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5877A1 -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5877A1
WO2018105877A1 PCT/KR2017/011392 KR2017011392W WO2018105877A1 WO 2018105877 A1 WO2018105877 A1 WO 2018105877A1 KR 2017011392 W KR2017011392 W KR 2017011392W WO 2018105877 A1 WO2018105877 A1 WO 20181058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sealing member
connection pip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13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종태
황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피아이평화
피피아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이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피아이평화, 피피아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이혜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피아이평화
Priority to US15/768,65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02389B2/en
Priority to ES17879421T priority patent/ES2899039T3/es
Priority to EP17879421.0A priority patent/EP3553362B1/en
Priority to JP2018521033A priority patent/JP6790090B2/ja
Publication of WO20181058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58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used to connect the pipe and the pipe.
  • a flow tube having a hollow inside commonly referred to as a pipe
  • a valve or the lik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the fluid is employed.
  • Appropriate piping connectors are employed at the site for connecting the pipes to the pipes or for connecting the pipes to the valves.
  • the piping connector is requir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easily carry out the pipe connection, prevents leakage of fluid that may occur at the connection site, and also reliably prevents the pipe from being inappropriately released from the pipe connection.
  • a rubber ring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between the pipe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or and the pipe connector, and an appropriate fastening member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separated.
  • the rubber 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inserted inside the pipe connec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to seal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connection.
  • the fastening member reduces the inner diameter when tightening the pipe to tight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It is to prevent the pipe from deviating from the tightening member.
  • connection between the conventional pipe connection and the pip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pipe connection work is made as follows. That is, b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connection is made, the fastening member is first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together with the rubber 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 the fastening member is screwed into the pip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is tigh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pipe is tightened. make sur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pe end and the pipe is made so that it does not deviate.
  • the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connector by a rubber ring, and the pipe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or and the pipe in such a manner that it is fixed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pipe connector by the fastening member.
  •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ring is formed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in order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pipe and the rubber ring. That is,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ring is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it is necessary to manually insert or pull out the rubber ring into the pipe wheneve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pipe connector and the pipe. A complete disconnection from the pipework is required for every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the pipe end and the pipe.
  • the socket body portion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object pipes therein, installed between the socket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on object pipe and the A sealing part for sealing between the connection object pip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the socket body part and a through hole for passing the connection object pip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is formed therein, and the connect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ipe portion while mov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arget pipe, and when coupled to the connecting pipe portion includes a cap portion for pressing the sealing portion in a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arget pipe.
  • the sealing part may include a first sealing member installed at an open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coupled to the cap part to seal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target pipe.
  • the cap portion is formed with a pressure inducing portion for inducing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by press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in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cap portion moves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ipe to be connected.
  • the first sealing member may have an elliptical cross section in which a long axis is form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 the first sealing member may have an inner diameter or more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target pipe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is formed toward the longitudinally inward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from the inlet side end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on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 the guide support groove having a portion is formed, the inner support wall is form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of the guide support groove portion, the outer support wall may be form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of the guide support groove portion.
  • the first sealing member is fitted to the guide support groove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upported by the inner support wall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upported by the outer support wall to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Can be fixed.
  • one sid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guide support groove,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when the cap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the pressure induction portion Can be contacted with.
  • one surface of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and the first sealing
  • the other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pressuriz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aling member is form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to be connected and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pressurizing portion.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hape.
  • the cap portion when the cap portion is mov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arget pipe,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to the pressure induction portion for press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Sliding along the formed inclined surface may be bent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ortion.
  • the cap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through hole penetrates the inner side and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from the edge of the ring-shaped portion It may include a skirt portion extend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 the pressing induction portion is less protrud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skirt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less inclined surface formed to protrude further toward the center side of the through hole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ide of the ring-shaped portion Can be formed.
  •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 the cap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by a screw coupling formed between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 connection target pip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is a longitudinal direction
  • One end portion may interfere with the support step portion to constrain the insertion direction position.
  • the sealing part further includes a second seal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stepped portion and the connection object pipe to seal between the socket body part and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 the support stepped portion may include a ring-shaped plan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may have a ring-shaped plane of the support stepped portion.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 ring-shaped plane corresponding to.
  • the socket body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is formed of any one of a "b" shape, " ⁇ " shape, “T” shape, " ⁇ ” shape is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 the cap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 reces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to be opened toward the outer and the ring-shaped portion of the skirt portion, the grip groove is a plurality of grip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p portion Dogs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first sealing member, the second sealing member and the parts such as the cap part is installed in the socket body part, the connection and connection of the pipe to be connected in a state where only the cap part is loosely removed without separating them.
  •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ly connect the connection target pipe to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only by simple operation of coupling the cap portion to the connection pip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as well as the first sealing member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 the sealing performance using the sealing action made at two different points by the two sealing members can be further enhanc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locked state of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1 is disassembled.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 FIG.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B” of FIG. 3.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nwinding state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5 is disassembled.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5.
  • FIG. 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D” of FIG. 7.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E" of FIG. 7 enlarged.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10.
  •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G" of FIG. 10 enlarged.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nwinding state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target pipe is inserted into the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13.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14.
  •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 FIG. 1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let side of the connecting pipe unit illustrated in FIG. 16.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nlocked state of a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1 is disassembled.
  • .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portion “B” of FIG. 3.
  •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100 includes a socket body part 110, a sealing part and a cap part 130.
  • the socket body 110 constitutes a main body of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 parts 111 and a connection pipe part 115.
  • connection pipe part 111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connected with any one of the connection object piping 10.
  •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is formed to have a pipe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connection pipe part 115 corresponds to the part which connects the some connection pipe part 111.
  • FIG. The connection pipe part 115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 parts 111,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 parts 11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pipe part 115.
  • the socket body part 110 including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connection pipe part 115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 parts 111 having a "a" shape, a “one” shape, a “T” shape, "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connected to form any one of the ⁇ "shape.
  • the socket body portion 110, the elbow fit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two connecting pipes 111 form a "b" shape
  • the two-shaped pipe is connected to form a " ⁇ " shape
  • three Tee connection pipes 111 are connected to form a "T” shape
  • four connection pipes 11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ross-joint pipe connected to form a " ⁇ " shape
  • the other three connections The pipe part 11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wire pipe connected to form a “Y” shape, or a pipe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s 111 having different diameters.
  • the socket body portion 110 is an elbow fitting pipe that is connected to the two connecting pipe portion 111 forming a "b" shape as an example.
  • connection pipe portion 115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shor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That is, the connection pipe part 115 is form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section 115 and the connection pipe section 111, a support step 119 is formed to step between the connection pipe section 115 and the connection pipe section 111 stepped.
  • the support stepped part 119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toward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support stepped portion 119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ring-shaped plan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5.
  • One end portion of the pipe to be inserted 10 to be inserted into 111 is interfered with the supporting step 119 by the one end thereof in the insertion direction I.
  • the guide support groove part 112 is formed in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concave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from the inlet side edge part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V" groove shape.
  •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 An inner support wall 112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that is, the side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is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outer support wall 112b is formed in the side.
  • the sealing part is installed between the socket body part 110 and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to seal between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and the socket body part 11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sealing part may include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installed at an open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coupled to the cap part 130.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10 to be connected, and has an elastically deformable 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for example, in the form of an O-ring. Can be prepared.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or more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to be connected 10, the long axis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of the pipe to be connected 10 It has an elliptic cross section that is formed and may have an elastically deformable ring, such as an O-ring.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pipe to be connected by the pressure induction unit 140 as shown in Figure 15 as the cap 130 is rotated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 10) can be easily bent deformation.
  •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may be inserted into a wedge shape in a space form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10 to be connected and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pressure inducing portion 140.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may have a ring shape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to be connect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sealing member is pushed or chew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by the end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when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s shown in FIG. 15. The effect is remarkably reduced.
  • the pipe to be connected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when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pushed out of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the effect of the push or chewing significantly reduced There is.
  •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instead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contacting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his is because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first contacts the inner side of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itted to the guide support groove portion 112 i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ng pipe portion 11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upported by the inner support wall (112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he outer support wall It is fitted to the guide support groove portion 112 so as to be supported by (112b) is fixed to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 One sid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2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part 13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serves to seal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Cap portion 130 is provided in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inside the cap portion 130. Through hole 132 for passing through is formed.
  • the cap part 13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while mov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of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cap part 13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acts to press the sealing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al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 the cap part 130 may include a ring-shaped part 131 and a skirt part 135.
  • the ring-shaped portion 13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formed so that the through hole 132 penetrates inward.
  •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faces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111. Facing the outside of the cap portion 130.
  • the skirt part 135 is formed in the form extend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from the outer edge of the ring-shaped part 131. As shown in FIG. Such a skirt portion 135 is formed such that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located outside the through hole 132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portion 131 and the skirt 135 of the ring portion 131 may be inclined to conne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with the through hole 132 formed therei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135 in an inward manner.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 pressure inducing portion 140 protruding obliquely.
  • the pressure guide portion 140 is relatively less protruded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32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skirt portion 135 and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32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further in the direction.
  • the pressure induction part 140 protrudes further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131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I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skirt portion 135 and the ring portion 131 toward the through hole 132 side.
  •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les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I) side.
  • the pressure guide portion 140 formed as described above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by the movement of the cap portion 130 mov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thereby mov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induced.
  • 15 shows a bending deformation process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by the pressure inducing unit 140.
  •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cap part 130 are illustrated as being coupled to each other in a screw coupling form.
  •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1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 the second screw coupling provided to be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13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135.
  • the part 137 is formed.
  • the cap part 13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while mov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by a screw coupling between the first screw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part 137.
  • the cap 130 is mov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by a screw coupling made between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37, the pressure guide portion 140 and the guide support groove (The distance between the 112 is moved in the direction closer to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ipe portion (111). That is, as the coupling between the cap part 130 and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proceeds,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ure induction part 140 and the guide support groove part 112 becomes closer,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cap part 130 and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coupled to each other is released. As it proceeds,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urizing guide part 140 and the guide support groove part 112 becomes farther.
  • the grip groove 137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p 130, more specifically on the outer side of the skirt 135.
  • a plurality of grip grooves 137 ar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p portion 13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p portion 130, and each grip groove 137 has an outer side and a ring-shaped portion ( It is formed in the concave groove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135 to open toward the 131.
  • the grip groove 137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by an operator holding the cap 130 to couple the cap 130 to the connection pipe 111 or to release the cap 130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111. When doing so, it serves to suppress the slip of the hand of the worker holding the cap 130. At this time, the operator's finger may be caught in the grip groove 137 through a portion ope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kirt portion 135 of the grip groove 137, and opened toward the ring-shaped portion 131 of the grip groove 137. This allows the palm of the operator to be caught.
  • the grip force of the cap 130 may be improv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nger and the palm of the operator are caught together by the grip groove 137, thereby coupling the cap 130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or the connection pipe part ( Loosening the cap 130 coupled to 111 can be made easier and faster.
  •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various embodiments that can replace them.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nlocked state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5 is disassembled.
  • .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5, and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of FIG. 7 and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n “E” portion of FIG. 7. It is an enlarged view.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 FIG. 10 is a “G” of FIG. 10.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ose state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target pipe is inserted into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13.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14.
  •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 FIG. 1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illustrated in FIG. 16. to be.
  • the sealing part includes a first sealing member 120 and a second sealing member 225. Prepared.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installed at an open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coupled to the cap part 130.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10 to be connected, and has an elastically deformable 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for example, in the form of an O-ring. Can be prepared.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or more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to be connected 10, the long axis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of the pipe to be connected 10 It has an elliptic cross section that is formed and may have an elastically deformable ring, such as an O-ring.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pipe to be connected by the pressure induction unit 140 as shown in Figure 15 as the cap 130 is rotated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 10) can be easily bent deformation.
  •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may be inserted into a wedge shape in a space form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10 to be connected and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pressure inducing portion 140.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may have a ring shape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to be connect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sealing member is pushed or chew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by the end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when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s shown in FIG. 15. The effect is remarkably reduced.
  • the pipe to be connected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when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pushed out of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the effect of the push or chewing significantly reduced There is.
  •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instead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contacting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his is because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first contacts the inner side of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on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as shown in FIG. Is seated on.
  • the inner support wall (112a) is form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portion 111 of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 the outer support wall 112b is form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s shown in FIG. 8, as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seated in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the inner support wall 112a and the outer support wall 112b have the length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respectively.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one side in the direction.
  • the installer must insert the O-ring into the pipe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ipe with the connecting device. In this way, if the contractor inserts the O-ring directly into the pipe, the work time required for connecting the pipe becomes very long, and the O-ring is correctly placed in the optimal position to achieve the maximum watertight between the pipe and the connecting device. There is no guarantee at all.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irst inserted into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before inserting the pipe to the pipe connection device, and then the connection target Insert the pipe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 the installer does not need to directly insert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n the pipe to be connected.
  •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ue to the shap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and the shape of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n end surface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is used to guide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When fitted in the inner support wall (112a) and the outer support wall (112b) of the guide groove 1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respectively.
  •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s inse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ixed to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without moving,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ormed due to the shap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described above. 120 is not pushed or chewed.
  • the outer support wall 112b and the inner support wall 112a of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one end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which causes the outer support wal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penetrates between the 112b and the inner support wall 112a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completely excluded.
  •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used for the connection of vertically installed pipes, such as the drainage pipe of the toilet or kitchen, when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drainage pipe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luid is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ion portion As a result, they penetrate between the connection sites. As such, the fluid penetrating between the connection sites may be suck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the sealing member due to the capillary phenomenon and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 the fluid may stay due to the capillary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 the exclusion of spac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likelihood of leaks.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itted to the guide support groove portion 112 i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ng pipe portion 11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upported by the inner support wall (112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he outer support wall It is fitted to the guide support groove portion 112 so as to be supported by (112b) is fixed to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 One sid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part 13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serves to seal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portion 131 and the skirt 135 of the ring portion 131 may be inclined to conne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with the through hole 132 formed therei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135 in an inward manner.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 pressure inducing portion 140 protruding obliquely.
  • the pressure guide portion 140 is relatively less protruded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32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skirt portion 135 and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32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further in the direction.
  • the pressure induction part 140 protrudes further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131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I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skirt portion 135 and the ring shape portion 131 toward the through hole 132 side.
  •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les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I) side.
  • the pressure guide portion 140 formed as described above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by the movement of the cap portion 130 mov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thereby mov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induced.
  • 15 shows a bending deformation process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by the pressure inducing unit 140.
  •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bent and deformed while sli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pressure inducing unit 140 for press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flexibly de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protrud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while being bent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side, so that one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 the oth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pressure inducing unit 140,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connected It is inserted in a wedge shape into a space formed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rget pipe 10 and the pressure induction portion 140.
  • the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used for the connection of vertically installed pipes, such as a drainage pipe of a bathroom or a kitchen, and thus when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drainage pip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duced.
  • the fluid stays in the pipe connection area and penetrates between the connection areas.
  • the cap 130 is inser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I by a screw coupling between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37, as shown in FIGS. 10 to 12.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ipe portion 111 while moving along.
  • the cap 130 is mov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by a screw coupling made between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37, the pressure guide portion 140 and the guide support groove ( The distance between the 112 is moved in the direction closer to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ipe portion (111).
  • the pressurizing guide part 140 moves in the direction closer to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by the movement of the cap part 130 mov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to move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induced.
  •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pressed by the pressure inducing unit 140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pressure inducing unit 140 press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While being warped and deformed,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de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while being bent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I).
  • the second sealing member 225 is provided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ring, for example, an O-ring shape, and is formed to include a ring-shaped plane corresponding to the ring-shaped plane of the support step 119 and the support step part ( It is installed to be located between the 119 and the pipe 10 to be connected.
  • the second sealing member 225 has one side close to the support step 119 between the support step 119 and the pipe 10 to be connected,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10 to be connected. By being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it serves to seal between the socket body portion 110 and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10 to be connected.
  • one-touch Sealing between the pipe connection device 200 and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connected thereto is made at two points. Thi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200 shown in FIG. 1 and FIG. 13 has shown the loose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cap part 130 is not made completely.
  • the loose state of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200 is a cap portion so that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or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can be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cap part 130 is in the state slightly extended to the inlet side edge part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so that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connection target inside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cap part 130 is maintained.
  • the pipe 10 may be inserted, and conversely,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may be pulled out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connection object pipe 10 passes through the cap part 130 through the through hole 132 formed in the cap part 130, a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thereby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That is, it may be connected to the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200.
  •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since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more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passes through the cap part 130 without difficulty.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 connection target pipe 10 and the insertion target pipe 10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part 111 are formed.
  • the insertion target pipe 10 may be inserted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one sealing member 120. That is, even if the cap 130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are not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can be easily and quickly connected to the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200.
  • the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200 is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or grabs the cap 130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of locking the cap 130, as shown in FIG. ,
  • the cap 130 is mov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by a screw coupling made between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37, the pressure guide portion 140 and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the pressure induction part 140 is moved in the direction close to the guide support groove 112 by the movement of the cap 130 mov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By press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I,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induced.
  •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pressed by the pressure inducing unit 140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pressure inducing unit 140 press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While being warped and deformed,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de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while being bent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I).
  • connection pipe part 111 As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de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ed connection object pipe 10,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is tightened from the outside. An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on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protrudes. It receives a force in the direction, whereby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more firmly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pport wall (112b)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the adhesion between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connection pipe 1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Since it is strengthened,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is firmly fixed not to fall into the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200, as well as the sealing performance between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and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can be improved.
  •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that tightly connects the pipe 10 to be connected from the outsid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10 to be connected protrud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by bending deformation.
  •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bent in the insertion direction (I) side.
  •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that is bent in the insertion direction I side pushes the force for pushing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I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Will be added.
  • connection object pipe 10 receives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ealing member 225. 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socket body portion 110 in which the second sealing member 225 is installed,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225 are more closely contacted, so that the connection object piping Sealing performance betwee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10) and the socket body portion 110 can be further improved.
  • connection target pipe 10 is firmly fixed so as not to fall into the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200, and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s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200
  • the second seal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ealing member 120 by using a shape deforma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that acts to tighten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and increase the seal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 the sealing force of 225 can also be increased together.
  •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the second sealing member 225 and the cap 130 is not separated from the state installed in the socket body 110.
  •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mple connection to the cap unit 130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1,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s firmly fixed so as not to fall into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200 is connected
  • the target pipe 10 can be connected to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200, as well as the sealing performance using the sealing action made at two different points by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225. It will be able to strengthen more.
  •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ipe to be connected to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 the cap part 13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so that the ring-shaped part 131 of the cap part 130 spans the inlet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connection object pip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such that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contacts the support step 119 inside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 connection pipe part 111 (4) fixed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111 by rotating the cap 130 in the locking direction
  • the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300 includes a connection pipe part 311 having a guide support groove 312 formed at an inlet side, and such a connection pipe part 311. It comprises a socket body portion 310 comprising a).
  • An inner support wall 11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support groove 312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311, that is, the side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311,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support groove 312.
  • the outer support wall 112b is formed in the adjacent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311. As shown in FIG.
  • the inner opening 312c is a portion in which the inner support wall 112a is not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support groove 312, and opens one side of the guide support groove 312 toward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ipe 311. It is a part.
  • the inner open portion 312c is formed to be provided in plural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311, and is alternately positioned with the inner support wall 112a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311. Is formed.
  •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pressed by the pressure inducing unit 140 may occur more freely, and thus,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Deforms to protrude further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ortion 131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inner open portion 312c is formed, thereby a stronger forc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object pipe 1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311.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 connection between the pipe 10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311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is prevented from occurring through a portion where the inner support wall 112a of the connection pipe 311 is formed.
  •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can be easily and quickly connected to the one-touch pipe connecting device 300, while the inside opening portion 312c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311 is formed.
  • the adhesion between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part 311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may be further strengthened so that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may not fall into the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300. It is fixed and the sealing performance between the connection pipe part 311 and the connection target pipe 10 can be further impr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는, 연결 대상 배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소켓본체부, 상기 소켓본체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 대상 배관과 상기 소켓본체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 및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될 때 상기 실링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본 발명은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이나 가스 등과 같은 유체의 공급에는, 통상 파이프라 칭하는 내부가 중공된 유동관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이프와 더불어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등이 채용된다.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파이프와 밸브 등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적절한 배관연결구가 채용된다.
배관연결구는, 파이프 연결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면서도 연결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또한 파이프 연결부위로부터 파이프가 부적절하게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통상적인 배관연결구에는, 배관연결구에 접속되는 파이프와 배관연결구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링, 및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임 부재가 채용된다.
고무링은 배관연결구 내부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과 배관연결구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파이프와 배관연결구 사이를 실링하며, 조임 부재는 파이프를 체결할 때 내경이 축소되어 파이프의 외주면을 조임으로써 파이프가 조임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연결, 즉 배관 연결 작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파이프와 배관연결구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조임 부재를 파이프의 외주면에 끼우고, 이와 함께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무링을 끼워준다.
그런 다음 외주면에 조임 부재 및 고무링이 끼워진 파이프를 배관연결구에 삽입한 후, 조임 부재를 파이프에 나사 결합 형태로 결합시켜 파이프의 외주면이 조임 부재에 의해 조여지도록 함으로써, 파이프가 조임 부재 및 배관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파이프와 배관연결구 사이는 고무링에 의해 실링되고, 배관연결구와 접속된 파이프는 조임 부재에 의해 배관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되는 형태로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관 연결 구조에 따르면,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시마다 조임 부재를 배관연결구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고, 파이프에 고무링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끼우거나 빼내야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파이프와 고무링 사이의 실링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링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고무링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시마다 고무링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파이프에 끼우거나 빼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조임 부재를 배관연결구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작업이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시마다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무링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파이프에 끼우거나 빼내야 하는 작업 및 조임 부재를 완전히 풀어내었다가 다시 결합시키는 작업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이 배관 연결 작업시마다 추가되면,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연결 작업 속도가 지연될 뿐 아니라, 작업 과정에서 분리된 고무링과 조임 부재와 같은 부품들이 분실될 우려도 있는 등 배관 연결 작업에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배관 연결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는, 연결 대상 배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소켓본체부, 상기 소켓본체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 대상 배관과 상기 소켓본체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 및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될 때 상기 실링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캡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캡부와 결합되는 상기 접속관부의 개방된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부에는 상기 캡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을 상기 삽입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실링부재의 휨변형을 유도하는 가압유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서 장축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에는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 단부로부터 상기 접속관부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의 단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지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의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내측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의 상기 접속관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외측지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내측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이 상기 외측지지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캡부가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될 때 상기 가압유도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일면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타면은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쐐기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링형상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휨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통과공이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접속관부의 내측을 향하며 외측면이 상기 접속관부의 외측을 향하는 링형상부 및 상기 링형상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유도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통과공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덜 돌출되고 상기 링형상부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통과공의 중심 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 외주면에는 제1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사이에는 상기 접속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지지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은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단턱부에 간섭되어 상기 삽입방향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지지단턱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본체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턱부는 상기 접속관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지지단턱부의 링 형상의 평면에 대응되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켓본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접속관부가 "ㄱ" 형상, "一" 형상, "T" 형상, "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부에는 상기 스커트부의 외측 및 상기 링형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그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홈은 상기 캡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따르면, 제1실링부재와 제2실링부재 및 캡부와 같은 부품이 소켓본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분리시키지 않고 캡부만을 살짝 풀어낸 상태로 연결 대상 배관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연결 및 해체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배관 연결 작업에 요구되는 각종 부품들의 분실 우려가 없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부를 접속관부에 결합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연결 대상 배관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키며 연결 대상 배관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1실링부재와 제2실링부재에 의해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실링 작용을 이용한 밀폐 성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F-F"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G"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연결 대상 배관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접속관부의 입구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실이예들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100)는 소켓본체부(110)와 실링부와 캡부(130)를 포함한다.
소켓본체부(110)는, 본 실시예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100)의 본체를 이루며,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 및 연결관부(115)를 포함한다.
접속관부(111)는, 연결 대상 배관(1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접속관부(111)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형상과 유사한 파이프(Pipe)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연결 대상 배관(10)은 그 길이방향 일측이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접속관부(111)와 연결된다.
연결관부(115)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를 연결시키는 부분에 해당된다. 연결관부(115)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는 연결관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관부(111)와 연결관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켓본체부(110)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가 "ㄱ" 형상, "一" 형상, "T" 형상, "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소켓본체부(110)는, 두 개의 접속관부(111)가 "ㄱ"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엘보 이음관, 두 개의 접속관부(111)가 "一"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일자형 이음관, 세 개의 접속관부(111)가 "T"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티형 이음관, 네 개의 접속관부(111)가 "十"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크로스 이음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외 세 개의 접속관부(111)가 "Y"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와이 이음관, 또는 구경이 서로 다른 접속관부(111)가 연결되는 이음관 등 여러 종류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본체부(110)가 두 개의 접속관부(111)가 "ㄱ"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엘보 이음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상기 연결관부(115)는, 접속관부(111)의 내경보다 짧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관부(115)는 접속관부(111)보다 작은 구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관부(115)와 접속관부(111) 사이에는, 연결관부(115)와 접속관부(111)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지지단턱부(119)가 형성된다.
지지단턱부(119)는 접속관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접속관부(1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단턱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단턱부(119)는, 접속관부(11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연결관부(115)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접속관부(1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은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지지단턱부(119)에 간섭되어 그 삽입방향(I) 위치가 구속된다.
그리고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는, 가이드지지홈부(112)가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 단부로부터 접속관부(111)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지지홈부(112)가 "V"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가이드지지홈부(112)는, 접속관부(111)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지지홈부(112)의 일측, 즉 접속관부(111)의 내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되고, 가이드지지홈부(112)의 타측, 즉 접속관부(111)의 외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외측지지벽(112b)이 형성된다.
실링부는, 소켓본체부(110)와 연결 대상 배관(10) 사이에 설치되어 접속관부(1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과 소켓본체부(110) 사이를 실링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는 제1실링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링부재(120)는, 캡부(130)와 결합되는 접속관부(111)의 개방된 입구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방향(I)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 예컨대 오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링부재(120)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 대상 배관(10)의 삽입방향(I)을 따라서 장축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링, 예컨대 오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링부재(120)는 캡부(130)가 회전되어 접속관부(111)와 결합됨에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유도부(140)에 의해 연결 대상 배관(10) 방향으로 용이하게 휨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휨 변형에 의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 및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쐐기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부재(120)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동시에 연결 대상 배관의 외경과 같거나 큰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15와 같이 연결 대상 배관(10)이 접속관부(111) 내로 삽입될 때 연결 대상 배관(10)의 단부에 의해서 제1실링부재가 접속관부(111) 방향으로 밀리거나 씹히는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제1실링부재(120)의 내경을 연결 대상 배관 이상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제1실링부재(120)의 단면을 타원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연결 대상 배관(10)을 접속관부(111)에 삽입할 때 연결 대상 배관(10)이 제1실링부재(120)와 접촉하는 순간 제1실링부재(120)가 연결 대상 배관(10)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밀림 또는 씹힘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연결 대상 배관(10)이 접속관부(111)에 삽입될 때, 연결 대상 배관(10)의 단부가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와 접촉하는 대신에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내측에 먼저 접촉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배관 연결 장치와 배관을 결합할 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이 밀림 또는 씹힘 현상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실링부재의 밀림 또는 씹힘 현상으로 인하여, 시공자들은 연결 장치와 배관 결합 과정에서 배관을 수차례 넣고 빼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며, 배관을 삽입한 이후에도 실링부재가 밀려 있는 상태를 시공자가 인지하지 못하게 되면 시공 이후 배관 연결 부위에서 유체가 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그러나 전술한 제1실링부재(120) 및 이하에서 설명될 가압유도부(140)의 구성으로 인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밀림 또는 씹힘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이 수차례의 실험 및 실제 시공 사례를 통해 입증되었다. 이로 인하여 배관 시공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이 대폭 줄어들고, 배관 시공 이후에도 밀림 또는 씹힘 현상으로 인하여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연결 부위에서 새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120)는,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되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설치되되, 그 내주면이 내측지지벽(112a)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이 외측지지벽(112b)에 의해 지지되도록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되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은 가이드지지홈부(112)에 지지되고, 제2실링부재(225)의 길이방향 타측은 캡부(130)가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때 캡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후술할 가압유도부(140)와 접촉된다.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는,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과 접속관부(111)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작용을 한다.
캡부(130)는, 접속관부(111)의 개방된 입구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캡부(130)의 내부에는 접속관부(1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캡부(130)는, 접속관부(1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캡부(130)는, 접속관부(111)에 결합되면서 실링부가 연결 대상 배관(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실링부를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부(130)는 링형상부(131)와 스커트부(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링형상부(131)는, 상기 통과공(132)이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링 형태로 마련된다. 캡부(130)가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때, 이러한 링형상부(131)의 내측면은 접속관부(111)의 내측을 향하며, 링형상부(131)의 외측면은 접속관부(111) 및 캡부(130)의 외측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스커트부(135)는, 링형상부(1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삽입방향(I)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커트부(135)는, 그 내주면이 링형상부(131)의 직경방향을 따라 통과공(132)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캡부(130)의 내측에는, 통과공(132)이 형성된 링형상부(131)의 내주면과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링형상부(131)의 내주면과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사이에 경사지게 돌출되는 가압유도부(140)가 형성된다.
가압유도부(140)는,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통과공(132)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고 링형상부(131)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통과공(132)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가압유도부(140)는,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링형상부(131)의 내측면으로부터 삽입방향(I) 측으로 더 돌출되고 통과공(132) 측으로 갈수록 링형상부(131)의 내측면으로부터 삽입방향(I) 측으로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가압유도부(140)는,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캡부(13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지지홈부(11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삽입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실링부재(120)의 휨변형을 유도한다. 도 15에는 이와 같은 가압유도부(140)에 의한 제1실링부재(120)의 휨변형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관부(111)와 캡부(130)가 나사 결합 형태로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 외주면에는 제1나사결합부(113)가 형성되고, 스커트부(135)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결합부(113)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2나사결합부(137)가 형성된다. 그리고 캡부(130)는,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캡부(130)는,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되,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속관부(111)에 결합된다. 즉 캡부(130)와 접속관부(111) 간의 결합이 진행될수록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서로 결합된 캡부(130)와 접속관부(111) 간의 결합 해제가 진행될수록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아울러 캡부(130)의 외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커트부(135)의 외측에는, 그립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캡부(130)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그립홈(137)이 캡부(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의 그립홈(137)은 스커트부(135)의 외측 및 링형상부(131)를 향해 개방되도록 스커트부(135)의 외주면에 오목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그립홈(137)은, 캡부(130)를 접속관부(111)에 결합시키거나 접속관부(111)에 결합된 캡부(130)를 풀어내기 위해 작업자가 캡부(130)를 잡고 회전시킬 때, 캡부(130)를 잡은 작업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그립홈(137)의 스커트부(135)의 외측을 향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작업자의 손가락이 그립홈(137)에 걸릴 수 있고, 그립홈(137)의 링형상부(131)를 향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작업자의 손바닥 부분이 걸릴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의 손가락과 손바닥 부분이 그립홈(137)에 함께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캡부(130)의 그립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써 캡부(130)를 접속관부(111)에 결합시키거나 접속관부(111)에 결합된 캡부(130)를 풀어내는 작업이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7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F-F"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G"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연결 대상 배관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접속관부의 입구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서는, 실링부가 제1실링부재(120) 및 제2실링부재(225)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제1실링부재(120)는, 캡부(130)와 결합되는 접속관부(111)의 개방된 입구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방향(I)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 예컨대 오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링부재(120)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 대상 배관(10)의 삽입방향(I)을 따라서 장축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링, 예컨대 오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링부재(120)는 캡부(130)가 회전되어 접속관부(111)와 결합됨에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유도부(140)에 의해 연결 대상 배관(10) 방향으로 용이하게 휨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휨 변형에 의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 및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쐐기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부재(120)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동시에 연결 대상 배관의 외경과 같거나 큰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15와 같이 연결 대상 배관(10)이 접속관부(111) 내로 삽입될 때 연결 대상 배관(10)의 단부에 의해서 제1실링부재가 접속관부(111) 방향으로 밀리거나 씹히는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제1실링부재(120)의 내경을 연결 대상 배관 이상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제1실링부재(120)의 단면을 타원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연결 대상 배관(10)을 접속관부(111)에 삽입할 때 연결 대상 배관(10)이 제1실링부재(120)와 접촉하는 순간 제1실링부재(120)가 연결 대상 배관(10)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밀림 또는 씹힘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연결 대상 배관(10)이 접속관부(111)에 삽입될 때, 연결 대상 배관(10)의 단부가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와 접촉하는 대신에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내측에 먼저 접촉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배관 연결 장치와 배관을 결합할 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이 밀림 또는 씹힘 현상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실링부재의 밀림 또는 씹힘 현상으로 인하여, 시공자들은 연결 장치와 배관 결합 과정에서 배관을 수차례 넣고 빼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며, 배관을 삽입한 이후에도 실링부재가 밀려 있는 상태를 시공자가 인지하지 못하게 되면 시공 이후 배관 연결 부위에서 유체가 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그러나 전술한 제1실링부재(120) 및 이하에서 설명될 가압유도부(140)의 구성으로 인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밀림 또는 씹힘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이 수차례의 실험 및 실제 시공 사례를 통해 입증되었다. 이로 인하여 배관 시공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이 대폭 줄어들고, 배관 시공 이후에도 밀림 또는 씹힘 현상으로 인하여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연결 부위에서 새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링부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의 단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지지홈부(112) 상에 안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의 단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지지홈부(112)의 접속관부(111)의 내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되고, 접속관부(111)의 외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외측지지벽(112b)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부재(120)가 가이드지지홈부(112)에 안착됨에 따라서 내측지지벽(112a) 및 외측지지벽(112b)은 각각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의 단부면과 서로 밀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배관 연결 장치와 배관을 연결할 때 다음 2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1) 실링부재 또는 O링을 먼저 배관에 끼우고, O링이 끼워진 상태로 배관을 연결 장치에 삽입함
2) 배관을 연결 장치에 삽입한 후 배관 상부에 O링을 끼우고, O링을 연결 장치 내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함
위 1), 2) 방식에 따르면 시공자가 배관을 연결 장치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O링을 배관에 끼우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와 같이 시공자가 O링을 배관에 직접 끼우게 될 경우 배관 연결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되며, 배관과 연결 장치 간의 수밀을 최대한으로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O링이 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을 전혀 보장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연결 대상 배관을 연결할 때에는 배관 연결 장치에 배관을 삽입하기 이전에 먼저 제1실링부재(120)를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하며, 그 이후에 연결 대상 배관을 접속관부 내부로 삽입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를 사용할 경우, 시공자가 연결 대상 배관에 제1실링부재(120)를 직접 끼울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 간의 차이는 본 발명의 제1실링부재(120)의 형상 및 가이드지지홈부(112)의 형상에 의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지지홈부(112)는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의 단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실링부재(120)를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하면 가이드홈부(112)의 내측지지벽(112a) 및 외측지지벽(112b)이 각각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의 단부면과 서로 밀착된다. 이로써 제1실링부재(120)가 움직이지 않고 가이드지지홈부(1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 대상 배관(10)이 삽입되면 앞서 설명된 제1실링부재(120)의 형상으로 인하여 제1실링부재(120)가 밀리거나 씹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지지홈부(112)의 외측지지벽(112b) 및 내측지지벽(112a)은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면과 완전히 밀착되는데, 이로 인해 외측지지벽(112b) 및 내측지지벽(112a)과 제1실링부재(120) 사이에 유체가 스며들 수 있는 공간이 완전히 배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는 주로 화장실이나 주방의 오배수관 등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연결에 쓰이는데, 이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배수관 내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이 감소할 경우 유체가 배관 연결 부위에 머무르게 되어 연결 부위 사이로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위 사이로 침투하는 유체는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접속관부와 실링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빨려 들어가 연결 장치를 통해 외부로 누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이드지지홈부(112)의 외측지지벽(112b) 및 내측지지벽(112a)은 제1실링부재(120)의 단부면과 완전히 밀착되므로 위와 같은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유체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배제시켜 누수의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120)는,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되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설치되되, 그 내주면이 내측지지벽(112a)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이 외측지지벽(112b)에 의해 지지되도록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되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은 가이드지지홈부(112)에 지지되고,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캡부(130)가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때 캡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후술할 가압유도부(140)와 접촉된다.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는,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과 접속관부(111)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캡부(130)의 내측에는, 통과공(132)이 형성된 링형상부(131)의 내주면과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링형상부(131)의 내주면과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사이에 경사지게 돌출되는 가압유도부(140)가 형성된다.
가압유도부(140)는,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통과공(132)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고 링형상부(131)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통과공(132)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가압유도부(140)는,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링형상부(131)의 내측면으로부터 삽입방향(I) 측으로 더 돌출되고 통과공(132) 측으로 갈수록 링형상부(131)의 내측면으로부터 삽입방향(I) 측으로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가압유도부(140)는,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캡부(13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지지홈부(11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삽입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실링부재(120)의 휨변형을 유도한다. 도 15에는 이와 같은 가압유도부(140)에 의한 제1실링부재(120)의 휨변형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휨 변형되되,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휨 변형된다. 이와 같이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이 삽입방향 측으로 휘어지면서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일면은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타면은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과 밀착되어,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 및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쐐기 형상으로 삽입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는 주로 화장실이나 주방의 오배수관 등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연결에 쓰이는데, 이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배수관 내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이 감소할 경우 유체가 배관 연결 부위에 머무르게 되어 연결 부위 사이로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유체가 떨어지거나 기타 외부 요인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진동, 그리고 배관이 설치되는 장소의 급격한 온도 변화(-10℃~40℃)로 인한 배관 및 연결 장치의 팽창 및 수축 현상으로 인하여, 배관 주변에 설치되는 실링부재(O링)에도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의 변형으로 인하여 배관과 실링부재, 또는 연결 장치와 실링부재 사이의 틈이 더욱 벌어지게 되어 배관 연결 부위에 고인 유체가 외부로 누수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유도부(140)에 의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휨 변형이 일어나고,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 및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쐐기 형상으로 삽입됨으로써 유체가 캡부(130)와 연결 대상 배관(10) 사이로 누수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부(13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속관부(111)에 결합된다.
이때 캡부(130)는,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되,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속관부(111)에 결합된다.
즉 가압유도부(140)는,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는 캡부(13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지지홈부(11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삽입방향(I)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실링부재(120)의 휨변형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유도부(140)에 의해 가압되는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휨 변형되되,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삽입방향(I) 측으로 휘어지면서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그리고 제2실링부재(225)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 예컨대 오링 형태로 마련되되, 지지단턱부(119)의 링 형상의 평면에 대응되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단턱부(119)와 연결 대상 배관(1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실링부재(225)는, 지지단턱부(119)와 연결 대상 배관(10) 사이에서 일측면이 지지단턱부(119)에 밀착되고 그 반대면이 연결 대상 배관(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소켓본체부(110)와 연결 대상 배관(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사이를 실링하는 작용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서 이루어지는 제1실링부재(120)의 실링 작용 및 접속관부(111)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제2실링부재(225)의 실링 작용에 의해,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 및 그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 배관(10) 간의 실링이 두 지점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아래에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는, 접속관부(111)와 캡부(130) 간의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풀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의 풀림 상태란,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연결 대상 배관(10)이 삽입되거나 접속관부(111)의 내부로부터 연결 대상 배관(10)이 빼내어질 수 있도록 캡부(130)가 접속관부(111)로부터 어느 정도 풀려진 상태를 말한다. 이때 캡부(130)는, 접속관부(1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접속관부(111)와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 단부에 살짝 걸쳐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의 풀림 상태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관부(111)와 캡부(130) 간의 결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연결 대상 배관(10)이 삽입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이 접속관부(111)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연결 대상 배관(10)은, 캡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과공(132)을 통해 캡부(130)를 통과하여 접속관부(111)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접속관부(111), 즉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120)가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연결 대상 배관(10)은 별 어려움 없이 캡부(130)를 통과하여 접속관부(1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접속관부(111)의 내주면 측에 형성된 내측지지벽(112a)에 의해 제1실링부재(120)의 내주면 측 위치가 구속되므로, 접속관부(1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과 제1실링부재(120)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연결 대상 배관(10)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캡부(130) 및 제1실링부재(120)를 접속관부(111)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아도,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쉽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후, 작업자가 캡부(130)를 잡고 캡부(130)를 잠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30)가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되,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속관부(1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압유도부(140)는,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는 캡부(13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지지홈부(11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삽입방향(I)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실링부재(120)의 휨변형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유도부(140)에 의해 가압되는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휨 변형되되,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삽입방향(I) 측으로 휘어지면서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됨에 따라,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접속관부(1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 대상 배관(10)을 외측으로부터 조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의 형상 변형에 따른 영향으로,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은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은 접속관부(111)의 외측지지벽(112b)에 더욱 굳건하게 밀착된다.
이에 따라 접속관부(111)와 제1실링부재(120) 간의 밀착력, 그리고 접속관부(1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과 접속관부(111)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120) 간의 밀착력이 강화되므로, 연결 대상 배관(10)이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됨은 물론, 접속관부(111)와 연결 대상 배관(10) 간의 밀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 대상 배관(10)을 외측으로부터 조이는 제1실링부재(120)는, 휨 변형에 의해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삽입방향(I) 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방향(I) 측으로 휘어지는 제1실링부재(120)의 단부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 대상 배관(10)을 삽입방향(I) 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실링부재(120)의 단부의 가압에 의해, 연결 대상 배관(10)은 그 길이방향 단부가 제2실링부재(225)에 밀착되는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실링부재(225)가 설치된 소켓본체부(110) 내부에서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길이방향 단부와 제2실링부재(225)이 더욱 강하게 밀착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되므로, 연결 대상 배관(10)의 길이방향 단부와 소켓본체부(110) 간의 밀폐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캡부(130)를 접속관부(111)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키며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결 대상 배관(10)을 조이며 연결 대상 배관(10)에 대한 실링력이 증가되도록 작용되는 제1실링부재(120)의 형상 변형을 이용하여 제2실링부재(225)의 실링력 또한 함께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는, 제1실링부재(120)와 제2실링부재(225) 및 캡부(130)가 소켓본체부(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분리시키지 않고 캡부(130)만을 살짝 풀어낸 상태로 연결 대상 배관(10)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연결 및 해체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배관 연결 작업에 요구되는 각종 부품들의 분실 우려가 없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는, 캡부(130)를 접속관부(111)에 결합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키며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1실링부재(120)와 제2실링부재(225)에 의해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실링 작용을 이용한 밀폐 성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요약하면,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연결 대상 배관을 연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1) 제1실링부재(120)를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함
(2) 캡부(130)의 링형상부(131)가 접속관부(111)의 입구에 걸쳐지도록 상기 캡부(131)를 상기 접속관부(111)와 연결함
(3) 상기 연결 대상 배관(10)의 단부가 상기 접속관부(111) 내부의 지지단턱부(119)와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 대상 배관(10)을 상기 접속관부(111)에 삽입함
(4) 상기 캡부(130)를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접속관부(111)에 고정 결합함
한편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300)는, 입구 측에 가이드지지홈부(312)가 형성된 접속관부(311) 및 이러한 접속관부(311)를 포함하는 소켓본체부(310)를 구비한다.
접속관부(311)의 입구 측에 형성된 가이드지지홈부(312)의 일측, 즉 접속관부(311)의 내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되고, 가이드지지홈부(312)의 타측, 즉 접속관부(311)의 인접한 측에는 외측지지벽(1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된 가이드지지홈부(312)의 일측에는, 내측개방부(312c)가 형성된다. 내측개방부(312c)는 가이드지지홈부(312)의 일측 부분에서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가이드지지홈부(312)의 일측을 접속관부(311)의 중심을 향해 개방시키는 부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개방부(312c)는 접속관부(31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되, 접속관부(311)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지지벽(112a)과 교대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측개방부(312c)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가압유도부(140)에 의해 가압되는 제1실링부재(120)의 휨 변형이 좀 더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실링부재(120)는 내측개방부(312c)이 형성되는 부분을 통해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변형됨으로써, 접속관부(3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에 더욱 강한 힘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접속관부(311)의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서는 접속관부(3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과 제1실링부재(120)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연결 대상 배관(10)의 삽입이 이루어짐으로써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300)에 쉽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한편, 접속관부(311)의 내측개방부(312c)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접속관부(3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과 제1실링부재(120) 간의 밀착력이 더 강화될 수 있게 됨으로써 연결 대상 배관(10)이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300)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되고 접속관부(311)와 연결 대상 배관(10) 간의 밀폐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연결 대상 배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소켓본체부;
    상기 소켓본체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 대상 배관과 상기 소켓본체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 및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될 때 상기 실링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캡부와 결합되는 상기 접속관부의 개방된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캡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을 상기 삽입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실링부재의 휨변형을 유도하는 가압유도부가 형성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서 장축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에는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 단부로부터 상기 접속관부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의 단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지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의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내측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의 상기 접속관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외측지지벽이 형성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내측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이 상기 외측지지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에 고정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캡부가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될 때 상기 가압유도부와 접촉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일면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타면은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쐐기 형상으로 삽입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링형상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휨 변형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통과공이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접속관부의 내측을 향하며 외측면이 상기 접속관부의 외측을 향하는 링형상부 및 상기 링형상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도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통과공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덜 돌출되고 상기 링형상부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통과공의 중심 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 외주면에는 제1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사이에는 상기 접속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지지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은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단턱부에 간섭되어 상기 삽입방향 위치가 구속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지지단턱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본체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턱부는 상기 접속관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지지단턱부의 링 형상의 평면에 대응되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접속관부가 "ㄱ" 형상, "一" 형상, "T" 형상, "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에는 상기 스커트부의 외측 및 상기 링형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그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홈은 상기 캡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PCT/KR2017/011392 2016-12-06 2017-10-16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WO201810587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68,654 US11002389B2 (en) 2016-12-06 2017-10-16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ES17879421T ES2899039T3 (es) 2016-12-06 2017-10-16 Dispositivo de conexión de tubería de un toque
EP17879421.0A EP3553362B1 (en) 2016-12-06 2017-10-16 One-touch pipe connecting apparatus
JP2018521033A JP6790090B2 (ja) 2016-12-06 2017-10-16 ワンタッチ配管連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146A KR101755002B1 (ko) 2016-12-06 2016-12-06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KR10-2016-0165146 2016-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877A1 true WO2018105877A1 (ko) 2018-06-14

Family

ID=5935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1392 WO2018105877A1 (ko) 2016-12-06 2017-10-16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02389B2 (ko)
EP (1) EP3553362B1 (ko)
JP (1) JP6790090B2 (ko)
KR (1) KR101755002B1 (ko)
ES (1) ES2899039T3 (ko)
WO (1) WO20181058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167A3 (es) * 2021-05-06 2023-04-20 Abn Pipe Systems S.L.U Conjunto de piezas para desagüe de aguas negras en viviend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72A (ko) 2018-04-03 2019-10-14 김동학 배관 연결구
KR102035976B1 (ko) * 2019-05-24 2019-10-23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KR102180742B1 (ko) 2019-06-03 2020-11-19 두리화학 주식회사 이중관 연결 장치
JP1718605S (ja) * 2021-05-31 2022-06-29 パイプ接続用チューブ
USD999884S1 (en) * 2021-05-31 2023-09-26 Jong Ho Lee Pipe connecting tub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986Y1 (ko) * 1991-04-22 1993-07-26 성충호 관 연결구
KR100363956B1 (ko) * 1999-11-29 2002-12-11 가부시키가이샤 키타무라고킨 세이사쿠쇼 확인구멍 보호커버를 장착한 관커플러
KR100597167B1 (ko) * 2006-03-21 2006-07-04 오춘근 관 연결구
JP4205153B1 (ja) * 2008-09-08 2009-01-07 シーケー金属株式会社 異物侵入防止機能付き管継手
KR20160103701A (ko) * 2015-02-25 2016-09-02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체크홀이 구비된 연결관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4771A (en) * 1935-11-16 1938-04-19 Turner & Newall Ltd Pipe joint and packing ring for use therein
GB525153A (en) * 1939-02-15 1940-08-22 Turner & Newall Ltd Improvements in pipe joints
US2452278A (en) * 1945-06-29 1948-10-26 George V Woodling Tube coupling device
US2561887A (en) * 1948-11-16 1951-07-24 Dresser Ind Ball lock coupling
US2703719A (en) * 1952-06-14 1955-03-08 Bendix Aviat Corp Removable seat for pipe joint packing
GB742110A (en) * 1952-10-09 1955-12-21 Samuel Booth & Compan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joints or couplings for pipes or tubes
US2780483A (en) * 1953-03-30 1957-02-05 Ladish Co Sealed joint for pipes having conical tapered interfaces
FR2041651A6 (ko) * 1969-05-16 1971-01-29 Belles Ondes Forges
FR2079912A6 (ko) * 1970-02-17 1971-11-12 Belles Ondes Forges
GB1586862A (en) * 1976-07-24 1981-03-25 Mcalpine & Co Ltd Pipe joints
SE444712B (sv) * 1980-06-06 1986-04-28 Ekman K R Kopplingsanordning med han- och hondelar och dessa tilldelade lasorgan
US4353580A (en) * 1980-07-03 1982-10-12 Houck Theodore B Apparatus for removably attaching a pipe
US4395060A (en) * 1981-02-20 1983-07-26 Lapham Edward L Portable, reusable pipe coupling
DE3567950D1 (en) * 1984-12-11 1989-03-02 Agintec Ag Tube coupling
DE3637975A1 (de) * 1986-11-07 1988-05-19 Raimund Andris Rohrverbindung
KR940001254Y1 (ko) 1991-08-19 1994-03-09 김정오 삽입식 이중 자물쇠
JPH11218273A (ja) * 1998-01-30 1999-08-10 Kubota Corp 管継手構造
JP2931977B1 (ja) 1998-07-31 1999-08-09 セイワ工業株式会社 コンジットパイプ用管継ぎ手
US6481763B2 (en) * 2000-02-11 2002-11-19 Superior Workshop Tool Company Waste pipe connector
DE10023692A1 (de) * 2000-05-16 2001-11-22 Neumo Gmbh & Co Kg Verbindung für medienführende Teile
AUPR447001A0 (en) * 2001-04-19 2001-05-17 Philmac Pty Ltd Pipe coupling
US9611958B1 (en) * 2007-01-05 2017-04-04 Zurn Industries, Llc Combination mechanical/fusion pipe fitting with push connect coupling arrangement
KR101020744B1 (ko) * 2010-03-29 2011-03-09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CN103270357B (zh) 2011-01-13 2015-08-12 小林一三 压力配管的连接结构
KR101436351B1 (ko) 2012-12-21 2014-09-02 이종태 결착력과 수밀성이 우수한 이음관
US9671049B1 (en) * 2016-07-27 2017-06-06 Quick Fitting, Inc. Hybrid push-to-connect fitting device and assembly
EP3428498B1 (de) * 2017-07-11 2020-06-17 Lutec GmbH Verwalt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Rohr, insbesondere kunststoffrohr für abwasserleitung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986Y1 (ko) * 1991-04-22 1993-07-26 성충호 관 연결구
KR100363956B1 (ko) * 1999-11-29 2002-12-11 가부시키가이샤 키타무라고킨 세이사쿠쇼 확인구멍 보호커버를 장착한 관커플러
KR100597167B1 (ko) * 2006-03-21 2006-07-04 오춘근 관 연결구
JP4205153B1 (ja) * 2008-09-08 2009-01-07 シーケー金属株式会社 異物侵入防止機能付き管継手
KR20160103701A (ko) * 2015-02-25 2016-09-02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체크홀이 구비된 연결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53362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167A3 (es) * 2021-05-06 2023-04-20 Abn Pipe Systems S.L.U Conjunto de piezas para desagüe de aguas negras en viviend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3362A4 (en) 2020-05-06
ES2899039T3 (es) 2022-03-09
EP3553362B1 (en) 2021-10-27
EP3553362A1 (en) 2019-10-16
KR101755002B1 (ko) 2017-07-07
JP6790090B2 (ja) 2020-11-25
US20190063643A1 (en) 2019-02-28
US11002389B2 (en) 2021-05-11
JP2019505734A (ja)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5877A1 (ko)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WO2013032254A2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WO2013048039A2 (ko)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WO2021040164A1 (ko) 파이프 연결용 피팅장치
WO2019027082A1 (ko) 유니언
WO2016108517A1 (ko)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WO2019221495A1 (ko) 관 연결 조립체
WO2013187648A1 (ko) 배관 연결 장치
WO2018012777A1 (ko)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WO2018012681A1 (ko) 내진용 무홈 커플링
WO2019182192A1 (ko) 파이프 커넥터
WO2011034254A1 (en) Spiral-type flexible pipe connector
WO2011102637A2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WO2017003023A1 (ko) 파이프 연결장치
WO2017179806A1 (ko) 밀폐형 슬리브
WO2018225915A1 (ko) 파이프 커버 기능을 갖는 배관 커플러
WO2021096101A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WO2016159626A1 (ko) 유로관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WO2020242001A1 (ko)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WO2014030829A1 (ko)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WO2014092371A1 (ko) 수밀구조를 갖는 파이프 이음구
WO2013081266A1 (ko) 유체 이송용 커플러
WO2009145487A2 (ko) 파이프용 연결물
WO2016080581A1 (ko) 삽입 고정식 파이프 연결장치
WO2016108591A1 (ko) 구동축용 밀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2103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94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794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