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15U - 배관 이음부 커버체 - Google Patents

배관 이음부 커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15U
KR20190000615U KR2020170004611U KR20170004611U KR20190000615U KR 20190000615 U KR20190000615 U KR 20190000615U KR 2020170004611 U KR2020170004611 U KR 2020170004611U KR 20170004611 U KR20170004611 U KR 20170004611U KR 20190000615 U KR20190000615 U KR 201900006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joint
cen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자
Original Assignee
김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자 filed Critical 김춘자
Priority to KR2020170004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615U/ko
Publication of KR20190000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이음부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 끝단에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하여 중앙 결합부가 장착되는 중앙 커버; 상기 중앙 커버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외 측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커버; 및 상기 경사 커버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을 연결하는 플랜지와 플랜지 또는 배관과 배관의 이음부를 보호하고, 상기 이음부의 유체 누설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 의한 이음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 이음부 커버체{Pipe joint cover}
본 고안은 배관 이음부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을 연결하는 플랜지와 플랜지 또는 배관과 배관의 이음부를 보호하고, 상기 이음부의 유체 누설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배관 이음부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장 또는 건물의 외벽면 등에는 유류, 스팀, 용수, 오폐수 등을 이송할 수 있도록 각종 배관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배관라인은 일체로 사용되기도 하나 배관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또는 굵기가 다른 배관을 사용할 때,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결합부의 양단에 플랜지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는 볼트로 체결하는 플랜지 커플링과, 파이프 끝에 파이프용 나사를 파고, 엘보·T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배관 내에 고온 고압의 유체가 흐르거나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상기 배관의 이음부가 느슨해지거나 고무 패킹의 마모 되어 상기 이음부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건물 상단에 배관이 설치된 경우에는 누설된 유체가 작업자의 머리나 옷에 떨어져 작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유독물질의 경우 작업자의 신체에 손상을 주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로가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이음부로부터 새어 나온 유체는 배관을 따라 흐름으로써 상기 흐르는 유체를 발견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유지보수가 늦어져 전면보수가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누수가 발생되는 부위를 찾아내기가 곤란하여 누설되는 상태를 그대로 방치하거나 누수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43013호(2017.04.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3386호(2003.11.06)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배관을 연결하는 플랜지와 플랜지 또는 배관과 배관의 이음부를 보호하고, 상기 이음부의 유체 누설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배관 이음부 커버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앙 커버에 장착되는 중앙 결합부와 마감 커버에 장착되는 고정끈을 통해 배관 이음부 커버체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배관 이음부 커버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이음부 커버체는 양측 끝단에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하여 중앙 결합부가 장착되는 중앙 커버; 상기 중앙 커버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외 측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커버; 및 상기 경사 커버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커버와 경사 커버 및 마감 커버는 전체 또는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커버는 중앙에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의 양측에는 고정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 커버는 둘레를 따라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고정끈 또는 고무밴드가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을 연결하는 플랜지와 플랜지 또는 배관과 배관의 이음부를 보호하고, 상기 이음부의 유체 누설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 의한 이음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 커버에 장착되는 중앙 결합부와 마감 커버에 장착되는 고정끈을 통해 배관 이음부 커버체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관 이음부 커버체의 위치가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부 커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부 커버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부 커버체를 나타낸 개방된 저면 사시도.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부 커버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부 커버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부 커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부 커버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부 커버체를 나타낸 개방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부 커버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고안인 배관 이음부 커버체(100)는 중앙 커버(200), 경사 커버(300), 마감 커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 이음부 커버체(100)를 구성하는 중앙 커버(200)와 경사 커버(300) 및 마감 커버(400)는 전체 또는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배관 이음부 커버체(100)는 중앙 커버(200)의 일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중앙 커버(200)는 배관(10)을 상호 연결하는 플랜지 또는 연결 부재가 장착되는 이음부(20)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커버(200)는 중앙에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220)의 양측에는 고정 결합부(240)가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벨크로, 똑딱이, 자석, 밴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중앙 결합부(26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부(220)와 고정 결합부(240)는 재봉틀로 고정되고 중앙 결합부(260)는 벨크로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중앙 커버(200)는 투명부(220)의 양측에 고정 결합부(240)를 재봉틀을 통해 고정하고, 상기 고정 결합부(240)의 양측에 벨크로(260)를 장착하여, 배관(10)의 이음부(20)에 고정 또는 분리된다.
또한, 상기 투명부(220)는 화학약품에 견디는 내구력이나 전기절연성이 높고, 표면의 마찰계수가 기존물질로서는 가장 낮고 고온에도 안정된 불연성을 가지는 PFA 필름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 결합부(240)는 유리 천의 외면에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거의 완벽한 화학적 비활성 및 내열성, 비점착성, 우수한 절연 안정성, 낮은 마찰계수 등의 특성들을 가지는 테프론이 코팅된다.
또한, 상기 투명부(220)의 내면 둘레에는 도시된 도 4와 같이 유체의 누실시 육안으로 유체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리트머스 등과 같은 점검용지(280)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점검용지(280)는 투명한 유체의 누설시 점검용지(280)의 색상변화를 통해 유체의 누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상기 경사 커버(300)는 중앙 커버(200)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외 측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 커버(300)는 배관(10) 및 이음부(20)를 보호하면서 상기 배관(10)에 고정되는 마감 커버(40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 커버(300)의 경사면은 이음부(20)가 연결되는 배관(10)의 지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 커버(300)는 유리 천의 외면에 상기 중앙 커버(200)의 고정 결합부(240)와 마찬가지로 테프론이 코팅된다.
또한, 상기 경사 커버(300)는 도시된 도 5와 같이 외면에 다수개의 관통공(320)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비닐 커버(34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 커버(300)는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크거나 환기를 위하여 다수개의 관통공(320)을 형성하고 외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비닐 커버(34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마감 커버(400)는 경사 커버(300)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배관(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 커버(400)는 둘레를 따라 내부에 결합공(4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20)에는 고정끈(440) 또는 고무밴드가 삽입되어, 상기 배관(10)에 마감 커버(400)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 커버(200)의 중앙 결합부(260)와 마감 커버(400)의 고정끈(440)을 각각 형성한 것은, 배관(10)의 이음부(20)에 위치하는 중앙 커버(200)는 중앙 결합부(260)를 통해 고정하고, 고정끈(440)은 배관(10)에 위치하는 마감 커버(400)는 고정끈(440)을 통해 고정하여, 상기 배관 이음부 커버체(100)가 외력이나 바람 등에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마감 커버(400)의 내면에는 도시된 도 6과 같이 배관(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밀착 부재(460)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감 커버(400)의 내면에 밀착 부재(460)를 부착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관 이음부 커버체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에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220)의 양측에는 고정 결합부(240)가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벨크로(260)가 장착되는 중앙 커버(2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커버(200)의 양측 끝단에 외 측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커버(30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 커버(300)의 끝단으로 둘레를 따라 내부에 결합공(4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20)에는 고정끈(440)이 삽입되는 마감 커버(400)를 결합하면 배관 이음부 커버체(100)의 완성된다.
이후, 상기 배관 이음부 커버체(100)를 배관(10)의 이음부(20)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배관 이음부 커버체(100)를 배관(10)의 이음부(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중앙 커버(200)와 경사 커버(300) 및 마감 커버(400)를 이음부(20)와 상기 이음부(20)에 위치한 배관(10)을 감싸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음부(20)에 위치하는 중앙 커버(200)의 벨크로(260)를 결합하고, 마감 커버(400)의 고정끈(440)을 배관(10)에 고정하면, 배관 이음부 커버체(100)의 설치작업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배관 이음부 커버체(100)를 구성하는 중앙 커버(200)의 투명부(220)를 통해 이음부(20)의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배관 20 : 이음부
100 : 배관 이음부 커버체 200 : 중앙 커버
220 : 투명부 240 : 고정 결합부
260 : 중앙 결합부 300 : 경사 커버
400 : 마감 커버 420 : 결합공
440 : 고정끈

Claims (4)

  1.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플랜지 또는 연결 부재가 장착되는 이음부를 보호하는 커버체에 있어서,
    양측 끝단에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하여 중앙 결합부가 장착되는 중앙 커버;
    상기 중앙 커버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외 측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커버; 및
    상기 경사 커버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는 배관 이음부 커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커버와 경사 커버 및 마감 커버는 전체 또는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배관 이음부 커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커버는 중앙에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의 양측에는 고정 결합부가 결합되는 배관 이음부 커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커버는 둘레를 따라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고정끈 또는 고무밴드가 삽입되는 배관 이음부 커버체.
KR2020170004611U 2017-08-31 2017-08-31 배관 이음부 커버체 KR201900006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11U KR20190000615U (ko) 2017-08-31 2017-08-31 배관 이음부 커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11U KR20190000615U (ko) 2017-08-31 2017-08-31 배관 이음부 커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15U true KR20190000615U (ko) 2019-03-08

Family

ID=6572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611U KR20190000615U (ko) 2017-08-31 2017-08-31 배관 이음부 커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61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17B1 (ko) * 2019-10-10 2020-09-09 하나파워 주식회사 파이프용 단열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17B1 (ko) * 2019-10-10 2020-09-09 하나파워 주식회사 파이프용 단열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7811C (en) Method of installing an expansion compensator and an expansion compensator
KR101973816B1 (ko) 누출 검출 o링
CA2706144A1 (en) Entry boot
EP4078043A1 (en) Water heater with an integrated leak detection system
KR20190000615U (ko) 배관 이음부 커버체
US10683957B2 (en) Pipe connecting joint
KR100919108B1 (ko) 플랜지 커버체
RU97800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защитный кожух для фланцевых соединений и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варианты)
KR101746083B1 (ko) 배관용 히팅 보온 커버
JP6807427B2 (ja) 既設配管の漏洩試験治具
CN204441821U (zh) 一种电缆接头保护装置
US6488316B1 (en) Flexible metal hose termination fitting with adapter for termination plate
JP2009243036A (ja) 排水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られる可撓管部材
KR20200051329A (ko) 배관용 안전커버
KR20170129573A (ko) 배관 결속용 구조체
WO20161533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водопроводных шлангов
JP5384022B2 (ja) 管継手保護カバー、及び管継手保護構造
KR102284820B1 (ko)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JP4353835B2 (ja) 管継手の耐圧試験装置
CN218441138U (zh) 一种管道连接处法兰的防护套
CN211475238U (zh) 一种内胎蒸气阀门用保温装置
KR101817897B1 (ko) 플랜지 및 밸브용 안전 커버체
CN207702134U (zh) 聚四氟乙烯法兰保护套
KR20230075249A (ko) 배관 이음 장치
KR200204995Y1 (ko) 덕트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