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989A -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 Google Patents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989A
KR20170065989A KR1020150172446A KR20150172446A KR20170065989A KR 20170065989 A KR20170065989 A KR 20170065989A KR 1020150172446 A KR1020150172446 A KR 1020150172446A KR 20150172446 A KR20150172446 A KR 20150172446A KR 20170065989 A KR20170065989 A KR 20170065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pipe member
expansion
contra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원
Original Assignee
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지원 filed Critical 강지원
Priority to KR102015017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5989A/ko
Publication of KR2017006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a flexible wire being coiled upon the hos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연결조립체는 신축관의 연결부위에 삽입되며 플랙시블한 제1지지관부재와; 상기 제1지지관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플랙시블하며, 상기 제1지지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신축관과 제1 지지관부재의 변형 시 단면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링부를 구비한 제 2지지관부재와; 상기 신축관에 삽입되는 삽입관과 이 삽입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삽입관과 대응되는 제 2지지관부재의 보강링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신축관이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경이 접차확개 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신축관의 연결조립체{connection assembly of hose}
본 발명은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신축관의 연결부위가 처지거나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축관의 연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산업설비의 배관을 설계함에 있어서, 외기와 수송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파이프라인의 팽창과 수축의 문제, 기관 등에 의한 진동의 문제, 풍압 및 지진 등에 의한 이동 및 파손 등의 문제로부터 파이프라인에 가해지는 과중한 응력, 단위 배관들의 연결문제, 배관의 자중문제 등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중화학공장, 또는 유류정제공장 등에서 액상의 물질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배관은 이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액상의 유체, 프로세스에서 물질의 변화에 따라 재질이 고려되어야 한다. 온도가 높은 유체가 배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경우 배관은 열팽창을 일으키면서 뒤틀려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특히 합성수지관, 또는 호스의 경우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자중에 의해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호스의 경우 자중에 의해 연결부위의 단면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167845호에는 합성수지관과 금속관연결구조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 2004-000851호에는 기밀보조재에 의한 고압용 수지호스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568153호에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348203호에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종래의 합성수지관 또는 호스의 연결구조는 관의 단부에 지지관을 가가지는 플랜지를 고정하고, 이 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플랜지가 형성된 지지관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벤드가 필요하며, 특히 지지관과 삽입되는 부위와 지지관의 삽입되지 않은 부위의 경계부위의 꺽임현상이 발생되어 원활한 용액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568153호에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348203호에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축관의 연결부위가 자중에 의해 꺽여 관경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관과의 연결을 위해 삽입되는 연결부재의 삽입관부와 신축관의 결합력을 높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위와 인접되는 측의 관경이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해 지나친 처짐현상 또는 꺽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축관의 연결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축관의 연결조립체는 신축관의 연결부위에 삽입되며 플랙시블하며 탄성력을 가진 제1지지관부재와; 상기 제1지지관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가진 상기 제1지지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신축관과 제1 지지관부재의 변형 시 단면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링부를 구비한 제 2지지관부재와; 상기 신축관에 삽입되는 삽입관부과 이 삽입관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삽입관부와 대응되는 제 2지지관부재의 보강링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신축관이 상기 삽입관부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경이 접차 축소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의 내주면에는 보강링부이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링부의 형성부위는 실질적으로 슬리이브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신축관의 연결조립체는 플랙시블한 신축관의 연결부위가 외력 또자중에 의해 처짐현상 또는 꺽임현상에 의해 신축관의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관의 외주면에 균일한 조임을 가하여 이송중인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관의 연결장치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결합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 연결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신축관 연결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 연결조립체에 의해 신축관들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신축관 연결조립체는 플랙시블한 신축관 즉, 플랙시블한 합성수지과 또는 호스를 연결하여 연결부위가 자중에 의해 꺽이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 연결조립체(10)은 플랙시블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신축관(100) 즉, 호스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신축관(100)의 연결부위의 외주면에 소정길이로 삽입되거나 설치되는 제 1지지관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지지관부재(20)은 상기 신축관(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연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관부재(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관부재(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지지관부재(2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 2지지관부재(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 2지지관부재는 상기 제 1지지관부재(20)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이 낮으며, 탄성력을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지지관부재(20)과 제 2지지관부재(30)의 사이에는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편(미도시)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관부재(2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신축관(100)과 제1지지관부재(20)의 변형 시 단면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링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링부(31)그 피치가 후술하는 슬리이브(5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그루브의 피치와 동일하다.
그리고 신축관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을 더 구비하는데, 상기 연결부재(40)는 신축관(100)의 연결부위에 삽입되는 삽입관부(41)와, 상기 삽입관부(41)의 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42)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관부(41)의 내경은 상기 신축관부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삽입관부의 두께만큼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관부(41)와 대응되는 제 2지지관부재(30)에는 상기 보강링부(31)와 나사결합되는 슬리이브(50)를 구비하는데, 상기 슬리이브(50)의 내경은 회전으로 인하여 조임력이 발생 할수록 신축관(100)이 상기 삽입관부(4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42)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부터 플랜지측으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슬리이브(50)의 내주면에는 상기 보강링부(31)를 이루는 나선의 단면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의 그루브(51)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지지관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강링부(31)의 형성길이는 상기 제 2지지관부재(3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의 연결조립체는 신축관 즉 호스의 연결시 연결부위가 호스와 이를 흐르는 유체의 자중에 의해 꺽이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신축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신축관(100)의 연결부위의 단부에 제 1지지지관부재(20)를 설치하여 신축관(100)의 외주면과 밀착 또는 접합되도록 하고, 이의 외주면에는 보강링부(31)가 형성된 제 2지지관부재(30)을 설치한다. 이 때에 상기 제 1,2지지관부재(20)(30)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을 설치할 수 있다. 제1,2지지관부재(20)(30)에 탄성편이 매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탄성편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신축관(100)의 단부에 설치된 제 2지지관부재(30)의 보강링부(31)와 슬리이브(50)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슬리이브(50)을 후퇴시켜 놓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40)의 삽입관부(41)를 신축관(100)의 단부에 삽입하고, 상기 제 2지지관부재(30)의 보강링부(31)와 나사결합된 슬리이브(50)를 회전시켜 플랜지부(42) 측으로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슬리이브(50)가 이동되면서 상기 신축관(100)의 단부측을 삽입관부(41)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슬리이브(50)의 내부에 그루부(51)가 형성된 부위는 테이퍼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플렌지부(42)측으로 이동되면서 신축관(100)을 죄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의 설치과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관의 플랜지와 연결부재(40)의 플랜지부(42)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신축관(100)은 신축관의 자중 또는 이를 통과하는 유체의 무게에 의해 연결부재 즉, 삽입관부(41)의 단부를 경계로 하여 꺽임현상 이나 처짐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신축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2지지관부재(20)(30)은 플랙시블하며 탄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축관의 하중 또는 유체의 하붕이 삽입관부(41)의 단부에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축관의 연결조립체는 신축관의 연결 시 연결부위에 신축관의 하중 또는 유체의 하중에 의해 집중되어 단면이 왜곡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신축관의 연결부위에 삽입되며 플랙시블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제 1지지관부재와; 상기 제1지지관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플랙시블하며 상기 제1지지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신축관과 제1 지지관부재의 변형 시 단면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링부를 구비한 제 2지지관부재와; 상기 신축관에 삽입되는 삽입관부와, 이 삽입관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삽입관부와 대응되는 제 2지지관부재의 보강링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 시 신축관이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경이 접차축소 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의 내주면에는 보강링부의 나선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링부의 형성부위는 슬리이브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관부재와 상기 제 2지지관부재의 사이에 탄성편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KR1020150172446A 2015-12-04 2015-12-04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KR20170065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46A KR20170065989A (ko) 2015-12-04 2015-12-04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46A KR20170065989A (ko) 2015-12-04 2015-12-04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89A true KR20170065989A (ko) 2017-06-14

Family

ID=5921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446A KR20170065989A (ko) 2015-12-04 2015-12-04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59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5871A (zh) * 2018-06-20 2018-11-16 韦伟 一种石油管道安装工艺
CN113464724A (zh) * 2021-06-03 2021-10-01 海洋石油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精度水下就位控制的海底管道膨胀弯连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5871A (zh) * 2018-06-20 2018-11-16 韦伟 一种石油管道安装工艺
CN113464724A (zh) * 2021-06-03 2021-10-01 海洋石油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精度水下就位控制的海底管道膨胀弯连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1061B2 (en) Gask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A010806B1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снабженное уплотнением
RU2589974C1 (ru) Фитинг,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фитинг, и герметич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 таким фитингом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GB2554067A (en) Hose arrangements
US1977175A (en) Pipe fitting
US11193611B2 (en) Pipe coupling apparatus
EP3258152A1 (en) Extensible flexible hose
KR20120083266A (ko) 지지 슬리브를 구비한 푸쉬-피트 파이프 피팅 시스템
KR101391341B1 (ko) 익스펜션 조인트의 타이로드
JP2017538073A (ja) パイプ連結装置
KR20170065989A (ko) 신축관의 연결조립체
CN201100498Y (zh) 填料式伸缩节
US11624459B2 (en) Fitting for connection to at least one pipe
KR101857360B1 (ko) 배관용 내진 고무링 조립체
CN201599526U (zh) 套筒式塑料管道补偿器
JP6200723B2 (ja) 伸縮可撓管及び伸縮可撓管の組立方法
JP2016180442A (ja) 敷設管の接合方法とこれに用いるインコア
JP2017180636A (ja) 継手付き金属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CN210372496U (zh) 一种套管式波纹管补偿器
JP2017133589A (ja) 補修用継手
US633499A (en) Coupling for pipes, tubes, or casings.
RU2594036C1 (ru) Труба с внутренней пластмассовой оболочкой
US4480858A (en) Flexible pipeline joints
US4421345A (en) Flexible pipeline j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