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424Y1 - 배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24Y1
KR200420424Y1 KR2020060009845U KR20060009845U KR200420424Y1 KR 200420424 Y1 KR200420424 Y1 KR 200420424Y1 KR 2020060009845 U KR2020060009845 U KR 2020060009845U KR 20060009845 U KR20060009845 U KR 20060009845U KR 200420424 Y1 KR200420424 Y1 KR 200420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diameter
connector
reinforcement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균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강
Priority to KR2020060009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와 입구가 마련되고, 상호 관통되게 형성되어 이종 또는 동종의 파이프를 연결하도록 된 배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출입구 내경의 어느 위치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내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출입구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 내경에 삽입되는 원통형 보강관을 포함한다.
따라서, 온수가 이동하면서 연결구의 출입구에 연결된 파이프의 물리적으로 성질이 변화될 때, 이 파이프가 연결구에 연결되는 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오링의 실링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그랩링에 의해 원통형 파이프의 형상에서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실링효과가 저하되거나 결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파이프의 선단 내경에 삽입되는 보강용 보강관으로 예방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보강관을 통하여 종래의 보강용 보강관을 삽입하지 않고도 파이프가 온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과 작업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배관용 연결구를 제공한다.
배관, 파이프

Description

배관용 연결구{pipe laying connectting tool}
도 1은 종래 배관용 연결구와 파이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배관용 연결구와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와 파이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와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연결구 102 : 파이프
103 : 보강관 104 : 받침부
105 : 그랩링 106 : 고정핀
107 : 하부 와셔 108 : 오링
109 : 캡부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와 입구가 마련되고, 상호 관통되게 형성 되어 이종 또는 동종의 파이프를 연결하도록 된 배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출입구 내경의 어느 위치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내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출입구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 내경에 삽입되는 원통형 보강관을 포함함으로써, 보강관을 통하여 파이프가 온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과 작업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배관용 연결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이나 유류와 같은 유체나 가스와 같은 기체를 수송하는 데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상의 제약에 의해 일정길이, 예를 들면, 6m와 같은 일정 규격으로 제조되어 발매되고 있다.
따라서, 일정 길이 보다 긴 구간이나 짧은 구간에 파이프를 설치한다든가 일정각도 절곡되어 파이프를 배관해야 할 경우에는 파이프 연결구를 사용하거나 파이프를 서로 연결 용접하여야 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결구에 파이프를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에 삽결되는 그랩링(2)과 연결구(1)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상기 그랩링(2)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중공부(3)로 연계되는 다수개의 고정핀(4)은 도면상 중심 상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경면에는 소정폭의 플랜지(5)가 연계형성된다.
상기한 그랩링(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에 삽결되어 한번 삽입되는 파이프(6)가 삽입방향(이하, 순방향이라 함)의 반대방향(이하, 역방향이라 함)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그랩링(상부 그랩링(2a), 하부 그랩링(2b))이 포개어져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부 그랩링(2a)의 플랜지(5) 저면과 하부 그랩링(2b)의 플랜지(5) 상면사이에는 보철링(도시하지 않음)을 게재시킨 후 연결구(1)에 삽결시킬 수도 있다.
즉, 하나의 그랩링(2)으로는 연결구(1)로 삽입되는 파이프(6)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지지력이 약하므로 두 개의 그랩링(2)이 연속적으로 삽결된 형태로 사용되는 바, 파이프(6)가 삽입될 때에는 도 3과 같이 그랩링(2)의 고정핀(4)이 순방향을 향하여 벌어진(열린)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데 반하여, 역방향으로 파이프(6)가 빠져나가려 할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그랩링(2a) 고정핀(4)이 역방향으로 밀리면서 타측의 그랩링(2b) 고정핀(4)에 저지되므로 견고한 고정결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그랩링(2)은 물결모양으로 연계형성된 고정핀(4)이 단지 절곡된 상태, 즉 중심을 향하여 상향으로 꺽어진 형상이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6)가 연결구(1)에 삽입될 때, 파이프(6)의 외경에 일정깊이 파고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뒷단에 배치되는 오링(7)은 연결구(1)의 나사부(1a)에 체결되는 캡부(8)의 체결에 따라 하부 와셔(9)와 캡부(8) 사이에서 압착되어 실링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결합구조에서는 파이프(6)와 연결구(1)를 통하여 차 거운 냉수만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뜨거운 온수도 이송된다.
따라서, PVC로 사출성형되는 배관용 연결구(1)의 경우 구조적으로 그 두께가 두껍게 성형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6)를 연결구(1)에 연결시킬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흐르는 온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설령 온수의 영향을 받아 경질의 재질이 비교적 연질로 물성변화한다고 할지라도 완전한 물성변화도 아닌 까닭에 모양이나 형상이 변형되거나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연결구(1)에 결합되는 파이프(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을 가압하고 연결구(1)의 내측으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뒷단으로부터 오는 캡부(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반발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온수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성질이 변할 경우(연질성-흐물흐물해짐), 그랩링(2)이 내경을 더욱 더 파고들어가기 때문에 연결구(1)의 내경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함으로써, 탄력적으로 오링(7)을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누수의 원인이 되곤 하였다.
아울러, 체결되는 캡부(8)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자칫 원통형 파이프(6)의 형상을 미세하게 변형시킬 경우 이 변형된 형상에 의하여 틈이 발생함으로써, 누수의 원인이 되며, 특히, 체결되는 캡부(8)에 대항하여 탄력적인 반발력으로 오링(7)과 캡부(8)를 지지하여야 하는 그랩링(2)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캡부(8)와 나사부(1a)는 그 체결력이 약화되므로 오링(7)의 실링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고안한 것이 보강용 보강 관(10)이다.
즉, 상기 파이프(6)의 선단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보강관(10)을 삽입시키고, 연결구(1)의 내경으로는 일정 두께의 보조관(12)을 삽입시켜, 온수에 의해 파이프(6)의 온도가 상승되어 그랩링(2)이 파이프(6)를 가압시키더라도 원통형의 모양과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특히, 파이프(6)의 두께를 보강관(10)과 보조관(12)이 한층 더 보강함으로써, 온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보강관(10)과 보조관(12)에 의하여 온수에 의한 영향은 최소화하였으나, 조립부품이 하나 더 증가하게 됨으로써, 조립공수가 늘어나고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새롭게 대두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파이프에 삽입되는 보강관을 연결구에 일체로 형성하여 파이프를 연결구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파이프의 내경으로 보강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작업공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101a)와 입구(101a)가 마련되고, 상호 관통되게 형성되어 이종 또는 동종의 파이프(102)를 연결하도록 된 배관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101a) 내경의 어느 위치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내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개구부(101b)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출입구(101a) 의 개구부(101b)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102) 내경에 삽입되는 원통형 보강관(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관(103)과 출입구(101a)의 내경면 사이는 파이프(102)의 두께 만큼 이격되게 하고, 상기 출입구(101a)의 내경면 어느 위치에서 개구부(101b)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받침부(10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101)는 관이음에 사용되는 모든 연결구(101)에 적용되는 것으로, 첨부된 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배관(관이음)에 사용되는 연결구(101)는 종류·크기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型)이 있으며, 예를 들면, 직각으로 접속하는 엘보(elbow), T형으로 접속하는 티, Y형으로 접속하는 90°Y, 십자형으로 접속하는 크로스, U형으로 접속하는 귀환 벤드(return bend) 등과 나열하지 않은 그 밖의 연결구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T형으로 접속하는 티를 실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배관에 사용되는 연결구(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101a)와 입구(10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호 관통되게 형성되어 내, 외경의 크기가 다른 이종 또는 내, 외경의 크기가 같은 동종의 파이 프(102)를 연결하여, 파이프(102) 내부로 이송되는 유체의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유체의 이송거리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01)의 출입구(101a) 내경 일정 깊이의 위치에서 보강관(103)이 유체가 출입하는 개구부(101b)를 향하여 연장형성될 수 있게 하는 바, 이 보강관(103)은 이송되는 고온의 온수에 의하여 파이프(102)가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는 것이므로 유체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안에서 가급적 그 두께를 두껍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관(103)이 연결구(101)의 출입구(101a) 내경면(101c)(101c)에서 일체로 연장되게 할 때, 출입구(101a)로 삽입되는 파이프(102) 내경면이 보강관(103)의 외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이프(102)의 선단 외경이 보강관(103)과 연결구(101)의 내경면(101c)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파이프(102)의 내경으로는 연결구(101)와 일체로 성형된 보강관(103)이 삽입됨으로써, 연결구(101)의 출입구(101a) 내경으로 삽입된 파이프(102)의 흔들림과 같은 미동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연결구(101)의 출입구(101a) 내경면(101c)과 보강관(103) 사이에는 파이프(102)의 선단이 끼워지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연결구(101)의 내경면(101c)과 보강관(103)이 원통형 파이프(102)의 내, 외경면에서 파이프(102)를 고정시키고 밀착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연결구(101)의 내경면(101c)과 보강관(103)에 의한 파이프(102) 고정 기능과 밀착기능에 의하여 오랜사용에도 강력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오랜사용으로 인한 틈새발생을 억제하고 누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01)의 내경면(101c)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랩링(105)의 고정핀(106)이 지지될 수 있는 받침부(104)를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일체성형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랩링(105)의 고정핀(106)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 와셔(도 1의 도면부호 '11')의 삽입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파이프(102)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구(101)의 출입구(101a) 내경으로 삽입되는 상부 와셔(도 1의 도면부호 '11'), 그랩링(105) 및 하부 와셔(107)와 오링(108)은 파이프(102)가 캡부(109)에 간섭되어 연결구(101)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수단임은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으나, 그 중 상부 와셔(도 1의 도면부호 '11')는 그랩링(105)이 파이프(102)의 삽입방향으로 가해지는 캡부(109)의 가압력에 반발할 수 있도록 그랩링(105)의 고정핀(106)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종래에는 연결구(1)의 내경면에 'ㄴ'자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부 와셔(도 1의 도면부호 '11')를 삽입하였는 바, 받침부(104)가 연결구(101)에 일체로 성형됨으로 인하여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같이 상부 와셔(도 1의 도면부호 '11')를 삽입하지 않아도 받침부(104)에 의하여 그랩링(105)의 고정핀(106)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와 연결구와는 별도로 존재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보강관을 연결구에 일체로 성형하되, 이 보강관이 연결구의 출입구 내경면과 파이프의 두께 만큼 이결성형될 수 있게 함으로써, 파이프의 선단을 밀착고정시킴은 물론, 파이프에 삽입되는 보강관에 의하여 고온의 온수가 이송되더라도 파이프가 온수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한다 할지라도 보강관에 의해 원통형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최초 결합시의 결합력과 기밀이 오랜사용에도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출입구의 내경면에 그랩링의 고정핀을 지지할 수 있는 일정 기울기의 받침부가 일체로 성형되게 함으로써, 상부 와셔의 조립배제에 따른 부품수의 절감에 따른 원가의 절감과 조립공수의 절감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와 입구가 마련되고, 상호 관통되게 형성되어 이종 또는 동종의 파이프를 연결하도록 된 배관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내경의 어느 위치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내경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출입구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 내경에 삽입되는 원통형 보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과 출입구의 내경면 사이는 파이프의 두께 만큼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내경면 어느 위치에서 개구부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구.
KR2020060009845U 2006-04-13 2006-04-13 배관용 연결구 KR200420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845U KR200420424Y1 (ko) 2006-04-13 2006-04-13 배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845U KR200420424Y1 (ko) 2006-04-13 2006-04-13 배관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24Y1 true KR200420424Y1 (ko) 2006-07-04

Family

ID=4176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845U KR200420424Y1 (ko) 2006-04-13 2006-04-13 배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72A (ko) 2018-04-03 2019-10-14 김동학 배관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72A (ko) 2018-04-03 2019-10-14 김동학 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955B1 (en) Quick coupling type fitting
EP3636976B1 (en) Pipe coupler having function of covering pipe
US20120091706A1 (en) Pipe connection consisted on interior of a joint pipe
EP1838946B1 (en) Coupling device comprising a sealing element
KR200443803Y1 (ko) 파이프 접속용 그립링
IL196511A (en) Gasket profile for balanced - counterbalanced elastomeric tubing for bell connectors for tubing
US20170159863A1 (en) Pipe-fitting with adapto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US8746748B2 (en) Coupling system, distributor, pipe system, and pipe offset system
US6983960B2 (en) Mechanical joint bell adapter for polyethylene pipe
US5988692A (en) Metal to plastic pipe transition fitting
KR200420424Y1 (ko) 배관용 연결구
RU2564156C2 (ru) Фиттинг с фланцам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системой герметизации труб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EP2056011A2 (en) Threaded pipe connector of plastic material with reinforcing metal ring
WO2009129928A3 (de) Pressverbindung
JP5253024B2 (ja) 接続部受口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管継手、ます、パイプ
US20090184513A1 (en) Pipe fitting assembly and a method therefor
KR20170065989A (ko)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CN100516617C (zh) 用于管子的可拆式连接装置
WO2019204951A1 (zh) 一种管件连接结构
KR100791455B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KR200420423Y1 (ko)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그랩링
KR20090085225A (ko) 패킹을 포함하는 배관용 이음관
KR200456161Y1 (ko) 금속제 슬리브앙카 대체용 슬리브앙카 인서트
KR20240003080A (ko)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