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239U -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 Google Patents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239U
KR20180002239U KR2020170000259U KR20170000259U KR20180002239U KR 20180002239 U KR20180002239 U KR 20180002239U KR 2020170000259 U KR2020170000259 U KR 2020170000259U KR 20170000259 U KR20170000259 U KR 20170000259U KR 20180002239 U KR20180002239 U KR 201800022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ing
leakage
pressing body
col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식
Original Assignee
박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식 filed Critical 박우식
Priority to KR2020170000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239U/ko
Publication of KR20180002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2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5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어도 둘 이상 연결된 배관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이음부를 통해 누출되는 유체나 기체 등의 누출물을 외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둘 이상 연결된 배관의 이음부를 링 형태로 감싸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음부를 통해 누출되는 누출물이 수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되 수집된 상기 누출물이 상기 가압부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CLAMP FOR LEAKAGE PREVENTION}
본 고안은 적어도 둘 이상 연결된 배관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이음부를 통해 누출되는 유체나 기체 등의 누출물을 외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이나 하수관, 송유관, 가스이송관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관체는 강관이나 합성수지관을 이용하며, 그 용도 및 설치환경에 따라서 관체의 외주면에 보호층을 코팅한 다층 코팅관으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관체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유체의 종류에 따라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관체가 상수관으로 이용되는 상황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수돗물의 낭비와 세균침투에 의한 수돗물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관체가 하수관이나 오폐수 이송관 등으로 이용되는 경우, 유체의 이송과정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주변환경에 심각한 오염을 초래한다. 아울러, 가스이송관이나 송유관 등의 인화성 유체 이송관 등의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하면 폭발의 위험과 이에 따른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게 된다.
이에, 관체의 누수를 조기에 정확하게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된다.
그러나, 보통의 유체 이송용 관체는 지하에 매설되는 형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관체의 누수발생시 즉각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다. 단지, 지반으로 누수의 흔적이 나타나는 시점에서 누수를 파악하기 때문에, 관체의 파손 및 지반 오염이 한참 진행된 후에야 때늦은 보수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의해, 엄청난 양의 유체 손실이 유발되며, 누수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주변의 지반까지 파헤치므로 관체의 보수나 교체를 위한 보수공사 비용이 과도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체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관이 개발된바 있다.
종래의 누수 감지관은 제1 관(10)과, 제1 관(10)과 연결되는 제2 관(20)과, 제1 관(10)과 제2 관(2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30)와, 제1 관(10)과 제2 관(20)의 이음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 관(10)과 제2 관(20)을 밀봉하는 보호자켓(4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누수 감지관은 제1 관(10)과 제2 관(20)의 이음부에 누수가 발생하면 이를 누수감지센서(30)가 감지하여 알려줌으로써 관의 보수를 빠르게 시행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누수 감지관은 제1 관(10)과 제2 관(20)의 이음부를 단지 보호자켓(40) 만으로 밀봉하기 때문에 이음부의 밀봉이 불안정하여 누수 감지관 외부로 빈번히 누수가 발생하여 누수감지센서의 원활한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관(10)과 제2 관(20)의 이음부의 누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누수감지센서(30) 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누수감지센서(30)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었을 때 관 내부의 유체에 의한 감지인지 관 외부의 수분에 의한 감지인지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안정적인 이음부의 밀봉 즉, 한 쌍의 관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하게 밀폐하여 그 이음부를 통해 누수 또는 누출이 발생시에 누수 감지관 외부로 그 누출물이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한 쌍의 관이 연결되는 이음부의 누수나 누출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누수 감지관 외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나 누출에 의해 혼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는 적어도 둘 이상 연결된 배관의 이음부를 링 형태로 감싸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음부를 통해 누출되는 누출물이 수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되 수집된 상기 누출물이 상기 가압부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음부가 감싸지게 상기 배관 외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누출물이 수집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가압체, 상기 가압체 외면에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상기 배관 외면을 감싸는 상기 가압체 일측을 타측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가압체가 상기 배관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수단,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게 상기 가압체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이송부재와 관 연결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집된 상기 누출물이 상기 이송부재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관,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배관 외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체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해 상기 이음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압체 일측에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공이 서로 이웃하게 천공형성된 밴드, 상기 밴드가 인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체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다수의 상기 결합공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가압체 일측이 타측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배관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안내관과 연통되어 탈착 가능하게 관 연결되는 체결볼트, 양측이 개방된 소정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이 상기 체결볼트와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체결볼트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누출물이 타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호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압체 내면에 복수의 구성으로 형성된 패드가 둘 이상 연결된 한 쌍의 배관 양끝단을 가압하여 이음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하게 밀폐함으로써, 그 배관을 감싸도록 구비된 가압체 외부로 누출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음부의 밀폐력을 통해 가압체에 의해 감싸진 이음부 또는 배관의 파손 등으로 상기 가압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누출물만 신속하게 수용홈으로 안내하여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음부의 누출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누수 감기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를 나타낸 전체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의 가압부재 및 이송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의 케이스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3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대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이하, 간략하게 '클램프'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1)는 크게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배관(P)을 가압하도록 밀폐결합하는 가압부재(100) 및 상기 가압부재(100)를 통해 배출되는 누출물(L)이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송부재(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00)는 한 쌍의 배관(P)이 연결된 이음부(P2)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도록 결합하여 그 이음부(P2)를 통해 누출되는 기체나 유체 등과 같은 누출물(L)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압체(110), 가압수단(120) 및 패드(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가압체(110)는 전체적으로 소정넓이와 길이를 갖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배관(P) 외면에 후술하는 가압수단(120)을 통해 이음부(P2)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게 가압체(110) 일측이 타측과 서로 근접하거나 포개지게 링 형상을 갖도록 하여 가압수단(120)에 의해 배관(P)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가압체(110)는 부식성이 적고 내구성이 좋은 스테인레스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압수단(120)에 의해 통상의 타이밴드 형식으로 배관(P)에 설치되어 가스켓(P1)의 부식 등으로 인해 이음부(P2)에 누출이 발생시 그 누출물(L)이 수용홈(113)에 집중적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용홈(113)은 이음부(P2)를 통해 누출되는 누출물(L)이 자연적으로 가압체(110)의 면을 따라 흘러내려 수집될 수 있도록 배관(P) 외면에 결합한 상태의 상기 가압체(110) 최하단(이음부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체(110)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음부(P2)를 통해 누출된 누출물(L)이 일정량 수집됨과 동시에 안내관(115)을 따라 이동하여 호스(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내관(115)은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은 수용홈(113) 내부와 연통되되 타단은 체결볼트(210)와 결합하여 누출물(L)이 안정적으로 호스(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본 고안에서의 가압수단(120)은 가압체(110) 일측에 소정길이를 갖되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의 결합공(123)이 천공형성된 밴드(121)와 상기 가압체(110) 타측에 구비되되 외면에 형성된 치(齒)가 결합공(123)에 삽입되도록 밴드(121)가 인입되어 '+'자 또는 '-'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회전에 의해 다수의 상기 결합공(123)이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가압체(110) 일측이 타측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는 통상의 타이밴드 형태로 사용된다.
물론, 본 고안의 가압수단(120)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소정지름을 갖게 링 형상으로 배관(P)에 설치되되 그 지름이 가변할 수 있게 가압체(110) 일측을 타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배관(P) 외면의 가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면 가능하다.
아울러 가압수단(120)은 가압체(110) 외면에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이음부(P2)의 밀폐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체(110) 외면에 형성되는 가압수단(120)을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각각의 패드(130)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가압체(110) 외면에 복수의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음부(P2)의 밀폐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패드(130)는 가압체(110) 내면 즉, 배관(P) 외면과 접촉하여 가압수단(120)의 회전에 의해 배관(P) 외면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가압체(110) 내면의 상/하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배관(P)이 연결된 이음부(P2)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패드(130)는 누출물(L)의 흡수는 불가하되 신축성은 물론, 비활성 또는 절연가능한 실리콘, 고무 및 PPET(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계열의 테프론(Teflon)이 사용되어 이음부(P2)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패드(130)는 가압체(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해 패드(130)에 손상이 있는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교체하여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가압부재(100)는 그 외면을 감싸 단열은 물론, 외부충격 등에 의해 가압체(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스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의 케이스부재(140)는 한 쌍의 커버체(141) 및 단열재(149)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커버체(141)는 반원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각각의 상부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배관(P) 외면에 설치된 가압수단(120) 외부를 감싸게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143)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체(141) 하부에는 체결볼트(210) 또는 상기 체결볼트(210)와 연결된 호스(220)의 일부를 감싸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14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커버체(141) 내면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가압수단(120)이 삽입되어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삽입홈(147)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147)은 가압수단(120)의 개수에 맞게 커버체(141)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149)는 상술한 커버체(141) 내부는 물론, 필요에 따라 돌기부(145) 내부까지 형성되어 외기로부터 가압체(110) 내부를 단열하여 특히, 유체의 누출물(L)이 얼거나 하는 현상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200)는 상술한 가압부재(100)를 통해 수집된 누출물(L)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이동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체결볼트(210) 및 호스(2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체결볼트(210)는 통상의 니플(Nipple)과 같이, 안내관(115) 외면 또는 내면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안내관(115)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수용홈(113)에 수집된 누출물(L)이 안내관(115)과 체결볼트(210) 내부를 통해 호스(220)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호스(220)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체결볼트(2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측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누출물(L)이 수집되는 수집통(미도시) 등에 배치되어 체결볼트(210)를 호스(220) 내부로 유입된 누출물(L)이 안정적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호스(220)는 다 각도로 변경가능한 유동성 있는 고무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측이 개방된 연장관(미도시)을 통해 그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하거나 그 끝단에 누출물(L)을 흡입하는 펌프(미도시)를 설치하여 기체나 유체 형태의 누출물을 용이하게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호스(220)를 통해 배출되는 누출물(L)이 가스 등과 같은 기체인 경우에는 상기 호스(220) 끝단에 기체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장치(미도시)를 연결하여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기체의 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에 대한 설치 및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인 클램프(1)의 설치를 위해 가스와 같은 기체는 물론, 유류나 물과 같은 유체가 이동하기 위해 연결된 한 쌍의 배관(P) 외면을 감싸도록 판 형상을 가압체(110)는 링 형상을 감아 배치하고, 상기 가압체(110) 외면에 구비된 밴드(121) 끝단을 스크루(125)에 인입시킨다.
인입된 밴드(121)의 끝단은 상기 밴드(121)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결합공(123)이 스크루(125) 외면에 형성된 치(齒)와 순차적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루(1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배관(P)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가압체(110) 일측을 타측 방향으로 당겨 상기 가압체(110) 내면(패드가 형성된 부분)이 배관(P)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배관(P)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체(110)의 내면에 형성된 신축성 있는 한 쌍의 패드(130)는 한 쌍으로 연결된 상기 배관(P) 양끝단 외면을 각각 가압하여 이음부(P2)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관(P)에 설치된 가압체(110)의 수용홈(113)은 이음부(P2)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음부(P2)를 통해 누출되는 누출물(L)이 수용홈(113) 내에 일시적으로 수집되어 후술하는 호스(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체결볼트(210) 일단을 안내관(115) 내부와 연통되게 나사 결합한 후, 호스(220) 일측을 상기 체결볼트(210) 타단과 연결하여 수용홈(113)에 수집된 누출물(L)이 호스(220)를 따라 이동하여 수집통 등에 수집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인 클램프(1)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인 클램프(1)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부(P2)는 물론, 외부충격 등으로 가압체(110)에 의해 감싸진 배관(P)에 파손이 발생하여 누출물(L)이 발생시에 그 누출물(L)이 수용홈(113) 내부로 낙하하거나 또는 가압체(110) 내면을 따라 상기 수용홈(113)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어 수집되며, 수집된 누출물(L)은 안내관(115)과 체결볼트(210) 내부를 통해 호스(220)까지 이동하고, 상기 호스(220) 내부를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까지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가압체(110) 내면에 복수의 구성으로 형성된 패드(130)가 둘 이상 연결된 한 쌍의 배관(P) 양끝단을 가압하여 이음부(P2)를 외부로부터 완전하게 밀폐함으로써, 그 배관(P)을 감싸도록 구비된 가압체(110) 외부로 누출물(L)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음부(P2)의 밀폐력을 통해 가압체(110)에 의해 감싸진 이음부(P2) 또는 배관(P)의 파손 등으로 상기 가압체(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누출물(L)만 신속하게 수용홈(113)으로 안내하여 호스(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음부(P2)의 누출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100: 가압부재
110: 가압체 113: 수용홈
115: 안내관 120; 가압수단
121: 밴드 123: 결합공
125: 스크루 130: 패드
140: 케이스부재 141: 커버체
143: 공간부 145: 돌기부
147: 삽입홈 149: 단열재
200: 이송부재 210: 체결볼트
220: 호스 P: 배관
P1: 가스켓 P2: 이음부
L: 누출물

Claims (3)

  1. 적어도 둘 이상 연결된 배관(P)의 이음부(P2)를 링 형태로 감싸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음부(P2)를 통해 누출되는 누출물(L)이 수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부재(100); 및
    상기 가압부재(100)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되 수집된 상기 누출물(L)이 상기 가압부재(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이송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1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음부(P2)가 감싸지게 상기 배관(P) 외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누출물(L)이 수집될 수 있는 수용홈(113)이 형성된 가압체(110), 상기 가압체(110) 외면에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상기 배관(P) 외면을 감싸는 상기 가압체(110) 일측을 타측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가압체(110)가 상기 배관(P)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수단(120), 상기 수용홈(113)과 연통되게 상기 가압체(110)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이송부재(200)와 관 연결되어 상기 수용홈(113)에 수집된 상기 누출물(L)이 상기 이송부재(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관(115), 상기 가압수단(120)에 의해 상기 배관(P) 외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체(110)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1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이음부(P2)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패드(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120)은
    상기 가압체(110) 일측에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공(123)이 서로 이웃하게 천공형성된 밴드(121), 상기 밴드(121)가 인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체(110)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다수의 상기 결합공(123)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가압체(110) 일측이 타측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배관(P)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루(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200)는
    상기 안내관(115)과 연통되어 탈착 가능하게 관 연결되는 체결볼트(210), 양측이 개방된 소정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이 상기 체결볼트(210)와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체결볼트(210)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누출물(L)이 타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호스(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KR2020170000259U 2017-01-13 2017-01-13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KR201800022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259U KR20180002239U (ko) 2017-01-13 2017-01-13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259U KR20180002239U (ko) 2017-01-13 2017-01-13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39U true KR20180002239U (ko) 2018-07-23

Family

ID=6304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259U KR20180002239U (ko) 2017-01-13 2017-01-13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23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243A (ko) 2019-12-30 2021-07-08 박도규 짜 솔
CN114007988A (zh) * 2019-05-03 2022-02-01 简·探针公司 用于管理液体废物的系统和方法
CN114440025A (zh) * 2022-01-11 2022-05-06 启东集胜造船有限公司 一种用于机动货船机舱油管的防漏系统
CN114007988B (zh) * 2019-05-03 2024-05-31 简·探针公司 用于管理液体废物的系统和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7988A (zh) * 2019-05-03 2022-02-01 简·探针公司 用于管理液体废物的系统和方法
CN114007988B (zh) * 2019-05-03 2024-05-31 简·探针公司 用于管理液体废物的系统和方法
KR20210085243A (ko) 2019-12-30 2021-07-08 박도규 짜 솔
CN114440025A (zh) * 2022-01-11 2022-05-06 启东集胜造船有限公司 一种用于机动货船机舱油管的防漏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1477A (en) Secondary contained fluid supply system
US5553971A (en) Double-containment underground piping system
US20130160886A1 (en) Pipe system with annulus utilization and monitoring
US5927762A (en) Pipe coupling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4234216A (en) Pipe swivel joint for submerged service
US10900861B2 (en) Pipeline element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50093299A1 (en) Tapping sleeve
KR20140015935A (ko) 배관 연결부 누설검사장치
KR20180002239U (ko) 누출물 식별이 용이한 클램프
US20160069501A1 (en) Fluid leakage counteraction instrument upon damage of fluid conveying pipe
US7004510B2 (en) Tubing containment system
KR20110033548A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20080010487A (ko) 신축 조인트장치의 패킹실린더
CN111594670B (zh) 一种防漏管道连接管
US7931306B2 (en) Vented gas riser apparatus
KR20100094250A (ko)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KR101352874B1 (ko) 클램프 하우징이 부착된 누수 탐지관
KR20120001146A (ko) 누수 탐지관
KR20120001147A (ko) 복수의 씰링을 구비한 누수 탐지관
KR101944887B1 (ko) 가연성 유체 기밀방지구조 및 누설용 탐지장치가 내설된 볼밸브
GB2194302A (en) Resilient pipe coupling
ZA200507307B (en) Tubing containment system
CN220168879U (zh) 一种管道防漏水装置
CN213685705U (zh) 一种石油储运管道密封连接器
KR890002136Y1 (ko) 관 누출 검사용 밀폐기(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