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656B1 -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656B1
KR101747656B1 KR1020150099043A KR20150099043A KR101747656B1 KR 101747656 B1 KR101747656 B1 KR 101747656B1 KR 1020150099043 A KR1020150099043 A KR 1020150099043A KR 20150099043 A KR20150099043 A KR 20150099043A KR 101747656 B1 KR101747656 B1 KR 10174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leakage
harmful
facility
harmful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476A (ko
Inventor
송재훈
Original Assignee
송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훈 filed Critical 송재훈
Publication of KR2016000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6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and remaining closed after return of the normal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 G01M3/1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8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f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물질을 저장하거나 이송하거나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서 형성된 유해물질이 누출 가능한 이음부 또는 상기 이음부를 결합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를 통해 누출된 유해물질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내부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공간이 형성되거나,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의 상승된 압력에 의하여 유출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부의 어떠한 부분에서 유해물질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음영지역이 해소되고,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의 시스템으로 국지적인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유해물질 누출 감지시 알람부재가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차단부를 작동시켜 유해물질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하므로 작업자의 직접 점검에 따른 음영시간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LEAKAGE OF HARMFUL SUBSTANCE}
본 발명은 유해물질의 누출을 감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이나 탱크 또는 밸브의 이음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나 액체 등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배관 설비는 탱크에 저장된 가스나 액체 등의 유체를 대량으로 연속적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개개의 사용처로 수송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보통, 가스나 액체 등의 유체는 고압으로 수송되기 때문에 주로 배관이나 탱크 또는 밸브 등의 이음부에서 유체의 누출이 발생하기 쉽고, 유체는 대부분 무색 및 무취여서 누출되더라도 사전에 이를 감지하기 곤란하며, 유체가 유독한 유해물질인 경우에는 설비가 부식 및 오염되어 수명이 단축되고, 안전성에 커다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여기서, 유해물질이란 인체나 설비에 해로움이 있는 가스 또는 액체와 같은 물질을 의미한다. 즉, 사람, 동물, 자연환경 또는 장치와 같은 산업환경에 질병, 사망, 오염, 손상, 파괴, 오동작 및 금전적 손실 등의 피해를 줄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음부에서 유해물질의 누출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그에 대한 유해물질 차단 등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고, 이를 등한시 하는 경우에는 대형 사고의 발생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음부에서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소리나 냄새를 작업자의 오감에 의해 점검하거나 이음부 부근에 비눗물 등을 도포하여 유해물질이 누출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유해물질 누출 여부의 판단이 어렵고 부정확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a는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사진인데, 도 1a를 참고하면,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실내나 옥외로 누출된 유해물질을 감지하고, 이를 알람으로 통보하여 누출 사고의 상황을 시스템에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수많은 배관이나 탱크 또는 밸브의 이음부마다 감지센서를 대량으로 설치하는 경우 설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넓은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간격마다 감지센서를 띄엄 띄엄 설치하게 되므로 유해물질의 누출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고, 누출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특허문헌 1에는 테이프 및 패치형 연료용 가스누출 검지기가 개시되어 있는 바, 도 1b를 참고하면 테이프에 검지용 시약(P)이 사용되어 있고, 유해물질 누출시 유해물질이 테이프의 시약(P)과 반응하여 변색됨으로써 유해물질의 누출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음영지역이 존재하고, 이러한 음영지역은 점검없이 지나치는 경우가 많으며, 변색 여부를 작업자가 항상 직접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음영시간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4564호(2002.10.05.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음부의 어떠한 부분에서 유해물질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음영지역이 해소되고,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의 시스템으로 국지적인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시스템이 유해물질 누출을 감지하였을 때 누출 지역과 근거리에 있거나 시스템과 단일 장치로 형성된 알람부재가 소리나 빛 등에 의하여 누출 경고를 하게 되므로, 음영 지역과 음영 시간을 해소할 수 있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시스템이 유해물질 누출을 감지하였을 때 송신부가 원거리에 있는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소리 또는 빛을 발산하거나 누출 사고 및 누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업자에게 통보하거나, 차단부를 작동시켜 유해물질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작업자의 직접 점검에 따른 음영시간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필터 또는 중화제 부재를 구비하여 유해물질이 감지될 때까지의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알람부재를 통하여 유해물질의 누출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 또는 탱크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의 이음부가 밀폐되도록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를 통해 누출된 유해물질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내부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공간이 형성되거나,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의 상승된 압력에 의하여 유출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물질을 저장하거나 이송하거나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서 형성된 유해물질이 누출 가능한 이음부 또는 상기 이음부를 결합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음부를 통해 누출된 유해물질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내부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공간이 형성되거나,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의 상승된 압력에 의하여 유출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물질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유해물질 누출시 형태가 변형되어 유해물질의 누출을 알려주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유해물질을 저장하거나 이송하거나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서 형성된 유해물질이 누출 가능한 이음부 또는 상기 이음부를 결합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의 둘레를 따라 중공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부의 어떠한 부분에서 유해물질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음영지역이 해소되고,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의 시스템으로 국지적인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시스템이 유해물질 누출을 감지하였을 때 누출 지역과 근거리에 있거나 시스템과 단일 장치로 형성된 알람부재가 소리나 빛 등에 의하여 누출 경고를 하게 되므로, 음영 지역과 음영 시간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시스템이 유해물질 누출을 감지하였을 때 송신부가 원거리에 있는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소리 또는 빛을 발산하거나 누출 사고 및 누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업자에게 통보하거나, 차단부를 작동시켜 유해물질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작업자의 직접 점검에 따른 음영시간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필터 또는 중화제 부재를 구비하여 유해물질이 감지될 때까지의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알람부재를 통하여 유해물질의 누출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사진이다.
도 1b는 검지시약이 사용되어 있는 테이프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이 탱크에 적용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이 배관에 적용된 도면이다.
도 3(a), 도 3(b),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정면, 일면 및 타면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d)는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패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출공간을 도시한 일면의 개략도이며, 도 3(e)는 가이드부재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유출공간을 도시한 일면의 개략도이고, 도 3(f)는 가이드부재의 양단부가 서로 겹쳐져 형성된 틈새로 이루어진 유출공간을 도시한 평면의 개략도이며, 도 3(g)는 내측에 테이프나 패치가 부착된 봉지 형태의 감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h)는 유출공간에 유해물질과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이 도포되거나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 또는 패치 형태의 감지부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i)는 유출공간에 유해물질과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 형태의 감지부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정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구비된 가이드부재의 일측면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부재가 구비된 가이드부재의 평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부재가 구비된 가이드부재의 일측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구비한 가이드부재의 정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b)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9a 내지 도 9j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한 가이드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부재를 구비한 가이드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11(a)는 유출공간에 내부가 중공 형성된 튜브 등의 연장부재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일실시예로 연장부재에 알람부재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가이드부재와 감지부재의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감지부재에 유해물질의 유출공간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1)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1)은 배관, 탱크, 밸브, 또는 배관이나 탱크나 밸브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랜지, 소켓, 슬리브 등과 같이 유해물질을 저장하거나 이송하거나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 형성된 유해물질이 누출 가능한 이음부(J) 또는 이음부(J)를 결합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 형성된 이음부(J)와 같이 유해물질이 누출될 수 있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가스나 거품 또는 액체 등의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가이드부재(10) 및 유출공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가이드부재(10) 및 연장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에 감지부재(20), 알람부재(40), 제어부(미도시) 및 차단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는 배관 또는 탱크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의 이음부(J)가 밀폐되도록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유로(11)를 구비하며, 이음부(J)를 통해 누출된 유해물질이 곧바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유로(11) 상에서 그 흐름이 가이드되어 흐르게 된다. 즉, 가이드부재(10) 내측의 이음부(J)에서 유해물질이 누출된 주변은 유해물질 밀도가 높아지면서 가이드부재(10) 내측을 따라 상대적으로 내측 압력 또는 유해물질 밀도가 낮은 쪽으로 가이드부재(10)에 의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이음부(J)의 음영지역에서 유해물질이 누출되더라도 가이드부재(10)에 형성된 감지부재(20)를 광범위하게 변색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유해물질의 누출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출공간(30)을 사용하여 누출된 유해물질의 흐름을 특정 방향으로 만들어 주거나 원활히 해 줄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는 복수 개의 이음부(J)가 한 번에 밀폐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배관, 탱크 또는 밸브의 이음부(J)의 둘레는 보통 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가이드부재(10)는 이음부(J)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도록 구부러질 수 있는 합성수지나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비닐, 섬유, 금속, 테플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복합 화합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의 일단면은 도 3(a)와 같은 아치형뿐만 아니라 사각형이나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10)의 측면으로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0)는 비닐 등과 같이 그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재료를 사용할 경우 가이드부재(10) 단면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배관, 탱크 또는 밸브 등에 가이드부재(10)를 중공 형성 가능하게 그 형상을 변화시켜 결합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부재(10)가 밸브에 설치되는 경우 밸브 조정을 위하여 개방이 가능한 개방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0)가 밸브를 포함하여 폐쇄할 수 있고, 밸브의 조정이 필요시 개방이 가능한 개방구를 통하여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고하면 가이드부재(10)의 양측에는 결합부재(12)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결합부재(12)는 이음부(J)의 주변에 부착될 수 있다. 결합부재(12)는 접착제나 점착제나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2)는 가이드부재(1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길이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부재(10)와는 다른 재질이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결합부재(12)에는 고무, 탄성밴드, 끈, 플라스틱밴드, 섬유, 금속, 테플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도 9를 참고하면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에는 고정부재(14)가 형성되어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를 배관, 탱크 또는 밸브의 이음부(J) 주변에 밀착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14)에는 고무, 탄성밴드, 끈, 플라스틱밴드, 섬유, 금속, 테플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이음부(J)에서 유해물질 누출시 그 압력에 의해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가 이음부(J)로부터 사이가 벌어지고, 누출된 유해물질이 가이드부재(10) 외부로 유출되어 유해물질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고정부재(14)를 사용하여 유해물질의 누출 압력에 의하여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가 이음부(J)로부터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사이가 벌어지더라도 고정부재(14)의 고정력 또는 복원력에 의하여 이음부(J)로부터 사이가 벌어진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의 부착 또는 고정 상태가 복원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누출된 유해물질이 가이드부재(10)의 내부를 따라 흐르게 되어 유해물질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이러한 상황에서 누출된 유해물질이 유출공간(30)까지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4)는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로써 사용되거나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에 결합되어 구비되거나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4)는 도 9c, 도 9d 및 도 9e와 같이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에 사용될 수 있으며, 도 9c 및 도 9d는 고정부재(14)가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의 일측을 통해 탈착 가능한 것이며, 이에 더하여 도 9d와 도 9e는 고정부재(14)가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14)는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의 양단을 결속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일례를 들면 도 9f, 도 9g, 도 9h와 같으며,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의 양단부를 서로 맞물림 또는 겹치게 하여 고정부재(14)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의 양단의 결속을 위해 덮개(32) 또는 알람부재(40)가 활용될 수도 있는데, 일례로 고정부재(14)를 덮개(32) 또는 알람부재(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4)를 도 9i, 도 9j와 같이 가이드부재(10) 또는 결합부재(12)의 일부에만 사용하여 고정부재(14)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도 10의 (a)와 (b) 도면을 참고하면 이음부(J)의 주변에 부착부재(15)가 부착된 후 부착부재(15)에 결합부재(1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부착부재(15)는 내부에 삽입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부착부재(15) 상에 고정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재(15)에 가이드부재(10)의 결합 상태를 보완하기 위한 홀더가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일례로 도 10의 (c) 도면과 같이 부착부재(15)에 아치 형상의 홀더(A)가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가이드부재(10)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결합부재(12)를 이음부(J)의 주변에 부착하는 경우 접착제나 점착제나 테이프를 사용하면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분리 후 잔여물이 남게 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부수적인 작업이 필요한 바, 이음부(J)의 주변에 부착부재(15)를 부착한 다음, 결합부재(12)를 부착부재(15)의 내측으로 끼우거나 슬라이딩 삽입 결합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4)는 부착부재(15)로써 사용되거나 부착부재(15)에 형성되거나 결합되도록 구비되거나 별도로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어 부착부재(15)에 탈착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재(15)에는 실리콘, 고무, 탄성밴드, 끈, 플라스틱밴드, 섬유, 금속, 테플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합성수지 또는 접합력이 우수한 벨크로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음부(J)의 주변에 결합부재(12) 또는 부착부재(15)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밀착부재(미도시)가 결합부재(12) 또는 부착부재(15)에 결합 또는 부착됨으로써, 이음부(J) 주변의 부착 표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밀폐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밀착부재는 실리콘, 고무, 접착제, 밀폐 테이프, 구리스, 도료, 섬유, 합성수지, 유리, 테플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밀착부재는 결합부재(12) 또는 부착부재(15)에 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마련되거나 분리된 상태로 별도로 마련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10)들은 내부가 중공 형성된 튜브관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유해물질의 감지 및 알람을 위한 부재의 설치 갯수를 줄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의 내측에는 감지부재(20)가 형성될 수 있고, 감지부재(20)는 유해물질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이 도포되거나 포함된 형태이거나,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테이프나 패치에는 종이, 섬유, 합성수지 또는 복합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재(20)가 가이드부재(10)의 내측에 형성된 경우 외부의 먼지, 물이나 세제 등의 액체로부터 감지부재(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이음부(J)를 통해 유해물질이 누출될 경우 유해물질이 시약과 반응하여 변색되므로 유해물질의 누출이 감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재(20)는 유해물질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이 도포되거나 포함되거나, 이러한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 형태로서 가이드부재(10)나 이음부(J)에 부착됨 없이 가이드부재(10) 내측에 쉽게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유출공간(30)을 통하여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감지부재(2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합성수지나 탄성부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교체 가능한 감지부재(20)는 유해물질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을 칠하거나 혼합하거나 또는 도핑 사용된 섬유, 종이, 플라스틱, 비닐, 고무 또는 다양한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감지부재(20)가 가이드부재(10)의 내측에 도포되거나, 테이프나 패치 형태로 부착되는 경우 시약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여 시약의 교체가 필요하면 가이드부재(10) 전체를 분리하였다가 다시 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이와 같이 감지부재(20)를 가이드부재(10)와 별개로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면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여기서, 유해물질이 누출되어 시약과 반응하게 되면 시약은 유해물질이 누출되기 전과 다른 색으로 변하게 되고, 일례로 산과 알칼리의 산염기 농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리트머스 용지가 있다.
따라서, 이음부(J)에서 누출된 유해물질이 가이드부재(10)의 유로(11)를 따라 흐르게 되면서 유해물질이 지나간 부분에 위치한 감지부재(20)의 색깔이 곧 변하게 되며, 이로써 이음부(J)의 어떠한 부분에서 유해물질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이음부(J)의 부위에 시약만 도포하거나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만 부착했을 때보다 변색 범위가 넓어지므로 음영지역까지 커버하여 유해물질의 누출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가이드부재(10)는 전체 또는 일부가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감지부재(20)의 변색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하여 유해물질의 누출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가이드부재(10)는 내부식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유독한 유해물질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감지부재(20)는 유출공간(30)의 주변에 형성되고, 이음부(J)를 통해 유해물질이 누출될 경우 변색되어 유해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부재(10)의 전체를 따라 감지부재(20)를 형성하지 않고, 유출공간(30)의 주변에만 감지부재(20)를 형성함으로써, 시약 등 감지부재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교체가 용이해 진다. 이때, 가이드부재(10)의 내부를 관찰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가이드부재(10)의 재질을 투명 또는 반투명이 아니게 구성해도 된다. 또한, 감지부재(20)는 유해물질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이 유출공간(30)의 주변에 도포된 형태이거나,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 등의 형태로 유출공간(30)의 주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감지부재(20)는 내측에 시약이 도포된 형태이거나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 등이 부착된 봉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봉지에는 유해물질이 유출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거나 중화제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유출공간(30)은 가이드부재(10)에 1개 이상 형성되고, 이때 유출공간(30)은 가이드부재(10) 상에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홀 또는 작은 다공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d)와 같이 유출공간(30)은 가이드부재(10)의 적어도 일측에 패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e)와 같이 가이드부재(10)의 양단부 사이가 단절되어 유출공간(30)이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10)의 단부 사이에 유출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f)와 같이 유출공간(30)은 가이드부재(10)의 양단부가 서로 맞물림 또는 겹쳐지거나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10)의 단부끼리 서로 맞물림 또는 겹쳐짐으로써 형성된 틈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g)를 참고하면 유출공간(30)의 주변에 형성되는 감지부재(20)는 내측에 시약이 도포되거나 포함된 형태이거나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T) 등이 부착된 봉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봉지에는 유해물질이 유출될 수 있는 개구(O)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거나 중화제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개구(O)는 유출되는 유해물질에 의하여 봉지의 내측 압력이 높아지면 개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지의 내측 압력이 높아지면 개구되는 덮개가 상기 개구(O) 상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재(12), 부착부재(15) 또는 밀착부재(미도시)에 홀 또는 틈새 등의 형태로 유출공간(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공간(30)은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하여 가이드부재(10) 내측의 압력이 높아져서 개구되게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가이드부재(10), 결합부재(12), 부착부재(15) 또는 밀착부재(미도시) 및 배관, 탱크 또는 밸브와 같은 부착부 표면 중 어느 둘 이상 사이에 홀 또는 틈새 등의 형태로 유출공간(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공간(30)은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해 가이드부재(10) 내측의 압력이 높아져서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하여 가이드부재(10) 내측의 압력이 높아져서 가이드부재(10), 결합부재(12), 부착부재(15) 또는 밀착부재(미도시) 및 배관, 탱크 또는 밸브와 같은 부착부의 표면 중 어느 둘 이상 사이가 벌어져서 틈새의 형태로 유출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유출공간(30)의 주변에는 가이드부재(10)의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가이드부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덮개(32)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0)는 이음부(J)의 주변에 밀착되어 내부가 밀폐되도록 결합되므로 이음부(J)로부터 유해물질이 가이드부재(10)의 내부로 누출됨에 따라 가이드부재(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때, 유출공간(30)은 이음부(J)로부터 유해물질의 누출에 따른 가이드부재(10)의 상승된 내부 압력을 감소시켜 유해물질의 내부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유체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되므로, 이음부(J)에서 누출된 유해물질이 압력이 낮은 유출공간(30) 쪽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여 유해물질이 지나간 부분에 위치한 감지부재(20)의 색깔이 곧 변하게 되며, 이로써 이음부(J)의 어떠한 부분에서 유해물질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이음부(J)에 시약만 도포하거나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만 부착했을 때보다 변색 범위가 넓어지므로 음영지역까지 커버하여 유해물질의 누출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유출공간(30)은 가이드부재(10)의 내측에서 누출된 유해물질이 특정한 위치에서 누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유해물질의 누출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음영지역이 해소되고,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의 시스템으로 국지적인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재(20)가 가이드부재(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배관이나 탱크 또는 밸브의 이음부(J)의 둘레를 따라 감지부재(20)가 형성되고, 감지부재(20) 상에 이음부(J)가 밀폐되도록 가이드부재(1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0)의 하측에 감지부재(20)가 있게 된다.
더불어, 가이드부재(10)의 양측에는 결합부재(12)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결합부재(12)는 감지부재(20)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재(20)는 유해물질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이 도포되거나 포함된 형태이거나,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 등의 형태로서 부착될 수 있고, 이로써 이음부(J)를 통해 유해물질이 누출될 경우 유해물질이 시약과 반응하여 변색되므로 유해물질의 누출이 감지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부재(10)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감지부재(20)의 변색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인지하여 유해물질의 누출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 5(a)를 참고하면 유출공간(30)의 부위에는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31)가 설치됨으로써, 감지부재(20)를 통하여 유해물질이 감지될 때까지의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유출공간(30)의 부위에는 유해물질을 중화시키는 중화제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유출공간(30)의 부위에는 덮개(3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덮개(32)는 평상시에는 유출공간(30)을 폐쇄하여 유해물질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다가, 이음부(J)로부터 유해물질의 누출이 증가되어 가이드부재(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하여 자동 개방되고, 유출공간(30)을 통하여 가이드부재(10)의 상승된 내부 압력이 감소되어 유해물질의 내부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덮개(32)는 유출공간(30)을 폐쇄하며 덮개(32) 상에 가이드부재(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하여 자동 개방되는 천공 구조 또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터(31)와 덮개(32)는 함께 또는 별개의 형태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0) 내측 또는 유출공간(30)의 주변에는 누출감지센서 또는 누출감지센서를 구비한 알람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유출공간(30)의 주변에는 유해물질 누출을 알려주는 알람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를 들면, 유해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누출감지센서를 구비한 알람부재(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알람부재(40)는 소리나 빛을 통하여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누출감지센서는 가이드부재(10)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알람부재(40)는 유해물질의 유출시 형상이 변하여 육안으로 유해물질의 누출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알람부재(40)는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해 부풀어 확장되도록 형상이 변하는 재질과 봉지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육안으로 유해물질의 누출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봉지에는 유해물질이 유출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람부재(4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유해물질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이 도포되거나 포함된 형태이거나,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봉지 형태의 알람부재(40)에 알람을 위하여 특정한 색상, 문자, 기호, 문양 또는 그림 등을 사용하여 알람부재(40)가 부풀어 확장될 때 색상 또는 문자 등이 더욱 잘 보이게 되거나, 그 모양이 변형되어 유해물질의 누출 상태를 육안으로 더욱 쉽게 확인케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7을 참고하면 알람부재(40)는 유출공간(30)을 통하여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경우 그 압력에 의하여 접혀 있던 연장부(41)가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그 변형된 형태에 의해 유해물질이 유출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더하여 연장부(41)는 알람을 위하여 특정한 색상, 문자, 기호, 문양 또는 그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붉은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시약보다 유효기간이 길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 5(b)를 참고하면 알람부재(40)는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42)를 구비하여, 누출감지센서에 의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시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소리를 나게 하거나 빛을 발산하게 하거나 또는 누출사고나 사고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업자에게 통보하거나, 차단부를 작동시켜 가스나 액체 등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 유해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유해물질이 누출된 지점에 대하여 유지 보수를 끝낸 후에 다시 가스나 액체 등을 수송되도록 하여 설비를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의 직접 점검에 따른 음영시간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알람부재(40) 또는 연장부(4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가 가이드부재(10) 또는 알람부재(40) 또는 연장부(41)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시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소리를 나게 하거나 빛을 발산하게 하거나 또는 누출사고나 사고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업자에게 통보하거나, 차단부를 작동시켜 가스나 액체 등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 유해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출공간(30)의 부위에만 유해물질의 누출을 검사하기 위한 감지부재(20) 또는 알람부재(40)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유해물질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을 사용한 감지부재(20)의 색 변화를 가이드부재(10)의 외부에서 관찰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가이드부재(10)의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이 아니어도 된다.
더불어, 가이드부재(10)와 감지부재(20)의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누출된 유해물질이 감지부재(20) 상측을 더욱 원활하고 쉽게 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누출된 유해물질이 가이드부재(10)에 의해 그 흐름이 가이드 되면서 감지부재(20)의 외측을 더욱 빠르게 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가이드부재(10) 외측에서 유해물질 누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간을 앞당기고 보다 신속하게 사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도 12(a) 내지 도 12(d)와 같이 가이드부재(10)와 감지부재(20)의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와 감지부재(20)의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중공을 형성하거나 중공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부재(10)와 감지부재(20)의 사이에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 도 12(c) 및 도 12(d)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가이드부재(1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누출된 가스 또는 거품 또는 액체 형태의 유해물질이 가이드부재(10)와 감지부재(20)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로 쉽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감지부재(20)에 유해물질 유출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유출공간(30)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공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누출된 유해물질이 가이드부재(10)와 감지부재(20)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로 쉽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재(10)와 감지부재(20)의 사이에 구멍이나 틈과 같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 결합부재(12), 부착부재(15), 고정부재(14) 또는 밀착부재(미도시)는 내부식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위한 코팅이 사용될 수 있고, 이로써 유독한 유해물질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 결합부재(12), 부착부재(15), 고정부재(14) 또는 밀착부재(미도시)는 고온에 대한 내열성 또는 자외선에 저항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위한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공간(30)에 내부가 중공 형성된 튜브 등으로 이루어진 연장부재(33)가 연결될 수 있고, 연장부재(33)는 유연하거나 투명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출공간(30) 부위에 연장부재(33)를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33)는 가이드부재(10)와 거리가 떨어진 감지부재(20), 누출감지센서(미도시) 또는 알람부재(40) 장치나 시스템과 연결되어 유해물질의 누출을 감지하거나 유해물질의 누출을 경고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연장부재(33)는 필터나 중화제부재가 구비된 부재나 장치, 시스템과 연결되거나 누출된 유해물질을 처리 또는 폐기하는 장소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1)은 이음부의 어떠한 부분에서 유해물질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음영지역이 해소되고,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의 시스템으로 국지적인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시스템이 유해물질 누출을 감지하였을 때 누출 지역과 근거리에 있거나 시스템과 단일 장치로 형성된 알람부재가 소리나 빛 등에 의하여 누출 경고를 하게 되므로, 음영 지역과 음영 시간을 해소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시스템이 유해물질 누출을 감지하였을 때 송신부가 원거리에 있는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소리 또는 빛을 발산하거나 누출 사고 및 누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업자에게 통보하거나, 차단부를 작동시켜 유해물질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작업자의 직접 점검에 따른 음영시간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필터 또는 중화제 부재를 구비하여 유해물질이 감지될 때까지의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알람부재를 통하여 유해물질의 누출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0. 가이드부재
11. 유로 12. 결합부재
14. 고정부재 15. 부착부재
20. 감지부재 30. 유출공간
31. 필터 32. 덮개
33. 연장부재 40. 알람부재
41. 연장부 42. 송신부
50. 지지부 A. 홀더
J. 이음부 P. 시약
H. 유해물질 T. 테이프나 패치
0. 개구

Claims (33)

  1. 배관 또는 탱크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의 이음부가 밀폐되도록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를 통해 누출된 유해물질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내부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공간이 형성되거나,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의 상승된 압력에 의하여 유출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가 밸브에 설치되는 경우, 밸브의 조정을 위하여 개방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 유해물질을 저장하거나 이송하거나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서 형성된 유해물질이 누출 가능한 이음부 또는 상기 이음부를 결합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음부를 통해 누출된 유해물질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내부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공간이 형성되거나, 누출된 유해물질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의 상승된 압력에 의하여 유출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가 밸브에 설치되는 경우, 밸브의 조정을 위하여 개방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체 또는 일부가 내부가 보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체 또는 일부가 내부식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은 상기 가이드부재 상에 형성된 홀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패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가 단절되어 상기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의 단부가 단절되어 상기 단부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가 서로 맞물림 또는 겹쳐지면서 틈새가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의 단부가 서로 맞물림 또는 겹쳐지면서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의 주변에는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거나 유해물질을 중화시키는 중화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의 주변에는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이음부를 통해 누출되는 유해물질을 감지하는 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유해물질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이 도포되거나 포함된 형태이거나, 상기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 또는 패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봉지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봉지의 내측에는 유해물질에 반응하여 변색되는 시약이 도포되거나 포함되어 있거나, 상기 시약이 사용된 테이프나 패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봉지의 내측에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거나 중화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이음부를 통한 유해물질의 누출을 알려주는 알람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재는 누출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재는 상기 이음부로부터 누출된 유해물질이 상기 유출공간을 통하여 유출시 형태가 변하여 유해물질의 누출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재는 유해물질의 압력에 의하여 접혀 있던 연장부가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알람을 위하여 색상, 문자, 기호, 문양, 그림이 단독 또는 복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유해물질의 누출시 상기 알람부재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상기 알람부재 또는 가이드부재 또는 유출공간 주변에 설치되어 있거나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작업자에게 유해물질 누출을 알릴 수 있는 제어부 또는 차단부를 작동시켜 유해물질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재는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여, 유해물질의 누출 감지시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유해물질이 누출될 수 있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 결합되어 있거나, 상기 고정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0. 제 18항에 있어서,
    유해물질이 누출 가능한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 상기 결합부재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밀착부재가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1. 제 18항에 있어서,
    유해물질이 누출 가능한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 부착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부착부재에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유해물질이 누출 가능한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 상기 부착부재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밀착부재가 상기 부착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 결합되어 있거나, 상기 고정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홀더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재의 사이를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6. 삭제
  2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 상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의 부위에 상기 유출공간을 연장하는 내부가 중공 형성된 연장부재가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유출공간의 부위에 상기 연장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29. 유해물질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유해물질 누출시 형태가 변형되어 유해물질의 누출을 알려주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유해물질을 저장하거나 이송하거나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에서 형성된 유해물질이 누출 가능한 이음부 또는 상기 이음부를 결합하는 장치 또는 시설 또는 설비 또는 시스템의 둘레를 따라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가 밸브에 설치되는 경우, 밸브의 조정을 위하여 개방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유해물질의 압력에 의하여 접혀 있다가 펼쳐지거나 부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색상, 문자, 기호, 문양, 그림이 단독 또는 복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32. 제 29항에 있어서,
    유해물질의 누출시 상기 연장부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상기 가이드부재 또는 연장부에 설치되어 있거나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작업자에게 유해물질 누출을 알리기 위한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3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간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덮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20150099043A 2014-07-14 2015-07-13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747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329 2014-07-14
KR20140088329 2014-07-14
KR1020140097276 2014-07-30
KR20140097276 2014-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476A KR20160008476A (ko) 2016-01-22
KR101747656B1 true KR101747656B1 (ko) 2017-06-15

Family

ID=5530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043A KR101747656B1 (ko) 2014-07-14 2015-07-13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32B1 (ko) * 2018-11-27 2020-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트머스 시험지를 이용한 산성용액의 누출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385B1 (ko) * 2020-06-19 2022-06-28 한국전력공사 누설 탐지 장치
CN114688013B (zh) * 2022-06-05 2022-08-19 青州市春晖科技发展有限公司 提高泥浆泵运行部件监测装置及其检测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656B2 (ja) * 1997-06-27 2001-05-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自走台車のレベル保持機構
JP3176434B2 (ja) * 1991-07-18 2001-06-18 イー・シー・ベー・テー・ロアンヌ 移動する糸の熱処理装置
JP2004309379A (ja) * 2003-04-09 2004-11-04 Toshiba Corp 気体漏洩検出装置
CN202547885U (zh) * 2012-05-11 2012-11-21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流体介质密封泄漏检测装置
KR101377718B1 (ko) * 2013-11-12 2014-03-24 윤중호 가스 누출 검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564B1 (ko) 1999-12-24 2002-10-05 주식회사 엔바이온 테이프 및 패치형 연료용 가스누출 검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434B2 (ja) * 1991-07-18 2001-06-18 イー・シー・ベー・テー・ロアンヌ 移動する糸の熱処理装置
JP3162656B2 (ja) * 1997-06-27 2001-05-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自走台車のレベル保持機構
JP2004309379A (ja) * 2003-04-09 2004-11-04 Toshiba Corp 気体漏洩検出装置
CN202547885U (zh) * 2012-05-11 2012-11-21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流体介质密封泄漏检测装置
KR101377718B1 (ko) * 2013-11-12 2014-03-24 윤중호 가스 누출 검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32B1 (ko) * 2018-11-27 2020-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트머스 시험지를 이용한 산성용액의 누출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476A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538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747656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US4216980A (en) Safety shield for flanged pipe coupling
CA2647095C (en) Inflatable fluid conduit plug
KR101944804B1 (ko)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ATE508354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überwachung von interstitiellen bereichen in kraftstofflagereinrichtungen und pipelines
KR101495784B1 (ko) 가스 배관의 가스 누출감지 및 포집장치
WO2012168736A1 (en) Leak detection apparatus and plug for use with leak detection apparatus
KR20180096555A (ko) 유해화학물질 파이프 라인의 유체 누설 여부 실시간 점검 시스템
US7004510B2 (en) Tubing containment system
JP4037838B2 (ja) 漏油警報機能付きタンク更生方法及び漏油警報機能付き更生タンク
US4106428A (en) Safety shield for flange type coupling
JP2004251657A (ja) 配管等からの流体の漏洩個所検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インジケータ
US65646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testing water resistant and watertight risers and lids
US11604179B2 (en) Gas sensor testing system and method
KR20180065230A (ko) 벌룬셔터 및 그를 포함하는 원격 배관설비 관리 시스템
WO2017010786A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JP2011053080A (ja) 漏洩検査器具
JP2016212072A (ja) 漏えい検知機能を具備した簡易組立式配管系カバー
KR101944887B1 (ko) 가연성 유체 기밀방지구조 및 누설용 탐지장치가 내설된 볼밸브
KR20130003346U (ko)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KR20200051329A (ko) 배관용 안전커버
US9188467B1 (en) Visual sight flexible gas flow indicator
WO2015188217A1 (en) Fluid collection and detection system
CN203414242U (zh) 气密性试验负压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