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975B1 -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 - Google Patents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975B1
KR101698975B1 KR1020160041753A KR20160041753A KR101698975B1 KR 101698975 B1 KR101698975 B1 KR 101698975B1 KR 1020160041753 A KR1020160041753 A KR 1020160041753A KR 20160041753 A KR20160041753 A KR 20160041753A KR 101698975 B1 KR101698975 B1 KR 101698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ver
pair
reagent
pipe
pri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국
Original Assignee
지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02Atomic fluorescence; Laser induced fluoresc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containing fluorine
    • B29K2627/18PTFE, i.e. polytetrafluorethene, e.g. ePTFE, i.e. expanded polytetrafluorethe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G01N2001/2826Collecting by adsorption or absorp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는, 압출 성형되는 투명커버(10)의 안쪽면 좌우단에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과 발광물질층(40)이 위치되고 투명커버(10)의 안쪽면 중앙에 시약인쇄층(30)이 위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길이 제한없이 대량 생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생산 원가를 낮추면서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대응하도록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불규칙한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시약인쇄층(30)이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시약인쇄층(30)이 파열되거나 감지 기능이 약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ACID AND BASE LEAKAGE DETECTION KIT}
본 발명은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들의 연결부위로부터 누수되는 액체에 화학 반응하는 시약인쇄층을 구비하여, 액체누수의 조기발견 및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LCD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판을 세정하는 세정공정이나 필요물질을 식각하는 식각공정은 반드시 필요하며, 상기 세정공정 및 식각공정은 주로 세정용 화학용액 및 식각용 화학용액의 사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반도체 제조장비의 특성상 장비들이 파이프 등과 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부재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문제점으로 인하여 수시로 작업자가 환경 안전 순찰을 하고 있으나 미세한 누수의 경우 육안으로 작업자가 즉시 발견하기가 어려워 작업자에게 화학약품이 직접 접촉되는 사고가 발생된다. 게다가 누수 사고시 조기 진압을 하지 못하는 경우 누수가 발생된 연결부위의 파이프, 전기케이블, 기타 부대설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제2, 제3의 사고 발생으로 결국 반도체 제조라인이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특허 10-09783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등에 장착된 센서에서 빛을 쏘아 빛의 반사된 광량을 계산하여 누수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누수 감지 시스템의 경우, 반도체 설비나 밸브 박스 내부에 누수 센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포인트형 누수 센서를 이용하더라도 누수 발생시 누수로 인해 센서의 빛이 누수에 의해 센서로 반사되어 광량 차이가 미미한 경우 누수가 발생되었더라도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누수 감지 시스템의 경우, 동작전원을 소모하는 센서와 이에 연결되는 제어부 등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길이 제한없이 대량 생산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 원가를 낮추고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약인쇄층이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시약인쇄층이 파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불규칙한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도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는, 압출 성형에 의해 길이 제한없이 연속적으로 생산되어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절단해서 사용하도록 투명커버,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 시약인쇄층, 좌우 한 쌍의 발광물질층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투명커버는 상기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감겨질 때 서로 맞닿는 절단면이 실링컨넥터에 의해 밀봉되도록 그 평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단부에 좌우 한 쌍의 측면부가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은 상기 투명커버의 안쪽 평면부와 측면부가 접하는 코너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접착되어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접착시 누수되는 액체를 흡수하도록 인견사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시약인쇄층은 상기 투명커버의 안쪽 평면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인쇄되어 상기 누수액흡수층을 통해 흡수된 누수 액체와의 접촉시 변색되도록 산성과 염기성 반응하는 시약을 합성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발광물질층은 상기 시약인쇄층이 변색될 때 서로 불일치되는 색상을 통해 누수상황을 식별하도록 상기 투명커버가 압출 성형될 때 투명커버의 안쪽 평면부와 측면부가 접하는 코너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용융된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는, 압출 성형되는 투명커버의 안쪽면 좌우단에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과 발광물질층이 위치되고 투명커버의 안쪽면 중앙에 시약인쇄층이 위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길이 제한없이 대량 생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생산 원가를 낮추면서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대응하도록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불규칙한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시약인쇄층이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시약인쇄층이 파열되거나 감지 기능이 약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가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부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가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실링컨넥터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가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는, 평면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좌우 한 쌍의 측면부(14)를 가진 투명커버(10)와; 상기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와 측면부(14)가 접하는 코너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맞닿도록 각각 접착되어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부착되면서 누수되는 액체를 흡수하는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과; 상기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인쇄되어 상기 누수액흡수층(20)을 통해 흡수된 누수 액체와의 접촉시 변색되는 시약인쇄층(30)과; 상기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와 측면부(14)가 접하는 코너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시약인쇄층(30)이 변색될 때 서로 불일치되는 색상을 통해 누수상황을 식별하는 좌우 한 쌍의 발광물질층(40) 및; 상기 투명커버(10)가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감겨질 때 서로 맞닿는 절단면을 밀봉시키는 실링컨넥터(5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투명커버(10)는 평면부(12)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의 측면부(1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에 의해 투명성 및 유연성이 좋고 얇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은 직사각의 졸대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에 의해 흡수성 및 유연성이 좋은 인견사(Viscos rayon)와 폴리에틸렌(PE), 인견사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인견사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합성된 것으로서, 그 상부 및 하면에는 상기 투명커버(10)와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접착이 용이하도록 접착제가 도포되어진다.
상기 시약인쇄층(3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에 산성과 염기성 반응하는 시약을 합성한 것으로서, 상기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의 중앙에 그라비어(Gravure) 방식으로 인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물질층(40)은 열융착 또는 용융된 상태로 상기 투명커버(10)가 압출 성형될 때 안쪽 평면부(12)와 측면부(14)가 접하는 코너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컨넥터(50)는, 상기 투명커버(10)가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감겨질 때 서로 맞닿는 절단면을 따라 밀착되는 판재(52)와, 상기 판재(52)를 상기 투명커버(10)에 고정하는 다수의 나사(5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성형되는 투명커버(10)의 안쪽면 좌우단에 누수액흡수층(20)과 발광물질층(40)이 위치되고 투명커버(10)의 안쪽면 중앙에 시약인쇄층(30)이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길이 제한없이 대량 생산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생산 원가를 낮추면서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투명커버(10)는 투명성 및 유연성이 좋고 얇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하여 평면부(12)와 좌우 한 쌍의 측면부(14)를 형성하도록 압출 성형될 때 그 평면부(12)와 좌우 한 쌍의 측면부(14)가 접하는 코너부분에 좌우 한 쌍의 발광물질층(40)이 길이방향으로만 길게 동시 형성되고,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의 중앙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에 산성과 염기성 반응하는 시약을 합성한 시약인쇄층(30)이 그라이버 방식에 의해 길이방향으로만 길게 인쇄되며,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와 좌우 한 쌍의 측면부(14)가 접하는 코너부분에는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부착되면서 누수되는 액체를 흡수하도록 인견사와 폴리에틸렌(PE), 인견사와 폴리프로필렌(PP), 인견사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중에서 어느 하나로 합성된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이 길이방향으로만 길게 접착되는 누수감지키트 구조체이기 때문에 길이 제한없이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누수감지키트 구조체는 도 3 및 4와 같이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대한 외경에 대응하도록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된 누수감지키트 구조체를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감아준 후 바로 실링컨넥터(50)에 의해 신속하고 정밀하게 밀봉할 수 있다.
즉,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된 누수감지키트 구조체를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감아주면, 접착제가 도포된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이 도 5와 같이 파이프(1)의 연결부위(3) 외경을 따라 부착됨으로써 파이프(1)의 연결부위(3)와 누수액흡수층(20)과의 사이가 긴밀하게 밀봉되고, 서로 맞닿는 절단면은 판재(52)와 다수의 나사(54)로 이루어진 실링컨넥터(50)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밀봉된다.
이때, 누수감지키트 구조체가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감겨져 밀봉될 때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에 인쇄된 시약인쇄층(30)은 도 5(a)와 같이 불규칙한 너트 방식의 연결부위(3)나 도 5(b)와 같이 용접 방식의 연결부위(3)에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시약인쇄층(30)이 파열되거나 감지 기능이 약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파이프(1)의 연결부위(3)가 불규칙하더라도 밀봉작업시 시약인쇄층(30) 보다 큰 두께를 가진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이 먼저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접촉하기 때문에 시약인쇄층(30)은 불규칙한 연결부위(3)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인쇄된 원래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이프(1)의 연결부위(3) 둘레에 감겨질 수 있다.
이때, 시약인쇄층(30)의 좌우 끝단은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에 접촉하도록 투명커버(10)의 안쪽에 인쇄되기 때문에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서 극소량의 액체가 누수될 경우, 이 누수 액체는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에 흡수됨과 동시에 시약인쇄층(30)으로 전달되고, 이 시약인쇄층(30)은 누수 액체와 접촉시 산성 물질과 반응하여 적색 또는 염기성 물질과 반응하여 청색으로 색상이 변하게 되며, 변색된 시약인쇄층(30)은 투명커버(10)의 좌우 코너부분에 압출 성형시 형성된 발광물질층(40)의 색상과 서로 불일치됨으로써 누수상황을 육안으로 식별가능케 한다.
즉, 투명커버(10)의 안쪽면 중앙부분에 인쇄된 시약인쇄층(30)은 누수 액체와 접촉하기 전에 투명커버(10)의 안쪽면 좌우 코너부분에 형성된 발광물질층(40)과 예를 들어 같은 노란색을 띄도록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시약인쇄층(30)이 누수 액체와 접촉하여 적색 또는 청색으로 색상이 변할 때 투명커버(10)의 외부에서 불일치되는 색상을 통해 액체가 누수되는 상황을 조기발견 및 실시간 확인하여 바로 조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파이프 3 : 연결부위
10 : 투명커버 12 : 평면부
14 : 측면부 20 : 누수액흡수층
30 : 시약인쇄층 40 : 발광물질층
50 : 실링컨넥터 52 : 판재
54 : 나사

Claims (6)

  1. 압출 성형에 의해 길이 제한없이 연속적으로 생산되어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절단해서 사용하도록 투명커버(10),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 시약인쇄층(30), 좌우 한 쌍의 발광물질층(4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투명커버(10)는 상기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감겨질 때 서로 맞닿는 절단면이 실링컨넥터(50)에 의해 밀봉되도록 그 평면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단부에 좌우 한 쌍의 측면부(14)가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누수액흡수층(20)은 상기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와 측면부(14)가 접하는 코너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접착되어 파이프(1)의 연결부위(3)에 접착시 누수되는 액체를 흡수하도록 인견사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로 형성되고,
    상기 시약인쇄층(30)은 상기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인쇄되어 상기 누수액흡수층(20)을 통해 흡수된 누수 액체와의 접촉시 변색되도록 산성과 염기성 반응하는 시약을 합성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발광물질층(40)은 상기 시약인쇄층(30)이 변색될 때 서로 불일치되는 색상을 통해 누수상황을 식별하도록 상기 투명커버(10)가 압출 성형될 때 투명커버(10)의 안쪽 평면부(12)와 측면부(14)가 접하는 코너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용융된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41753A 2016-04-05 2016-04-05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 KR101698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53A KR101698975B1 (ko) 2016-04-05 2016-04-05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53A KR101698975B1 (ko) 2016-04-05 2016-04-05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975B1 true KR101698975B1 (ko) 2017-01-23

Family

ID=5798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753A KR101698975B1 (ko) 2016-04-05 2016-04-05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75B1 (ko) * 2017-09-18 2018-03-30 지프코리아 주식회사 패시베이션층을 통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구분 감지가 가능한 산염기 누출감지용 센서
KR101959533B1 (ko) 2018-11-06 2019-03-18 (주)신우에프에이 산과 알카리 구분용 금속형 ph 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077A (ja) * 1991-12-02 1993-06-22 Asahi Chem Ind Co Ltd pH指示薬付きワイパー
JP2011107141A (ja) * 2009-11-17 2011-06-0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化学物質の存在を検出するための特定の物質を含む織物の使用方法
US20130004372A1 (en) * 2007-11-06 2013-01-03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r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 Chemochromic Detector for Sensing Gas Leakag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50060389A (ko) *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사람들 배관용 누출검지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077A (ja) * 1991-12-02 1993-06-22 Asahi Chem Ind Co Ltd pH指示薬付きワイパー
US20130004372A1 (en) * 2007-11-06 2013-01-03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r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 Chemochromic Detector for Sensing Gas Leakag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11107141A (ja) * 2009-11-17 2011-06-0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化学物質の存在を検出するための特定の物質を含む織物の使用方法
KR20150060389A (ko) *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사람들 배관용 누출검지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75B1 (ko) * 2017-09-18 2018-03-30 지프코리아 주식회사 패시베이션층을 통한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구분 감지가 가능한 산염기 누출감지용 센서
KR101959533B1 (ko) 2018-11-06 2019-03-18 (주)신우에프에이 산과 알카리 구분용 금속형 ph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975B1 (ko) 산과 염기를 동시에 감지하는 누수감지키트
KR101555682B1 (ko) 누수감지장치
US20140307399A1 (en) Electronic controller
US9778134B2 (en) Leak detection device in joints between pipes with flanges and gaskets
KR101706538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278198B1 (ko) 가스 누출 검출장치
KR101505439B1 (ko) 누설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17464A (ko) 누수감지키트
JP2008128666A (ja) 漏水検知具及び該検知具を用いた配管構造
KR20190042453A (ko)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KR102018161B1 (ko) 체결 및 누수 상태 정보 전송 기능을 구비한 체결 장치 및 이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JP2012090481A (ja) 防水ケース及び車載電子機器
JP2020056660A (ja) 漏液検知体及び漏液検知方法
KR101776006B1 (ko) 배관 부착형 누설 감지 센서
CN110274685B (zh) 光电传感器
KR102005772B1 (ko) 플랜지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8476A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895750B1 (ko) 국소 부위 누설감지 센서
KR101799834B1 (ko) 다중 누설 감지 센서
KR101555681B1 (ko) 누수감지장치
KR100927450B1 (ko) 누출 검사 테이프
KR20180065533A (ko) 재사용이 가능한 누설감지센서
KR102053005B1 (ko)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KR20220155821A (ko) 누설감지기능을 갖는 유체배관 실링용 클램프장치
CN202074239U (zh) 管路漏液侦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