유체(산, 염기 등)의 접촉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출원인이 취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9108호에서도 유체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검출부가 개시되어 있으나, 검출부가 투시시트의 내면에 내산 페인트 등을 칠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단 유체와의 접촉으로 변색이 되면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다시 검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커버체 전체를 분리한 다음 다시 페인트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검출부(140)를 상기 포켓(141)과 검사지(142)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변색된 검사지만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포켓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검사지(142)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시트(110) 상에 배치하되 드레인 홀(1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와 다른 구조의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커버체 실물 사진이며, 도 2c는 도 2a의 커버체를 밸브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의 실시예에서는 커버체(100)가 플랜지부(11)에 설치되는 것인 반면, 도 2a 내지 도 2c의 실시예에서는 커버체(100)가 밸브(13)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밸브(13)는 양측 배관(10)에 플랜지부(11)에 결합하는 몸체(본넷)(14)와, 상기 몸체(14)의 일측에 연결되는 핸들(15)로 이루어지는데, 몸체(14) 좌우 양측은 도 1에 도시된 플랜지부용 커버체(100)를 설치하고, 몸체(14)와 핸들(15)의 연결부위는 횡방향으로 감싸지도록 설치하였으나, 이 경우 커버체(100)의 하측이 완전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하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커버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시트(110)의 4면에 난연시트(120:120a,120b,120c,120d)가 마련되고, 상하측의 난연시트(120a, 120b)에는 각각 끼움홈부(123)가 형성되며, 끼움홈부(123) 테두리에는 묶음로프용 포켓(125)이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끼움홈부(123)는 핸들(15)의 회전축(15a)에 끼워져 서로 포개지며, 맞닿는 영역에는 밸크로 테이프(121a) 등으로 접합된다.
그리고 좌우측의 난연시트(120c, 120d)에 끼워진 묶음로프(126)는 몸체(14) 양측에서 결속되고, 상기 묶음로프용 포켓(125)에 끼워진 묶음로프(126)는 핸들(15)의 회전축(15a) 영역에서 결속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버체(100)는 상하측의 난연시트(120a, 120b)에 끼움홈부(123)를 형성함으로써, 핸들(15) 조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몸체(14)를 완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누수된 유체가 몸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고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설치된 커버체(100)의 하단 중앙에 상술한 드레인 홀(130)과, 드레인 호스(131)를 설치하게 되면 많은 양의 유체가 누수되더라도 커버체(100)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유체를 별도의 용기에 배출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가 수직 배관에 설치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씰링부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10)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커버체(100)가 플랜지부(11)에 설치되는 경우, 누수된 유체가 하측에 배치된 배관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씰링부(150)는 상기 플랜지부(11) 하측 배관(10a)에 밀접하게 부착되는 부착부(151)와, 상기 부착부(151)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난연시트(120)에 결합되는 유체 수용부(152)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레인 홀(130)은 상기 유체 수용부(152)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51)는 플랜지부(11) 하측 배관(10a)과 대응되는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접착제로 상기 플랜지부의 하측 배관(10a)에 부착된다.
상기 유체 수용부(152)는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이루어져 난연시트(120)의 하측에 밸크로 테이프(121b) 등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씰링부(150)는 탄성이 있고, 내약품성과 내열성이 있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151)와, 유체 수용부(152)는 일측이 수직하게 절개된 구조로 이루어고, 부착부(151)에 미리 접착제를 바른 다음 사용자가 상기 부착부(151)와, 유체 수용부(152)를 벌린 상태에서 배관(10a)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110 : 투시시트
120 : 난연시트 121 : 밸크로 테이프
123 : 끼움홈부 125 : 묶음로프용 포켓
126 : 묶음로프 130 : 드레인 홀
131 : 드레인 호스 140 : 검출부
141 : 포켓 142 : 검사지
150 : 씰링부 151 : 부착부
152 : 유체 수용부
10 : 배관 10a : 하측 배관
11 : 플랜지부 13 : 밸브
14 : 몸체 15 : 핸들
15a : 회전축

Claims (7)

  1. 배관을 상호연결하는 플랜지부 또는 배관 사이에 설치된 밸브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커버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또는 밸브의 외부에 감싸지고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투시시트와;
    상기 투시시트의 적어도 양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난연시트와;
    상기 커버체에 누수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홀과;
    상기 드레인 홀에 설치되어 누수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와;
    상기 플랜지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를 결속시키도록 하는 묶음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배관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체가 상기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경우, 누수된 유체가 하측에 배치된 배관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씰링부는, 상기 플랜지부 하측 배관에 밀접하게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난연시트에 결합되는 유체 수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또는 밸브를 통해 누수된 유체의 접촉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누수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출부는 상기 투시시트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상기 난연시트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포켓과, 상기 한 쌍의 포켓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검사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홀은 상기 유체 수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접착제로 상기 플랜지부 하측 배관에 부착되고, 상기 유체 수용부는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광하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KR1020170084675A 2017-07-04 2017-07-04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KR10181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75A KR101817897B1 (ko) 2017-07-04 2017-07-04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75A KR101817897B1 (ko) 2017-07-04 2017-07-04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897B1 true KR101817897B1 (ko) 2018-01-11

Family

ID=6100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75A KR101817897B1 (ko) 2017-07-04 2017-07-04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8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141Y1 (ko) * 2003-04-14 2003-10-17 하이텍산업(주) 비산방지용 안전커버체
KR100919108B1 (ko) * 2007-11-12 2009-09-28 설세혁 플랜지 커버체
KR101554172B1 (ko) * 2015-02-24 2015-09-21 (주)씨엠코리아 배관 유체누출 감지 및 외부로의 누출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141Y1 (ko) * 2003-04-14 2003-10-17 하이텍산업(주) 비산방지용 안전커버체
KR100919108B1 (ko) * 2007-11-12 2009-09-28 설세혁 플랜지 커버체
KR101554172B1 (ko) * 2015-02-24 2015-09-21 (주)씨엠코리아 배관 유체누출 감지 및 외부로의 누출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538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US4667505A (en) Split fittings and pipeline systems using same
US4216980A (en) Safety shield for flanged pipe coupling
US10900861B2 (en) Pipeline element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W200525109A (en)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vessels having colorimetrically verifiable leak-tightnes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40237632A1 (en) Pipe joint safety inspection device
US5461904A (en) Leak detection means and method
BR112014006602A2 (pt) aparelho e método para a vedação de um tubo incluindo meios de aperto interno e externo
KR101477238B1 (ko) 배관 유체누출 감지 및 외부로의 누출 방지장치
KR101817897B1 (ko)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KR101747656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0919108B1 (ko) 플랜지 커버체
KR20150000286U (ko) 하이드로 테스트시 파이프 플랜지의 리크 예방장치
JPH0516516Y2 (ko)
JPS60100027A (ja) 漏洩検出装置
JP2011053080A (ja) 漏洩検査器具
KR20180002239U (ko)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KR20200051329A (ko) 배관용 안전커버
KR102284820B1 (ko)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1980552B1 (ko) 리크 감지를 위한 개스킷
KR200330141Y1 (ko) 비산방지용 안전커버체
KR101352874B1 (ko) 클램프 하우징이 부착된 누수 탐지관
KR20190000615U (ko) 배관 이음부 커버체
CN220597049U (zh) 一种定液位自切断流体加注枪
KR102364462B1 (ko) 배관 유체 흐름 확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