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343B1 -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343B1
KR102052343B1 KR1020180011505A KR20180011505A KR102052343B1 KR 102052343 B1 KR102052343 B1 KR 102052343B1 KR 1020180011505 A KR1020180011505 A KR 1020180011505A KR 20180011505 A KR20180011505 A KR 20180011505A KR 102052343 B1 KR102052343 B1 KR 102052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detection sensor
water
leak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107A (ko
Inventor
윤상조
윤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to KR102018001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3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G01M3/04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with electrical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Abstract

제1부재와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에 구성한 돌기형태의 감지선;
상기 돌기형태의 감지선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부재에 구성한 콘센트형 감지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수팽창재질 또는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팽창재질 또는 스프링 공간부를 구성하여,
상기 돌기형태의 감지선을 상기 콘센트형 감지선에 삽입하기 전에 수팽창고무재질 또는 스프링 공간부에 수팽창재질 또는 스프링을 삽입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부 결함감지 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The leak detection sensor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it}
상, 하수도관 및 송유관 같은 액체를 수송하는 배관 이음부 결함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이음부 결함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10-1690542 호는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로서 도 15에 의하여 종래기술에 대한 누수감지장치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20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누수감지장치는 시트형태로 구현되며,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누수감지장치는 베이스층(12), 점착제층(14) 그리고 누수감지선(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접착제층(14)은 종래기술의 매립층에 상당한다.
베이스층(12)는 누수감지장치의 외피를 이루며, 점착제층(14)을 지지한다. 점착제층(14)은 부틸 등으로 구현되는 것으로서 누수감지선(16)이 매립 및 지지되는 것이다.
누수감지선(16)은 외피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 누수시 물이 구멍을 통해 침투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효율적인 누수감지를 위해 누수감지선(16)이 점착제층(14)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좋으며, 돌출되더라도 누수 감지선(16) 사이에 점착제층(14)이 있어서 누수에 의하지 않고서는 누수감지선(16)들이 서로 쇼트(short)될 우려는 없다.
누수감지장치가 설치된 관이 땅 속에 매설되기 때문에 결로가 생길 우려도 없으며, 결로가 생기더라도 사이에 점착제층(14)에 의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누수감지선(16)이 쇼트되지 않는다.
시공 중 누수감지장치가 손상되더라도 점착제층(14)이 양 누수감지선(16)을 분리시켰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되어 누수감지장치가 파손되기 전에는 단선(open)이 발생될 수 없다.
한쌍의 누수감지선(16)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한 쌍의 누수감지선(16)을 이음부를 감싸도록 일직선으로 배치하여도 되나, 이럴 경우 이음부에 맞추어 정확히 시공하기 어렵고 누수확인도 어렵다.
따라서 작업자가 정밀시공을 하지 않더라고 누수확인을 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누수감지선(16)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관이음부의 전부를 에워싸면서 지그재그로 점착제층의 상부에 누수감지선을 매립하는 것으로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루틴하게 이뤄지기 곤란한 점이 있다.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감지선에 펀칭을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과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690542 (2016년12월29일)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0869052 (2008년11월17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든 종류의 유체수송용 압력관 이음부 누수 또는 누유를 감지할 수 있고,
특히 직경의 크기 또는 /및 압력여부와 상관없이 어떠한 규격의 유체수송용관에도 사용가능한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비용을 저렴하게 상기의 누수감지장치를 제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의 누수감지장치와 같이 사용되어 이음부에서의 누수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누수 또는 누유를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누유 또는 누수로 인하여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이 팽창하여 단선을 시키는 것으로 고장위치를 정확히 찾아내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스프링의 경우는 일정한 길이와 탄성력이 요구되는데 평상시에는 한지등으로 탄성력을 제어하여 수분이 흡수되는 경우에는 한지가 즉시 풀어져 탄성력을 발휘하게 될 때에 스프링이 이완되어 단선이 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하여 비용과 부품수도 적어 신뢰성이 높은 것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제1부재와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에 구성한 돌기형태의 감지선;
상기 돌기형태의 감지선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부재에 구성한 콘센트형감지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수팽창재질 또는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팽창재질 또는 스프링 공간부를 구성하여,
상기 돌기형태의 감지선을 상기 콘센트형 감지선에 삽입하기 전에 수팽창 고무재질 또는 스프링 공간부에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을 삽입한 다음 관이음부 결함감지 센서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는 환형 또는 사각형의 공간부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수팽창 재질 또는 스프링은 상기 공간부 형상에 따라 상응하는 형태의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인 것이 좋다.
여기서 관이음부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누수감지시스템를 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여기서 관이음부의 관 외주연부;
상기 관외주연부에 부착된 상기 관이음부 결함감지 센서;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정확하게 설치하고 이 누수감지센서를 시트 또는 테이프로 감쌀 때 매끈하게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단차보완재;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가 작동할 때까지 밀폐되도록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감싸는 시트 또는 테이프;
상기 관이음부에서 액체가 누설될 경우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감싸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테이프가 부풀어지고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이 팽창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이탈하도록 좌우편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접촉된 감지선이 이탈되어 단선이 되도록 하므로 누수 또는 누유된 장소를 발견하여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하는 초기에 누수 또는 누유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여 관이음부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테이프는 1.0 kgf/㎤이상의 압력에 견딜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부착한 후에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양부위에 Y 자 또는 H 자 구성의 고무가 부착된 시트를 감싸 부착하는 구성을 더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누수감지센서 앞 뒤면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며, 이때 접착력이 약한 부분을 센서방향에, 강한 부분을 외부 방향으로 부착하여 관이음부에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할 경우 상기 누수감지센서에 부착된 테이프가 쉽게 이탈되어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접촉면으로 누수 또는 누유가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시트 또는 테이프로 감쌀 때 밀접하게 감쌀 수 있도록 단차보완재를 더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사각기둥형상으로 구성하여 단차보완재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여 시트 및 테이프로 매끄럽게 감싸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유체수송용 압력관 이음부의 누수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으며, 누수 또는 누유 초기에 누설되는 부분을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차단할 뿐만아니라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싱크홀을 효과적으로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누수감지센서를 보호하는 보호커버용 금형개발이 불필요한 감지센서를 만듦으로서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취급, 운반, 시공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해외 수출시 물류비 감소에 따라 경쟁력이 있는 것이다.
본 감지센서는 감지선이 단선이 되도록 하여 관 파손/누수를 검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상기의 관이음 누수감지센서를 가지는 누수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감지센서를 감싸는 시트는 파이프와 밀착될 수 있는 부틸고무 등이 부착된 시트 양단에, 누설사고 발생 시 감지센서가 작동할 때까지 액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하여 비용과 부품수도 적어 신뢰성이 높은 것이다.
제1도는 제1실시예로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결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길이방향의 단면도로써 제1도에 누수감지센서를 구비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제1부재와 제2부재 및 수팽창고무를 이격시킨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제1부재를 도면3의 우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제2부재를 도면3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제2실시예로 사각기둥형상의 관이음부 누수감지센서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길이방향으로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의 확장으로 인하여 이격시킨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누수감지센서의 결합부분의 외부에 홀을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9도는 제1부재를 도면7의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10도는 제2부재를 도면 7의 좌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11도는 관이음부에 누수감지센서를 부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2도는 제6도의 누수감지센서의 양단부에 Y자형 고무를 부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13도는 누수감지센서와 Y자형 고무를 부착한 상태에서 시트나 테이프를 감싼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4도는 Y자형 고무의 전체 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를 상부에서 본 구성도이다.
제16도는 H자형 고무의 전체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를 상부에서 본 구성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9도는 도18에 도시된 누수감지시스템의 동작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제20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로는 도1 내지 도5에 설명되어있다.
도1 내지 도5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 상기 제1부재에 구성한 돌기형태의 감지선을 배치할 결합감지선공간부(140);
상기 돌기형태의 감지선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부재(200)에 구성한 콘센트형감지선을 배치할 결합 감지선 공간부(240);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수팽창재질 또는 스프링(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팽창재질 또는 스프링을 거치하는 환형의 공간부(120,220)를 구성하여, 관이음부 누수감지센서(1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환형의 수팽창 재질(300)은 상기 환형의 공간부에 상응하는 환형의 수팽창고무로 구성하거나 대칭되게 일부만을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수팽창재질의 고무 또는 스프링이 위치하는 제1부재의 환형의 공간부(120)와 제2부재의 환형의 공간부(220)가 구성되며, 제1 및 제2 감지선이 통과하는 공간부(130,230)가 구성되고 누수될 경우에 내부의 수팽창 재질 또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공간부에 수분이 잘 흡수되도록 제1 및 제2부재에 각각 홀(160,260)을 구성한다.
제1관이음부 관 외주연부 , 제2관이음부 관외주연부 또는 관이음부의 주변에 상기 관이음부 결함감지 센서(10)를 부착하되, 누수감지센서를 부착하는 하부나 누수감지센서의 상부를 부착하는 보호시트(730)의 접착력을 공히 약하게 하여 누수 또는 누유가 있는 경우에는 제1지지부(100) 및/또는 제2지지부(200)를 자유롭게 한다. 이렇게 구성하여 누수 또는 누유시에 누수감지센서 내부로 수분이 잘 흡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가 작동할 때까지 밀폐되도록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감싸는 시트 또는 테이프인 보호시트(630)를 구성한다.
상기 관이음부에서 액체가 누설될 경우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감싸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테이프가 부풀어지고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내부에 수분이 들어가게 되면 환형의 수팽창재질(300)인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의 이완을 억제시킨 한지가 끊어지게 되어 이완됨으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상호 이탈하도록 좌우편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접촉된 감지선이 이탈되어 단선이 되도록 하므로 누수 또는 누유된 장소를 발견하여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하는 초기에 누수 또는 누유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테이프인 보호시트(630)는 1.0 kgf/㎤이상의 압력에 견딜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센서는 1kgf/㎤ 이상의 압력에서 최대 2 시간 이내 센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부착한 후에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양부위에 Y 자 또는 H 자 구성의 고무가 부착된 시트(400,500)를 감싸 부착하는 구성을 더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렇게 되면 관이음부 임의의 부분에서 누수 또는 누유가 일어나도 Y자형 고무밴드나 H자형 고무밴드(400,500)가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반드시 감지센서에 수분이 흡수되어 확실하게 단선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관외주연부에 부틸시트를 부착하고 상기 부틸시트에 일정간격마다 미세한 홀을 가공하여 누수 또는 누유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홀을 통하여 누수 또는 누유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하는 테이프 또는 시트의 접착력은 약하게 하고 상기 테이프 또는 상기 시트인 보호시트(63쪽의 접착력은 강하게 하여 관이음부에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할 경우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된 상기 테이프 또는 상기 시트가 이탈될 때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상기 제1부재(100) 및 상기 제2부재(200)의 접촉면으로 누수 또는 누유가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도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중앙부위에 감지선이 통과하는 공간부(130,230)를 구성한다.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외부에는 홀(160,260)에는 누수 또는 누유가 될 경우에 액체가 수팽창재질을 부풀게 하여 단선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2도에서는 상기 제1도의 감지선이 통과하는 공간부(130,230)에 감지선(150,250)이 통과하는 길이방향의 단면도를 보이는 것이다.
제1부재의 돌기형코드(155)와 제2부재의 매립형콘센트형 코드(255)가 서로 삽입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돌기형 코드와 매립형 콘센트형 코드는 각각 감지선(150,250)에 연결되어있다.
수팽창 고무 또는 스프링(300)이 구성되어있다.
제3도는 제2도의 감지센서가 누수 또는 누유에 의하여 홀(160,260)로 수분이 흡수되어 팽창되므로 이격되어있는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제1부재를 도면 3도의 우측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중앙부는 돌기형태의 감지선(155)이고 감지선 주위의 공간부는 환형의 공간부에 환형의 수팽창재질(300) 또는 이완을 방지하는 끈등을 이용하여 스프링을 삽입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물론 환형이 아니라 어떤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수팽창에 의하여 좌우로 힘을 발휘하여 감지선을 이격시킬 수 있으면 족하다.
환형의 일부형상이라면 대칭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제2부재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중앙부는 매립형 콘센트형 감지선(255)에 해당하는 것이다.
제1부재의 돌기형태의 감지선인 돌기형 코드(155)에 상당하는 제2부재의 콘센트형 코드(255)를 보이는 도이다.
제2실시예로는 제6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되어있다.
제6도는 제2실시예로 사각기둥형상의 관이음부 누수감지센서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누수감지센서를 사각기둥형상으로 제작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단차가 지는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단차보완재에 형성된 공간에 감지센서를 삽입시켜 시트 및 테이프로 매끄럽게 감쌀 수 있어 외관 품질을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수팽창고무(300) 또는 스프링(300)으로 구성한다.수팽창고무는 사각기둥형상 또는 사각링의 형상으로 구성해도 좋다.
제1부재의 감지선(150)과 제2부재의 감지선(250)이 배치되어있고 사각기둥형상 또는 그의 일부만의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스프링으로 구성할 경우에 중앙의 빈 공간부에 구성하여도 좋다.
스프링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을 한지등으로 억제시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빈공간부에 구성하는 것이다.
수분이 흡수될 경우에는 한지등으로 억제시킨 탄성력이 해제되어 스프링의 이완되면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이격시켜놓게 된다.
제2부재에 삽입된 콘센트형 코드(255)는 내면에는 나선으로 구성되되 외부는 누전을 방지하는 재질로 감싸도록 구성한 것이고 제1부재의 돌기형 코드(155)의 형식으로 구성된 것은 나선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기코드와 같은 구성인 것이다.
케이스에 수팽창고무(300) 또는 스프링을 두고 암수에 해당하는 코드를 서로 결합하면 족하다.
제7도는 제6도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에 액체가 유입되어 이격시킨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관이음부에 구성된 누수감지센서에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할 경우에 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300)이 이완되어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이격시켜 신호감지선을 단선시키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부재 외부케이스(110)와 제2부재 외부케이스(210)가 이격된 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제8도는 누수감지센서의 결합부분의 외부에 홀을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누수감지센서를 결합한 상태를 외부에서 본 도이다.
관이음부에서 누수 또는 누유가 될 경우에 누수감지센서 내부로 수분이 스며들도록 홀(115,215)을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9도는 제1부재를 도면7의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돌기형코드(155)를 내부에 구성하고 제1부재 내부케이스(112)와 제1부재 외부케이스(110) 사이에 사각형상의 공간부(122)를 구성하는 것으로 사각형링의 형상으로 수팽창재질의 고무를 구성하여도 좋고 사각형상의 링의 일부에 수팽창 재질을 구성하거나 일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여도 좋다.
사각링의 형상의 경우가 아닐 경우에는 대칭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는 제2부재를 도면 7의 좌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매립형콘센트 코드(255)를 내부에 구성하고 제2부재 내부케이스(212)와 제2부재 외부케이스(210) 사이에 사각형상의 공간부(222)를 구성하는 것으로 사각형링의 형상으로 수팽창재질의 고무를 구성하여도 좋고 사각형상의 링의 일부에 수팽창 재질을 구성하거나 일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여도 좋다.
사각링의 형상의 경우가 아닐 경우에는 대칭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도는 관이음부에 누수감지센서를 부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누수, 누유 및 가스의 압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의 이음부에 관이음누수감지센서(10)와 감지선이 내장한 시트를 부착한다.
관은 제1관과 제2관을 연결하되 제1관이음부 외주연부(610)와 제2관이음부 외주연부(620) 주변에 관이음 누수감지센서(10)를 부착하는 것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관이음 누수감지센서의 양단부에 Y자형 고무를 관의 둘레 를 통하여 전체를 둘러싸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이렇게 구성하여 Y자형 밴드 사이의 이음부에서 누수, 누유될 경우에는 모두다 Y자형 밴드영역 외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Y자형 고무밴드(400)는 제1관이음부 외주연부(610)와 제2관이음부 외주연부(620)에 부착하는 것이다.
여기에 H자형 밴드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13도는 누수감지센서와 Y자형 고무를 부착한 상태에서 시트나 테이프에 해당하는 보호시트(630)를 감싼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4도는 Y자형 고무의 전체 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Y자형의 일측면(410)과 Y자형의 타측면(420)사이에 누수 또는 누유가 되어 결함감지선이 접착된 장소로부터 이격된 관의 반대편에서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하여도 상기 Y자형의 홈을 타고 관이음 누수감지센서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Y자형 홈은 누설액체차단부(430)로 인하여 액체가 관이음부 주위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제15도는 제14도를 상부에서 본 구성도이다.
Y자형 홈은 누설액체차단부(430)로 인하여 액체가 관이음부 주위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제16도는 H자형 고무밴드(500) 전체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H자형 고무밴드의 일측면(510)과 H자형 고무밴드의 타측면(520)사이에 H자형고무밴드의 이음부(530)에 누수 또는 누유되는 액체가 관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H자형고무밴드의 이음부인 누설액체차단부(530)는 Y자형 고무밴드의 누설액체차단부(430)에 해당하는 것이다.
제17도는 제16도를 상부에서 본 구성도이다.
관이음부 외주연부(610,620)에 H자형의 고무밴드(500)의 일측면(510)이 부착된다면 보호시트(630)는 H자형 고무밴드의 타측면(520)이 부착되는 것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을 참조하면, 누수감지시스템(20)은 원격감시장치(22), 관이음 누수감지센서(10) 그리고 감지선(150,250)를 포함한다.
관이음누수감지센서(10)는 관(640) 이음부(약 6m)마다 설치되며, 복수의 관이음누수감지센서(10)를 하나의 망으로 구성한다. 각각의 관이음누수감지센서(10)는 감지선(150,2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지상에 설치된 원격감시장치(22)는 감지선(150,250)을 통하여 각 관이음누수감지센서(10)에 전파를 송신하여 각 관이음누수감지센서(10)에서의 쇼트여부를 통하여 누수여부를 감시하게 된다.
관이음결함센서(10)는 필요에 따라 여러개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4개의 관이음결함센서(10)를 설치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원격감지장치(22)를 여러 대 묶어 하나의 망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이 한 시스템이 최대 12km를 감시할 수 있다.
제19도는 도18에 도시된 누수감지시스템의 동작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18에 도시된 결함감지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지하에 매설된 관(640)에서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하면, 원격감시장치(22)가 이를 검출한다.
원격감시장치(22)는 감지선과 연결되어 감지선에 전파를 송출하여 관망을 감시하다가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관이음누수감지센서(10)의 위치를 메인 서버로 보내게 되고 메인서버는 전자지도 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이벤트 내용을 관리자와 중장비 기사에게 알린다.
상기와 같이 신속하게 이벤트 위치를 확인하여 신속히 복구할 수 있어 대형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 하수도 및 기름관 등의 누수 및 누유 발생시 실시간 복구하도록 하여 싱크홀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관이음 누수감지센서 12:베이스층 14:점착제층 16:누수감지선
20:누수감지시스템 22:원격감시장치
100:제1부재 110:제1부재 외부케이스 112:제1부재 내부케이스
115,215:홀 210:제2부재 외부케이스 212:제2부재 내부케이스
120,220:환형 공간부 122,222:사각형 공간부
130,230:감지선이 통과하는 공간부 140,240:결함감지선 공간부
150,250:감지선 155:돌기형 코드 160,260: 홀 200:제2부재
255:콘센트형 코드 300:수팽창고무 또는 스프링 400:Y자형 고무밴드
410:Y자형의 일측면 420:Y자형의 타측면 430,530:누설액체차단부
500:H자형 고무밴드 510:H자형 고무밴드의 일측면
520:H자형 고무밴드의 타측면 610:제1관이음부 외주연부
620:제2관이음부 외주연부 630:보호시트 640:관

Claims (11)

  1. 제1부재와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한 돌기형태의감지선;
    상기 돌기형태의감지선을 배치할 결합감지선공간부(140);
    상기 돌기형태의감지선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부재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한 콘센트형태의감지선;
    상기 콘센트형태의감지선을 배치할 결합감지선공간부(240);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수팽창재질 또는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구성하되,
    상기 공간부에 수분이 흡수되도록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각각 외홀을 구성하며,
    상기 돌기형태의감지선을 상기 콘센트형태의감지선에 삽입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공간부에 상기 수팽창재질 또는 상기 스프링을 삽입하며,
    상기 수팽창재질 또는 상기 스프링 이완을 억제시킨 재질이 액체를 함유하게 될 때에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상호 이탈하도록 좌우편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접촉된 상기 돌기형태의감지선과 상기 콘센트형태의감지선이 이탈되어 단선이 되도록 하므로 누수 또는 누유된 개소를 발견하여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하는 초기에 누수 또는 누유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환형의 공간부이며 상기 수팽창 재질 또는 상기 스프링은 상기 환형의 공간부에 상응한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사각기둥형상의 공간부이며 상기 수팽창 재질 또는 상기 스프링은 상기 사각기둥형상의 공간부에 상응한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 센서.
  4. 삭제
  5. 관이음부의 관 외주연부;
    상기 관외주연부에 부착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누수감지 센서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가 작동할 때까지 밀폐되도록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감싸는 시트 또는 테이프;
    상기 관이음부에서 액체가 누설될 경우 상기 누수감지센서가 작동할 때까지 수밀을 유지하여 센서를 감싸고 있는 시트 또는 테이프가 부풀어 올라 상기 누수감지센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상기 수팽창고무재질 또는 상기 스프링이 팽창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이탈하도록 좌우편으로 힘을 가하되,
    이격시키는 힘으로 인하여 결합된 상기 돌기형태의감지선과 상기 콘센트형태의감지선이 이탈되어 단선이 되도록 하는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테이프는 1.0 kgf/㎤이상의 압력에 견딜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부착한 후에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보호하고 감지센서가 작동할 때까지 수밀을 유지하도록 시트의 양부위에 Y 자 또는 H 자 구성의 고무가 부착된 시트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 앞 뒤면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며, 이때 접착력이 약한 부분을 센서방향에, 접착력이 강한 부분을 외부 방향으로 부착하여 관이음부에 누수 또는 누유가 발생할 경우 상기 누수감지센서에 부착된 테이프가 쉽게 이탈되어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접촉면으로 누수 또는 누유가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시트 또는 테이프로 감쌀 때 매끄럽게 감싸 외관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단차보완재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사각기둥형상으로 구성하여 사각기둥형상으로 인한 단차를 보완하기 위하여 단차보완재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삽입시켜 시트 및 테이프로 매끄럽게 감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20180011505A 2018-01-30 2018-01-30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2052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05A KR102052343B1 (ko) 2018-01-30 2018-01-30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05A KR102052343B1 (ko) 2018-01-30 2018-01-30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107A KR20190092107A (ko) 2019-08-07
KR102052343B1 true KR102052343B1 (ko) 2019-12-04

Family

ID=6762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505A KR102052343B1 (ko) 2018-01-30 2018-01-30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176A (ko) * 2017-11-27 2023-09-22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누출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
KR102358530B1 (ko) 2020-06-10 2022-02-03 나광윤 누수 검출 디바이스
KR102657645B1 (ko) * 2020-12-30 2024-04-1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102602888B1 (ko) * 2020-12-30 2023-11-1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102548651B1 (ko) * 2020-12-30 2023-06-29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누수감지센서부착보호커버
KR20230080595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누수 검출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49B1 (ko) * 2005-12-13 2006-12-22 주식회사 위스코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JP2017073287A (ja) * 2015-10-07 2017-04-1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スイッチ素子、電子部品、バッテリ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9437A (ja) * 1989-01-17 1990-07-25 Noritz Corp 漏洩油検出装置
KR100869052B1 (ko) 2007-02-09 2008-11-17 윤대훈 배관재의 누수와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확인이 용이한 감지관
KR101690542B1 (ko) 2014-10-14 2016-12-29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장치, 그것의 제조방법, 그에 적합한 체결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49B1 (ko) * 2005-12-13 2006-12-22 주식회사 위스코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JP2017073287A (ja) * 2015-10-07 2017-04-1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スイッチ素子、電子部品、バッテリ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107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343B1 (ko)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US8971673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500489B2 (en) Contained pipeline system with brine filled interstitial space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in same
RU2511862C1 (ru) Индикатор разрыва
KR100908137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WO1998036198A2 (en) Double containment pipe sections
US10451207B2 (en) Safety system
CN106461133B (zh) 带泄漏检测的密封套筒
WO2014195756A1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011102B2 (en) Contained pipeline system with brine filled interstitial space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in same
KR102120724B1 (ko)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EP3901503B1 (en) Fluid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arine hose and method thereof
JP2010203554A (ja) 管継手保護カバー、及び管継手管理システム
US8653971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CA2969503C (en) Leak detection backbone and flow barriers
JP7243270B2 (ja) マリンホースの流体漏れ検知システム
US8646314B2 (en) Externally engaging test barrier
KR100836215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매설구조물
JP2007218839A (ja) 漏水検知型管継手
KR100877415B1 (ko) 전자태그가 설치된 관체
CN104670698B (zh) 定位总成以及相关方法
KR101971473B1 (ko) 관이음부 결함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결함감지시스템
US20070028999A1 (en) Inflatable Elastomeric Plug For A Dual Containment Piping System
KR102052349B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JP3565576B2 (ja) 液体輸送用ホースラインの異常検出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