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002B1 -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002B1
KR101755002B1 KR1020160165146A KR20160165146A KR101755002B1 KR 101755002 B1 KR101755002 B1 KR 101755002B1 KR 1020160165146 A KR1020160165146 A KR 1020160165146A KR 20160165146 A KR20160165146 A KR 20160165146A KR 101755002 B1 KR101755002 B1 KR 10175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sealing member
ring
tub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황기웅
Original Assignee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002B1/ko
Priority to JP2018521033A priority patent/JP6790090B2/ja
Priority to ES17879421T priority patent/ES2899039T3/es
Priority to US15/768,654 priority patent/US11002389B2/en
Priority to EP17879421.0A priority patent/EP3553362B1/en
Priority to PCT/KR2017/011392 priority patent/WO20181058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Abstract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연결 대상 배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소켓본체부와; 소켓본체부와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접속관부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과 소켓본체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 및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접속관부에 결합되며 실링부가 연결 대상 배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실링부를 가압하는 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ONE TOUCH TYPE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이나 가스 등과 같은 유체의 공급에는, 통상 파이프라 칭하는 내부가 중공된 유동관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이프와 더불어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등이 채용된다.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파이프와 밸브 등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적절한 배관연결구가 채용된다.
배관연결구는, 파이프 연결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면서도 연결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또한 파이프 연결부위로부터 파이프가 부적절하게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통상적인 배관연결구에는, 배관연결구에 접속되는 파이프와 배관연결구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링, 및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임 부재가 채용된다.
고무링은 배관연결구 내부에 삽입된 파이프의 외주면과 배관연결구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파이프와 배관연결구 사이를 실링하며, 조임 부재는 파이프를 체결할 때 내경이 축소되어 파이프의 외주면을 조임으로써 파이프가 조임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연결, 즉 배관 연결 작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파이프와 배관연결구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조임 부재를 파이프의 외주면에 끼우고, 이와 함께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무링을 끼워준다.
그런 다음 외주면에 조임 부재 및 고무링이 끼워진 파이프를 배관연결구에 삽입한 후, 조임 부재를 파이프에 나사 결합 형태로 결합시켜 파이프의 외주면이 조임 부재에 의해 조여지도록 함으로써, 파이프가 조임 부재 및 배관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파이프와 배관연결구 사이는 고무링에 의해 실링되고, 배관연결구와 접속된 파이프는 조임 부재에 의해 배관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되는 형태로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관 연결 구조에 따르면,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시마다 조임 부재를 배관연결구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고, 파이프에 고무링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끼우거나 빼내야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파이프와 고무링 사이의 실링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링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고무링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시마다 고무링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파이프에 끼우거나 빼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조임 부재를 배관연결구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작업이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시마다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무링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파이프에 끼우거나 빼내야 하는 작업 및 조임 부재를 완전히 풀어내었다가 다시 결합시키는 작업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이 배관 연결 작업시마다 추가되면, 배관연결구와 파이프 간의 연결 작업 속도가 지연될 뿐 아니라, 작업 과정에서 분리된 고무링과 조임 부재와 같은 부품들이 분실될 우려도 있는 등 배관 연결 작업에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배관 연결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는: 연결 대상 배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소켓본체부와; 상기 소켓본체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 대상 배관과 상기 소켓본체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 및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며 상기 실링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켓본체부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를 연결시키는 연결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관부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부의 내경보다 짧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사이에는, 상기 접속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지지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은,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단턱부에 간섭되어 상기 삽입방향 위치가 구속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캡부와 결합되는 상기 접속관부의 개방된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 및 상기 지지단턱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본체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턱부는, 상기 접속관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지지단턱부의 링 형상의 평면에 대응되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에는, 가이드지지홈부가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 단부로부터 상기 접속관부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는,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의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내측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의 상기 접속관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외측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통과공이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접속관부의 내측을 향하며 외측면이 상기 접속관부의 외측을 향하는 링형상부, 및 상기 링형상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 외주면에는 제1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부는, 그 내주면이 상기 링형상부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통과공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통과공이 형성된 상기 링형상부의 내주면과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상기 링형상부의 내주면과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 사이에 경사지게 돌출되는 가압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유도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통과공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덜 돌출되고 상기 링형상부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통과공의 중심 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오링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내측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이 상기 외측지지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캡부가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될 때 상기 가압유도부와 접촉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압유도부와 상기 가이드지지홈부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유도부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캡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을 상기 삽입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실링부재의 휨변형을 유도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휨 변형되되,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삽입방향 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링형상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휨 변형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삽입방향 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링형상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을 상기 삽입방향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길이방향 단부를 상기 제1실링부재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켓본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접속관부가 "ㄱ" 형상, "一" 형상, "T" 형상, "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부에는, 상기 스커트부의 외측 및 상기 링형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그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홈은, 상기 캡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따르면, 제1실링부재와 제2실링부재 및 캡부와 같은 부품이 소켓본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분리시키지 않고 캡부만을 살짝 풀어낸 상태로 연결 대상 배관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연결 및 해체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배관 연결 작업에 요구되는 각종 부품들의 분실 우려가 없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부를 접속관부(111)에 결합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연결 대상 배관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키며 연결 대상 배관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1실링부재와 제2실링부재에 의해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실링 작용을 이용한 밀폐 성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F-F"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G"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연결 대상 배관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접속관부의 입구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실이예들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100)는 소켓본체부(110)와 실링부와 캡부(130)를 포함한다.
소켓본체부(110)는, 본 실시예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100)의 본체를 이루며,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 및 연결관부(115)를 포함한다.
접속관부(111)는, 연결 대상 배관(1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접속관부(111)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형상과 유사한 파이프(Pipe)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연결 대상 배관(10)은 그 길이방향 일측이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접속관부(111)와 연결된다.
연결관부(115)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를 연결시키는 부분에 해당된다. 연결관부(115)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는 연결관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관부(111)와 연결관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켓본체부(110)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111)가 "ㄱ" 형상, "一" 형상, "T" 형상, "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소켓본체부(110)는, 두 개의 접속관부(111)가 "ㄱ"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엘보 이음관, 두 개의 접속관부(111)가 "一"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일자형 이음관, 세 개의 접속관부(111)가 "T"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티형 이음관, 네 개의 접속관부(111)가 "十"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크로스 이음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외 세 개의 접속관부(111)가 "Y"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와이 이음관, 또는 구경이 서로 다른 접속관부(111)가 연결되는 이음관 등 여러 종류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본체부(110)가 두 개의 접속관부(111)가 "ㄱ"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엘보 이음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상기 연결관부(115)는, 접속관부(111)의 내경보다 짧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관부(115)는 접속관부(111)보다 작은 구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관부(115)와 접속관부(111) 사이에는, 연결관부(115)와 접속관부(111)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지지단턱부(119)가 형성된다.
지지단턱부(119)는 접속관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접속관부(1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단턱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단턱부(119)는, 접속관부(11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연결관부(115)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접속관부(1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은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지지단턱부(119)에 간섭되어 그 삽입방향(I) 위치가 구속된다.
그리고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는, 가이드지지홈부(112)가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 단부로부터 접속관부(111)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지지홈부(112)가 "V"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가이드지지홈부(112)는, 접속관부(111)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지지홈부(112)의 일측, 즉 접속관부(111)의 내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되고, 가이드지지홈부(112)의 타측, 즉 접속관부(111)의 외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외측지지벽(112b)이 형성된다.
실링부는, 소켓본체부(110)와 연결 대상 배관(10) 사이에 설치되어 접속관부(1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과 소켓본체부(110) 사이를 실링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는 제1실링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링부재(120)는, 캡부(130)와 결합되는 접속관부(111)의 개방된 입구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방향(I)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오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120)는,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되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설치되되, 그 내주면이 내측지지벽(112a)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이 외측지지벽(112b)에 의해 지지되도록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되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은 가이드지지홈부(112)에 지지되고, 제2실링부재(225)의 길이방향 타측은 캡부(130)가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때 캡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후술할 가압유도부(140)와 접촉된다.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는,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과 접속관부(111)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작용을 한다.
캡부(130)는, 접속관부(111)의 개방된 입구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캡부(130)의 내부에는 접속관부(1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캡부(130)는, 접속관부(1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캡부(130)는, 접속관부(111)에 결합되면서 실링부가 연결 대상 배관(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실링부를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부(130)는 링형상부(131)와 스커트부(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링형상부(131)는, 상기 통과공(132)이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링 형태로 마련된다. 캡부(130)가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때, 이러한 링형상부(131)의 내측면은 접속관부(111)의 내측을 향하며, 링형상부(131)의 외측면은 접속관부(111) 및 캡부(130)의 외측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스커트부(135)는, 링형상부(1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삽입방향(I)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커트부(135)는, 그 내주면이 링형상부(131)의 직경방향을 따라 통과공(132)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캡부(130)의 내측에는, 통과공(132)이 형성된 링형상부(131)의 내주면과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링형상부(131)의 내주면과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사이에 경사지게 돌출되는 가압유도부(140)가 형성된다.
가압유도부(140)는,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통과공(132)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덜 돌출되고 링형상부(131)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통과공(132)의 중심 측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가압유도부(140)는, 스커트부(135)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링형상부(131)의 내측면으로부터 삽입방향(I) 측으로 더 돌출되고 통과공(132) 측으로 갈수록 링형상부(131)의 내측면으로부터 삽입방향(I) 측으로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관부(111)와 캡부(130)가 나사 결합 형태로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 외주면에는 제1나사결합부(113)가 형성되고, 스커트부(135)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결합부(113)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2나사결합부(137)가 형성된다. 그리고 캡부(130)는,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캡부(130)는,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되,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속관부(111)에 결합된다. 즉 캡부(130)와 접속관부(111) 간의 결합이 진행될수록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서로 결합된 캡부(130)와 접속관부(111) 간의 결합 해제가 진행될수록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아울러 캡부(130)의 외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커트부(135)의 외측에는, 그립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캡부(130)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그립홈(137)이 캡부(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의 그립홈(137)은 스커트부(135)의 외측 및 링형상부(131)를 향해 개방되도록 스커트부(135)의 외주면에 오목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그립홈(137)은, 캡부(130)를 접속관부(111)에 결합시키거나 접속관부(111)에 결합된 캡부(130)를 풀어내기 위해 작업자가 캡부(130)를 잡고 회전시킬 때, 캡부(130)를 잡은 작업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그립홈(137)의 스커트부(135)의 외측을 향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작업자의 손가락이 그립홈(137)에 걸릴 수 있고, 그립홈(137)의 링형상부(131)를 향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작업자의 손바닥 부분이 걸릴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의 손가락과 손바닥 부분이 그립홈(137)에 함께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캡부(130)의 그립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써 캡부(130)를 접속관부(111)에 결합시키거나 접속관부(111)에 결합된 캡부(130)를 풀어내는 작업이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7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F-F"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G"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연결 대상 배관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접속관부의 입구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서는, 실링부가 제1실링부재(120) 및 제2실링부재(225)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제1실링부재(120)는, 캡부(130)와 결합되는 접속관부(111)의 개방된 입구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방향(I)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오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120)는,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되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설치되되, 그 내주면이 내측지지벽(112a)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이 외측지지벽(112b)에 의해 지지되도록 가이드지지홈부(112)에 끼움 결합되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은 가이드지지홈부(112)에 지지되고,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캡부(130)가 접속관부(111)에 결합될 때 캡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후술할 가압유도부(140)와 접촉된다.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는,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과 접속관부(111)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부(13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속관부(111)에 결합된다.
이때 캡부(130)는,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되,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속관부(111)에 결합된다.
즉 가압유도부(140)는,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는 캡부(13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지지홈부(11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삽입방향(I)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실링부재(120)의 휨변형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유도부(140)에 의해 가압되는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휨 변형되되,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삽입방향(I) 측으로 휘어지면서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그리고 제2실링부재(22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오링 형태로 마련되되, 지지단턱부(119)의 링 형상의 평면에 대응되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단턱부(119)와 연결 대상 배관(1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실링부재(225)는, 지지단턱부(119)와 연결 대상 배관(10) 사이에서 일측면이 지지단턱부(119)에 밀착되고 그 반대면이 연결 대상 배관(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소켓본체부(110)와 연결 대상 배관(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사이를 실링하는 작용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따르면,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서 이루어지는 제1실링부재(120)의 실링 작용 및 접속관부(111)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제2실링부재(225)의 실링 작용에 의해,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 및 그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 배관(10) 간의 실링이 두 지점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아래에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는, 접속관부(111)와 캡부(130) 간의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풀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의 풀림 상태란,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연결 대상 배관(10)이 삽입되거나 접속관부(111)의 내부로부터 연결 대상 배관(10)이 빼내어질 수 있도록 캡부(130)가 접속관부(111)로부터 어느 정도 풀려진 상태를 말한다. 이때 캡부(130)는, 접속관부(1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접속관부(111)와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 단부에 살짝 걸쳐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의 풀림 상태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관부(111)와 캡부(130) 간의 결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연결 대상 배관(10)이 삽입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접속관부(111)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이 접속관부(111)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연결 대상 배관(10)은, 캡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과공(132)을 통해 캡부(130)를 통과하여 접속관부(111)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접속관부(111), 즉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접속관부(111)의 입구 측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120)가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연결 대상 배관(10)은 별 어려움 없이 캡부(130)를 통과하여 접속관부(1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접속관부(111)의 내주면 측에 형성된 내측지지벽(112a)에 의해 제1실링부재(120)의 내주면 측 위치가 구속되므로, 접속관부(1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과 제1실링부재(120)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연결 대상 배관(10)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캡부(130) 및 제1실링부재(120)를 접속관부(111)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아도,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쉽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후, 작업자가 캡부(130)를 잡고 캡부(130)를 잠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30)가 제1나사결합부(113)와 제2나사결합부(137)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되, 가압유도부(140)와 가이드지지홈부(11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속관부(1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압유도부(140)는, 삽입방향(I)을 따라 이동하는 캡부(13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지지홈부(11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삽입방향(I)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실링부재(120)의 휨변형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유도부(140)에 의해 가압되는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가압유도부(14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휨 변형되되,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삽입방향(I) 측으로 휘어지면서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됨에 따라,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접속관부(1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 대상 배관(10)을 외측으로부터 조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의 형상 변형에 따른 영향으로,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은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타측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실링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은 접속관부(111)의 외측지지벽(112b)에 더욱 굳건하게 밀착된다.
이에 따라 접속관부(111)와 제1실링부재(120) 간의 밀착력, 그리고 접속관부(1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과 접속관부(111)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120) 간의 밀착력이 강화되므로, 연결 대상 배관(10)이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됨은 물론, 접속관부(111)와 연결 대상 배관(10) 간의 밀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 대상 배관(10)을 외측으로부터 조이는 제1실링부재(120)는, 휨 변형에 의해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삽입방향(I) 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방향(I) 측으로 휘어지는 제1실링부재(120)의 단부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 대상 배관(10)을 삽입방향(I) 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실링부재(120)의 단부의 가압에 의해, 연결 대상 배관(10)은 그 길이방향 단부가 제2실링부재(225)에 밀착되는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실링부재(225)가 설치된 소켓본체부(110) 내부에서는 연결 대상 배관(10)의 길이방향 단부와 제2실링부재(225)이 더욱 강하게 밀착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되므로, 연결 대상 배관(10)의 길이방향 단부와 소켓본체부(110) 간의 밀폐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캡부(130)를 접속관부(111)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키며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결 대상 배관(10)을 조이며 연결 대상 배관(10)에 대한 실링력이 증가되도록 작용되는 제1실링부재(120)의 형상 변형을 이용하여 제2실링부재(225)의 실링력 또한 함께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는, 제1실링부재(120)와 제2실링부재(225) 및 캡부(130)가 소켓본체부(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분리시키지 않고 캡부(130)만을 살짝 풀어낸 상태로 연결 대상 배관(10)의 접속 및 접속 해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연결 및 해체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배관 연결 작업에 요구되는 각종 부품들의 분실 우려가 없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는, 캡부(130)를 접속관부(111)에 결합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키며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200)에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1실링부재(120)와 제2실링부재(225)에 의해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실링 작용을 이용한 밀폐 성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300)는, 입구 측에 가이드지지홈부(312)가 형성된 접속관부(311) 및 이러한 접속관부(311)를 포함하는 소켓본체부(310)를 구비한다.
접속관부(311)의 입구 측에 형성된 가이드지지홈부(312)의 일측, 즉 접속관부(311)의 내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되고, 가이드지지홈부(312)의 타측, 즉 접속관부(311)의 인접한 측에는 외측지지벽(1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된 가이드지지홈부(312)의 일측에는, 내측개방부(312c)가 형성된다. 내측개방부(312c)는 가이드지지홈부(312)의 일측 부분에서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가이드지지홈부(312)의 일측을 접속관부(311)의 중심을 향해 개방시키는 부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개방부(312c)는 접속관부(31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되, 접속관부(311)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지지벽(112a)과 교대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측개방부(312c)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가압유도부(140)에 의해 가압되는 제1실링부재(120)의 휨 변형이 좀 더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실링부재(120)는 내측개방부(312c)이 형성되는 부분을 통해 링형상부(13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변형됨으로써, 접속관부(3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의 외주면에 더욱 강한 힘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접속관부(311)의 내측지지벽(112a)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서는 접속관부(31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 배관(10)과 제1실링부재(120)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연결 대상 배관(10)의 삽입이 이루어짐으로써 연결 대상 배관(10)을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300)에 쉽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한편, 접속관부(311)의 내측개방부(312c)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접속관부(311)에 삽입된 연결 대상 배관(10)과 제1실링부재(120) 간의 밀착력이 더 강화될 수 있게 됨으로써 연결 대상 배관(10)이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300)에 빠지지 않게 단단히 고정되고 접속관부(311)와 연결 대상 배관(10) 간의 밀폐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연결 대상 배관
100,200,300 :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110,310 : 소켓본체부
111,311 : 접속관부
112,312 : 가이드지지홈부
112a : 내측지지벽
112b : 외측지지벽
113 : 제1나사결합부
115 : 연결관부
119 : 지지단턱부
120 : 제1실링부재
130 : 캡부
131 : 링형상부
132 : 통과공
135 : 스커트부
136 : 제2나사결합부
137 : 그립홈
140 : 가압유도부
225 : 제2실링부재
312c : 내측개방부

Claims (6)

  1. 연결 대상 배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소켓본체부;
    상기 소켓본체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 대상 배관과 상기 소켓본체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 및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며 상기 실링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본체부는, 복수 개의 접속관부를 연결시키는 연결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관부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부의 내경보다 짧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사이에는, 상기 접속관부와 상기 연결관부 사이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지지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은,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단턱부에 간섭되어 상기 삽입방향 위치가 구속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캡부와 결합되는 상기 접속관부의 개방된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에는,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 단부로부터 상기 접속관부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의 단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지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는,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의 상기 접속관부의 내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내측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의 상기 접속관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측에는 외측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통과공이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접속관부의 내측을 향하며 외측면이 상기 접속관부의 외측을 향하는 링형상부, 및 상기 링형상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 외주면에는 제1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부는, 그 내주면이 상기 링형상부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통과공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통과공이 형성된 상기 링형상부의 내주면과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상기 링형상부의 내주면과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 사이에 경사지게 돌출되는 가압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유도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통과공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덜 돌출되고 상기 링형상부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통과공의 중심 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서 장축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오링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내측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이 상기 외측지지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접속관부의 입구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캡부가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될 때 상기 가압유도부와 접촉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 간에 이루어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압유도부와 상기 가이드지지홈부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유도부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캡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지지홈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을 상기 삽입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실링부재의 휨변형을 유도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휨 변형되되,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링형상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휨 변형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삽입방향 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링형상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일면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의 타면은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1실링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가압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쐐기 형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지지단턱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본체부와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턱부는, 상기 접속관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지지단턱부의 링 형상의 평면에 대응되는 링 형상의 평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접속관부가 "ㄱ" 형상, "一" 형상, "T" 형상, "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에는, 상기 스커트부의 외측 및 상기 링형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그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홈은, 상기 캡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6.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에 연결 대상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실링부재를 가이드지지홈부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
    캡부의 링형상부가 접속관부의 입구에 걸쳐지도록 상기 캡부를 상기 접속관부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의 단부가 상기 접속관부 내부의 지지단턱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 대상 배관을 상기 접속관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캡부를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접속관부에 고정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대상 배관의 연결 방법.
KR1020160165146A 2016-12-06 2016-12-06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KR10175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146A KR101755002B1 (ko) 2016-12-06 2016-12-06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JP2018521033A JP6790090B2 (ja) 2016-12-06 2017-10-16 ワンタッチ配管連結装置
ES17879421T ES2899039T3 (es) 2016-12-06 2017-10-16 Dispositivo de conexión de tubería de un toque
US15/768,654 US11002389B2 (en) 2016-12-06 2017-10-16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EP17879421.0A EP3553362B1 (en) 2016-12-06 2017-10-16 One-touch pipe connecting apparatus
PCT/KR2017/011392 WO2018105877A1 (ko) 2016-12-06 2017-10-16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146A KR101755002B1 (ko) 2016-12-06 2016-12-06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002B1 true KR101755002B1 (ko) 2017-07-07

Family

ID=5935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146A KR101755002B1 (ko) 2016-12-06 2016-12-06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02389B2 (ko)
EP (1) EP3553362B1 (ko)
JP (1) JP6790090B2 (ko)
KR (1) KR101755002B1 (ko)
ES (1) ES2899039T3 (ko)
WO (1) WO201810587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72A (ko) 2018-04-03 2019-10-14 김동학 배관 연결구
KR102035976B1 (ko) * 2019-05-24 2019-10-23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KR102180742B1 (ko) 2019-06-03 2020-11-19 두리화학 주식회사 이중관 연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27670B2 (es) * 2021-05-06 2023-03-14 Abn Pipe Systems S L U Conjunto de piezas para desagüe de aguas negras en viviendas
USD999884S1 (en) * 2021-05-31 2023-09-26 Jong Ho Lee Pipe connecting tube
JP1718605S (ja) * 2021-05-31 2022-06-29 パイプ接続用チュー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67B1 (ko) * 2006-03-21 2006-07-04 오춘근 관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4771A (en) * 1935-11-16 1938-04-19 Turner & Newall Ltd Pipe joint and packing ring for use therein
GB525153A (en) * 1939-02-15 1940-08-22 Turner & Newall Ltd Improvements in pipe joints
US2452278A (en) * 1945-06-29 1948-10-26 George V Woodling Tube coupling device
US2561887A (en) * 1948-11-16 1951-07-24 Dresser Ind Ball lock coupling
US2703719A (en) * 1952-06-14 1955-03-08 Bendix Aviat Corp Removable seat for pipe joint packing
GB742110A (en) * 1952-10-09 1955-12-21 Samuel Booth & Compan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joints or couplings for pipes or tubes
US2780483A (en) * 1953-03-30 1957-02-05 Ladish Co Sealed joint for pipes having conical tapered interfaces
FR2041651A6 (ko) * 1969-05-16 1971-01-29 Belles Ondes Forges
FR2079912A6 (ko) * 1970-02-17 1971-11-12 Belles Ondes Forges
GB1586862A (en) 1976-07-24 1981-03-25 Mcalpine & Co Ltd Pipe joints
SE444712B (sv) * 1980-06-06 1986-04-28 Ekman K R Kopplingsanordning med han- och hondelar och dessa tilldelade lasorgan
US4353580A (en) * 1980-07-03 1982-10-12 Houck Theodore B Apparatus for removably attaching a pipe
US4395060A (en) * 1981-02-20 1983-07-26 Lapham Edward L Portable, reusable pipe coupling
DE3567950D1 (en) * 1984-12-11 1989-03-02 Agintec Ag Tube coupling
DE3637975A1 (de) 1986-11-07 1988-05-19 Raimund Andris Rohrverbindung
KR930004986Y1 (ko) * 1991-04-22 1993-07-26 성충호 관 연결구
KR940001254Y1 (ko) 1991-08-19 1994-03-09 김정오 삽입식 이중 자물쇠
JPH11218273A (ja) 1998-01-30 1999-08-10 Kubota Corp 管継手構造
JP2931977B1 (ja) 1998-07-31 1999-08-09 セイワ工業株式会社 コンジットパイプ用管継ぎ手
JP3538090B2 (ja) 1999-11-29 2004-06-14 株式会社喜多村合金製作所 管継手における確認孔保護カバー
US6481763B2 (en) * 2000-02-11 2002-11-19 Superior Workshop Tool Company Waste pipe connector
DE10023692A1 (de) * 2000-05-16 2001-11-22 Neumo Gmbh & Co Kg Verbindung für medienführende Teile
AUPR447001A0 (en) * 2001-04-19 2001-05-17 Philmac Pty Ltd Pipe coupling
US9611958B1 (en) * 2007-01-05 2017-04-04 Zurn Industries, Llc Combination mechanical/fusion pipe fitting with push connect coupling arrangement
JP4205153B1 (ja) 2008-09-08 2009-01-07 シーケー金属株式会社 異物侵入防止機能付き管継手
KR101020744B1 (ko) 2010-03-29 2011-03-09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CN103270357B (zh) 2011-01-13 2015-08-12 小林一三 压力配管的连接结构
KR101436351B1 (ko) 2012-12-21 2014-09-02 이종태 결착력과 수밀성이 우수한 이음관
KR20160103701A (ko) 2015-02-25 2016-09-02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체크홀이 구비된 연결관
US9671049B1 (en) * 2016-07-27 2017-06-06 Quick Fitting, Inc. Hybrid push-to-connect fitting device and assembly
PL3428498T3 (pl) * 2017-07-11 2020-12-28 Lutec Gmbh Verwalt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Rura, w szczególności rura z tworzywa sztucznego do przewodów ściekowy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67B1 (ko) * 2006-03-21 2006-07-04 오춘근 관 연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72A (ko) 2018-04-03 2019-10-14 김동학 배관 연결구
KR102035976B1 (ko) * 2019-05-24 2019-10-23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WO2020242001A1 (ko) * 2019-05-24 2020-12-03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US11873923B2 (en) 2019-05-24 2024-01-16 Ppi Pyungwha Co., Ltd Pipe fitting having anti-loosening structure
KR102180742B1 (ko) 2019-06-03 2020-11-19 두리화학 주식회사 이중관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99039T3 (es) 2022-03-09
US20190063643A1 (en) 2019-02-28
EP3553362A1 (en) 2019-10-16
JP6790090B2 (ja) 2020-11-25
WO2018105877A1 (ko) 2018-06-14
JP2019505734A (ja) 2019-02-28
EP3553362B1 (en) 2021-10-27
US11002389B2 (en) 2021-05-11
EP3553362A4 (en)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002B1 (ko)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JP2004526911A5 (ko)
US4082326A (en) Compressible member for use in compression joint pipe connector
US9599262B1 (en) Sleeve tool and method of use
JP2007292281A (ja) 管継手
KR102154692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그립링 손상방지장치
KR20170090085A (ko) 배관 연결장치
KR20170047015A (ko) 신축 이음관
KR20030069089A (ko) 급속 해제형 피팅 조립체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20160144940A (ko) 파이프 연결장치
EP3441537A1 (en) Improved toilet pan connector
KR20180035600A (ko) 분기장치
KR20100046355A (ko)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KR102154693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결합시공방법
US9366368B2 (en) Pipe coupling
KR101738567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101186550B1 (ko) 관이음 조립체
KR102408894B1 (ko) 더블 패킹부재가 구비된 파이프 커플러
KR20110092210A (ko) 허브형 밸브 구조
KR101765888B1 (ko) V형 파이프 연결 장치
KR101115410B1 (ko) 유압배관의 호스 연결장치
KR10180637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399460Y1 (ko) 엘보우관용 결속 실링구조
RU26100U1 (ru) Угл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