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772A -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772A
KR20190115772A KR1020180038870A KR20180038870A KR20190115772A KR 20190115772 A KR20190115772 A KR 20190115772A KR 1020180038870 A KR1020180038870 A KR 1020180038870A KR 20180038870 A KR20180038870 A KR 20180038870A KR 20190115772 A KR20190115772 A KR 2019011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horizontal
vertical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학
Original Assignee
김동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학 filed Critical 김동학
Priority to KR102018003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772A/ko
Publication of KR2019011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욕실, 세면기, 변기, 주방 싱크대 등의 냉온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수직배관의 하측으로 연결구를 끼움으로써 수평배관의 설치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연결구는 수직 방향으로 수직배관이 끼워지는 소켓을 형성하는 한편 전방으로 일정길이는 갖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는 측방으로 수평배관이 끼워지는 소켓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구{PIPE CONNECTOR}
본 발명은 건축물의 욕실, 세면기, 변기, 주방 싱크대 등의 냉,온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벽면의 하단에서 바닥의 좌우측으로 배관을 연결할 때 한 번에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축물의 욕실, 세면기, 변기, 주방 싱크대 등의 냉온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엘보와 T관을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수직으로 수직배관(10)이 함몰되게 홈을 형성하여 배치하고, 수직배관(10)의 상측으로는 엘보(21)를 끼워서 수도꼭지나 샤워기 등이 결합되게 하고, 수직배관(10)의 하측으로는 엘보(22) 또는 T관(41)을 끼워서 수평 배관(30)이 바닥의 좌우측을 향하게 설치하여야 하나, 벽면의 표면을 타일 등으로 마감공사를 하게 되면, 엘보(22)나 T관(41)의 대부분이 파묻히게 되거나, 극히 일부만 돌출되기 때문에 수직배관(10)의 하측으로 하나의 엘보(21) 또는 T관(41)을 연결하여서는 수평배관(30)을 횡방향으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에도 수직배관(10)의 하측으로 엘보(22)를 설치하되 상기 엘보(22)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의 연결배관(20)을 끼운 다음 상기 연결배관(20)에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는 엘보(23)를 끼우거나 T관(41)을 끼움으로써, 수평배관(30)이 벽면에서 돌출되어 바닥을 타고 수평으로 설치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바닥에서 연결배관(2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엘보(22)(23)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소 2번의 엘보 연결 작업을 필요로 하는 한편 수평배관(30)의 방향성을 맞추어 주어야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02036호(2005.11.18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20424호(2006.06.26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755002호(2017.06.30. 등록)
본 발명은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냉,난방용 수직배관의 하측으로 바닥과 벽면 사이의 공간을 타고 수평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직배관의 하측으로 2개의 엘보를 사용하여 연결배관을 연결시켜 주어야만 벽면의 마감공사가 완료되어도 수평배관의 설치가 자유롭기 때문에 수직배관의 하측에서 연결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엘보를 끼우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번거러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수직배관의 하측으로 연결구를 끼움으로써 수평배관의 설치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구는 수직 방향으로 수직배관이 끼워지는 소켓을 형성하는 한편 전방으로 일정길이는 갖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는 측방으로 수평배관이 끼워지는 소켓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수직배관의 하측으로 연결구의 소켓을 끼우게 되면 전방으로 연결부만큼 돌출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소켓이 형성되어 수평배관을 간단히 끼울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연결부의 전방으로 양쪽 방향으로 소켓을 형성하여 양쪽에서 수평배관을 끼울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연결부는 필요에 따라 5~20cm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은 PVC 배관 또는 엑셀 배관을 연결하는 엘보나 T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 번 소켓을 끼우는 작업만으로 벽면 마감에 관계없이 수평방향에서 수평배관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마감공사로 묻히게 되는 수직배관의 하측으로 벽면과 바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수평배관을 설치함에 있어서, 수직배관의 하측으로 연결구를 끼워주되 상기 연결구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수직배관이 끼워지는 소켓을 형성하는 한편 타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수평배관이 끼워지는 소켓을 형성하는 것으로, 수직배관의 하측에 연결구를 끼우는 것으로 수평배관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수직배관의 하측에서 두 개의 엘보와 연결배관을 사용하여 수평배관을 설치하지 않고, 수직배관의 하부에 연결구를 끼우는 것만으로 수평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엘보를 사용한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기존 엘보 사시도
도 3은 기존의 엘보와 T관을 사용한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은 기존 엘보와 T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구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구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연결구 다른 사용예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구 다른 사용예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구 다른 실시예 사용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구 다른 실시예 사시도
본 발명은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냉,온수용 배관의 바닥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연결부 양쪽에 각각 수직방향의 소켓과 수평방향의 소켓이 설치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배관을 연결하는 것으로, 기존과 같이 두 개의 엘보와 연결배관을 사용하지 않고도 하나의 연결구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길이의 연결부에 의해 벽면의 전방에서 일정길이를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관이 벽면과 바닥 사이에 간편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어서,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간편한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51)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수직배관(10)이 끼워지는 소켓(5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배관(30)이 끼워지는 소켓(53)이 형성되는 연결구(50)를 이용하여 수직배관(10)과 수평배관(30)을 간편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수직배관(10)은 벽면에 함몰되어 설치되고, 수평 배관(30)은 바닥에 함몰되어 설치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수직배관(10)이 벽면에 함몰되게 설치되는 것과, 벽면과 바닥 사이에 수평 배관(30)이 설치되는 것은 당연한 사실로써, 본 발명에서는 도 5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50)를 이용하여 한 번에 수직배관(10)과 수평배관(30)을 끼우는 것이다.
기존에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배관(10)의 하측으로 엘보(22)를 연결하고, 상기 엘보(22)에는 연결배관(20)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배관(20)에는 엘보(23)를 연결하며, 상기 엘보(23)에는 수평배관(30)을 연결하기 때문에 수직배관(10)과 수평배관(30) 사이에 두 개의 엘보(22)(23)와 하나의 연결배관(20)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 공수가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길이를 갖는 연결부(51)의 양쪽으로 수직과 수평방향을 향하는 소켓(52)(53)을 형성한 연결구(50)를 이용하여 수직배관(10)과 수평배관(30)을 한 번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연결구(50)는 양쪽에 수직 방향으로 수직배관(10)을 끼우는 소켓(52)을 형성하는 한편 수평 방향으로 수평배관(30)을 끼우는 소켓(53)을 형성하는 한편 소켓(52)(53) 사이를 일정 길이의 연결부(51)로 연결하는 것으로, 수직배관(10)의 하부에 소켓(52)을 끼우게 되면, 연결부(51)에 의해 소켓(53)이 일정거리를 벽면에서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때 소켓(53)은 수평방향을 향하게 되어 수평배관(30)이 끼워지기 때문에 간편하게 수직배관(10)의 하측으로 연결구(50)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벽면과 바닥사이에 수평배관(30)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과 같이 두 개의 엘보(22)(23)와 하나의 연결배관(20)을 별도로 결합하지 않고도 하나의 연결구(50)를 이용하여 수직배관(10)과 수평배관(30)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연결부(51)의 길이를 5~20cm로 조절하여 제작하면, 다양한 조건에서의 작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50)의 일측에 한쪽 방향으로만 소켓(53)을 형성하지 않고, 양쪽 방향으로 소켓(53)(54)을 형성함으로써, 마치 기존 방식에서 T관(41)을 연결하는 것과 같은 연결구(50a)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수직배관(10)의 하부에서 양쪽 방향으로 수평배관(30)(31)을 설치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구(50)(50a)는 PVC 배관을 이용하는 원터치 방식의 엘보나 T관에 적용하여도 무관하고, 엑셀 배관을 연결하는 엘보나 T관에 연결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연결구(50)(50a)에 PVC 또는 엑셀 배관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 형태에 따라 연결구(50)(50a)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벽면의 마감작업이나 바닥의 마감 작업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배관을 할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연결구(50)(50a)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10 : 수직배관 20 : 연결배관
21.22.23 : 엘보 30,31 : 수평배관
41 : T관 50,50a : 연결구
51 : 연결부 52,53,54 : 소켓

Claims (2)

  1.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수직배관(10)의 하측에 벽면과 바닥 사이에 수평배관(30)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관(10)과 수평배관(30) 사이에 연결구(50)를 설치하여 수직배관(10)과 수평배관(30)이 연결구(50)를 통하여 연결되게 하되 상기 연결구(5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51)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배관(10)이 끼워지는 소켓(52)을 형성하는 한편 타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수평배관(30)이 끼워지는 소켓(5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5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배관(10)이 끼워지는 소켓(52)을 형성하는 한편 타측에는 양쪽 수평방향으로 수평배관(30)(31)이 끼워지는 소켓(53)(54)을 형성되게 연결구(50a)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KR1020180038870A 2018-04-03 2018-04-03 배관 연결구 KR20190115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70A KR20190115772A (ko) 2018-04-03 2018-04-03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70A KR20190115772A (ko) 2018-04-03 2018-04-03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72A true KR20190115772A (ko) 2019-10-14

Family

ID=6817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870A KR20190115772A (ko) 2018-04-03 2018-04-03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77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36Y1 (ko) 2005-08-23 2005-11-24 주식회사 이튜브 급수배관용 엘보우
KR200420424Y1 (ko) 2006-04-13 2006-07-04 주식회사 애강 배관용 연결구
KR101755002B1 (ko) 2016-12-06 2017-07-07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36Y1 (ko) 2005-08-23 2005-11-24 주식회사 이튜브 급수배관용 엘보우
KR200420424Y1 (ko) 2006-04-13 2006-07-04 주식회사 애강 배관용 연결구
KR101755002B1 (ko) 2016-12-06 2017-07-07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8613C (en)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US4118854A (en) Powder room and bathroom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10604917B2 (en) Flushing station for a ring-pipe or series-pipe system, ring-pipe system as well as series-pipe system
CA2899695C (en) Pipe connector and arrangement with a pipe connector
KR20190115772A (ko) 배관 연결구
KR200382026Y1 (ko) 수전이음쇠의 고정장치
KR100777643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043019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KR100703626B1 (ko) 욕실 냉온수 배관 결합장치
GB2592176A (en) Prebuilt module for installing water-related fittings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JP2006275074A (ja) 配管固定具
KR200413493Y1 (ko) 욕실 냉온수 배관 결합장치
JP5839532B2 (ja) ジョイントユニット
KR20080071239A (ko) 방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102351575B1 (ko)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US20220333366A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floor drains
KR102351576B1 (ko)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904507B1 (ko) 수전용 벽체 매입형 헤더
CN211951830U (zh) 一种冷热水管双联配件
JP2777591B2 (ja) バスシステムとこれを組み立てるためのユニットバス
KR20070076632A (ko) 수전이음관
AU2014246631A1 (en) Plumbin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6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31

Effective date: 2020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