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346U -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346U
KR20130003346U KR2020130003851U KR20130003851U KR20130003346U KR 20130003346 U KR20130003346 U KR 20130003346U KR 2020130003851 U KR2020130003851 U KR 2020130003851U KR 20130003851 U KR20130003851 U KR 20130003851U KR 20130003346 U KR20130003346 U KR 201300033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stewater
inner pipe
leak
ou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플랜트
Priority to KR2020130003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346U/ko
Publication of KR20130003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독성을 갖는 폐수와 염산, 질산, 불산 등의 각종 화학물질이 수송 또는 공정간 이동되는 과정에서 누출이 되더라도 외부로 추가 확산 됨이 없이 차단되도록 하는 한편, 누출된 상태를 감지 센서뿐만 아니라, 육안으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내산성과,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내측 파이프(21)와, 상기 내측 파이프(21)의 외측 둘레에 일정 간격 이격 된 상태로 배치 구성되는 외측 파이프(22) 및 상기 내측 파이프(21)와 외측 파이프(22)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내측 파이프(21)와 외측 파이프(22) 사이에 길이 방향의 수용공간(23)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24)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 파이프(22)는 내측 파이프(21)의 내부에서 수송 및 이송되는 폐수 및 화학물질이 누수가 되어 수용 공간(23)에 고일 때 그 누수 여부를 파이프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Visual identification check for leaks in the to facilitate wastewater and chemical transport and transer pipe}
본 고안은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유독성을 갖는 폐수와 염산, 질산, 불산 등의 각종 화학물질이 수송 또는 공정간 이동되는 과정에서 누출이 되더라도 외부로 추가 확산 됨이 없이 차단되도록 하는 한편, 누출된 상태를 감지 센서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현장에 사용 후 최종 폐기물 처리하여야 하는 산업폐수와, 반도체 장비 및 제품의 청소와 부자재로 사용되는 염산, 질산, 불산 등의 각종 화학물질은 매우 강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 누출될 경우 인체는 물론, 식물과 토양 등의 자연환경까지 오염을 시키기 때문에 수송이나 공정간 이동과정에서 특히 기밀성이 요구되는 물질들이다.
인지하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유독성 물질이 누출될 경우 인체는 물론, 동·식물과 자연환경을 오염시켜 막대한 손해가 발생 되고 있음을 각종 매스컴을 통해 수시로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최근에는 불산, 염산, 질산 등 각종 유독성 화학물질이 작업자의 실수와, 기밀성을 보장할 수 없는 배관구조로 인해 누출되는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배관구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겹으로 된 파이프(10) 간 플랜지(11) 이음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라 패킹(12) 부분이 마모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처음에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미세 누출이 발생 되다가 얼마 후 누출량이 증가하여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실수가 되었던, 배관구조가 문제가 되었건 누출되는 것을 감지센서와 작업자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누출이 되더라도 일선에서 곧바로 차단되어 신속히 후속조치를 해줄 수 있도록 하는 배관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 한 것으로 배관 파이프가 이중구조가 되도록 하여 내측 파이프는 산과 부식에 대한 강성과 내구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외측 파이프는 내측 파이프와 일정거리 이격 된 상태로 설치되되, 육안식별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폐수 및 화학 물질이 내측 파이프에서 누출되더라도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 사이에 고여지게 함으로써 외부 확산 누출을 차단함은 물론, 누출된 상태를 작업자가 외측 파이프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20)는,
내산성과,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내측 파이프(21)와, 상기 내측 파이프(21)의 외측 둘레에 일정 간격 이격 된 상태로 배치 구성되는 외측 파이프(22) 및 상기 내측 파이프(21)와 외측 파이프(22)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내측 파이프(21)와 외측 파이프(22) 사이에 길이 방향의 수용공간(23)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24)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 파이프(22)는 내측 파이프(21)의 내부에서 수송 및 이송되는 폐수 및 화학물질이 누수가 되어 수용 공간(23)에 고일 때 그 누수 여부를 파이프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파이프(22)의 일측에는 내측 파이프(21)로부터 누수가 되어 수용공간(23)에 폐수 및 화학물질이 고이는 것을 외부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누수 감지용 센서(30) 및 그 센서(30)와 연동하는 경고음 또는 경고등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알림 수단(4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파이프(22)의 양 끝단에는 파이프 간 이음이 용이하도록 플랜지(2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는 폐수 및 화학 물질이 수송 및 공정간 이송되는 과정에서 내측 파이프로부터 누수가 된다고 하더라도 외부로 새지 않고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 사이의 수용공간에 고이게 되어 안전사고를 1차 차단할 수 있으며, 외측 파이프가 투명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누수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어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 폐수 및 화학물질이 수용공간에 고일 때 경고음 또는 경고등이 켜지게 되어 누수가 발생 되더라도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이음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이음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연결상태 예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20)은 도 2 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산성과,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내측 파이프(21)와, 상기 내측 파이프(21)의 외측 둘레에 일정 간격 이격 된 상태로 배치 구성되는 외측 파이프(22) 및 상기 내측 파이프(21)와 외측 파이프(22)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내측 파이프(21)와 외측 파이프(22) 사이에 길이 방향의 수용공간(23)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24)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 파이프(22)는 내측 파이프(21)의 내부에서 수송 및 이송되는 폐수 및 화학물질이 누수가 되어 수용공간(23)에 고일 때 그 누수 여부를 파이프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투명하게 형성시킨 것이 본원 고안의 핵심이다.
따라서, 내측 파이프(21)를 통해 폐수 및 화학물질이 누수가 된다고 하더라도 수용공간에 고이게 되기 때문에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육안으로 누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파이프(22)의 일측에는 내측 파이프(21)로부터 누수가 되어 수용공간(23)에 폐수 및 화학물질이 고이는 것을 외부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누수 감지용 센서(30) 및 그 센서(30)와 연동하는 경고음 또는 경고등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알림 수단(40)이 구성된다.
작업자의 육안으로 누수 여부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지만, 폐수와 화학물질이 갖는 위험성을 고려할 때 몇 단계의 안전장치가 필요한바, 누수 감지용 센서(30)와 알림수단(40)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누수가 발생 되면, 센서(30)가 작동을 함과 동시에 알림 수단이 경고음과 경고등을 동시에 표시하여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고안의 파이프(20)를 다수 개 직렬 연결이 용이하도록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파이프(22)의 양 끝단에는 플랜지(2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플랜지 이음 과정에서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플랜지 사이에는 패킹(26)을 고정시키되, 그 패킹 역시 파이프와 마찬가지로 내식성, 내산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원 고안의 핵심은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를 이중으로 구성시키되, 외측 파이프는 투명하게 형성시켜 누수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조치로서 센서 및 알림 수단이 추가 구성되었으나, 정전으로 인한 센서 및 알림 수단이 작동을 하지 않는 순간에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누수로 인한 안전사고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10:종래파이프 11:플랜지
12:패킹 20:파이프
21:내측 파이프 22:외측 파이프
23:수용공간 24:리브
25:플랜지 26:패킹
30:센서 40:알림수단

Claims (3)

  1.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에 있어서,
    내산성과,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내측 파이프(21)와, 상기 내측 파이프(21)의 외측 둘레에 일정 간격 이격 된 상태로 배치 구성되는 외측 파이프(22) 및 상기 내측 파이프(21)와 외측 파이프(22)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내측 파이프(21)와 외측 파이프(22) 사이에 길이 방향의 수용공간(23)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24)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 파이프(22)는 내측 파이프(21)의 내부에서 수송 및 이송되는 폐수 및 화학물질이 누수가 되어 수용 공간(23)에 고일 때 그 누수 여부를 파이프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22)의 일측에는 내측 파이프(21)로부터 누수가 되어 수용공간(23)에 폐수 및 화학물질이 고이는 것을 외부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누수 감지용 센서(30) 및 그 센서(30)와 연동하는 경고음 또는 경고등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알림 수단(4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22)의 양 끝단에는 파이프 간 이음이 용이하도록 플랜지(2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KR2020130003851U 2013-05-16 2013-05-16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KR201300033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51U KR20130003346U (ko) 2013-05-16 2013-05-16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51U KR20130003346U (ko) 2013-05-16 2013-05-16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46U true KR20130003346U (ko) 2013-06-05

Family

ID=5242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851U KR20130003346U (ko) 2013-05-16 2013-05-16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34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3092A (zh) * 2018-11-26 2019-02-22 龙在云 一种具有自动漏点检测提示功能的管材结构
KR102143578B1 (ko) 2020-05-25 2020-08-13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 배관의 센터링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3092A (zh) * 2018-11-26 2019-02-22 龙在云 一种具有自动漏点检测提示功能的管材结构
KR102143578B1 (ko) 2020-05-25 2020-08-13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 배관의 센터링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6980A (en) Safety shield for flanged pipe coupling
BR112018015861A2 (pt) sistema de monitoramento de estado de mangueira marítima
KR20130003346U (ko) 누출 여부에 대한 육안 식별 확인이 용이한 폐수 및 화학물질 수송 및 이송용 파이프
KR200474712Y1 (ko) 유체 이송관의 파손에 따른 유체 유출 대응 기구
US7004510B2 (en) Tubing containment system
KR101553573B1 (ko) 가스 누출 차단 장비
JP6280523B2 (ja) 二重配管構造
KR20150000286U (ko) 하이드로 테스트시 파이프 플랜지의 리크 예방장치
KR101578471B1 (ko) 파손/누수 감지용 이중 관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손/누수 추적 시스템
KR20160008476A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JP2011053080A (ja) 漏洩検査器具
JP3183085U (ja) 二重配管構造
KR102228311B1 (ko)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CN209960231U (zh) 密封管路的密封状态监测系统
JP2016020729A (ja) 配管継手カバー,配管継手カバーの取付方法,及び配管継手部の流体飛散防止装置
KR20160027769A (ko) 누수 검출용 플랜지
KR200486079Y1 (ko) 오일 레벨 게이지용 커버
CN203907099U (zh) 阀门泄漏保护套
KR102284820B1 (ko)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CN103399565A (zh) 化工厂及周边环境防控系统
CN111947035A (zh) 密封管路的密封状态监测方法及系统
US20160186913A1 (en) Water hose covering assembly
JP6237560B2 (ja) 配管継手カバー,配管継手カバーの取付方法,及び配管継手部の流体飛散防止装置
US9903521B2 (en) Upstream pipe plug
CN203757256U (zh) 一种三通结构保护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